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인력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력거는 사람이 직접 끌거나 자전거, 오토바이 등의 동력을 이용하여 운행되는 2륜 또는 3륜의 운송 수단이다. 19세기 후반에 발명되어 아시아 여러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20세기에는 자동차 등의 등장으로 쇠퇴했다. 현재는 관광용으로 일부 지역에서 운행되고 있으며, 전기 인력거, 사이클 릭샤, 오토릭샤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인력거는 근대 도시 문화의 상징으로, 하층민의 삶과 노동을 보여주는 중요한 소재로 문학, 영화 등 다양한 문화 예술 작품에서 다루어지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릭샤 - 오토릭샤
    오토릭샤는 동남아시아 및 인도 문화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삼륜 택시로, '인력거'에서 유래한 '릭샤'에 '자동'을 뜻하는 '오토'가 합쳐진 이름이며, 경제적인 교통수단으로 시작해 전 세계로 퍼져나가 단거리 이동에 사용되고, 최근에는 친환경 연료 모델로 환경 문제 해결에도 기여한다.
  • 릭샤 - 사이클릭샤
    사이클 릭샤는 인도 문화권에서 주로 사용되는 자전거 개조 인력 수송 수단으로, 운전자가 페달을 밟아 움직이며 지역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아시아, 유럽, 북미 등지에서 활용된다.
  • 손수레 - 들것
    들것은 환자나 부상자를 운반하는 기구로,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과거에는 임시로 활용되기도 했으나 현대에는 앰뷸런스와 함께 재난 상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손수레 - 쇼핑카트
    쇼핑 카트는 슈퍼마켓에서 물건을 담아 운반하는 바퀴 달린 카트로, 디자인 혁신과 안전 기능 추가를 거쳐 발전해왔으며, 현대에는 쇼핑 편의를 넘어 다양한 의미를 지니고 운영 및 관리상의 문제점과 개선 노력이 논의되고 있다.
인력거
인력거
일본 도쿄의 인력거
일본 도쿄의 인력거
칸지力車
히라가나りきしゃ
로마자 표기rikisha
한자人力車
병음rénlìchē
웨이드-자일스jên²-li⁴-chʻê¹
한국어인력거 (人力車)
일본어人力車 (じんりきしゃ, jinrikisha)
역사
발명1869년
발명가이즈미 요사부로, 도쿠지로, 스즈키 고사쿠
유래일본
용도
종류피견인력거
자전거인력거
사용 국가아시아 국가 등
기타
관련 용어마이코
관련 기사National Geographic - Last Days of the Rickshaw

2. 역사

인력거는 1860년대 초 일본에서 발명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1][2] 19세기 아시아 전역에서 저렴하고 인기 있는 교통 수단이었다.[1]

아시아 대도시로 이주한 농민들은 종종 인력거꾼으로 일했다.[46][3] 이는 "동양에서 가장 치명적인 직업이자 인간이 종사하기에 가장 비참한 일"로 여겨졌다.[3] 중국에서는 쿨리들이 인력거를 끌었다.[3]

1930년대 일본에서는 자동차와 기차 같은 자동화된 교통 수단의 등장으로 인력거의 인기가 감소했다. 중국에서는 1920년대부터 인력거의 인기가 줄어들기 시작했다.[46][45] 반면, 싱가포르에서는 20세기까지 인력거의 인기가 계속 증가하여, 1920년에는 약 5만 대, 1930년에는 그 두 배에 달하는 인력거가 운행되었다.[43]

2. 1. 발명과 초기 확산 (19세기 후반)

인력거는 1860년대 초 일본에서 발명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19세기에는 아시아 전역에서 저렴하고 인기 있는 교통 수단이 되었다.[1]

인력거 발명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일본의 역사가 시덴스티커(Seidensticker)는 인력거의 기원이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일본, 특히 도쿄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고 하였다.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설은 이즈미 요스케, 타카야마 코스케, 스즈키 토쿠지로 세 명의 발명가 이름을 제시하며, 1869년을 발명 연도로 제시한다.[43]

1870년부터 도쿄 정부는 이들에게 인력거 제작 및 판매 허가를 내주었다.[44] 1872년까지 인력거는 일본의 주요 교통 수단이 되었으며, 약 4만 대가 운행되었다.[45]

초기 인력거는 쇠로 덮인 나무 바퀴로 움직였으며, 승객은 딱딱하고 평평한 좌석에 앉았다.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고무 또는 공압식 고무 타이어, 스프링 쿠션, 그리고 등받이가 승객의 편안함을 향상시켰다. 조명과 같은 다른 기능들도 추가되었다.[4]

인력거는 좁고 구불구불한 도시 거리를 쉽게 다닐 수 있어 편리한 이동 수단이었다. 우기에는 승객이 수레 밖으로 나와 침수된 거리를 지나 목적지의 문 앞까지 이동할 수도 있었다. 정해진 시간표에 따라 운행하는 버스나 전차와는 달리, 인력거는 문에서 문까지 이동하는 서비스를 제공했다.[4]

2. 2. 전성기와 쇠퇴 (20세기)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고무 또는 공압식 고무 타이어, 스프링 쿠션, 등받이가 승객의 편안함을 향상시켰다. 조명과 같은 다른 기능들도 추가되었다.[4] 우기에는 승객이 수레 밖으로 나와 침수된 거리를 지나 목적지의 문 앞까지 이동할 수도 있었다. 정해진 시간표에 따라 운행하는 버스나 전차와는 달리, 인력거는 문에서 문까지 이동하는 서비스를 제공했다.[4]

일본에서는 자동차와 기차와 같은 자동화된 교통 수단의 등장으로 1930년대에 인력거의 인기가 감소했다. 중국에서는 1920년대에 인력거의 인기가 감소하기 시작했다.[46][45] 싱가포르에서는 20세기까지 인력거의 인기가 증가했다. 1920년에는 약 50,000대의 인력거가 있었고, 1930년에는 그 수가 두 배로 증가했다.[43]

상하이에서는 공공 인력거를 부유한 시민들의 개인 차량과 구별하기 위해 노란색으로 칠했다. 부유한 시민들의 개인 차량은 다음과 같이 묘사되었다.

> ... 항상 반짝거렸고, 꼼꼼하게 관리되었으며, '깨끗한 흰색 체크 무늬 시트, 무릎을 덮는 깨끗한 체크 무늬 천, 승객(혹은 때로는 세 명까지 함께 타는 승객들)을 비로부터 보호하는 넓은 방수포'를 갖추고 있었다.[5]

2. 3. 현대의 인력거 (21세기)

1930년대 일본에서는 자동차와 기차 같은 자동화된 교통 수단의 등장으로 인력거의 인기가 감소했다.[1] 중국에서는 1920년대에 인력거의 인기가 감소하기 시작했다.[46][45] 싱가포르에서는 20세기까지 인력거의 인기가 오히려 증가했는데, 1920년에는 약 5만 대의 인력거가 있었고, 1930년대에는 그 수가 두 배로 늘었다.[43]

3. 지역별 현황

인력거는 19세기 아시아 전역에서 저렴하고 인기 있는 교통 수단이었다.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고무 또는 공압식 고무 타이어, 스프링 쿠션, 등받이 등이 승객의 편안함을 향상시켰고, 조명과 같은 기능도 추가되었다.[4]

상하이에서는 공공 인력거를 부유한 시민들의 개인 차량과 구별하기 위해 노란색으로 칠했다. 인력거는 좁고 구불구불한 도시 거리를 쉽게 다닐 수 있어 편리했으며, 우기에는 승객이 수레 밖으로 나와 침수된 거리를 지나 목적지의 문 앞까지 이동할 수 있었다. 정해진 시간표에 따라 운행하는 버스나 전차와 달리, 인력거는 문에서 문으로 이동하는 서비스를 제공했다.[4]

아프리카와 북아메리카 일부 지역에서도 인력거가 도입되어 활용되었다.

3. 1. 아시아

인력거는 아시아 전역에서 저렴하고 인기 있는 교통 수단이었다.[1] 아시아 대도시로 이주한 농민들은 종종 인력거꾼으로 먼저 일했는데,[46][3] 이는 "동양에서 가장 치명적인 직업이자 인간이 종사하기에 가장 비참한 일"이었다.[3]

공자(수레에 실려 이동하는 모습)와 아이들, 17세기 중국 화가의 상상화; 아마도 당시 사용되던 차량과 유사한 디자인일 것이다. (1680년에 인쇄된 어린이 책, ''소이륜''의 삽화)


중국에서는 고대 시대부터 19세기까지 부유하고 중요한 사람들은 육로 여행 시 바퀴 달린 차량 대신 인부들이 메는 가마를 흔히 이용했다.[14][15] 17세기에는 가마 디자인이 서유럽으로 도입되기도 했다.[16]

일본에서는 자동차와 기차 같은 자동화된 교통 수단의 등장으로 1930년대에 인력거의 인기가 감소했다. 중국에서는 1920년대부터 인력거의 인기가 감소하기 시작했다.[46][45] 반면 싱가포르에서는 20세기까지 인력거의 인기가 증가하여 1920년에는 약 5만 대, 1930년에는 그 두 배에 달하는 인력거가 있었다.[43]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에서는 인력거가 각각 "델만"(말이 끄는 마차)과 "베착"(자전거 인력거/페디캡), 사이클 릭샤로 대체되었다. 파키스탄에서는 1960년 4월부터 인력거와 자전거 인력거가 금지되었다.[53] 필리핀에서는 미국인들이 20세기 초 마닐라에 인력거 도입을 시도했으나, 현지인들이 반대하여 받아들여지지 않았다.[54]

3. 1. 1. 일본

인력거는 1860년대 초 일본에서 발명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19세기에는 아시아 전역에서 저렴하고 인기 있는 교통 수단이 되었다.[1]

인력거의 발명에 대한 몇 가지 설이 있는데, 일본의 역사가 시덴스티커(Seidensticker)는 이 설들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 인력거의 기원은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일본, 특히 도쿄에서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설은 세 명의 발명가의 이름을 제시하며, 1869년을 발명 연도로 제시한다.[43]

1870년부터 도쿄 정부는 이즈미 요스케, 타카야마 코스케, 스즈키 토쿠지로에게 인력거를 제작하고 판매할 수 있는 허가를 내주었다.[44] 1872년까지 인력거는 일본의 주요 교통 수단이 되었으며, 약 4만 대의 인력거가 운행되었다.[45]

1930년대에 자동차와 기차와 같은 자동화된 교통 수단이 등장하면서 일본에서 인력거의 인기는 감소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휘발유와 자동차가 부족해지면서 인력거는 일시적으로 부활했다. 인력거의 전통은 교토와 도쿄의 게이샤 지역[46][45]에서 관광객을 위해, 그리고 다른 관광지에서 살아남았다. 이 전통은 한때 완전히 사라졌지만, 1970년대에서 1980년대에 몇몇 사람들이 관광객을 위해 인력거(사람이 끄는 인력거)를 부활시켰고,[47][48] 2000년대에 인력거는 관광 자원으로서 인기를 얻었다.[49][50][51] 현대의 인력거꾼들은 일종의 관광 가이드로, 고객을 관광 명소로 데려가 그곳에 대해 설명한다.[52] 그들 중 많은 사람들이 달리기나 문화 교류를 좋아하는 아르바이트 학생과 운동선수들이다.

3. 1. 2. 중국

1873년 봄, 프랑스 상인 메나르(Menard)는 일본에서 인력거를 도입했다. 원래 이름은 일본어로 "사람의 힘으로 가는 차량"을 의미하는 '진리키샤(人力車)'였다. 초창기 인력거는 대부분 외국인 투자자 소유였지만, 1900년대 즈음에는 대부분 중국 회사 소유가 되었다. 인력거의 공식 명칭은 중국어로 "인력차(人力車)"를 의미하는 '렌리처(renliche)'였지만, 더 일반적으로는 "동양차(東洋車)" 즉 "동양에서 온 차량" 또는 상하이에서는 "황바오처(黃包車)" 즉 "노란 대여 마차"라고 불렸다.[18][19][20]

인력거 교통은 20세기 중국의 도시 발전에 중요한 요소였으며, 교통 수단이자 고용의 원천이며 노동자들의 이주를 용이하게 했다. 작가 데이비드 스트랜드(David Strand)에 따르면 "백만 명이 조금 넘는 도시에서 6만 명의 남자가 하루에 50만 명의 승객을 태웠다. 사회학자 리징한(Li Jinghan)은 16세에서 50세 사이의 도시 남성 6명 중 1명이 인력거꾼이라고 추정했다. 인력거꾼과 그들의 부양 가족은 베이징 인구의 거의 20%를 차지했다."[21]

1914년경 칭다오의 인력거와 운전수


많은 마오주의자에게 노동 계급 억압의 상징으로 여겨졌던[22] 대부분의 수동 인력거는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중국에서 사라졌다.[23][24]

3. 1. 3. 홍콩

인력거는 1880년 일본에서 홍콩으로 처음 수입되었다. 이후 수년 동안 인기 있는 교통 수단이었으며, 1920년대에는 3,000대 이상으로 정점을 찍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인기가 시들해졌다.[29] 1975년 이후 인력거에 대한 새로운 면허는 발급되지 않았으며, 2017년 현재 단 세 명의 노인만이 면허를 보유하고 있다. 그 중 한 명만이 주로 관광객을 위해 더 피크에서 인력거를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졌다.[30]

2011년 홍콩 더 피크의 라이언 파빌리온 전망대 밖에서 이 마지막 면허 인력거를 볼 수 있다.

3. 1. 4. 인도

1880년경, 인력거는 인도의 심라에서 처음 등장했다.[31] 20세기 초에는 콜카타에 도입되었고, 1914년에는 유료 운송 수단으로 사용되었다.[1]

콜카타 인력거, 2004

3. 1. 5. 싱가포르

싱가포르는 1880년에 인력거를 처음 도입했으며, 곧 인력거가 급증하여 "싱가포르 거리의 교통에 주목할 만한 변화"를 가져왔다.[1] 인력거 도입 이전에는 우마차와 개리가 사용되었다.[3]

19세기 말 싱가포르의 가장 가난한 사람들 중 다수는 중국계 혈통의 가난하고 숙련되지 않은 사람들이었다. 종종 쿨리라고 불리는 이들은 인력거를 끄는 것을 새로운 고용 수단으로 삼았다.[18] 인력거꾼들은 "매우 열악한" 생활 환경, 빈곤, 장시간의 고된 노동을 경험했다. 1876년부터 1926년까지 수입은 하루 약 0.6달러로 변동이 없었다.[55][56]

20세기 초까지 인력거의 인기는 계속 증가했다. 1920년경에는 약 5만 대의 인력거가 있었고, 1930년까지 그 수가 두 배로 늘어났다.[43] 1920년대 또는 그 이후에 인력거 노동자의 복지를 보호하기 위해 인력거 협회라는 노동조합이 결성되었다.[58]

3. 1. 6. 기타 아시아 국가

인도네시아에서는 한때 인력거가 사용되었으나, 오늘날에는 "델만"(말이 끄는 마차)과 "베착"(자전거 인력거/페디캡)으로 대체되었다. 말레이시아 도시 지역에서는 19세기와 20세기 초에 인력거가 흔한 교통 수단이었으나, 점차 사이클 릭샤로 대체되었다. 파키스탄에서는 1960년 4월부터 인력거(qinqi)와 자전거 인력거가 금지되었다.[53] 도시에서 오토릭샤가 도입되기 전에는 말 마차(tongas)가 주요 대중 교통 수단이었다. 필리핀에서는 인력거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미국인들이 20세기 초 마닐라에 인력거를 도입하려 했지만, 현지 필리핀인들은 이를 인간을 "짐승"으로 만드는 품위 없는 교통 수단으로 여겨 강력히 반대했다. 18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 필리핀의 주요 대중 교통 수단은 두 바퀴 칼레사였다.[54]

3. 2. 아프리카

아프리카 일부 지역에서는 인력거가 도입되어 활용되었다.

동아프리카에서는 1920년대 탄자니아바가모요탕가 등지에서 짧은 거리를 이동할 때 인력거를 사용했다.[6] 20세기 초 나이로비에서는 인력거가 운행되었으며, 1908년에는 인력거꾼들이 파업을 벌이기도 했다.[10]

마다가스카르에서 인력거는 '푸스푸스'(Pousse-pousse)라고 불렸는데, 이는 '밀어 밀어'라는 뜻이다. 마다가스카르의 언덕길에서는 인력거 뒤를 밀어줄 사람이 필요했기 때문에 이러한 이름이 붙여졌다.[7] 푸스푸스는 안치라베 등 여러 도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교통 수단이지만, 언덕이 많은 도시나 마을에서는 찾아보기 어렵다.[7]

남아프리카공화국더반은 도시 전역을 다니는 상징적인 줄루족 인력거꾼으로 유명하다. 이들은 크고 생동감 넘치는 모자와 의상으로 유명하다. 1890년대 마셜 캠벨 경이 나탈에 인력거를 도입했고,[11] 1904년 더반에는 약 2,000명의 인력거꾼이 등록되어 있었다. 현재는 동력 운송 수단에 의해 대체되어 대부분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는 약 25대의 인력거만 남아있다.[12][13]

3. 2. 1. 동아프리카

1920년대에는 탄자니아바가모요탕가 등 동아프리카 지역에서 짧은 거리를 이동할 때 인력거를 사용했다.[6] 20세기 초 나이로비에서는 인력거가 운행되었으며, 1908년에 인력거꾼들이 파업을 벌이기도 했다.[10]

3. 2. 2. 마다가스카르

마다가스카르의 푸스푸스


마다가스카르에서 인력거는 '푸스푸스'라고 불리며, 영국 선교사들이 도입했다. 이는 노예제와 관련된 가마를 없애기 위한 목적이었다. 푸스푸스라는 이름은 '밀어 밀어'라는 뜻으로, 마다가스카르의 언덕길에서 인력거 뒤를 밀어줄 두 번째 사람이 필요했기 때문에 붙여졌다.[7] 푸스푸스는 안치라베를 비롯한 여러 마다가스카르 도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교통 수단이지만, 언덕이 많은 도로가 있는 마을이나 도시에서는 찾아보기 어렵다.[7] 중국식 인력거와 유사하며, 종종 화려하게 장식되어 있다.[8][9]

3. 2. 3.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은 도시 전역을 다니는 상징적인 줄루족 인력거꾼으로 유명하다. 이들은 크고 생동감 넘치는 모자와 의상으로 유명하다. 1890년대 마셜 캠벨 경이 나탈에 도입했다.[11] 1904년 더반에는 약 2,000명의 인력거꾼이 등록되어 있었다. 현재는 동력 운송 수단에 의해 대체되어 약 25대의 인력거만 남아 있으며, 대부분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다.[12][13]

3. 3. 북아메리카

1938년 로스앤젤레스 차이나타운에서 관광객을 위한 "인력거" 서비스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는 193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 고등학생들이 인력거를 운영했다는 기록이 있다.[59][60] 캐나다 노바스코샤 핼리팩스와 온타리오 주 오타와에서는 인력거를 활용한 관광 상품을 제공하고 있다.[61][62][63]

3. 3. 1. 미국



로스앤젤레스 시립 시장의 역사 (1930-1950)에 따르면, 당시 로스앤젤레스에서는 고등학생들이 인력거를 운영했다.[59][60]

3. 3. 2. 캐나다

노바스코샤 핼리팩스에서는 수십 년 동안 인력거가 인기를 누리고 있으며, 역사적인 워터프론트 투어를 제공하는 것 외에도 지역 주민들의 교통 수단으로도 사용된다. 핼리팩스는 캐나다에서 가장 오래된 인력거 회사의 본거지이다.[61]

온타리오 주 오타와 시내에서는 여름철 역사적인 바이워드 마켓 투어를 제공하는 인력거가 인기 있는 교통 수단이다. 오타와의 인력거는 전통적인 발로 움직이는 인력거 모델을 따르지만, 현대적인 음향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62][63]

4. 사회문화적 의미

인력거는 단순한 이동 수단을 넘어, 사회와 문화 전반에 걸쳐 다양한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인력거는 좁고 복잡한 도시 구조에서 효율적인 이동 수단이었으며, 특히 비가 오는 날에는 승객을 집 앞까지 안전하게 이동시켜 주는 편리함을 제공했다. 또한, 정해진 노선 없이 원하는 곳으로 이동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었다.[4]

하지만 인력거는 사회 계층 간의 격차를 보여주는 상징이기도 했다. 인력거를 끄는 사람들은 대부분 가난한 쿨리 출신의 노동자들이었으며, 이들은 열악한 환경에서 낮은 임금을 받으며 고된 노동에 시달렸다.[18][55][56]

인력거는 여러 문학과 예술 작품의 소재로도 활용되었다. 러디어드 키플링의 소설 ''유령 인력거''(1885)에는 유령이 탄 인력거가 등장하며,[64] 라오 서의 소설 ''인력거의 사나이''(1936)는 베이징 인력거꾼의 고단한 삶을 묘사하고 있다.[65] 이나가키 히로시 감독의 일본 영화 ''무호마쓰의 일생(Muhomatsu no issho)''(1958)은 인력거꾼과 과부의 아들 사이의 따뜻한 관계를 그리고 있다. 이 외에도 여러 영화와 소설에서 인력거는 가난과 고난, 그리고 인간적인 연대를 상징하는 소재로 등장했다.[67]

4. 1. 근대 도시 문화의 상징

초기 인력거는 쇠로 덮인 나무 바퀴로 움직였으며, 승객은 딱딱하고 평평한 좌석에 앉았다.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고무 또는 공압식 고무 타이어, 스프링 쿠션, 그리고 등받이가 승객의 편안함을 향상시켰다. 조명과 같은 다른 기능들도 추가되었다.[4]

상하이에서는 공공 인력거를 부유한 시민들의 개인 차량과 구별하기 위해 노란색으로 칠했다. 부유한 시민들의 개인 차량은 항상 반짝거렸고, 꼼꼼하게 관리되었으며, '깨끗한 흰색 체크 무늬 시트, 무릎을 덮는 깨끗한 체크 무늬 천, 승객(혹은 때로는 세 명까지 함께 타는 승객들)을 비로부터 보호하는 넓은 방수포'를 갖추고 있었다.[5]

인력거는 좁고 구불구불한 도시 거리를 쉽게 다닐 수 있어 편리한 이동 수단이었다. 우기에는 승객이 수레 밖으로 나와 침수된 거리를 지나 목적지의 문 앞까지 이동할 수도 있었다. 정해진 시간표에 따라 운행하는 버스나 전차와는 달리, 인력거는 문에서 문까지 이동하는 서비스를 제공했다.[4]

4. 2. 하층민의 삶과 노동

19세기 말 싱가포르의 가난한 사람들 대다수는 중국계 혈통의 숙련되지 않은 노동자들이었다. 이들은 종종 쿨리라고 불렸으며, 인력거를 끄는 일을 새로운 고용 수단으로 삼았다.[18] 인력거꾼들은 열악한 생활 환경 속에서 빈곤과 장시간의 고된 노동에 시달렸다. 1876년부터 1926년까지 인력거꾼들의 수입은 하루 약 0.6달러로 변동이 없었다.[55][56] 인력거꾼의 80%는 아편에 중독되었고, 많은 이들이 도박과 매춘에 빠져 빈곤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했다.[56][57] 그러나 일부 인력거꾼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상황을 개선하여 인력거 또는 자전거 수리공, 소유주 등으로 새로운 사업 분야에 진출하기도 했다.[56][57]

4. 3. 문화 예술 속 인력거


  • 러디어드 키플링의 초기 단편 소설 중 하나는 ''유령 인력거''(1885)라는 제목을 가지고 있다. 이 소설에서 젊은 영국인은 인도로 가는 배에서 로맨스를 겪는다. 그는 그 관계를 끝내고 다른 여성과 약혼하는데, 이로 인해 그의 첫사랑은 상심하여 죽는다. 그 후, 그는 심라를 돌아다니며 노란색 패널 인력거를 타고 다니는 죽은 여성의 유령을 자주 보지만, 다른 사람들은 그 현상을 알아차리지 못하는 듯하다.[64]
  • 1936년 소설 ''인력거의 사나이(Rickshaw Boy)''는 중국 작가 라오 서가 쓴 소설로, 가상의 베이징 인력거꾼의 삶을 그리고 있다. 영어 버전인 ''Rickshaw Boy''는 1945년 미국에서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이 버전은 이야기에 해피 엔딩을 추가한 무단 번역판이었다. 1982년에는 원본을 바탕으로 동명의 영화가 제작되었다.[65]
  • 1940년대에 에디 하워드는 ''The Rickety Rickshaw Man''이라는 노래를 녹음했다.[66]
  • 1958년 일본 영화 ''무호마쓰의 일생(Muhomatsu no issho)''은 이나가키 히로시가 감독했으며, 최근 과부가 된 여성의 아이에게 대리 부모가 되는 인력거꾼 마쓰고로의 이야기를 다룬다.
  • 1953년 볼리우드 영화 ''두 비가 자민(Do Bigha Zameen)''은 비말 로이가 감독했으며, 콜카타에서 인력거꾼이 된 가난한 농부의 운명을 묘사한다.
  • 1992년 영화 ''환희의 도시(City of Joy)''(제목은 콜카타를 지칭)에서 옴 푸리는 인력거꾼을 연기하며, 이 저임금 노동자들이 매일 직면하는 경제적, 정서적 어려움을 보여준다.
  • 펄 S. 벅의 1931년 소설 ''대지(The Good Earth)''에서 주인공 왕룽은 가뭄 동안 땅을 떠나 남쪽으로 여행한다. 그는 결국 장쑤성의 도시인 기앙수(장쑤)에 도착하여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인력거꾼이 된다.[67]
  • 1998년 ''사인필드(Seinfeld)'' 에피소드 "서점(The Bookstore)"에서 크레이머와 뉴먼은 노숙자들을 훈련시켜 승객을 태우는 인력거 사업을 시작하기로 결정한다.

5. 관련 유형

인력거와 관련된 유형은 다음과 같다.


  • 인력거: 사람이 직접 끌거나 미는 방식으로 움직이는 운송 수단이다.
  • 전기 인력거: 전기의 힘을 이용하여 움직이는 인력거이다.
  • 오토릭샤: 오토바이를 개조하여 만든 인력거이다.
  • 자전거 인력거: 자전거를 이용하여 움직이는 인력거이다.
  • 인력거 미술: 인력거에 그림을 그리거나 장식을 추가하여 예술 작품으로 만든 것이다.
  • 인력 운송: 인력을 동력으로 사용하여 사람이나 물건을 운반하는 것이다.
  • 보다보다 (자전거 택시)
  • 마차
  • 가마
  • 핸드카
  • 대만 푸시 카 철도

5. 1. 전기 인력거

전기 인력거는 전기의 힘을 이용하여 움직이는 인력거이다. 주로 오토릭샤나 자전거 인력거를 전기 모터로 움직이게 만든 것을 의미한다.

5. 2. 사이클 릭샤 (자전거 인력거)



자전거 인력거는 작은 규모의 지역 운송 수단이다. 자전거 택시라고도 불리는 이 인력거는 주로 한 명의 승객을 태울 수 있는 2륜 또는 3륜 자전거를 이용하여 움직인다. 자전거 인력거는 1880년대에 처음 만들어졌으며, 그 후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자전거 인력거는 인력거꾼이 직접 발로 끄는 인력거와는 달리 자전거의 페달을 밟아 움직이기 때문에 더 빠르고 효율적이다. 특히, 동남아시아와 남아시아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관광객이나 지역 주민들의 단거리 이동 수단으로 많이 이용된다.

5. 3. 오토릭샤

오토릭샤는 오토바이를 개조하여 만든 인력거이다.

6. 같이 보기


  • 인력 운송
  • 가마
  • 보다보다
  • 마차
  • 핸드카
  • 대만 푸시 카 철도

참조

[1] 서적 Rickshaw Coolie: A People's History of Singapore, 1880-1940 https://archive.org/[...] NUS Press
[2] 서적 Amazing . . . But False!: Hundreds of "Facts" You Thought Were True, But Aren't https://archive.org/[...] Sterling Publishing Company
[3] 서적 Chinese Adaptation and Diversity: Essays on Society and Literature in Indonesia, Malaysia & Singapore NUS Press
[4] 서적 Beyond the Neon Lights: Everyday Shanghai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 서적 Beyond the Neon Lights: Everyday Shanghai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6] 서적 60 Years in East Africa: The Life of a Settler GeneralStore Publishing House
[7] 서적 Madagascar Bradt Travel Guides
[8] 서적 Madagascar, Volume 15 of Cultures of the World Cultures of the World - Group 15 Marshall Cavendish
[9] 서적 Madagascar Travel Guide https://books.google[...] Lonely Planet
[10] 서적 Africa under colonial domination 1880–1935: 7 UNESCO
[11] 서적 The South African family encyclopaedia https://archive.org/[...] Cape Town : Struik Publishers 1989
[12] 웹사이트 Zulu Rickshaws http://www.durban.go[...] Durban.gov.za 2010-07-02
[13] 서적 South Africa: Lesotho & Swaziland Lonely Planet
[14] 서적 An Historical and Descriptive Account of China: Its Ancient and Modern History ... https://books.google[...] Oliver & Boyd
[15] 서적 An Historical Account of the Embassy to the Emperor of China, Undertaken by Order of the King of Great Britain: Including the Manners & Customs of the Inhabitants & Preceded by an Account of the Causes of the Embassy & Voyage to China. Abridged Principally from the Papers of Earl Macartney... https://books.google[...] J. Stockdale
[16] 서적 China and Europe https://books.google[...] Routledge
[17] 간행물 Locomotion in the Olden Time https://books.google[...]
[18] 서적 Rickshaw Coolie: A People's History of Singapore, 1880-1940 https://archive.org/[...] NUS Press
[19] 서적 Beyond the Neon Lights: Everyday Shanghai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 서적 Beyond the Neon Lights: Everyday Shanghai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1] 서적 Rickshaw Beijing: City People and Politics in the 1920
[22] 서적 Beyond the Neon Lights: Everyday Shanghai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3] 뉴스 India Rickshaws Feeling the Pull of Modern Ways https://www.latimes.[...] 2005-11-04
[24] 뉴스 China's Rickshaws Bring Back Bad Memories https://www.nytimes.[...] 1999-10-20
[25] 서적 Beyond the Neon Lights: Everyday Shanghai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6] 서적 Beyond the Neon Lights: Everyday Shanghai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7] 문서 Darwent, Charles Ewart. Shanghai; a handbook for travellers and residents to the chief objects
[28] 문서 Hongs & Homes, 1928: A complete directory of Shanghai. Shanghai: Millington, Ltd., 1929.
[29] 웹사이트 Vehicle Licensing during - 2008-2017 https://www.td.gov.h[...]
[30] 웹사이트 被遺忘的公交 The Forgotten Transportation: Rickshaw ride in Hong Kong http://forgotten-tra[...]
[31] 서적 Imperial Simla: the political culture of the Raj Oxford University Press
[32] 서적 Frommer's India John Wiley and Sons 2010-02-18
[33] 간행물 Last Days of the Rickshaw http://ngm.nationalg[...] 2008-04
[34] 간행물 Last Days of the Rickshaw http://ngm.nationalg[...] 2008-04
[35] 간행물 Last Days of the Rickshaw http://ngm.nationalg[...] 2008-04
[36] 논문 Calcutta's Hand–Pulled Rickshaws: Cultural Politics and Place Making in a Globalizing City 2012-10
[37] 간행물 Last Days of the Rickshaw https://web.archive.[...] 2008-04
[38] 서적 India Lonely Planet
[39] 뉴스 Matheran: Smallest, peaceful & vehicle-free hill station http://www.indiapost[...]
[40] 웹사이트 WebIndia 2005
[41] 간행물 Last Days of the Rickshaw https://web.archive.[...] 2008-04
[42] 간행물 Last Days of the Rickshaw https://web.archive.[...] 2008-04
[43] 서적 Beyond the Neon Lights: Everyday Shanghai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44] 서적 The Bizarre and the Wondrous from the Land of the Rising Sun! Cultural-Insight Books
[45] 웹사이트 Japanese rickshaw http://www.powerhous[...] Powerhouse Museum 2013-04-11
[46] 서적 The Bizarre and the Wondrous from the Land of the Rising Sun! Cultural-Insight Books
[47] 웹사이트 Jinrikisha in Kamakura http://yuufuutei.mai[...] Youfuu-tei
[48] 웹사이트 Jinrikisha in Hidatakayama http://39hida.com/ji[...] Gokurak-sha
[49] 웹사이트 3-Day Model Trip Day1 / Kakunodate - Lake Tazawa-ko - Morioka http://www.jnto.go.j[...] Japan National Tourism Organization 2002-01-31
[50] 웹사이트 京都観光 http://www.isfj.net/[...]
[51] Youtube Rickshaw https://www.youtube.[...] TV Show "Sekai Tsukai Densetsu" 2002-2003
[52] Youtube Hataraku Ikemen https://www.youtube.[...] JoshiFuji Channel 2013-04-29
[53] 뉴스 Pakistan To Ban Rickshaws https://news.google.[...] 1959-11-04
[54] 논문 Rickshaws and Filipinos: Transnational Meanings of Technology and Labor in American-Occupied Manila 2014-08-14
[55] 문서 1992
[56] 서적 Malaysia, Brunei and Singapore New Holland Publishers
[57] 서적 (same)
[58] 문서 1992
[59] 웹사이트 A History of The Los Angeles City Market: 1930-1950 https://web.archive.[...] Chinese Historical Society of Southern California (previously published: Gum Saan Journal, Volume 32, No. 1, 2010) 2013-04-12
[60] 서적 The Chinese in America: A Narrative History https://books.google[...] Penguin
[61] 웹사이트 Halifax Rickshaw Tours https://web.archive.[...] 2013-07-19
[62] 서적 Frommer's Canada: With the best hiking & outdoor adventures John Wiley & Sons
[63] 웹사이트 Downtown Ottawa Rickshaw Tours https://web.archive.[...] Ottawa Rickshaws 2013-04-13
[64] 웹사이트 The Phantom Rickshaw http://www.online-li[...] Online Literature 2013-04-13
[65] 서적 Rickshaw Boy: A Novel Harper Perennial Modern Chinese Classics
[66] 간행물 Most Played Juke Box Records Nielsen Business Media, Inc. 1947-01-25
[67] 서적 The Good Earth https://archive.org/[...] Simon and Schuster
[68] 서적 한국사이야기22. 빼앗긴 들에 부는 근대화바람 한길사
[69] 간행물 Last Days of the Rickshaw https://web.archive.[...] 2008-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