황부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부인은 삼국 시대 촉나라의 재상 제갈량의 아내로, 황월영, 황완정 등의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 황승언의 딸로, 못생겼지만 재주가 뛰어났다고 전해지며, 제갈량에게 요리 로봇과 같은 발명품 제작에 영감을 주었다는 설화가 있다. 소설 《삼국지연의》에서는 재녀로 묘사되며, 게임 《진 삼국무쌍》 시리즈 등 다양한 대중 매체에도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촉한 사람 - 동화 (후한)
동화는 후한 말부터 촉한 시대의 관료로, 유장 휘하에서 요직을 거쳐 유비와 제갈량을 보좌하며 국정 운영에 참여했고, 청렴하고 검소한 생활 태도로 제갈량에게 높이 평가받았다. - 촉한 사람 - 장포 (촉나라)
장포는 촉한의 장수로, 정사에는 요절했다는 기록만 있으나, 삼국지연의에서는 용맹한 장수로 묘사되며 관흥과 의형제를 맺고 활약하다 부상으로 사망하는 것으로 설정되었다. - 후한말 사람 - 화타
화타는 중국 후한 말의 명의로, 약물 처방, 침술, 마취 수술 등 뛰어난 의술을 펼쳤으며, 조조의 치료를 거부하여 살해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후한말 사람 - 유표 (흉노)
유표는 남흉노 선우 우부라의 아들이자 연제씨 일족으로, 흉노 출신 최초로 유씨 성을 사용했으며, 남흉노가 다섯 부로 나뉘었을 때 좌부를 통괄했고, 그의 아들 유연은 한조를 건국했다. - 문화에 관한 - 르네상스 미술
르네상스 미술은 14세기부터 16세기 유럽에서 일어난 미술 양식의 변화로, 고대 그리스·로마 문화 부흥을 바탕으로 인간 중심적 세계관과 사실적 표현 기법이 발달했으며, 회화, 조각, 건축 분야에서 다양한 발전을 이루었고, 레오나르도 다 빈치, 미켈란젤로, 라파엘로 등의 거장들이 활약하며 유럽 각 지역에서 특색을 반영하여 발전했다. - 문화에 관한 - 삼국지연의
《삼국지연의》는 나관중이 유비를 중심으로 184년부터 280년까지의 삼국 시대를 배경으로 저술한 중국 4대 기서 중 하나인 역사 소설로, 격동적인 시대의 사건과 인물들의 활약상을 다루며 여러 나라에서 다양한 미디어로 각색되어 왔다.
황부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배우자 | 제갈량 |
아버지 | 황승언 |
어머니 | 채부인 |
다른 이름 | 황월영 (黃月英) |
2. 이름에 대하여
黃月英중국어, 黃婉貞중국어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지만, 이 이름들은 황부인과 관련된 일들에 빗대어 후대에 사람들이 만든 이름으로 본명이 아니다.
《양양기(襄陽記)》에 따르면, 면남(沔南) 지역의 명사였던 황승언은 제갈량이 결혼 상대를 찾고 있다는 소식을 듣고 자신의 딸을 권하며 "내게는 머리는 노랗고 낯빛은 검지만, 재능이 당신과 배필이 될 만한 딸이 있다"고 말했다.[5] 제갈량이 이를 허락하자 황승언은 딸을 수레에 태워 보냈다. 당시 사람들은 이 일을 웃음거리로 삼았고, "공명이 아내 고르는 것을 흉내내지 마라. 바로 아승(황승언)의 못난 딸을 얻게 된다"는 속담까지 생겨났다.[5]
황월영은 자신이 못생겼다고 주장하며 구혼자들에게 직접 찾아오도록 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구혼자가 찾아오면 그녀는 베일 속에 숨어 그들의 결의를 시험하는 조용한 도전을 했다. 제갈량이 그녀를 찾아왔을 때, 그녀의 모습은 달빛에 비치고 머리에는 두 개의 붉은 베일이 덮여 있었다. 다른 남자들과 달리 제갈량은 혼자 그녀의 방에 들어가 망설임 없이 그녀의 변장을 벗겼다. 그녀의 얼굴에서 첫 번째 베일을 벗기면서 그는 그녀의 못생김은 그녀의 아버지의 오해라고 차분하게 말했다. 그러자 제갈량은 황월영의 기뻐하는 모습과 만족감을 얻었다.
황승언의 딸이자 제갈량의 부인, 제갈첨의 어머니인 황씨(黃氏)로 등장한다. 용모는 매우 누추하였으나 기발한 재주가 있었다고 묘사된다. 제갈량이 죽고 얼마 지나지 않아 황부인도 죽었다고 하며, 죽기 전에 아들 제갈첨에게 충효를 다할 것을 당부하였다고 한다.[1]
코에이의 비디오 게임 시리즈인 ''진 삼국무쌍''과 ''무쌍 오로치''에서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로 등장한다. ''진 삼국무쌍 7''까지 게임에서 "월영"으로 불렸으며, ''진 삼국무쌍 Next''(PS Vita)와 ''무쌍 오로치 3''부터는 "황월영"으로 불린다. 코에이가 제작한 ''결전 II''와 모든 ''삼국지'' 전략 게임 시리즈에도 등장한다.
[1]
서적
Xiangyang Ji annotation in Sanguozhi vol. 35
3. 생애
제갈량의 집에 손님이 방문했을 때, 황부인이 즉시 쌀밥과 국수 등을 차려냈다. 이를 이상하게 여긴 손님이 부엌을 보니 나무 인형이 맷돌을 돌리고 나무 당나귀가 절구를 찧고 있었다. 범성대는 제갈량이 훗날 목우유마를 만든 것은 아내 황씨의 재주를 전수받았기 때문이라고 기록했다.[6]
4. 민간 설화
민간 설화는 그녀가 제갈량의 목우유마뿐만 아니라 요리 로봇을 포함한 환상적인 발명품을 만들었다고 한다. 황부인은 남편 제갈량이 234년에 사망한 후 오래 살지 못하고 사망했다. 그녀는 임종 전에 아들 제갈첨에게 "충성하고 효도하라"고 지시했다.
샹양 밖 야오안 촌(姚庵村|야오안 촌중국어)의 황자만()에 그녀를 기리는 기념관이 있다.[3]
5. 가족 관계
관계 이름 비고 아버지 황승언 "면남의 명사"로 불림[1] 남편 제갈량 아들 제갈첨 기록에 직접 등장하지 않으나, 정황상 아들로 추정 장인 채풍 채모의 아버지 아버지의 의형제 유표 채부인을 후처로 맞이함 의붓조카 유기, 유종 유표의 아들
6. 《삼국지연의》에서의 묘사
소설 《삼국지연의》에서는 재녀로 이름 높았으며, 많은 지식을 남편에게 전수했다. 남편이 죽은 지 얼마 되지 않아 사망했다. 또한 제갈첨의 생모라는 설정이기도 하다.[1]
7.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후펑 삼국 온라인'', ''종횡 삼국 온라인'', ''몽강전 온라인'', ''군영부 온라인'' 등 다양한 다른 비디오 게임에도 등장한다.
만화 ''탐욕 마녀의 전쟁''에도 등장한다.
대만 텔레비전 드라마 ''K.O.3an Guo''에서 귀귀가 황월영을 연기했는데, 이 드라마는 현대 고등학교를 배경으로 역사 소설 ''삼국지''를 패러디한다.
참조
[2]
서적
Xiangyang Ji annotation in Sanguozhi vol. 35
[3]
웹사이트
隆中风景区姚庵村:诸葛夫人故乡 [Translation: Yao'an Village, scenery in Longzhong District: The hometown of Mrs. Zhuge']
http://www.huaxia.co[...]
湖北日报 (Hubei Daily)
2013-05-10
[4]
서적
諸葛亮集‧制作篇
[5]
서적
삼국지
[6]
서적
제갈량집(諸葛亮集)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