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정공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효정공주는 고려 제8대 왕 현종과 원화왕후의 장녀로, 왕씨이며 개성이 본관이다. 처음에는 적경공주로 불렸으며, 1030년에 사망하여 효정공주라는 시호를 받았다. 혼인 여부, 자녀, 매장지에 대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030년 사망 - 올라프 2세 (노르웨이)
올라프 2세는 11세기 노르웨이 왕으로, 노르웨이 통일과 기독교 전파에 힘썼으며 스티클레스타드 전투에서 전사 후 성인으로 추앙받고 노르웨이의 수호성인이 되었다. - 1030년 사망 - 마흐무드 (가즈나 왕조)
마흐무드는 971년 가즈니에서 태어나 998년부터 1030년까지 가즈나 왕조를 통치한 술탄으로, 중앙아시아와 인도 아대륙을 정벌하며 왕조의 전성기를 이끌고 페르시아 문학을 장려하여 가즈니를 문화 중심지로 발전시켰으나, 말년에는 셀주크족의 부상으로 서부 영토를 상실했다. - 고려 현종의 자녀 - 덕종 (고려)
덕종은 고려 제10대 임금으로, 천리장성 축조 시작과 국사 편찬 완료 등의 치적을 남겼으나 아들이 없어 동생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 고려 현종의 자녀 - 효사왕후
효사왕후는 고려 현종과 원혜왕후의 딸이자 덕종의 왕후로, 문종의 동복 누이이며 덕종과는 이복 남매이자 외사촌 관계이고, 본래 왕씨였으나 외조모의 성을 따라 김씨로 바꾸었으며, 덕종과의 사이에서 자녀는 없었고 생몰년과 능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 - 고려의 공주 - 정헌공주
정헌공주는 고려 혜종과 의화왕후의 딸이며, 흥화궁군, 경화궁부인과 남매 관계이다. - 고려의 공주 - 명혜부인
명혜부인은 고려 혜종과 궁인 애이주 사이에서 태어난 혜종의 딸이자 왕제의 누이이다.
효정공주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작위 | 공주 |
별칭 | 적경공주 (積慶公主) |
시호 | 효정 (孝靜 또는 孝靖) |
왕조 | 고려 왕조 |
아버지 | 고려 현종 |
어머니 | 원화왕후 최씨 |
친척 | 성종(외조부), 천수전주(동생) 등 |
출생일 | 미상 |
출생지 | 고려 |
사망지 | 고려 |
사망일 | 1030년 음력 7월 13일 |
매장지 | 미상 |
국적 | 고려 |
로마자 표기 - 이름 | Jeokgyeong-gongju |
한글 - 이름 | 적경공주 |
한자 - 이름 | 積慶公主 |
로마자 표기 - 시호 | Hyojeong |
한글 - 시호 | 효정 |
한자 - 시호 | 孝靜 또는 孝靖 |
가문 | |
왕가 (출생) | 왕가 |
생애 | |
출생 | 1011년 |
사망 | 1030년 (18-19세) |
가족 관계 | |
아버지 | 현종 |
어머니 | 원화왕후 |
형제자매 | 천수공주 (동생) |
2. 생애
효정공주는 고려 제8대 현종과 원화왕후의 장녀로, 성은 왕, 본관은 개성이다. 처음에는 '적경공주'(積慶公主)라고 불렸다.[8][9]
1030년(현종 21년) 음력 7월 13일에 사망했으며[8][9], 시호는 효정공주(孝靖公主[10] 또는 孝靜公主[11])이다. 혼인 여부, 자녀 및 매장지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아 자세히 알 수 없다.
2. 1. 출생 및 가계
효정공주는 언제 태어났는지 자세히 알 수 없으며, 고려 제8대 현종과 원화왕후 사이에서 태어난 장녀이다. 성은 왕, 본관은 개성이다.효정공주의 어머니 원화왕후는 성종과 성종의 제3비 연창궁부인 사이에서 태어난 딸로, 아버지는 경주 최씨 최행언이다[7]. 원화왕후는 현종과의 사이에서 효정공주와 천수전주 두 딸을 낳았다.
2. 2. 초기 생애
효정공주는 고려 제8대 왕 현종과 원화왕후의 장녀이다. 성은 왕, 본관은 개성이다.어머니 원화왕후는 성종의 딸로, 어머니는 경주 최씨 최행언의 딸인 성종의 제3비 연창궁부인이다[7]. 원화왕후는 현종과의 사이에서 효정공주와 천수전주 등 두 딸을 낳았다.
효정공주는 처음에 '''적경공주'''(積慶公主)라고 불렸다.[8][9]
2. 3. 사망
1030년(현종 21년) 음력 7월 13일에 공주가 사망하였으며[8][9], 시호는 '''효정공주'''(孝靖公主[10] 또는 孝靜公主[11])이다. 혼인 여부, 자녀, 매장지 등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아 자세히 알 수 없다.3. 가족 관계
참조
[1]
문서
Only full younger sister.
[2]
웹사이트
ko:적경궁주가 죽다
http://db.history.go[...]
2022-01-21
[3]
서적
韓國女性關係資料集: 中世篇(中)
https://books.google[...]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1985
[4]
웹사이트
ko:원화왕후
http://db.history.go[...]
2022-01-21
[5]
웹사이트
ko:효정공주
http://db.history.go[...]
2022-01-21
[6]
웹사이트
ko:성종 후비 연창궁부인 최씨
http://db.history.go[...]
2022-01-21
[7]
웹인용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연창궁부인〉항목
http://people.aks.ac[...]
2012-07-29
[8]
문서
《고려사》권5〈세가〉권5 - 현종 21년 7월 - 적경궁주가 죽다
[9]
문서
《고려사》권5〈세가〉권5 - 현종 21년 2월 기사에도 "적경공주가 죽었다."라는 기록이 등장하나, 시호가 효정공주와 다르고, 무덤을 능으로 지칭하는 것으로 보아 효정공주와는 동명이인인 듯 하다.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623921&cid=49629&categoryId=49629 네이버 《국역 고려사:세가》 현종 21년 각주] 참고. 단 해당 출처에서는 효정공주와 문종의 딸 적경궁주를 혼동하여 기술한 부분이 있다.
[10]
문서
《고려사》권91〈열전〉권4 - 효정공주
[11]
문서
《고려사》권88〈열전〉권1 - 원화왕후 최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