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드윙커개복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드윙커개복치는 개복치속에 속하는 물고기로, 납작하고 타원형의 몸매와 꼬리지느러미가 퇴화된 특징을 지닌다. 최대 2.4m까지 성장하며, 등쪽이 어둡고 배쪽이 밝은 카운터 쉐이딩을 띤다. 태평양, 인도양, 대서양의 아열대 해역, 특히 남반구 온대 해역에서 주로 발견되며, 살파, 관해파, 작은 물고기, 해파리 등을 먹는다. 2017년에 신종으로 공식 기재되었으며, 종명 "tecta"는 "숨겨진"을 의미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복어목 - 검복
검복은 동해와 동중국해에 서식하며 몸길이 약 40cm의 복어로, 맹독을 가진 간과 난소와 달리 근육은 식용 가능하며 참복보다 감칠맛이 뛰어나 인기가 높지만 현재 양식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 복어목 - 옛개복치
옛개복치는 신생대 에오세에 북극해나 대서양에 살았던 멸종된 어종으로, 현생 개복치보다 가슴지느러미가 위로 솟고 몸 색깔이 푸르며 고대 해파리와 작은 물고기를 먹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개복치과 - 남방개복치
남방개복치는 최대 3.3m까지 성장하는 대형 어류이며, 평평하고 둥근 몸에 큰 지느러미와 앵무새 부리 모양의 이빨을 가지고, 갈색 또는 회색 피부를 지닌다. - 개복치과 - 개복치속
개복치속은 맷돌을 뜻하는 라틴어 속명 'Mola'에서 유래되었으며 개복치, 꼬리 개복치, 남방개복치 3종이 현존하는 개복치과의 어류 속으로, 특히 개복치는 전 세계 온·열대 해역에 분포하며 큰 크기와 독특한 생태로 주목받는다.
후드윙커개복치 | |
---|---|
기본 정보 | |
![]() | |
![]() | |
분류 | |
학명 | Mola tecta Nyegaard et al., 2017 |
한국어 이름 | 카쿠레만보우 (숨겨진 만보우) |
영어 이름 | 후드윙커 오션 선피쉬 (Hoodwinker ocean sunfish) |
생물학적 분류 | |
계 | 동물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기어강 |
목 | 복어목 |
과 | 만보우과 |
속 | 만보우속 |
2. 특징
후드윙커개복치는 비교적 최근인 2014년에 발견되어 2017년에 새로 명명된 종이다. 더 널리 알려진 개복치( ''Mola mola'' )와 동족(같은 속, ''Mola'')이다.
개복치속( ''Mola'' )에 속하는 종으로, 현재까지 알려진 개복치속에는 개복치( ''Mola mola'' ), 가짜개복치( ''Mola alexandrini'' ), 그리고 후드윙커개복치( ''Mola tecta'' )의 세 종이 있다.[7] 개복치는 1758년에, 가짜개복치는 1839년에 처음 기술되었다.[7][1]
후드윙커개복치는 주로 남반구의 온대 해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11][12] 주요 발견 지역은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칠레 해역이다.[6][11][12][20] 모식 산지는 뉴질랜드 북섬 서해안이며[20], 칠레 해역에서도 이 종으로 추정되는 개체가 촬영되어 남반구 광역에 분포할 가능성이 있다.[20]
후드윙커개복치의 식단은 주로 살프와 유영성 관해파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이는 후드윙커개복치의 소화 기관에서 이 두 종류의 생물이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소화 기관 내용물을 분석한 결과, Thetys vaginala나 Pyrosomala 속 등의 살파류와 관해파류 등이 검출되었다.[20]
[1]
FishBase
2024-04-01
다른 ''Mola'' 속 물고기처럼 몸은 납작하고 거의 대칭적인 타원형이며, 평평하고 매끄러운 체형을 가지고 있다.[5] 몸에는 둔덕이 없으며, 다른 개복치 종에 비해 더 날씬하고 성체가 되면 더욱 매끄러운 체형을 가진다.[5] 몸길이(전장)는 보통 50~242cm 정도이나[20], 최대 3m까지 자라고 무게는 2ton에 달할 수도 있다.[6] 머리는 약간 융기되어 있으나[20], 다른 개복치와 달리 돌출된 주둥이는 없다.[5]
몸 색깔은 보호색의 일종인 카운터 쉐이딩(Countershading)을 띠어 등 쪽이 배 쪽보다 더 어두운 색을 띤다.[5] 또한 일반적인 개복치에 비해 몸의 하얀 반점들이 얼굴, 후미부, 등쪽, 배지느러미에 골고루 분포해 있다. 비늘은 작은 원뿔형 가시 형태로 진화했다.[5][20]
지느러미에는 가시가 없으며[5],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의 줄기(Fin ray) 수는 각각 15~17개이다.[20] 지느러미 말단부는 둥글고 홈이 하나만 있으며[20], 지느러미 기부 앞쪽에는 매끄러운 띠 무늬가 있다.[20] 다른 개복치 성체와 달리 지느러미 일부가 결여되어 있기도 하다.
꼬리지느러미는 퇴화하여 진짜 꼬리지느러미는 없다.[5] 대신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가 변형된 키판(la)이 꼬리 역할을 하는데, 이 키판을 지지하는 작은 뼈 조각(골판, Ossicle) 수는 5~7개이다.[20] 다른 개복치와 달리 이 키판(꼬리 부분)을 따라 덩어리가 없다.[5]
해부된 모든 후드윙커개복치 개체에서 기생충이 발견되었다.[6]
3. 분류
후드윙커개복치는 비교적 최근인 2014년에 발견되어[8] 2017년에 신종으로 공식 기재되었다. 이 종의 존재 가능성은 2004년, 일본 연구자들이 호주 해역에서 얻은 유전 정보를 분석하면서 처음 제기되었다. 당시 연구자들은 새로운 개복치 종의 존재를 확인했지만, 구체적인 형태나 정보를 확보하지는 못했다.[9]
이후 2005년과 2009년의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을 통해, 기존에 알려진 개복치들과 다른 유전적 계통(group C)이 존재함이 밝혀졌다.[21][20][22] 이 group C 계통은 2005년 분석에서 확인된 남아프리카 공화국산 계통과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20] 마침내 2017년, 뉴질랜드 연구진을 포함한 연구팀이 뉴질랜드 등지에서 확보한 27개의 표본에 대한 형태학적 비교 분석과 미토콘드리아 DNA 분석을 통해 후드윙커개복치를 신종 ''Mola tecta'' 로 공식 발표했다.[20]
종소명 ''tecta''는 라틴어 tēctala에서 유래했으며, "숨겨진" 또는 "비밀에 부쳐진"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이는 피부 샘플의 DNA 분석을 통해 처음 존재가 확인되었고, 외형상 다른 개복치 종들과 구별이 어려워 오랫동안 발견되지 않은 은폐종(cryptic species)이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20][23] 일본어 명칭인 カクレマンボウ|카쿠레만보우일본어 (숨은 개복치) 역시 같은 의미에서 유래했다.[23][24] 영어 일반명인 Hoodwinker영어는 "속이는 자"를 의미하며, 이 역시 오랫동안 분류학자들의 눈에 띄지 않고 숨어 있었던 특성을 반영한다.[20] 후드윙커개복치는 크기가 크고 연구 및 보관이 어려워 발견과 연구가 늦어진 측면도 있다.[10]
4. 분포 및 서식지
이 종은 수심 0m에서 200m 사이의 대륙붕으로 이루어진 연안에서 주로 서식하는 표해수대 어류이다.
주로 남반구에 서식하지만 드물게 북반구에서도 발견된 사례가 있다.[13][14][15] 1889년 네덜란드 아멜란트에서 발견된 개체는 처음에는 개복치(''Mola mola'')로 여겨졌으나 후에 후드윙커개복치로 확인되었다.[16] 또한 2019년에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타바바라 근처 해안에서 길이 2.1m 크기의 개체가 발견되기도 했다.[17][18][19]
다른 개복치 속(''Mola'') 어류와 비교하면, 개복치(''Mola mola'')는 극지방을 제외한 모든 주요 해양에서 발견되어 가장 널리 분포하는 종이다.[1]
5. 생태
참조
[2]
웹사이트
new giant sunfish species discovered
https://www.tepapa.g[...]
2017-07-20
[3]
뉴스
a huge, strange-looking fish washed up on a California beach. Scientist say it is a first
https://www.cnn.com/[...]
2019-03-04
[4]
뉴스
Hoodwinked
https://www.news.ucs[...]
2019-02-27
[5]
웹사이트
Hiding in broad daylight: molecular and morphological data reveal a new ocean sunfish species (Tetraodontiformes: Molidae) that has eluded recognition
https://academic.oup[...]
The Linnean Society of London, Zoolog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6]
뉴스
New and biggest species of sunfish found in New Zealand after 130 years of searching
http://www.newsweek.[...]
2017-07-24
[7]
간행물
Redescription of the bump-head sunfish Mola alexandrini (Ranzani 1839), senior synonym of Mola ramsayi (Giglioli 1883), with designation of a neotype for Mola mola (Linnaeus 1758) (Tetraodontiformes: Molidae)
https://doi.org/10.1[...]
[8]
뉴스
New and biggest species of sunfish found in New Zealand after 130 years of searching
https://www.newsweek[...]
2017-07-24
[9]
웹사이트
new giant sunfish species discovered
https://www.tepapa.g[...]
2017-07-20
[10]
웹사이트
new giant sunfish species discovered
https://www.tepapa.g[...]
2017-07-20
[11]
뉴스
Massive Two-Ton Fish Species Discovered
http://news.national[...]
2017-07-20
[12]
웹사이트
Peces de Chile: El Mola Tecta o Pez Luna Timador
http://www.buceandoc[...]
2017-08-29
[13]
뉴스
How a bizarre, monster fish hoodwinked researchers and reeled in a wave of citizen scientists
https://www.usatoday[...]
2020-02-22
[14]
뉴스
Meet the hoodwinker, the ocean sunfish we misidentified for years
https://www.cbc.ca/n[...]
2021-02-02
[15]
AV media
Marianne Nyegaard {{!}} Hood-winking as an Artform: Mola tecta Surfaces in Californian Current System
https://www.youtube.[...]
Exploring By The Seat Of Your Pants
2021-03-01
[16]
웹사이트
New in the autumn collection of Naturalis: Mola tecta
https://science.natu[...]
Naturalis Biodiversity Center
[17]
뉴스
Hoodwinker sunfish: Rare fish washes up on California beach
https://www.bbc.com/[...]
2019-03-02
[18]
뉴스
Rare sea creature washes ashore in Southern California
https://apnews.com/2[...]
2019-03-01
[19]
뉴스
A huge, strange-looking fish washed up on a California beach. Scientists say it's a first
https://www.cnn.com/[...]
CNN
2019-03-01
[20]
간행물
Hiding in broad daylight: molecular and morphological data reveal a new ocean sunfish species (Tetraodontiformes: Molidae) that has eluded recognition
https://doi.org/10.1[...]
The Linnean Society of London
2017
[21]
간행물
Evolutionary divergence among lineages of ocean sunfish family, Molidae (Tetraodontiformes)
https://doi.org/10.1[...]
2005
[22]
간행물
Phylogenetic relationship of two Mola sunfishes (Tetraodontiformes: Molidae) occurring around the coast of Japan, with notes on their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https://doi.org/10.1[...]
2009
[23]
웹사이트
新種「カクレマンボウ」見つけた 日豪、捜索10年
http://www.asahi.com[...]
2017
[24]
웹사이트
「カクレマンボウ」と命名 南半球海域にマンボウ新種、日豪研究チームが確認
https://www.sankei.c[...]
2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