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장황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효장황후는 북송 태조 조광윤의 황후로, 후한 고조 유지원의 딸인 영녕공주와 좌위상장군 송악의 딸이다. 967년 태조의 황후인 효명황후가 죽은 후 입궁하여 968년 황후로 책봉되었으며, 유순하고 예를 갖춘 성품으로 알려졌다. 태조 사후 태종 조광의에게 의탁했으나, 개보황후로 칭해지고 서궁에 거주하다가 995년 사망했다. 태종은 효장의 시호를 내렸지만, 장례는 소홀히 치러졌고, 이는 후세 사가들의 비판을 받았다. 사마광의 《속수기문》에 따르면, 태조 사후 황위 계승 과정에서 황후는 환관 왕계은을 통해 조덕방을 불러들여 황위를 잇게 하려 했으나, 왕계은이 조광의를 데려오면서 황후와 조광의 사이에 긴장된 상황이 연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52년 출생 - 오에노 마사히라
오에노 마사히라는 헤이안 시대의 귀족이자 문인으로, 뛰어난 학문적 재능으로 문장박사, 식부대보 등을 역임하며 이치조 천황 치세에 활발히 활동했고, 후지와라노 미치나가 등 유력자들과 교류하며 명성을 얻었으며, 오와리 국사로 임명되어 지방관으로서도 선정을 베풀었고, 문집으로 『강리부집』과 사가집 『마사히라 아손집』이 전해진다. - 995년 사망 - 에길 스칼라그림손
에길 스칼라그림손은 아이슬란드 출신의 바이킹 전사이자 뛰어난 스칼드 시인으로, 특히 아들을 잃은 슬픔을 노래한 《손나토레크》는 북유럽 개인 서정시의 탄생으로 불리며 룬 문자에 능통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 995년 사망 - 후지와라노 미치타카
후지와라노 미치타카는 헤이안 시대 중기 아버지의 권세를 배경으로 관백, 섭정 등 요직을 역임하며 권력을 장악했으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중관백가의 쇠퇴를 초래한 공경이다. - 북송의 황후 - 원덕황후
송 태종의 측실이자 송 진종의 생모인 원덕황후는 본래 이영의 딸로 태조 조광윤에 의해 태종에게 하사되었고, 태종 즉위 후 농서군부인에 봉해졌으며, 사후 진종 즉위 후 황태후로 추존되었다. - 북송의 황후 - 장목황후
북송 진종의 황후인 장목황후 곽씨는 진종 즉위 전 후처로 들어가 황후가 되었으나, 서경에서 병사하여 장목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효장황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휘 | 알 수 없음 |
별칭 | 개보황후, 효장황후 |
시호 | 효장(孝章) |
출생 | 광순(廣順) 2년 9월 7일 (952년) |
출생지 | 하남부(河南府) 낙양현(洛陽縣) |
사망 | 지도(至道) 원년 5월 30일 (995년) (43 - 44세) |
사망지 | 개봉부(開封府) 동궁(東宮) |
매장지 | 영창릉 |
씨족 | 송(宋)씨 |
아버지 | 송악(宋偓) |
어머니 | 영녕공주 유씨 (후한) |
혼인 정보 | |
배우자 | 태조 조광윤 |
왕조 | |
왕조 | 송나라 |
재위 정보 | |
재위 기간 | 968년 – 976년 |
즉위일 | 건덕(乾德) 6년 2월 |
전임 황후 | 효명황후 왕씨 |
후임 황후 | 명덕황후 이씨 |
생애 | |
재위 시작 | 968년 |
정식 책봉 | 개보(開寶) 6년 2월 |
사망 | 995년 |
2. 생애
낙양 출신으로 아버지는 후당 장종의 외손자인 좌위상장군(左衛上將軍) 송악이며, 어머니는 후한의 고조(高祖) 유지원의 딸인 영녕공주(永寧公主)이다.
어릴 적 어머니를 따라 후주의 태조 곽위를 알현하였는데, 이때 곽위가 관피를 하사하였다. 이후 후주의 뒤를 이어 송나라가 건국되었는데, 송 태조의 황후인 효명황후가 붕어한 뒤, 967년(건덕 5년) 입궁하였다.[8]
968년(개보 원년) 2월 황후로 책봉되었다. 성품이 유순하고 예를 갖추었으며, 976년(개보 9년) 태조 조광윤이 붕어하고 시동생인 태종 조광의가 즉위하자, 조광의에게 의탁하였다. 이후 황태후가 되지 못한 채 '''개보황후'''(開寶皇后)로 칭해지고 서궁에 거주하였다가 987년(옹희 4년) 동궁으로 거처를 옮겼다.[8]
995년(지도 원년) 4월, 붕어하였다. 태종은 '''효장'''(孝章)의 시호를 내렸으나, 군신들에게 성복할 것을 명하지 않았으며, 재궁은 연국공주의 집에 두었다가 화장하여 보제불사에 안치하였다. 이후 영창릉 북쪽에 묻어 태조와 합장도 하지 않았으며, 송황후를 황후의 예에 맞지 않게 국상을 소홀히 하였다.[9] 이와 같은 태종의 조치들은 후세의 사가들에게 많은 비판을 받았다. 태종은 이부시랑 이지에게 명하여 애책문을 작성하게 하고 신주를 별묘에 두었는데 이후 신종대에 이르러 신주가 태묘에 합사되었다.
3. 가족 관계
3. 1. 가계
친조모와 어머니가 모두 오대십국시대의 공주인데, 친할머니는 후당을 건국한 장종(章宗) 이존욱의 딸인 의령공주(義寧公主)이고, 어머니는 후한을 건국한 고조(高祖) 유지원의 딸인 영녕공주(永寧公主)이다.[11][8]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송악(宋偓) | 926년 ~ 989년 |
어머니 | 영녕공주(永寧公主) | 생몰년 미상 |
3. 2. 부모
아버지는 후당 장종(章宗)의 외손자인 좌위상장군(左衛上將軍) 송악(宋偓)이며, 어머니는 후한의 고조(高祖) 유지원(劉知遠)의 딸인 영녕공주(永寧公主)이다.[8] 친조모와 어머니가 모두 오대십국시대의 공주인데, 친할머니는 후당(後唐)을 건국한 장종(章宗) 이존욱(李存勗)의 딸인 의령공주(義寧公主)이고, 어머니는 후한(後漢)을 건국한 고조(高祖) 유지원(劉知遠)의 딸인 영녕공주(永寧公主)이다.[11][8]- 부 : 송악(宋偓, 926년 ~ 989년)
- 모 : 영녕공주(永寧公主, 생몰년 미상)
3. 3. 남편
조광윤 (927년 ~ 976년)[1]4. 태조 급서와 황위 계승 논란
태조 조광윤이 급서하고 황위가 장성한 아들들이 아닌 동생 조광의에게 계승된 것은 후대에 많은 의문을 낳았고, 조광의의 황위 찬탈설이 제기되는 원인이 되었다.
사마광의 《속수기문(涑水紀聞)》에 따르면, 효장황후 송씨는 조광윤이 사망하자 환관 왕계은(王繼恩)을 시켜 태조의 넷째 아들 조덕방을 입궁시켜 황위를 계승시키려 하였다. 하지만 왕계은은 조덕방 대신 태조의 동생 진왕(晉王) 조광의에게 이 사실을 알렸다.[10]
효장황후는 왕계은에게 "덕방을 데려 왔는가?"하고 물었으나, 왕계은은 "진왕이 왔습니다."라고 대답했다. 조광의가 나타나자 효장황후는 "우리 모자(母子)의 목숨은 모두 관가(官家, 조광의)에게 맡깁니다." 하고 말하였다.[10]
4. 1. 궁중 비사
사마광의 『속수기문』에 따르면, 태조가 밤중에 붕어하자 황후 송씨는 환관 왕계은을 보내 태조와 효명황후의 아들인 조덕방을 불러 황위를 계승시키려 했다.[10] 그러나 왕계은은 황제의 동생인 진왕 조광의를 불렀다. 황후는 조광의를 보고 깜짝 놀라 통곡하며 "우리 모자의 목숨은 오로지 당신 한 분에게 달려 있습니다"라고 말했다. 조광의는 "함께 부귀를 누립시다. 걱정하지 마십시오"라고 말하며 태조의 관 앞에서 즉위했다.[10]4. 2. 의혹 및 진상 규명 필요성
사마광의 『속수기문』에 따르면, 밤중에 태조가 붕어했을 때, 황후 송씨는 환관 왕계은을 보내 황자인 진왕 조덕방(태조와 효명황후의 아들)을 불러들여 황위를 계승시키려 했다.[1] 그러나 왕계은은 황제의 동생인 진왕 조광의를 불러들였다.[1] 황후는 조광의를 보자마자 깜짝 놀라 통곡하며 "우리 모자의 목숨은 오로지 당신 한 분에게 달려 있습니다"라고 말했다.[1] 조광의는 "함께 부귀를 누립시다. 걱정하지 마십시오"라고 위로하며 태조의 관 앞에서 즉위했다.[1]참조
[1]
서적
The Ancestors' Instructions Must Not Change: Political Discourse and Practice in the Song Period
https://books.google[...]
BRILL
2021-08-30
[2]
서적
Emperor Huizong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14-01-06
[3]
서적
Berkshire Dictionary of Chinese Biography
https://books.google[...]
Berkshire Publishing Group
2017-12-27
[4]
문서
『浮石趙氏族譜』による。
[5]
간행물
《속자치통감장편》(續資治通鑑長編) 권9 - 개보(開寶) 원년 2월 기사
[6]
간행물
《송사》(宋史) 권242 〈열전〉(列傳) 제1 후비(后妃) 상 - 효장송황후(孝章宋皇后)
[7]
간행물
《송사》(宋史) 권5 〈본기〉(本紀) 제5 태종(太宗) 2 - 지도(至道) 원년 4월 갑진(甲辰) 기사
[8]
간행물
『송사』(宋史)』 권242 열전 제2 후비下 효장송황후(孝章宋皇后)
[9]
간행물
『송사』(宋史)』 권293 열전 제52 왕우칭(王禹偁)
[10]
문서
사마광 - 《속수기문(涑水紀聞)》
[11]
간행물
『송사』(宋史)』 권255 열전 제45 송악(宋偓)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