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의장황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효의장황후는 명나라 융경제의 황후로, 본관은 순천부 창평현 출신이다. 가정 32년(1553년) 유왕 주재길과 혼인하여 유왕비가 되었으며, 헌회태자 주익균, 경도왕 주익령, 봉래공주를 낳았으나, 자녀들은 모두 요절했다. 가정 37년(1558년)에 사망했으며, 융경제 즉위 후 효의황후로 추존되었다. 최종 시호는 효의정혜순철공인여천양성장황후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명나라의 추존황후 - 효숙황후
효숙황후는 명나라 영종의 후궁이자 성화제의 생모로, 후궁 시녀 출신으로 빈이 되었고 아들 성화제 즉위 후 황태후, 손자 홍치제 즉위 후 태황태후로서 막강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며 명나라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권력 남용 논란 등 긍정적·부정적 평가가 공존한다. - 명나라의 추존황후 - 효원정황후
효원정황후는 명나라 황족으로 만력제의 후궁으로 입궁하여 태창제의 태자비가 되었으나, 태창제 즉위 전에 사망 후 아들인 천계제에 의해 황후로 추존되었다. - 1558년 사망 - 심연원
심연원은 조선 중기 문신으로 중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영의정까지 올랐고, 을사사화 때 위사공신에 책록되었으며, 손녀가 명종의 비 인순왕후가 되면서 왕실과 인척 관계를 맺고 심의겸, 심충겸 형제가 서인의 영수로 활동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 1558년 사망 - 단경왕후
중종반정으로 왕비가 되었으나 아버지 신수근이 연산군과 관련되어 반정 공신들의 압박으로 7일 만에 폐위된 단경왕후는 사후 영조에 의해 왕후로 추숭되었다. - 명나라의 황후 - 효숙황후
효숙황후는 명나라 영종의 후궁이자 성화제의 생모로, 후궁 시녀 출신으로 빈이 되었고 아들 성화제 즉위 후 황태후, 손자 홍치제 즉위 후 태황태후로서 막강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며 명나라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권력 남용 논란 등 긍정적·부정적 평가가 공존한다. - 명나라의 황후 - 인효문황후
명나라 영락제의 황후 인효문황후는 서달의 딸로 학문을 좋아했으며, 정난의 변 당시 베이징을 지키고 황후가 된 후 문화 사업에 힘쓰며 불교 관련 사업을 지원했다.
효의장황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씨족 | 이(李)씨 |
출생일 | 미상 |
출생지 | 순천부 창평현 |
사망일 | 가정 37년 4월 13일 (1558년 4월 30일) |
사망지 | 순천부, 자금성 |
능묘 | 소릉(昭陵) |
작위 | |
유왕비 시기 | 1553년 ~ 1558년 |
황후 시기 | (추존)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이명(李銘) |
배우자 | 융경제 |
자녀 | 헌회태자(憲懷太子) 주익익(朱翊釴) 정도왕(靖悼王) 주익령(朱翊鈴) 봉래공주(蓬萊公主) |
시호 | |
시호 | 효의(孝懿) 진혜(貞惠) 순철(順哲) 공인(恭仁) 여천(儷天) 양성(襄聖) 장황후(莊皇后) |
로마자 표기 | Hyoŭi jeonghye suncheol gongin yeocheon yangseong janghwanghu |
2. 생애
효의장황후 이씨는 순천부창평현의 평민 가정 출신으로, 아버지 이명(李銘)의 딸이었다. 주재길[1]과 혼인하여 유왕비가 되었고, 슬하에 아들 둘과 딸 하나를 두었으나 모두 요절하였다. 부부 사이는 좋았다고 전해진다.
2. 1. 유왕비 시절
가정 32년(1553년) 2월, 이씨는 주재후[1]와 혼인하여 유왕비(裕王妃)가 되었다. 1555년 10월 15일, 주재후의 장남 주익균(朱翊釴)을 낳았으나[2] 1559년 5월 11일에 요절하였다. 주익균은 융경제 즉위 후 헌회태자(獻懷太子)로 추존되었다.이씨가 둘째 아들 주익령(朱翊鈴)을 낳은 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으며, 주익령은 한 살에 사망하여 경도왕(靖悼王)으로 추증되었다. 또한 봉래공주(蓬萊公主)를 낳았으나[3][4] 역시 요절하였다. 가정 37년(1558년) 4월, 이씨는 20대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2. 2. 사후
융경제가 즉위하자 효의황후(孝懿皇后)로 추존되었다.[1] 아버지 이명은 덕평백(德平伯)에 봉해졌고, 아들 주익균은 황태자로, 딸 봉래공주는 공주로 추봉되었다.[1] 만력제 즉위 후, '정혜순철공인여천양성(貞惠順哲恭仁儷天襄聖)'이라는 존호가 추가되어 최종 시호는 효의정혜순철공인여천양성장황후(孝懿貞惠順哲恭仁儷天襄聖莊皇后)가 되었다.[1]3. 가족 관계
효의장황후는 2남 1녀를 두었으나 모두 요절하였다.
3. 1. 자녀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헌회태자 주익균(朱翊釴) | 1555년 10월 15일 | 1559년 5월 11일 | 융경제의 장남[2] |
경도왕 주익령(朱翊鈴) | 불명 | 1세 | 융경제의 차남, 요절하여 경도왕으로 추증[3] |
봉래공주 | 1557년 | 불명 | 융경제의 장녀[3][4] |
참조
[1]
서적
Bulletin for Korean historical studies
http://worldcat.org/[...]
The committee
[2]
서적
Record of Emperor Shizong of the Ming Dynasty
https://m.uuzuowen.c[...]
2021-11-04
[3]
서적
History of the Ming
[4]
서적
Record of Emperor Shizong of the Ming Dynast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