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후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퉁은 베이징의 전통적인 골목길로, 몽골어에서 유래되어 "우물"을 의미한다. 원나라 시대에 처음 등장했으며, 명나라 시대에는 사회 계급에 따라 주거 지역이 배치되면서 형성되었다. 후퉁은 좁은 골목길과 쓰허위안(사합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역사적으로 행정 구역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청나라 시대에는 2,000개가 넘는 후퉁이 존재했지만, 도시화와 재개발로 인해 많은 후퉁이 사라졌다. 현재 남아있는 후퉁은 관광 명소로 활용되며, 후퉁 문화는 베이징의 중요한 요소로 여겨진다. 후퉁은 위치, 랜드마크, 인물 등을 따라 이름이 붙여지며, 독특한 명칭과 역사를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이징시의 지리 - 왕푸징
    왕푸징은 베이징 중심부에 위치한 상업 지구로, 자금성 등 주요 관광지와의 접근성이 뛰어나며, 베이징백화점 등 대형 쇼핑몰과 다양한 상점들이 밀집해 있으며, 보행자 천국으로 조성된 구간은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많다.
  • 베이징시의 지리 - 저우커우뎬
    저우커우뎬은 베이징 교외의 고고학 유적으로, 베이징 원인 화석과 석기, 불 사용 증거 등 인류 진화 연구에 중요한 유물을 제공하여 1987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베이징시의 관광지 - 왕푸징
    왕푸징은 베이징 중심부에 위치한 상업 지구로, 자금성 등 주요 관광지와의 접근성이 뛰어나며, 베이징백화점 등 대형 쇼핑몰과 다양한 상점들이 밀집해 있으며, 보행자 천국으로 조성된 구간은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많다.
  • 베이징시의 관광지 - 인민대회당
    인민대회당은 중국 베이징 천안문 광장 서쪽에 위치하며 전국인민대표대회 등 주요 정치 행사와 문화 공연이 열리는 1959년 건립된 건축물로, 만인대회당, 국가연회장, 각 지역 이름을 딴 홀 등을 갖추고 일반인에게도 개방된다.
후퉁
개요
유형골목길 또는 좁은 거리
위치중국 북부 도시, 특히 베이징
특징좁고, 전통적인 주거 지역을 연결함
어원Middle Mongolian quddug ("우물")에서 유래
명칭
중국어 간체胡同
중국어 정체衚衕 또는 胡同
로마자 표기병음: hútòng
웨이드-자일스: hu2-t'ung4
설명
정의후퉁은 중국 북부 도시, 특히 베이징에서 발견되는 좁은 거리 또는 골목길의 한 종류임.
역사적 의미후퉁은 전통적인 베이징의 주거 지역인 쓰허위안을 연결하는 통로 역할을 했으며, 도시 계획과 사회 구조에 중요한 부분이었음.
어원후퉁이라는 단어는 Middle Mongolian "quddug"에서 유래되었으며, "우물"을 의미함.
특징
건축후퉁은 일반적으로 좁고 길며, 양쪽에 늘어선 전통 가옥들로 이루어져 있음.
문화적 중요성후퉁은 베이징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하며, 지역 주민들의 삶의 중심지 역할을 함.
현대적 변화많은 후퉁들이 도시 개발로 인해 사라지고 있지만, 일부는 보존되어 관광 명소로 활용되고 있음.
참고
관련 용어쓰허위안 (四合院)
참고 문헌Michael Meyer, "The Death and Life of Old Beijing" The Death and Life of Old Beijing

2. 기원

후퉁이라는 용어는 원나라 때 처음 등장했으며, 몽골어에서 유래되어 "우물"을 의미한다.[2] 몽골어 단어 "xuttuk"의 음역이 기원으로 알려져 있으나,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왕조 시대 동안, 황제들은 베이징 시를 계획하고 주나라 (기원전 1027–256년)의 사회 계급에 따라 주거 지역을 배치했다. 명나라 시대에는 중심부가 자금성이었고, 그 주변을 내성(Inner City)과 외성(Outer City)이 동심원으로 둘러쌌다. 사회적 지위가 높은 시민들은 원의 중심에 더 가까이 거주하는 것이 허용되었으며, 귀족들은 황궁의 동쪽과 서쪽에 거주했다. 이들의 쓰허위안은 아름답게 조각되고 칠해진 지붕 들보와 기둥, 정성스럽게 조경된 정원을 갖추고 있는 경우가 많았고, 그들이 형성한 후퉁은 질서 정연했다. 궁궐에서 더 멀리 떨어진 북쪽과 남쪽에는 평민, 상인, 장인, 노동자들이 살았으며, 그들의 쓰허위안은 규모가 작고 디자인과 장식이 더 단순했으며, 후퉁은 더 좁았다.

거의 모든 ''쓰허위안''은 더 나은 채광을 위해 남쪽을 향해 주요 건물과 문을 가지고 있었고, 따라서 대부분의 후퉁은 동서 방향으로 뻗어 있었다. 주요 후퉁 사이에는 편리한 통행을 위해 남북으로 뻗어 있는 작은 골목들이 많았다.

역사적으로 후퉁은 고대 중국 도시의 최하위 행정 구역으로도 사용되었는데, 패방 (牌坊) 시스템에서와 같다. 고대 중국 도시의 가장 큰 구역은 ''팡'' (坊)이었고, 각 팡 (坊)은 벽이나 울타리로 둘러싸여 있었다. 각 팡 (坊)은 다시 여러 ''판'' 또는 ''파이'' (牌)로 나뉘었고, 각 파이 (牌)는 여러 후퉁을 포함하는 구역이었다. 명나라 시대에는 베이징이 총 36개의 팡 (坊)으로 나뉘었다. 그러나 고대 중국의 도시 행정 구역 시스템이 변화하면서, 후퉁은 더 이상 최하위 행정 구역으로 사용되지 않았다.

주거용 후퉁


후퉁의 전형적인 안뜰. 지붕에는 주인이 기르는 비둘기가 있다

3. 역사



1267년부터 현재의 베이징에 건설이 시작된 원나라의 수도 대도의 도로 건설에 관한 규정에서는, 폭 24보(약 37.2m)를 대가(大街), 12보(약 18.6m)를 소가(小街), 6보(약 9.3m)를 후퉁(胡同)으로 규정했다.

후에 명나라 3대 황제 영락제난징에서 이곳으로 도읍을 옮겼을 때, 대도를 기초로 베이징 성을 형성했지만, 성내 대부분의 도로는 대도에서 그대로 계승했다.

그러나 명대 이후 도로 건설에 관한 규정은 거의 없어지고, 불규칙한 골목길이 다수 출현했다. 12대 가정제 시대에 베이징 성의 남쪽에 보강하는 형태로 외성의 건설이 시작된 이후에는 더욱 그 수를 늘려갔다.

청나라 시대에는 2076개, 1949년의 통계에서는 6,000개 이상 존재했다고 한다.

왕조 시대 동안, 황제들은 베이징 시를 계획하고 주나라 (기원전 1027–256년)의 사회 계급에 따라 주거 지역을 배치했다.[2] "후퉁"이라는 용어는 원나라 때 처음 등장했으며, 몽골어에서 유래되어 "우물"을 의미한다.

명나라 (15세기 초) 시대에는 중심부가 자금성이었고, 그 주변을 내성(Inner City)과 외성(Outer City)이 동심원으로 둘러쌌다. 사회적 지위가 높은 시민들은 원의 중심에 더 가까이 거주하는 것이 허용되었다. 귀족들은 황궁의 동쪽과 서쪽에 거주했으며, 이 고위 관리와 부유한 상인들의 대규모 쓰허위안은 아름답게 조각되고 칠해진 지붕 들보와 기둥, 정성스럽게 조경된 정원을 갖추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그들이 형성한 후퉁은 질서 정연했고, 넓은 집과 담으로 둘러싸인 정원이 늘어서 있었다. 궁궐에서 더 멀리 떨어진 북쪽과 남쪽에는 평민, 상인, 장인, 노동자들이 살았다. 그들의 쓰허위안은 규모가 훨씬 작고 디자인과 장식이 더 단순했으며, 후퉁은 더 좁았다.

거의 모든 ''쓰허위안''은 더 나은 채광을 위해 남쪽을 향해 주요 건물과 문을 가지고 있었고, 따라서 대부분의 후퉁은 동서 방향으로 뻗어 있었다. 주요 후퉁 사이에는 편리한 통행을 위해 남북으로 뻗어 있는 작은 골목들이 많았다.

역사적으로, 후퉁은 고대 중국 도시의 최하위 행정 구역으로도 사용되었는데, 패방 (牌坊) 시스템에서와 같다. 고대 중국 도시의 가장 큰 구역은 현재의 구에 해당하는 ''팡'' (坊)이었으며,[3] 각 팡 (坊)은 벽이나 울타리로 둘러싸여 있었고, 이 구역의 문은 매일 밤 닫히고 지켜졌는데, 이는 현대의 폐쇄형 공동체와 다소 유사했다. 각 팡 (坊)은 다시 여러 ''판'' 또는 ''파이'' (牌)로 나뉘었고, 이는 현재의 (법인화되지 않은) 공동체 (또는 이웃)에 해당한다. 각 파이 (牌)는 여러 후퉁을 포함하는 구역을 포함했으며, 명나라 시대에는 베이징이 총 36개의 팡 (坊)으로 나뉘었다.

그러나 고대 중국의 도시 행정 구역 시스템이 지리적 구역 대신 인구 및 가구 구역으로 바뀌면서, 후퉁은 더 이상 최하위 행정 구역으로 사용되지 않았고 다른 구역 접근 방식으로 대체되었다.

20세기 초, 청나라 조정이 붕괴되면서 전통적인 후퉁의 배치 또한 영향을 받았다. 무질서하게 지어진 많은 새로운 후퉁들이 옛 도시 외곽에 나타났고, 오래된 후퉁들은 이전의 깔끔한 모습을 잃어갔다. 거주자들의 사회 계층화 또한 봉건 제도의 붕괴와 함께 변화하기 시작했다.

중화민국 시기(1911년~1948년) 동안 사회는 불안정했고, 내전과 반복되는 외세의 침략으로 얼룩졌다. 베이징은 악화되었고, 후퉁의 상태도 더욱 나빠졌다. 이전에는 단독 가구가 소유하고 거주했던 사합원은 여러 가구로 분할되어 사용되었고, 필요에 따라 사용 가능한 모든 재료로 덧붙여 지어졌다. 청나라 시대 기록에 따르면 978개의 후퉁이 있었지만, 1949년에는 1,330개로 늘어났다. 2008년 오늘날, 다스란과 같은 일부 후퉁에서는 여전히 열악한 환경이 유지되고 있다.[4]

3. 1. 사회 계층과 후퉁



왕조 시대 동안, 황제들은 주나라 (기원전 1027–256년)의 사회 계급에 따라 베이징 시를 계획하고 주거 지역을 배치했다.[2] "후퉁"이라는 용어는 원나라 때 처음 등장했으며, 몽골어에서 유래되어 "우물"을 의미한다.

명나라 (15세기 초) 시대에는 중심부가 자금성이었고, 그 주변을 내성(Inner City)과 외성(Outer City)이 동심원으로 둘러쌌다. 사회적 지위가 높은 시민들은 원의 중심에 더 가까이 거주하는 것이 허용되었다. 귀족들은 황궁의 동쪽과 서쪽에 거주했으며, 이 고위 관리와 부유한 상인들의 대규모 쓰허위안은 아름답게 조각되고 칠해진 지붕 들보와 기둥, 정성스럽게 조경된 정원을 갖추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그들이 형성한 후퉁은 질서 정연했고, 넓은 집과 담으로 둘러싸인 정원이 늘어서 있었다. 궁궐에서 더 멀리 떨어진 북쪽과 남쪽에는 평민, 상인, 장인, 노동자들이 살았다. 그들의 쓰허위안은 규모가 훨씬 작고 디자인과 장식이 더 단순했으며, 후퉁은 더 좁았다.

거의 모든 ''쓰허위안''은 더 나은 채광을 위해 남쪽을 향해 주요 건물과 문을 가지고 있었고, 따라서 대부분의 후퉁은 동서 방향으로 뻗어 있었다. 주요 후퉁 사이에는 편리한 통행을 위해 남북으로 뻗어 있는 작은 골목들이 많았다.

역사적으로, 후퉁은 고대 중국 도시의 최하위 행정 구역으로도 사용되었는데, 패방 (牌坊) 시스템에서와 같다. 고대 중국 도시의 가장 큰 구역은 현재의 구에 해당하는 ''팡'' (坊)이었으며,[3] 각 팡 (坊)은 벽이나 울타리로 둘러싸여 있었고, 이 구역의 문은 매일 밤 닫히고 지켜졌는데, 이는 현대의 폐쇄형 공동체와 다소 유사했다. 각 팡 (坊)은 다시 여러 ''판'' 또는 ''파이'' (牌)로 나뉘었고, 이는 현재의 (법인화되지 않은) 공동체 (또는 이웃)에 해당한다. 각 파이 (牌)는 여러 후퉁을 포함하는 구역을 포함했으며, 명나라 시대에는 베이징이 총 36개의 팡 (坊)으로 나뉘었다.

그러나 고대 중국의 도시 행정 구역 시스템이 지리적 구역 대신 인구 및 가구 구역으로 바뀌면서, 후퉁은 더 이상 최하위 행정 구역으로 사용되지 않았고 다른 구역 접근 방식으로 대체되었다.

3. 2. 중화민국 시대의 변화

20세기 초, 청나라 조정이 붕괴되면서 전통적인 후퉁의 배치 또한 영향을 받았다. 무질서하게 지어진 많은 새로운 후퉁들이 옛 도시 외곽에 나타났고, 오래된 후퉁들은 이전의 깔끔한 모습을 잃어갔다. 거주자들의 사회 계층화 또한 봉건 제도의 붕괴와 함께 변화하기 시작했다.[4]

중화민국 시기(1911년~1948년) 동안 사회는 불안정했고, 내전과 반복되는 외세의 침략으로 얼룩졌다. 베이징은 악화되었고, 후퉁의 상태도 더욱 나빠졌다. 이전에는 단독 가구가 소유하고 거주했던 사합원은 여러 가구로 분할되어 사용되었고, 필요에 따라 사용 가능한 모든 재료로 덧붙여 지어졌다. 청나라 시대 기록에 따르면 978개의 후퉁이 있었지만, 1949년에는 1,330개로 늘어났다. 2008년 오늘날, 다스란과 같은 일부 후퉁에서는 여전히 열악한 환경이 유지되고 있다.[4]

1267년부터 현재의 베이징에 건설이 시작된 원나라의 수도 대도의 도로 건설에 관한 규정에서는, 폭 24보(약 37.2m)를 대가(大街), 12보(약 18.6m)를 소가(小街), 6보(약 9.3m)를 후퉁(胡同)으로 규정했다. 명나라 영락제난징에서 이곳으로 도읍을 옮겼을 때, 대도를 기초로 베이징 성을 형성했지만, 성내 대부분의 도로는 대도에서 그대로 계승했다. 명대 이후 도로 건설에 관한 규정은 거의 없어지고, 불규칙한 골목길이 다수 출현했다. 12대 가정제 시대에 베이징 성의 남쪽에 보강하는 형태로 외성의 건설이 시작된 이후에는 더욱 그 수를 늘려갔다. 청나라 시대에는 2076개, 1949년의 통계에서는 6,000개 이상 존재했다고 한다.[4]

4. 현재의 후퉁

한때 베이징의 주요 관광지로 선호되었지만, 중국 정부는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을 개최하면서 흉물이라는 이유로 후퉁을 점차 정리하는 추세에 있다. 일부만 보존되고 나머지는 강제로 철거되어 거주민들의 반발이 심하다.

고루탑에서 바라본 후퉁 지붕들


중국의 도시화가 크게 증가하면서 1989년부터 2019년까지 많은 베이징의 ''후퉁''이 철거되었으며, 남아있는 골목들은 역사적 보존 대상으로서 관광 명소로 전환되는 경우가 많다.[5]

종루와 고루, 그리고 스차하이 호수 주변의 수백 년 된 후퉁들은 현대식으로 재건된 2~3층 건물들과 함께 보존되어 있다.[4][6] 이 지역은 많은 관광객들이 자전거 택시를 타고 관광하는 명소이다.

오늘날에도 과거와 마찬가지로 후퉁에는 유명인, 사업가, 공무원들이 거주하고 있다. 1989년 톈안먼 사건 이후, 자오쯔양은 후퉁 안에서 15년간 가택 연금을 당했다. 자오쯔양의 후퉁은 이전에 자희태후의 이발사가 사용하던 곳이었다.[7]

오래된 베이징의 거리 풍경을 간직하고 있어, 최근에는 국내외 관광객들에게 관광 명소로 인기를 얻고 있다. 자전거 택시를 이용한 후퉁 투어가 새로운 관광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구시가지(구성내)의 북부나 외성부를 중심으로 아직도 많은 후퉁이 남아있다. 예를 들어, 번화가인 왕푸징이나 시단 부근에서도 한 발짝 뒷골목으로 들어가면 후퉁이 남아있다.

후퉁의 집들은 대부분 각 주거에 화장실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부엌을 갖지 않은 집도 많다), 그 때문에 후퉁마다 공동 관리하는 화장실을 설치하고 있지만 불편한 점은 부인할 수 없다. 최근 중화인민공화국의 경제 발전과 베이징 올림픽 개최에 따른 도시 정비 및 재개발로, 보존 지구로 지정된 일부를 제외하고는 개축 및 철거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원주민들은 강제로 쫓겨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사회적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4. 1. 보존과 개발의 갈등

베이징의 도시화가 크게 증가하면서 1989년부터 2019년까지 많은 베이징의 ''후퉁''이 철거되었으며, 남아있는 골목들은 역사적 보존 대상으로서 관광 명소로 전환되는 경우가 많다.[5]

수백 년 된 후퉁을 포함한 많은 후퉁들이 종루와 고루, 그리고 스차하이 호수 주변에 있으며, 현대식으로 재건된 2~3층 건물들과 함께 보존되어 있다.[4][6] 이 지역에는 많은 관광객이 있으며, 이들은 대부분 자전거 택시를 타고 이 지역을 관광한다.

오늘날에도 과거와 마찬가지로 후퉁에는 유명인, 사업가, 그리고 공무원들이 거주하고 있다. 1989년 톈안먼 사건 이후, 자오쯔양은 후퉁 안에서 15년간 가택 연금을 보냈다. 자오쯔양의 후퉁은 이전에 자희태후의 이발사가 사용하던 곳이었다.[7]

오래된 베이징의 거리 풍경을 간직하고 있어, 최근에는 관광 명소로서 국내외 관광객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다. 자전거 택시를 이용한 후퉁 투어가 새로운 관광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구시가지(구성내)의 북부나 외성부를 중심으로, 아직도 많은 후퉁이 남아있다. 예를 들어, 번화가인 왕푸징이나 시단 부근에서도 한 발짝 뒷골목으로 들어가면 후퉁이 남아있다.

후퉁의 집들은 대부분 각 주거에 화장실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그 때문에 후퉁마다 공동 관리하는 화장실을 설치하고 있지만 불편한 점은 부인할 수 없다. 최근 중화인민공화국의 경제 발전과 베이징 올림픽 개최에 따른 도시 정비 및 재개발로, 보존 지구로 지정된 일부를 제외하고 개축 및 철거가 진행되고 있다.

5. 후퉁 문화

후퉁은 베이징의 중요한 문화적 요소를 나타낸다. 베이징의 오랜 역사와 6개 왕조의 수도라는 지위 덕분에 거의 모든 후퉁에는 일화가 있으며, 일부는 역사적 사건과 관련이 있다. 자금성, 이화원, 천단으로 대표되는 궁정 생활과 엘리트 문화와 대조적으로, 후퉁은 베이징 서민들의 문화를 반영한다. 후퉁은 구 베이징의 중심부를 형성하는 주거 지역이다.

2014년부터 2019년까지 "후퉁 미종"(胡同谜踪), 즉 "후퉁 레이스"라는 탐험 게임이 진행되었다. 팀은 한 도시 블록 내의 후퉁을 자세히 탐험하고 예술, 음식, 서예, 역사 및 기술을 기반으로 활동을 완료하며 종종 지역 비즈니스와 협력한다.

각 후퉁은 이름을 가지고 있다. 어떤 후퉁은 생성 이후 단 하나의 이름만 가지고 있는 반면, 다른 후퉁은 역사적으로 여러 개의 이름을 가지고 있다.

많은 ''후퉁''은 위치, 지역 랜드마크 또는 사업체를 따라 명명되었는데,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 도시 문, 예를 들어 내 서직문 후퉁은 이 ''후퉁''이 "서직문 내" 또는 "서직문 안" 지역에 위치해 있음을 나타내며, 이곳은 도시 성벽의 문인 서직문 밖의 도시 쪽에 위치해 있다.
  • 시장 및 사업체, 예를 들어 양시 후퉁(''양시''는 문자 그대로 양 시장을 의미함) 또는 이지 후퉁(비누의 현지 용어는 ''이지'')
  • 사찰, 예를 들어 관음사 후퉁(''관세음보살'' 사원임)
  • 지역 특징, 예를 들어 류수 후퉁(''류수''는 버들을 의미함)은 원래 지역 우물을 따라 "류수징 후퉁", 즉 "버드나무 우물 후퉁"으로 명명되었다.


어떤 ''후퉁''은 인물을 따라 명명되었는데, 예를 들어 몽단 후퉁(명나라 시대에 이 ''후퉁''에 거주했던 베이징 시장 몽단에서 따옴)이 있다.

다른 후퉁은 시경 후퉁(''시경''은 행복을 의미함)과 같이 일반적인 긍정적 속성을 가진 단어로 길조를 띠는 이름을 받았다.

이름이 같은 ''후퉁''이나 여러 구역으로 나뉜 더 긴 ''후퉁''은 종종 방향으로 식별된다. 예를 들어 서홍문 후퉁, 동홍문 후퉁, 남홍문 후퉁(세 ''후퉁'' 모두 2011년 기준으로 사라져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음)의 세 개의 홍문 후퉁("붉은 문 후퉁")이 있다.

대부분의 베이징 후퉁은 직선이지만, 구도만 후퉁은 열아홉 번 굽어진다. 베이신차오역 근처에 위치한 이 곳의 이름 九道弯은 문자 그대로 "아홉 번 굽이"를 의미한다.

가장 좁은 부분인 첸먼 (앞문) 근처의 첸스 후퉁은 폭이 단 40cm에 불과하다.

5. 1. 후퉁의 명칭

각 후퉁은 고유한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어떤 후퉁은 하나의 이름만 사용하지만, 다른 후퉁은 역사적으로 여러 이름을 가지기도 했다.

많은 후퉁은 위치, 지역 랜드마크, 사업체를 따라 명명되었다. 예를 들어, 내서직문 후퉁은 서직문 안쪽에 위치함을 나타내며, 양시 후퉁은 양 시장, 이지 후퉁은 비누를 의미한다. 관음사 후퉁관세음보살 사원을, 류수 후퉁은 버드나무를 따라 지어졌다.

명나라 시대 베이징 시장이었던 몽단의 이름을 딴 몽단 후퉁처럼 인물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후퉁도 있다. 시경 후퉁과 같이 길조를 띠는 이름을 가진 후퉁도 있다.

이름이 같거나 여러 구역으로 나뉜 긴 후퉁은 방향으로 식별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서홍문 후퉁, 동홍문 후퉁, 남홍문 후퉁과 같이 세 개의 홍문 후퉁("붉은 문 후퉁")이 있었다 (2011년 기준).

대부분의 베이징 후퉁은 직선이지만, 베이신차오역 근처의 구도만 후퉁은 열아홉 번 굽어진다. 가장 좁은 후퉁은 첸먼(앞문) 근처의 첸스 후퉁으로 폭이 40cm에 불과하다.

후퉁 명칭의 기원에 대해서는 몽골어우물을 의미하는 "xuttuk"의 음역이라는 설 등 여러 가지 설이 있다.

5. 2. 후퉁 레이스

5. 3. 유명인들의 거주지

참조

[1] 웹사이트 The Death and Life of Old Beijing https://web.archive.[...] 2008-12-05
[2] 서적 The Chinese Language: Its History and Current Usage https://books.google[...] Tuttle Publishing 2012-10-10
[3] 서적 Chinese Architecture: A History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4] 뉴스 Charles takes on China to save Ming dynasty houses from Beijing's concrete carbuncles https://www.theguard[...] 2008-06-05
[5] 서적 An Ecological History of Modern China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6] 웹사이트 Beijing at Warp Speed http://archrecord.co[...]
[7] 뉴스 Zhao Ziyang: Chinese Leader Who 'Came too Late' to Tiananmen Square https://www.independ[...] The Independent 2005-01-18
[8] 웹인용 The Death and Life of Old Beijing http://archrecord.co[...] 2022-09-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