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결숙황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효결숙황후는 명나라 가정제의 황후로, 1522년 가정제와 혼인하여 황후가 되었다. 그러나 가정제의 총애는 다른 후궁에게 향했고, 1528년 질투심으로 인해 가정제와 갈등을 겪다 임신 중 폭행을 당해 유산하고 사망했다. 사후 도령황후로 불리다가 효결황후로 시호가 추존되었으며, 융경제 때 효결공의자예안장상천익성숙황후로 추존되었다. 능은 영릉이며, 효열황후와 함께 태묘에 합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정제의 황후 - 효각태후
효각태후는 명나라 가정제의 후궁으로 융경제의 생모이며, 강빈, 강비를 거쳐 융경제 즉위 후 효각황후로 추존되어 황태후가 되었다. - 가정제의 황후 - 폐후 장씨
명나라 가정제의 황후였던 폐후 장씨는 가정제의 총애를 잃고 도교 숭상에 대한 불만으로 폐위되어 냉궁에서 생을 마감했으며, 공양황후의 예로 장례가 치러진 권력 투쟁의 희생양이다. - 1508년 출생 - 안드레아 팔라디오
안드레아 팔라디오는 고대 로마 건축 원리에 기반한 팔라디오 양식을 정립하여 르네상스 건축에 큰 영향을 미친 이탈리아 건축가로, 《건축 사서》를 통해 이론적 기반을 제시하고 팔라디안 건축 운동을 일으켰다. - 1508년 출생 - 에르콜레 2세 데스테
에르콜레 2세 데스테는 페라라와 모데나의 공작으로 르네 드 프랑스와 결혼하여 자녀를 두었으며, 반프랑스 정책과 종교적 갈등을 겪었지만 예술 후원자로서 활동했다. - 1528년 사망 - 조반니 다 베라차노
조반니 다 베라차노는 16세기 이탈리아 탐험가이자 항해사로 프랑수아 1세의 지원을 받아 북아메리카 동부 해안을 탐험하며 뉴욕 만을 포함한 지역을 상세히 기록하여 유럽 지도 제작에 기여했으나, 태평양 항로를 찾던 중 1528년 카리브해에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 1528년 사망 - 패트릭 해밀턴
패트릭 해밀턴은 스코틀랜드의 종교 개혁가로, 루터의 사상을 접하고 교회 개혁을 주장하다가 이단으로 몰려 화형당했으며, 스코틀랜드 종교 개혁에 영향을 미쳤다.
효결숙황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효결숙황후 |
본관 | 진(陳) |
씨족 | 진씨 (陳氏) |
출생 | 1508년 (정덕 3년) 8월 14일 |
출생지 | 대명부 원성현 |
사망 | 1528년 (가정 7년) 10월 2일 |
사망지 | 순천부 자금성 |
묘소 | 영릉 |
시호 | 효결공의자예안장상천익성숙황후 (孝潔恭懿慈睿安莊相天翊聖肅皇后) |
![]() | |
가족 관계 | |
남편 | 가정제 |
아버지 | 진만언 (陳萬言, 태화백) |
어머니 | 태화백부인 기씨 (泰和伯夫人 冀氏) |
생애 | |
책봉 | 가정 원년 9월 28일 (1522년 10월 17일) |
폐위 | 가정 7년 10월 2일 (1528년 10월 14일) |
휘호 | |
시호 | 효결공의자예안장상천익성숙황후 (孝潔恭懿慈睿安莊相天翊聖肅皇后) |
기타 | |
재위 기간 | 1522년 – 1528년 |
아버지 | Chen Wanyan (陳萬言) |
무덤 위치 (이전) | 천수산 (Tianshou Mountain, 1567년 이전) |
2. 생애
효결숙황후는 대명부(大名府) 원성현 출신으로, 생원 진만언(陳萬言)과 기씨(冀氏) 사이에서 장녀로 태어났다. 가정 원년(1522년)에 황후로 책봉되었다.
그녀의 생애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 정덕제 (재위 1505–1521) 치세: 陳氏|진씨중국어 부인 (1508년부터)
- 가정제 (재위 1521–1567) 치세
- 황후 (皇后; 1521년 9월부터)
- 도령황후 (悼靈皇后; 1528년 10월부터)
- 효결황후 (孝潔皇后; 1536년부터)
- 융경제 (재위 1567–1572) 치세: 효결공의자예안장상천익성숙황후 (孝潔恭懿慈睿安莊相天翊聖肅皇后; 1567년부터)
2. 1. 황후 책봉과 총애
가정 원년(1522년)에 혼인하여 황후가 되었다. 그러나 가정제의 총애는 순비 장씨에게 가고 있었다. 가정 7년(1528년) 봄, 임신했으나, 순비와 공비가 황후에게 차를 올렸을 때 가정제가 그녀들의 손을 쳐다본 것에 질투심을 느껴 찻잔을 황제 앞에 던지고 자리를 떴다. 가정제 역시 격노하여 소리쳤고, 진황후는 놀라 땅에 내동댕이쳐졌으며 임신한 배를 심하게 걷어차여 유산했다.[5][6]가정제는 유산한 아이를 안타까워하며 더욱 격노하여 진씨의 폐위를 준비했다.[7] 진씨는 유산 후 몸이 상했지만, 치료를 거부하고 가정 7년 10월 2일 (1528년 10월 14일)에 사망했다.
2. 2. 가정제와의 갈등과 유산
가정 7년(1528년) 봄, 효결숙황후는 임신했다. 이후 순비와 공비가 황후에게 차를 올렸을 때 가정제가 그녀들의 손을 쳐다보자, 진황후는 질투심에 사로잡혀 찻잔을 황제 앞에 던지고 자리를 떴다. 가정제 역시 격노하여 소리쳤고, 진황후는 놀라 가정제에게 땅에 내동댕이쳐졌으며 임신한 배를 심하게 걷어차였다[5] . 이로 인해 효결숙황후는 유산했다[6] .가정제는 유산한 아이를 안타까워하며 더욱 격노하여 진씨의 폐위를 준비했고[7], 진씨는 유산 후 몸이 상했지만 치료를 거부하여 가정 7년 10월 2일 (1528년 10월 14일)에 사망했다.
2. 3. 죽음과 추존
가정 7년(1528년) 10월, 황후는 병을 이기지 못하고 붕어하였다.[5] [6]가정제는 모든 것을 진씨의 과실로 여겼고, 진황후는 천수산(황귀비와 황태자의 능구)에 묻혀 도령(悼靈)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가정 15년(1536년) 9월, 맏딸 상안공주(常安公主)와 둘째 아들 장경태자(莊敬太子) 주재뢰(朱載壡)가 아버지 가정제의 원한을 풀었다. 시호는 효결(孝潔)로 고쳐졌고, 진씨의 친족에게 상이 내려졌다. 그러나 방씨(효렬황후)를 장례할 때, 가정제는 방씨에게 은혜를 느껴 방씨를 첫 번째 황후로 대우(격상)하고 진씨를 후처 취급했다.[7]
융경제가 즉위하자 효결공의자예안장상천익성숙황후(孝潔恭懿慈睿安莊相天翊聖粛皇后)의 호를 추증받았고, 영릉(永陵)으로 이장되었다.
3. 시호와 능호
처음에는 시호가 '''도령황후'''(悼靈皇后)였다가, 예부상서 하언(夏言)의 의논으로 다시 고쳐 '''효결황후'''(孝潔皇后)로 추시되었다. 정식 시호는 '''효결공의자예안장상천익성숙황후'''(孝潔恭懿慈睿安莊相天翊聖肅皇后)이다. 능호는 영릉(永陵)이며, 효열황후와 함께 태묘에 합장되었다.
4.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진만언(陳萬言) | 태화백(泰和伯) |
어머니 | 기씨(冀氏) | |
남편 | 가정제 | |
딸 | 상안공주(常安公主) | |
아들 | 장경태자 주재뢰(朱載壡) | 장남 애충태자 주재기(朱載基) 요절 후 태자가 됨 |
5. 기타
- 명세종실록
- 완서잡기
참조
[1]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Volume II: Tang Through Ming 618 - 1644
[2]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Volume II: Tang Through Ming 618 - 1644
[3]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Volume II: Tang Through Ming 618 - 1644
[4]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Volume II: Tang Through Ming 618 - 1644
[5]
웹사이트
【明朝の冷血皇帝】 3人の美しい皇后が辿った悲劇的な最後
https://kusanomido.c[...]
2024-11-10
[6]
문서
[7]
서적
密諭録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