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정왕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헌정왕후는 고려 태조의 손녀이자, 고려 경종의 제4비이며, 고려 현종의 어머니이다. 성종의 동생으로, 경종 사후 숙부인 안종과 사통하여 현종을 낳았으며, 992년 산후병으로 사망했다. 사후 효숙왕태후로 추존되었고, 2009년 KBS2 드라마 《천추태후》와 2016년 SBS 드라마 《달의 연인 - 보보경심 려》에서 묘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의 대왕태후 - 신정왕후 (고려)
신정왕후는 고려 태조의 후궁으로 대종과 대목왕후를 낳았으며, 경종 이후 모든 고려 왕의 조상이고 고려 역사상 가장 많은 왕을 후손으로 둔 왕후이다. - 993년 사망 - 카롤루스 (니더로트링겐 공작)
카롤루스는 루이 4세의 아들이자 샤를마뉴의 6대손으로, 하 로렌 공작위를 얻었으며, 왕비 간통 혐의 고발, 독일과의 연합, 프랑스 역침공, 왕위 계승 주장 등의 활동을 했고, 브뤼셀 발전에 기여했으며 니더로트링겐 지역에 영향을 미쳤다. - 993년 사망 - 콘라트 3세 (부르군트)
콘라트 3세는 937년 부르군트 왕국의 왕위를 이어받아 오토 1세의 섭정 하에 게르만 왕들과 협력하며 수도원 지배력 강화 및 외세 침입 방어에 힘썼고, 993년 사망하여 생 앙드레 르 바 수도원에 묻힌 벨프 가문 출신의 왕이다. - 992년 사망 - 미에슈코 1세
미에슈코 1세는 963년 폴란드 공에 즉위하여 폴란드 국가를 건설하고 가톨릭으로 개종했으며, 포메라니아 등을 정복하여 폴란드 왕국의 기반을 다진 인물이다. - 992년 사망 - 유계원
유계원은 세조 유민의 외손이자 예종 유균의 양자로, 예종 사후 이부형 유계은이 즉위하자 곽무위에 의해 황제로 추대되었으며, 요나라와의 관계 개선을 시도했으나 송나라의 침공으로 북한이 멸망하자 송에 항복하여 팽성군공에 봉해졌다.
헌정왕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헌정왕후 |
한자 표기 | 獻貞王后 |
로마자 표기 | Heonjeong Wanghu |
시호 | 명간선용인혜효숙왕태후 (明簡宣容仁惠孝肅王太后) |
신분 | |
고려 왕후 | 경종의 왕후 |
추존 | 안종의 왕후 |
태후 | 효숙왕태후 (孝肅王太后) |
생애 | |
출생 | 약 966년, 개경 |
사망 | 고려사 기준: 992년 8월 1일, 개경 왕륜사 남쪽 안종 사저 현화사비 기준: 993년 4월 13일, 개경 보화궁 |
가족 관계 | |
아버지 | 대종 |
어머니 | 선의왕후 유씨 |
배우자 | 경종 |
내연 관계 | 안종 |
자녀 | 현종 (안종과의 사이에서 출생) |
기타 정보 | |
능묘 | 원릉 |
가문 | 황주 황보씨 |
2. 생애
태조의 손녀이자 대종과 선의왕후 유씨의 딸로, 언니인 헌애왕후와 함께 사촌 경종의 왕비가 되었다. 할머니인 신정왕태후의 성씨를 따라 황보씨(皇甫氏)를 사용하였다.[5]
981년 남편 경종이 26세의 젊은 나이로 승하하면서 10대 중반에 과부가 되었다. 경종과의 사이에서 자식은 없었다. 오빠인 성종이 즉위한 후 궁궐을 나와 개경의 사저에서 지냈다.[5]
사저 근처에 살던 숙부 왕욱과 가깝게 지내다 정을 통하게 되었는데, 이는 당시 왕족 여성에게 금지된 행위였다.[5] 991년 왕욱의 아이를 임신하였으나[7], 주변의 침묵으로 조정에서는 이 사실을 알지 못했다. 헌정왕후는 사회적 비난과 왕실의 법도를 어겼다는 죄책감에 괴로워했다.[5]
992년 왕욱의 집에서 일어난 화재 사건을 계기로 성종에게 임신 사실이 발각되었고, 왕욱은 사수현(현 사천시)으로 유배되었다.[5] 헌정왕후는 아들 왕순(훗날 현종)을 낳고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하였다.[5][8] 《고려사》 등에는 현종을 낳고 산고로 곧바로 사망했다고 기록되어 있으나[5][8], 《현화사비》에는 이듬해인 993년에 병으로 사망했다고 기록되어 있어[15] 사망 시점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다.
아들 왕순은 외삼촌인 성종이 궁궐로 데려와 길렀으며[4], 이후 이모인 헌애왕후와 김치양 세력으로부터 여러 차례 생명의 위협을 받았다.[8] 1009년 아들 왕순이 현종으로 즉위하자 효숙왕태후(孝肅王太后)로 추존되었고, 원릉(元陵)에 안장되었다.[4] 이후 여러 차례 시호가 추가되었다.
2. 1. 결혼과 왕후 생활
태조와 신정왕태후의 손녀이자 대종의 딸인 헌정왕후는 언니 헌애왕후(천추태후)와 함께 사촌인 경종의 왕비가 되었다. 이때 할머니 신정왕태후의 성씨를 따라 황보씨(皇甫氏)를 칭하였다.[5]그러나 981년 경종이 26세의 젊은 나이로 승하하면서 헌정왕후는 10대 중반의 나이에 과부가 되었다. 경종과의 사이에서 자식은 없었다. 오빠인 성종이 즉위한 후, 헌정왕후는 궁궐을 나와 개경 왕륜사(王輪寺) 남쪽에 있는 사저에서 거주하게 되었다.[5]
사저는 숙부인 왕욱의 집 근처였는데, 왕욱의 집은 송악산 왕륜사(王輪寺)에 있었다.[5] 당시 법적으로 왕족 여성, 특히 대비는 다른 남성과의 교제가 금지되었으나, 헌정왕후는 자주 숙부 왕욱의 집을 방문하며 함께 시간을 보냈고 점차 가까워졌다.[5] 이러한 관계는 10여 년간 지속되어 헌정왕후가 20대 중반이 되었을 때, 왕욱은 50대였다.[5]
어느 날 헌정왕후는 송악산에 올라 소변을 보았는데, 그 소변이 온 나라에 넘쳐 은빛 바다가 되는 꿈을 꾸었다. 놀란 헌정왕후가 꿈 해몽에 능한 궁녀에게 이야기하자, 궁녀는 아들을 낳으면 장차 나라의 왕이 될 길몽이라고 풀이했다. 헌정왕후는 "내가 이미 과부인데 어찌 아들을 낳겠는가?"라며 이를 믿지 않으려 했다.[6]
991년 어느 날 밤, 헌정왕후는 왕륜사에서 죽은 남편 경종의 명복을 빌던 중 왕욱과 정을 통하게 되었고, 그 결과 임신하게 되었다.[7] 주변 사람들이 침묵하여 조정에서는 이 사실을 알지 못했다. 헌정왕후는 자신의 처지와 뱃속의 아이 때문에 괴로워하며 죽고 싶다는 생각까지 했다. 당시 사회적 통념상 왕후가 재혼하는 것은 물론, 숙부와의 관계는 용납될 수 없는 일이었다.[5] 이는 연인 김치양과 공공연히 관계를 가졌던 언니 헌애왕후와는 대조적인 모습이었다.[5] 헌정왕후는 왕욱에게 자신의 불안감을 토로하며 모든 잘못을 자신이 안고 가겠다고 말했다.[5]
고려사 기록에 따르면, 992년 7월 헌정왕후가 왕욱의 집에 머물고 있을 때, 왕욱 집의 한 노비가 마당에 쌓아둔 장작에 일부러 불을 질렀다. 불길이 번지자 관리가 달려와 불을 껐고, 성종 또한 소식을 듣고 달려왔다. 이 과정에서 성종은 헌정왕후의 임신 사실을 알게 되었고, 왕욱을 사수현(현재의 사천시)으로 유배 보냈다.[5] 기록에 따르면 헌정왕후는 부끄러움에 울며 자신의 사저로 돌아갔는데, 집에 거의 다다랐을 때 산기를 느꼈다.[8] 결국 집 앞 버드나무 가지를 붙잡고 아들 왕순(훗날 현종)을 낳았으나, 산욕으로 곧바로 사망하였다.[5][8] 다른 기록에는 993년에 사망했다는 설도 있다.
어린 왕순은 외삼촌인 성종이 거두어 궁궐에서 유모에게 맡겨 길렀다.[4] 이후 왕순은 이모인 헌애왕후와 그의 연인 김치양 세력으로부터 여러 차례 생명의 위협을 받았다.[8]
1009년 아들 왕순이 현종으로 즉위하자 어머니 헌정왕후를 효숙왕태후(孝肅王太后)로 추존하고 시호를 올렸다. 헌정왕후는 왕욱과 함께 원릉(元陵)에 합장되었다.[4]
2. 2. 안종과의 관계와 현종 출생
경종이 981년 26세의 나이로 사망하자, 10대 중반이었던 헌정왕후는 과부가 되어 궁궐을 나와 개경에 있는 외가의 사저에서 살게 되었다.[5] 이 집은 이복 숙부인 안종 왕욱의 집(송악산 왕륜사)과 가까웠다.[5] 당시 왕족 여성은 남편 사후 다른 남자와 만나는 것이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었으나,[5] 헌정왕후는 외로움을 달래기 위해 숙부 왕욱의 집을 자주 방문하며 가까워졌다. 이때 헌정왕후는 20대 중반, 왕욱은 50대였다.[5]어느 날 헌정왕후는 곡령(鵠嶺)에 올라 소변을 보니 그 소변이 온 나라에 넘쳐 은빛 바다가 되는 꿈을 꾸었다. 꿈 해몽에 능한 이를 찾아가 물으니 아들을 낳으면 나라의 왕이 될 것이라는 풀이를 들었다. 하지만 헌정왕후는 "내가 이미 과부인데 어찌 아들을 낳겠는가?"라며 대수롭지 않게 여겼다고 한다.[6]
991년 어느 날 밤, 헌정왕후는 죽은 남편 경종의 명복을 빌기 위해 왕륜사를 찾았다가 왕욱과 서로의 마음을 확인하고 관계를 맺게 되었고, 그 결과 임신하게 되었다.[7] 헌정왕후는 숙부의 아이를 가졌다는 사실에 괴로워하며 불안감에 시달렸다고 전해진다.[5] 그녀는 언니 헌애왕후가 김치양과 공공연히 관계를 가졌던 것과 달리, 마음이 약해 왕욱에게 "차라리 죽는 게 낫겠다. 다 내 잘못이다"라고 말하며 괴로워했다고 한다.[5]
주변 사람들이 침묵하여 조정에서는 이 사실을 몰랐으나, 992년 7월, 헌정왕후가 왕욱의 집에 머물던 중 한 노비가 마당에 장작을 쌓아 불을 질렀다. 불길이 번지자 관리가 달려오고 성종 또한 급히 와서 안부를 물었다. 이 과정에서 성종은 헌정왕후의 임신 사실을 알게 되었고, 안종 왕욱을 사수현(현 사천시)으로 유배 보냈다.[5]
헌정왕후의 죽음과 현종의 출생에 대해서는 기록이 엇갈린다.
-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에 따르면, 헌정왕후는 왕욱의 유배길을 배웅하고 돌아오는 길에 산통을 느껴 자기 집 앞 배나무 밑에서 아들 대량원군(훗날 현종)을 낳고 산고로 바로 사망했다고 한다. 다른 설로는 왕욱의 사저에 있다가 발각되어 부끄러움에 울며 도망치듯 집으로 돌아와 문 앞 버드나무 가지를 붙잡고 아들을 낳다가 죽었다고도 전한다.[5][8] 《고려사》에는 성종 11년(992년) 7월, 왕욱의 집에서 불이 나 성종이 방문했을 때 임신 사실이 발각되었고, 부끄러움과 한스러움에 울며 집으로 돌아가다 대문에 이르러 버드나무 가지를 붙잡고 아이를 낳다가 죽었다고 구체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 그러나 《현화사비(玄化寺碑)》에는 《고려사》의 기록과 달리, 헌정왕후가 현종을 출산한 이듬해인 993년 음력 3월 19일 궁궐 내 보화궁(寶華宮)에서 병으로 사망했다고 기록되어 있다.[15] 현화사비에 따르면, 성종이 직접 병문안을 오고 어의와 약초를 보내 치료에 힘썼으며 왕실의 보물을 사찰에 보내 쾌유를 빌었으나 결국 붕어했다고 한다.[15]
《고려사》의 기록은 편찬 시기인 조선시대의 유교적 윤리관에 따라 왕욱과의 관계를 부정적으로 보고 헌정왕후의 행동을 비판적으로 묘사하기 위해 각색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한다.
어머니를 잃은 아기 왕순(현종)은 아버지 왕욱마저 유배된 상태였기에, 외삼촌인 성종이 궁궐로 데려와 유모를 붙여 길렀다.[4] 이후 왕순은 이모인 헌애왕후와 그녀의 정부(情夫) 김치양으로부터 여러 차례 생명의 위협을 받았다. 헌애왕후는 아들 목종에게 후사가 없자 김치양과의 사이에서 낳은 아들을 왕위에 올리려 했고, 왕위 계승 가능성이 있는 왕순은 그 계획에 큰 걸림돌이었기 때문이다.[8]
1009년 왕순이 현종으로 즉위한 후, 어머니 헌정왕후에게 효숙왕태후(孝肅王太后)라는 시호를 올렸다.[4] 헌정왕후는 사후 아버지 안종 왕욱과 함께 원릉(元陵)에 합장되었다.[4] 헌정왕후와 현종은 모자 관계인 동시에, 태조의 손녀와 손자이므로 혈연적으로는 사촌 남매간이기도 하다.
2. 3. 사후
헌정왕후가 낳은 아들 왕순(훗날 현종)은 성종에 의해 길러졌으며, 성종은 보모를 택하여 아이를 돌보게 하였다.목종이 즉위하고 헌애왕후가 섭정을 시작하자, 헌애왕후는 조카인 왕순의 목숨을 여러 차례 위협하였다. 그러나 1009년 강조의 정변으로 목종이 폐위되고 헌애왕후도 물러나면서, 강조 등의 추대로 아들 왕순이 왕위에 올랐다.
아들 왕순이 현종으로 즉위하면서 헌정왕후는 효숙왕태후(孝肅王太后)로 추존되었고, 능호는 원릉(元陵)으로 정해졌다. 이후 여러 차례에 걸쳐 다음과 같이 시호가 추가되었다.
3. 가족 관계
관계 이름/칭호 생몰년 비고 조부 태조 왕건(太祖 王建) 877년 ~ 943년 제1대 국왕 조모 신정왕후 황보씨(神靜王后 皇甫氏) ? ~ 983년 태조의 제4왕후 외조부 태조 왕건(太祖 王建) 877년 ~ 943년 제1대 국왕 외조모 정덕왕후 유씨(貞德王后 柳氏) 생몰년 미상 태조의 제6왕후 아버지 추존 대종(戴宗) 왕욱(王旭) ?[1] ~ 969년 태조의 아들 어머니 추존 선의왕후 유씨(宣義王后 柳氏) 생몰년 미상 태조와 정덕왕후의 딸 오빠 효덕태자 (孝德太子) 생몰년 미상 오빠 성종(成宗) 961년[2] ~ 997년 제6대 국왕 오빠 경장태자(敬章太子) 생몰년 미상 언니 헌애왕후(獻哀王后) 황보씨(皇甫氏) 964년 ~ 1029년 경종의 제3왕후, 천추태후(千秋太后) 시아버지 광종(光宗) 925년 ~ 975년 제4대 국왕, 고모부 시어머니 대목왕후 황보씨(大穆王后 皇甫氏) 생몰년 미상 고모 배우자 (남편) 경종(景宗) 955년 ~ 981년 제5대 국왕, 사촌 관계 (사통) 추존 안종(安宗) 왕욱(王郁) ? ~ 996년 숙부 아들 현종(顯宗) 992년 ~ 1031년 제8대 국왕, 안종과의 아들
4. 대중 매체
참조
[1]
웹사이트
원릉에 도적이 들다
http://db.history.go[...]
2021-08-05
[2]
웹사이트
Queen Heonjung
http://members.brita[...]
2013-02-18
[3]
웹사이트
Queen Heonjeong
http://people.aks.ac[...]
[4]
웹사이트
경종 후비 헌정왕후 황보씨
http://db.history.go[...]
2021-08-05
[5]
웹사이트
안종 욱과 헌정왕후의 슬픈 사랑
http://www.nhtimes.c[...]
2012-09-10
[6]
서적
역사저널 그날 고려 편 1
https://books.google[...]
Mineumsa (민음사)
2019-07-17
[7]
웹사이트
현종 총서
http://db.history.go[...]
2021-09-23
[8]
웹사이트
'[Why] [이한우의 역사속의 WHY] 헌애·헌정 자매의 싸움… 고려 王씨 왕조가 김씨 왕조가 될 뻔'
https://www.chosun.c[...]
2020-08-03
[9]
웹사이트
경종 후비 헌정왕후 황보씨
http://db.history.go[...]
2021-08-05
[10]
문서
현화사비
[11]
문서
현화사비
[12]
문서
현화사비
[13]
문서
고려사 기록
[14]
문서
헌화사비 기록
[15]
웹사이트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 《현화사비》 항목
http://gsm.nricp.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