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후카가와메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카가와메시는 도쿄 후카가와 지역에서 유래한 조개 요리이다. 메이지 시대 문헌에 따르면, 처음에는 개량조개를 사용했으며, 인력거꾼과 같은 하층민의 음식으로 여겨졌다. 어부들의 붓카케메시가 기원으로, 현재는 바지락을 사용하며, 밥 위에 끼얹거나 밥과 함께 짓는 방식으로 조리된다. 도쿄 지역을 중심으로 역 도시락으로도 판매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카가와 (도쿄도) - 후카가와돈
    후카가와돈은 관련 내용과 같이 보기를 통해 정보를 얻을 수 있다.
  • 도쿄 요리 - 규동
    규동은 얇게 썬 소고기와 양파를 간장 등으로 조려 밥에 얹어 먹는 일본의 대중적인 덮밥 요리로, 규나베에서 유래되었으며 저렴하고 간편하게 즐길 수 있어 서민 음식으로 자리 잡아 체인점 확산으로 해외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 도쿄 요리 - 아부라소바
    아부라소바는 1950년대 도쿄 무사시노 지역에서 시작된 국물 없는 일본식 비빔면으로, 저렴한 가격과 푸짐한 양, 짭짤하고 고소한 맛으로 대중적인 인기를 얻어 다양한 조미료와 토핑으로 즐길 수 있다.
  • 일본의 쌀 요리 - 팥죽
    팥죽은 팥을 주재료로 하여 붉은색이 악귀를 물리친다는 믿음과 풍년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아 동지에 먹는 한국의 전통 음식이다.
  • 일본의 쌀 요리 - 타코라이스
    타코라이스는 1984년 오키나와현 킨초의 음식점에서 개발되어 타코스의 재료를 밥 위에 얹어 먹는 오키나와 대표 음식으로, 다진 소고기, 양상추, 치즈, 토마토 등을 토핑하고 살사 소스나 케첩을 뿌려 먹으며 다양한 바리에이션이 존재한다.
후카가와메시
지도 정보
음식 정보
종류덮밥
주재료바지락
지역도쿄도 고토구 후카가와
역사
기원에도 시대
특징어부들이 배 위에서 간단히 먹던 음식
조리법
기본 조리법삶은 바지락을 간장, 미림 등으로 맛을 낸 국물에 밥과 함께 끓여서 덮밥으로 만든다.
추가 재료
두부
미역
쑥갓
변형바지락 대신 아사리를 사용
밥을 지을 때부터 바지락을 넣고 함께 짓기
기타 정보
관련 음식후카가와동
같이 보기가마메시

2. 역사

메이지 시대의 작가 마쓰바라 이와고로가 빈민가에 잠입해 작성한 르포 일지인 《최암흑의 도쿄》(最暗黒の東京)는 인력거꾼의 음식 중 하나로 후카가와메시를 소개한다. "후카가와메시는 개량조갯살에 파를 썰어 넣어 익혀 끓이고, 손님이 오면 흰쌀밥을 사발에 담아 그 위에 뿌려서 내는 즉석 요리다. 한 공기에 1전 5리로 일반인은 비린내가 나서 참고 먹을 것이 못 된다 할지라도 그 사회에서는 제일 간단한 음식점이래도 크게 번창하였다".[8]라는 기록을 통해 당시 후카가와메시는 중산층이 아닌 하층민의 식사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9]

후카가와 어부들이 일하는 틈틈이 먹던 "붓카케메시"가 현재 후카가와메시의 기원으로 여겨지며, 처음에는 바카가이(아오야기)를 사용했다.[3] 이후 메이지 시대·다이쇼 시대에 이르러 조개(아사리)를 사용하게 되었다.[4]

2. 1. 기원

옛날 일본에서는 바지락이 아닌 도쿄 후카가와에서 많이 잡히던 개량조개(''Mactra chinensis'')를 사용하였다. 지금처럼 바지락을 쓰게 된 것은 메이지 시대, 다이쇼 시대에 이르러서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7]

메이지 시대 작가인 마츠바라 이와고로가 빈민가에 잠입해 작성한 르포 일지인 《최암흑의 도쿄》(最暗黒の東京)에서는 인력거꾼의 음식 중 하나로 후카가와메시를 소개하면서, "후카가와메시는 개량조갯살에 파를 썰어 넣어 익혀 끓이고, 손님이 오면 흰쌀밥을 사발에 담아 그 위에 뿌려서 내는 즉석 요리다. 한 공기에 1전 5리로 일반인은 비린내가 나서 참고 먹을 것이 못 된다 할지라도 그 사회에서는 제일 간단한 음식점이래도 크게 번창하였다"라고 적고 있다.[8] 이를 참고하면 그 당시 후카가와메시는 중산층의 식탁에 올릴 만한 것은 아니었고, 하층민의 식사였음을 엿볼 수 있다.[9]

후카가와의 어부들이 일하는 틈틈이 먹던 식사인 "붓카케메시"가 현재 후카가와메시의 기원으로 여겨지며, 옛날에는 바카가이(아오야기)를 사용했다.[3] 조개(아사리)를 사용하게 된 것은 메이지·다이쇼 시대 즈음이다.[4]

2. 2. 메이지 시대의 기록

메이지 시대 작가인 마쓰바라 이와고로가 빈민가에 잠입해 작성한 르포 일지인 《최암흑의 도쿄》(最暗黒の東京)에서는 인력거꾼의 음식 중 하나로 후카가와메시를 소개하고 있다. "후카가와메시 - 이것은 개량조갯살에 파를 썰어 넣어 익혀 끓이고, 손님이 오면 흰쌀밥을 사발에 담아 그 위에 뿌려서 내는 즉석 요리다. 한 공기에 1전 5리로 일반인은 비린내가 나서 참고 먹을 것이 못 된다 할지라도 그 사회에서는 제일 간단한 음식점이래도 크게 번창하였다".[8]라는 기록을 통해서 당시에는 중산층이 아닌 하층민의 식사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9]

후카가와의 어부들이 일하는 틈틈이 먹던 식사인 "붓카케메시"가 현재 후카가와메시의 기원으로 여겨지며, 처음에는 바카가이(아오야기)를 사용했다.[3] 이후 메이지·다이쇼 시대에 이르러 조개(아사리)를 사용하게 되었다.[4]

2. 3. 현대의 변화

후카가와 어부들이 일하는 틈틈이 먹던 식사인 "붓카케메시"가 현재 후카가와메시의 기원으로 여겨지며, 옛날에는 바카가이(아오야기)를 사용했다.[3] 조개(아사리)를 사용하게 된 것은 메이지 시대·다이쇼 시대 즈음이다.[4]

메이지 시대의 빈민가르포르타주인 『최암흑의 도쿄』(마쓰바라 이와고로, 메이지 26년)에서는 "인력거꾼의 음식" 항목에 다음과 같이 소개되어 있다. ''"후카가와 밥 - 이것은 바카의 속살에 파를 썰어 넣고 잘 익혀, 손님이 오면 흰밥을 덮밥 그릇에 담아 그 위에 뿌려 내는 즉석 요리다. 한 그릇에 똑같이 1전 5리로 보통 사람에게는 비린내가 나서 먹을 수 없는 듯하지만, 그 사회에서는 겨울날 특히 간단한 음식점으로 크게 번창했다"''[5] 이 내용은 당시 후카가와메시가 중류 계급의 식탁에 오르는 음식이 아니었고, 하층 계급의 식사였음을 보여준다.[6]

3. 조리 방식

후카가와메시는 밥 위에 재료를 끼얹는 방식과 밥에 재료를 넣고 짓는 방식, 크게 두 가지로 조리된다. 두 방식 모두 조개 산지에서 흔히 쓰이지만, 도쿄 후카가와 지역이 대표적이라 '후카가와메시'라고 불린다.[1][2]

3. 1. 밥 위에 끼얹는 방식

조개 산지에서는 흔한 조리법이지만, 도쿄의 후카가와가 대표적이기 때문에 이렇게 불린다. 2000년 전후부터 늘어난 후카가와메시 가게는 대부분 밥에 재료를 넣고 짓는 방식이다.

JR 도카이 패신저스가 역 도시락으로 판매하는 것도 밥에 재료를 넣고 짓는 방식이다.[1] 도카이도 신칸센도쿄역, 시나가와역, 신요코하마역 구내 매점에서 구입할 수 있다. JR 동일본 관리의 역 매점에서 판매하는 일본바시 다이조의 역 도시락도 밥에 재료를 넣고 짓는 방식이었지만, 2013년에 "끼얹는" 타입으로 리뉴얼되었다.[2] 참고로, 전자가 판매하는 역 도시락에는 붕장어 구운 것이, 후자의 역 도시락에는 조린 붕장어가 들어 있지만, 조개와는 달리, 이것들은 모두 후카가와메시의 구성 요소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3. 2. 밥에 재료를 넣고 짓는 방식

조개 산지에서는 흔한 조리법이지만, 도쿄의 후카가와가 대표적이기 때문에 이렇게 불린다. 2000년 전후부터 늘어난 후카가와메시 가게는 대부분 밥에 재료를 넣고 짓는 방식이다.

JR 도카이 패신저스가 역 도시락으로 판매하는 것도 밥에 재료를 넣고 짓는 방식이다.[1] 도카이도 신칸센도쿄역, 시나가와역, 신요코하마역 구내 매점에서 구입할 수 있다. JR 동일본 관리의 역 매점에서 판매하는 일본바시 다이조의 역 도시락도 밥에 재료를 넣고 짓는 방식이었지만, 2013년에 "끼얹는" 타입으로 리뉴얼되었다.[2] 전자가 판매하는 역 도시락에는 붕장어 구운 것이, 후자의 역 도시락에는 조린 붕장어가 들어 있지만, 조개와는 달리 이것들은 모두 후카가와메시의 구성 요소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4. 지역별 특징

조개 산지에서는 흔한 조리법이지만, 도쿄의 후카가와가 대표적이기 때문에 이 이름이 붙었다. 2000년 전후부터 늘어난 후카가와메시 가게는 대부분 밥에 재료를 넣고 짓는 방식이다.

4. 1. 도쿄 후카가와

옛날 일본에서는 바지락이 아닌 도쿄 후카가와에서 많이 잡히던 개량조개(Mactra chinensis)를 사용하였다. 지금처럼 바지락을 쓰게 된 것은 메이지 시대, 다이쇼 시대에 이르러서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7]

메이지 시대 작가인 마쓰바라 이와고로가 빈민가에 잠입해 작성한 르포 일지인 《최암흑의 도쿄》(最暗黒の東京)에서는 '인력거꾼의 음식' 중 하나로 후카가와메시를 소개하고 있다. "후카가와메시 - 이것은 개량조갯살에 파를 썰어 넣어 익혀 끓이고, 손님이 오면 흰쌀밥을 사발에 담아 그 위에 뿌려서 내는 즉석 요리다. 한 공기에 1전 5리로 일반인은 비린내가 나서 참고 먹을 것이 못 된다 할지라도 그 사회에서는 제일 간단한 음식점이래도 크게 번창하였다".[8] 이를 참고하면 그 당시 후카가와메시는 중산층의 식탁에 올릴 만한 것은 아니었고, 하층민의 식사였음을 엿볼 수 있다.[9]

조개 산지에서는 흔한 조리법이지만, 도쿄의 후카가와가 대표적이기 때문에 이렇게 불린다.

4. 2. 역 도시락

JR 도카이 패신저스에서 역 도시락으로 판매하는 것도 밥에 재료를 넣고 짓는 방식이다.[1] 도카이도 신칸센도쿄역, 시나가와역, 신요코하마역 구내 매점에서 구입할 수 있다. JR 동일본이 관리하는 역 매점에서 판매하는 일본바시 다이조의 역 도시락도 밥에 재료를 넣고 짓는 방식이었지만, 2013년에 "끼얹는" 타입으로 리뉴얼되었다.[2] 참고로, 전자가 판매하는 역 도시락에는 붕장어 구운 것이, 후자의 역 도시락에는 조린 붕장어가 들어 있지만, 조개와는 달리 이것들은 모두 후카가와메시의 필수 구성 요소는 아니다.

참조

[1] 웹사이트 '駅弁・商品詳細 {{!}} ジェイアール東海パッセンジャーズ JRCP' https://www.jr-cp.co[...] 2020-03-19
[2] 웹사이트 深川めし:株式会社日本ばし大増 http://www.ekiben.or[...] 2020-03-19
[3] 웹사이트 伝統の郷土料理「深川めし」の歴史をご紹介 http://www.fukagawam[...] 2020-03-19
[4] 간행물 日本大百科全書 小学館
[5] 웹사이트 近代デジタルライブラリー「最暗黒の東京」 https://dl.ndl.go.jp[...] 2014-10-07
[6] 서적 東京の下層社会 ちくま学芸文庫
[7] 간행물 日本大百科全書 小学館
[8] 웹인용 近代デジタルライブラリー「最暗黒の東京」 http://dl.ndl.go.jp/[...] 2014-10-07
[9] 서적 東京の下層社会 ちくま学芸文庫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