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후절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절수는 바둑 기술 중 하나로, 상대방이 자신의 돌을 잡도록 유도한 후, 그 자리에 다시 착수하여 상대의 돌을 잡거나 집을 확보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 기술이다. 후절수는 단순한 수읽기 능력을 넘어 전략적 판단과 창의적인 발상을 요구하며, 실전에서 상대방을 제압하는 묘수로 활용된다. 돌의 형태와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집사, 번개 모양 등 특수한 형태에서의 후절수도 존재한다. 한국 바둑에서도 중요한 기술로 인식되며, 프로 기사들이 실전에서 활용하고 있다.

2. 후절수의 기본 개념

후절수는 상대에게 자신의 돌을 의도적으로 잡히게 한 뒤, 그 결과로 생긴 빈자리에 착수하여 이득을 취하는 수법이다.[1]

2. 1. 후절수의 원리

후절수는 상대방이 나의 돌을 잡도록 유도하여, 그 자리에 다시 착수하여 상대 돌을 잡거나, 집을 확보하거나, 상대의 집을 파괴하는 등의 효과를 얻는 바둑 기술이다.

위 그림에서 백이 흑을 잡기 위해서는 a, b 중 한 곳을 두어야 하는데, 언뜻 보면 어느 쪽을 두더라도 자신이 단수가 되어 따먹히면 실패할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백1로 두고 흑2로 두어 백이 따먹힌 이후에,

다시 백3으로 끊으면, 흑이 모두 죽게 된다.[1]

백이 흑의 세력에 고립되어 있는 다른 모양이다.

백 1로 궁도를 넓히면, 흑 2로 치중하여 언뜻 보기엔 살지 못할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백 3으로 눈 하나를 내면, 흑 4로 끊을 때 백 5로 잡는다.

흑 6으로 다시 먹여치기를 시도할 때 백 7로 이으면 흑 8로 두어 백 4점이 모두 잡힌다.

그러나 백 9로 흑 2점을 끊어 완전히 잡히게 만드니 흑은 이 단수를 피할 길이 없어 백이 두 집을 내고 완생하게 된다.[1]

3. 후절수의 다양한 형태

후절수는 돌의 형태와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난다.

위 그림에서 백이 흑을 잡기 위해서는 a, b 중 한 곳을 두어야 하는데, 언뜻 보면 어느 쪽을 두더라도 자신이 단수가 되어 따먹히면 실패할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백 1로 두고 흑 2로 두어 백이 따먹힌 이후에,

다시 백 3으로 끊으면 흑이 모두 죽게 된다.

백이 흑의 세력에 고립되어 있을 때, 백 1로 궁도를 넓히면 흑 2로 치중하여 언뜻 보기엔 살지 못할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백 3으로 눈 하나를 내면, 흑 4로 끊을 때 백 5로 잡는다.

흑 6으로 다시 먹여치기를 시도할 때 백 7로 이으면 흑 8로 두어 백 4점이 모두 잡힌다.

그러나 백 9로 흑 2점을 끊어 완전히 잡히게 만드니 흑은 이 단수를 피할 길이 없어 백이 두 집을 내고 완생하게 된다.

3. 1. 집사(단고) 형태에서의 후절수

집사(단고) 형태에서의 후절수는 네 개의 돌이 사각형 모양으로 뭉쳐 있는 형태에서, 상대에게 돌을 잡히게 한 후 빈 자리에 두어 두 집을 내고 사는 방법이다.

위 그림(예시 1)에서 백이 흑을 잡기 위해 a나 b 중 한 곳에 두면, 백 자신이 단수가 되어 따먹히게 되므로 실패할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백 1로 두고 흑 2로 백이 따먹힌 후, 백 3으로 다시 끊으면 흑이 모두 죽게 된다.

다른 예시(예시 2)를 보면, 백이 흑의 세력에 고립되어 있다. 백 1로 궁도를 넓히면 흑 2로 치중하여 백이 살 수 없을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백 3으로 눈 하나를 내고, 흑 4로 끊을 때 백 5로 잡는다. 흑 6으로 다시 먹여치기를 시도해도 백 7로 이으면 흑 8로 두어 백 4점이 모두 잡히게 된다. 하지만 백 9로 흑 2점을 끊어 완전히 잡히게 만들면, 흑은 이 단수를 피할 수 없어 백이 두 집을 내고 살 수 있게 된다.

예시 3은 흑 차례로 사는 문제이다. 흑 1로 백 2점을 잡지만, 이 흑 1은 나중에 잡히게 되는 돌 버림이다. 백 2가 흑 a에 두면 백 b로 결눈을 만들려는 백의 저항이다. 사각형 모양의 흑 4점이 장수에 걸렸지만, 흑 3으로 둔다. 백 4로 흑 4점이 잡히지만, 돌을 잡히게 해서 생긴 빈 자리에 흑 5로 끊음을 두면 백 2점을 잡을 수 있다. 백 2점을 잡고 생기는 한 집과 귀의 한 집으로 두 집을 내어 살 수 있다.

이상의 흑 1, 흑 3, 흑 5의 일련의 수순을 돌 밑 수읽기라고 한다. 특히 흑 5는 "잡힌 뒤의 끊음"이므로 뒤끊음이라고 부른다. 잡히게 된 사각형 모양의 흑 4점의 형태를 집사 또는 단고라고 부른다.

3. 2. 번개 모양 형태에서의 후절수

후절수는 네 개의 돌이 번개 모양으로 연결된 형태에서, 상대에게 돌을 잡히게 한 후 젖혀 끊어 상대 돌을 잡는 방법이다.

위 그림에서 백이 흑을 잡기 위해서는 a 또는 b 중 한 곳을 두어야 한다. 언뜻 보면 어느 쪽을 두더라도 백 자신이 단수가 되어 따먹히면 실패할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백 1로 두고 흑 2로 두어 백이 따먹힌 이후에, 다시 백 3으로 끊으면 흑이 모두 죽게 된다.

稲妻型の石の下일본어가 실전에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지만, 그중에서도 번개 모양의 稲妻型の石の下일본어가 생기는 경우가 많다.[1]

아래는 실전에서 나타난 번개 모양 후절수의 예시이다.

위 그림의 왼쪽 위는 아카보시 인테츠의 『현람』에 제시된 실전 형태의 흑 차례로 이득을 보는 문제이다. 오른쪽 아래 흑 1부터 흑 9까지로 번개 모양을 만들어 버린다.[2]

3. 3. 기타 형태에서의 후절수

위 두 가지 형태 외에도 다양한 형태에서 후절수가 나타날 수 있다.

위 그림에서 백이 흑을 잡기 위해서는 a, b 중 한 곳을 두어야 하는데, 언뜻 보면 어느 쪽을 두더라도 자신이 단수가 되어 따먹히면 실패할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백 1로 두고 흑 2로 두어 백이 따먹힌 이후에, 다시 백 3으로 끊으면 흑이 모두 죽게 된다.

위 그림은 후절수의 다른 모양이다. 백이 흑의 세력에 고립되어 있다. 백 1로 궁도를 넓히면, 흑 2로 치중하여 언뜻 보기엔 살지 못할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백 3으로 눈 하나를 내면, 흑 4로 끊을 때 백 5로 잡는다. 흑 6으로 다시 먹여치기를 시도할 때 백 7로 이으면 흑 8로 두어 백 4점이 모두 잡힌다. 그러나 이와 같이 백 9로 흑 2점을 끊어 완전히 잡히게 만드니 흑은 이 단수를 피할 길이 없어 백이 두 집을 내고 완생하게 된다.

4. 후절수를 활용한 사활 문제

후절수는 사활 문제에서 자주 등장하는 중요한 기술이다.

백이 흑을 잡기 위해서는 A, B 중 한 곳을 두어야 하는데, 어느 쪽을 두더라도 자신이 단수가 되어 따먹히면 실패할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백 1로 두고 흑 2로 두어 백이 따먹힌 이후에, 다시 백 3으로 끊으면 흑이 모두 죽게 된다.

다른 예로, 백이 흑의 세력에 고립되어 있는 상황을 보자. 백 1로 궁도를 넓히면, 흑 2로 치중하여 언뜻 보기엔 백이 살지 못할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백 3으로 눈 하나를 내면, 흑 4로 끊을 때 백 5로 잡는다. 흑 6으로 다시 먹여치기를 시도할 때 백 7로 이으면 흑 8로 두어 백 4점이 모두 잡히지만, 백 9로 흑 2점을 끊으면 흑은 단수를 피할 길이 없어 백이 두 집을 내고 살 수 있다.

4. 1. 사활 문제 풀이에서의 후절수

후절수는 바둑에서 상대방의 돌을 잡은 후에 다시 끊어 상대방을 제압하는 수법이다. 죽은 돌을 살리거나, 살아 있는 돌을 잡는 등 다양한 문제 풀이에 활용된다.
흑을 잡는 문제백이 흑을 잡기 위해서는 a나 b 중 한 곳을 두어야 하는데, 언뜻 보면 어느 쪽을 두더라도 자신이 단수가 되어 따먹히면 실패할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백 1로 두고 흑 2로 두어 백이 따먹힌 이후에, 다시 백 3으로 끊으면 흑이 모두 죽게 된다.
흑 세력에 고립된 백을 살리는 문제백 1로 궁도를 넓히면, 흑 2로 치중하여 언뜻 보기엔 살지 못할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백 3으로 눈 하나를 내면, 흑 4로 끊을 때 백 5로 잡는다. 흑 6으로 다시 먹여치기를 시도할 때 백 7로 이으면 흑 8로 두어 백 4점이 모두 잡힌다. 그러나 백 9로 흑 2점을 끊어 완전히 잡히게 만드니 흑은 이 단수를 피할 길이 없어 백이 두 집을 내고 완생하게 된다.
흑 차례로 백돌에 둘러싸인 흑을 살리는 문제흑 1로 백 2점을 잡지만, 이 흑 1은 나중에 잡히게 되는 돌 버림이다. 백 2가 흑 a라면 백 b로 결눈으로 만들려는 백의 저항이다. 사각형 모양의 흑 4점이 장수에 걸렸지만, 신경 쓰지 않고 흑 3으로 둔다. 백 4로 흑 4점이 잡히지만, 돌을 잡히게 해서 생긴 빈 자리에 흑 5의 끊음을 두면 백 2점을 잡을 수 있다. 백 2점을 잡고 생기는 한 집과 귀의 한 집으로 두 집을 내어 살 수 있다.

이상의 흑 1, 흑 3, 흑 5의 일련의 수순을 돌 밑 수읽기라고 한다. 특히 흑 5는 "잡힌 뒤의 끊음"이므로 뒤끊음이라고 부른다. 잡히게 된 사각형 모양의 흑 4점의 형태를 집사 또는 단고라고 부른다.
돌 밑에서 사는 경우뿐만 아니라, 아토기리로 눈을 빼앗아 죽이는 방법백의 5점은 끊어치기로 잡힌 형태이지만, 백 1로 굳이 6점으로 만들어 잡게 하는 것이 좋은 수이다. 흑은 ▲의 점에 끊을 수밖에 없지만, 백 3으로 끊으면 이 부분에는 일안도 생기지 않아 흑이 죽는다.

4. 2. 실전에서의 후절수 활용

위 그림은 흑 차례로 사는 방법을 묻는 문제이다. 흑 1로 백 2점을 잡지만, 이 흑 1은 나중에 잡히게 되는 돌 버림이다. 백 2가 흑 a라면 백 b로 결눈으로 만들려는 백의 저항이다. 사각형 모양의 흑 4점이 장수에 걸렸지만, 신경 쓰지 않고 흑 3으로 둔다. 백 4로 흑 4점이 잡히지만, 돌을 잡히게 해서 생긴 빈 자리에 흑 5의 끊음을 두면 백 2점을 잡을 수 있다. 백 2점을 잡고 생기는 한 집과 귀의 한 집으로 두 집을 내어 살 수 있다.[1]

이상의 흑 1, 흑 3, 흑 5의 일련의 수순을 '''돌 밑''' 수읽기라고 한다. 특히 흑 5는 "잡힌 뒤의 끊음"이므로 '''뒤끊음'''이라고 부른다. 잡히게 된 사각형 모양의 흑 4점의 형태를 '''집사''' 또는 '''단고'''라고 부른다.[1]

다음 그림은 흑이 사는 수를 묻는 문제이다. 흑 1부터 흑 3까지로 버림돌을 4자로 늘린다. 이 4자의 형태를 '''번개 모양'''이라고 부른다. 백 4부터 백 8까지로 '''번개 모양'''의 4점을 잡히지만, 흑 9의 '''젖혀 끊기'''로 백 6점을 잡아서 살게 된다.[1]

돌의 '아래'가 실전에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지만, 그 중에서도 번개 모양의 돌의 '아래'가 생기는 경우가 많다.

다음 그림의 왼쪽 위는 아카보시 인테츠의 『현람』에 제시된 실전 형태의 흑 차례로 이득을 보는 문제이다. 오른쪽 아래 흑 1부터 흑 9까지로 번개 모양을 만들어 버린다.[2]

5. 대중수(大中手)

나카데(中手)는 3자에서 6자를 잡는 수이지만, 7자 이상을 잡더라도 뺀 자국을 둘러싼 돌에 흠이 있으면 '''돌 밑'''의 수로 잡을 수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대중수(大中手)'''라고 부른다.[3] 대중수는 7개 이상의 돌을 잡고도 그 자리에 흠이 있어 다시 잡히는 경우를 의미하며, 후절수의 특수한 형태로, 돌의 개수가 많아도 후절수로 잡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아카보시 인테츠의 현람에 수록된 대중수 문제도


위 그림은 아카보시 인테츠(赤星因徹)의 『현람(玄覽)』에 나오는 "수극굴산실국지형(垂棘屈産失國之形)" 부분도로, 백이 어떻게 잡을지를 묻는 문제이다.[3]

흑 4 : 트리

백 1에서 흑 4까지 백 16자를 잡히지만, 백 5의 '''아토기리'''로 흑은 살 수 있는 수가 없다. 이후 흑 a라면 백 b.

6. 후절수와 유사한 기술

젖혀치기, 중단, 끊어치기 등은 상대에게 돌을 잡게 하고 비어있는 곳에 착수하는 수법이지만, 실전에 자주 나타나는 기본적인 것이므로 후절수라고 부르지는 않는다.[1]

참조

[1] 서적 算月
[2] 서적 囲碁の研究
[3] 서적 算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