훌라후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훌라후프는 허리에 돌리는 고리 모양의 장난감으로, 아메리카 원주민의 춤에서 유래되었으며, 1950년대 플라스틱 버전의 등장으로 세계적인 인기를 얻었다. 14세기 영국에서도 사용되었으며, 18세기 하와이 춤에서 "훌라"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 1950년대 후반, Wham-O사의 플라스틱 훌라후프가 성공적으로 판매되면서 세계적으로 유행했으며, 한국에서도 1958년 붐이 일었지만, 건강 문제로 인해 급격히 쇠퇴했다. 현대에는 피트니스, 서커스 공연, 댄스 등 다양한 형태로 활용되며, 불 후핑, 가중 훌라후프 등 다양한 변형도 존재한다.
훌라후프는 흔히 1950년대에 발명된 장난감으로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수천 년의 역사를 지닌 도구이다.[4] 고대 이집트나 고대 그리스에서도 다양한 형태의 후프가 사용되었으며, 아메리카 원주민 문화에서는 후프를 이용한 스토리텔링 춤이 전해져 내려온다. 14세기 영국에서는 '후핑(hooping)'이라는 이름으로 크게 유행하기도 했다.[5] '훌라후프'라는 명칭은 18세기 하와이의 훌라춤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5]
현대의 훌라후프는 PVC 파이프, 폴리프로필렌(폴리프로), 폴리에틸렌 등 다양한 재료로 직접 제작되기도 한다. 사용자의 목적과 스타일에 따라 크기와 무게가 다른 후프가 사용되는데, 일반적으로 1950년대의 것보다 크고 무거운 경향이 있다. 무겁고 큰 후프는 초보자나 느린 동작에, 가볍고 얇은 후프는 빠른 기술 구사에 유리하다.
2. 역사
현대적인 플라스틱 훌라후프는 1957년 호주에서 아이디어가 시작되어[9], 미국의 장난감 회사 Wham-O가 1958년 상품화하면서 세계적인 선풍을 일으켰다.[3][10] Wham-O는 '훌라후프'라는 이름을 상표 등록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1980년대 이후 유행은 주춤했지만, 중국, 러시아 등지에서는 서커스나 리듬 체조의 일부로 활용되었고, 1990년대 후반부터는 성인들 사이에서 '후프댄스' 또는 '후핑'이라는 새로운 형태로 다시 인기를 얻고 있다.
2. 1. 고대와 중세
훌라후프의 정확한 기원은 불분명하지만, 이미 수천 년 전부터 다양한 형태로 존재해 왔다.[4] 오늘날 흔히 볼 수 있는 플라스틱 장난감 형태가 등장하기 전에는 말린 버드나무, 등나무, 포도 덩굴이나 뻣뻣한 풀 등을 엮어 만들었다.[4]
기록에 따르면 약 3000년 전 고대 이집트에서는 아이들이 포도 덩굴로 만든 큰 고리를 막대기로 땅 위에서 굴리며 놀았다고 한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체중 감량을 위한 운동 목적으로 고리 모양의 기구 사용을 권장하기도 했다. 역사를 통틀어 전 세계의 아이들은 다양한 재질의 고리를 돌리거나 굴리고 던지며 놀이에 활용했다.
14세기 영국에서는 나무나 금속으로 만든 훌라후프 놀이가 크게 유행했으며, 이를 '후핑(hooping)'이라 불렀다. 작가 찰스 파나티는 당시 의사들이 허리 통증, 허리 탈구, 심지어 심부전과 같은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훌라후프를 사용했다는 기록을 남겼다.[5]
2. 2. 훌라후프 명칭의 유래
18세기 전반, 하와이를 방문한 뱃사람들은 훌라춤과 당시 유행하던 고리 돌리기(후핑) 사이에 유사점을 발견했다. 이들은 훌라춤의 '훌라'와 고리를 뜻하는 '후프(hoop)'를 결합하여 '훌라후프'라는 이름을 만들었다.
이후 장난감 회사 Wham-O는 1957년에 플라스틱으로 만든 후프를 출시하면서 '훌라후프'라는 명칭을 상표 등록했다. 이를 통해 Wham-O는 상품명을 법적으로 보호받았고, 이는 훌라후프가 특정 상품명으로 널리 알려지는 계기가 되었다.
2. 3. 현대의 훌라후프
훌라후프는 1950년대 후반 Wham-O 사가 플라스틱 버전을 성공적으로 판매하면서 국제적인 인기를 얻었다. 이전에도 덩굴 등으로 만든 후프는 아이들의 장난감으로 존재했으며, 1957년 노르웨이 스테잉케르에서는 아이들 사이에서 몸으로 돌리는 후프 놀이가 유행하여 영국 언론에 "바위 고리"로 소개되기도 했다.[6] 같은 해 호주에서도 여학생들이 후프를 사용했으며,[7] 이것이 "훌라후프"라는 이름으로 미국에 처음 알려졌다.[8]
Tim Walsh의 저서에 따르면, 플라스틱 훌라후프의 아이디어는 호주에서 시작되었다고 한다.[9] 시드니의 한 교사가 체육 수업에서 대나무 후프 돌리기를 가르쳤고, 이것이 인기를 끌자 호주의 콜스 백화점에서 판매하기 시작했다. 수요가 늘자 콜스는 장난감 제작자 알렉스 톨머(Alex Tolmer, Toltoys 설립자)에게 대량 생산을 의뢰했다. 톨머는 1957년, 기존 플라스틱보다 강하고 덜 깨지는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여 다양한 색상의 가벼운 플라스틱 후프를 2USD 미만에 판매했으며, 그해 호주에서만 40만 개를 판매했다.[9] Toltoys는 미국의 Wham-O와 협력 관계를 맺고 있었고, Wham-O는 이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자체 제품을 개발했다.
Wham-O의 창업자 Richard Knerr와 Arthur "Spud" Melin은 Toltoys의 디자인을 개선하여 Marlex라는 플라스틱으로 약 106.68cm 직경의 후프를 만들었다. 그들은 훌라후프 자체에 대한 특허는 받지 못했지만(후프 자체는 오래된 발명품이므로), "훌라후프"라는 명칭을 상표 등록하여 시장을 선점했다. 1958년 6월 16일, 로스앤젤레스의 백화점에서 "Wham-O의 훌라후프"가 1.98USD에 처음 판매되었다.[10] 대대적인 마케팅을 통해 훌라후프는 1958년 7월부터 미국 전역에서 폭발적인 유행을 일으켰다.[11][12] 출시 4개월 만에 2천 5백만 개가 팔렸고, 2년 동안 판매량은 1억 개를 넘어섰다.[3] 칼론 프로덕츠 코퍼레이션(Carlon Products Corporation)과 같은 다른 회사들도 훌라후프 생산에 뛰어들었다.
그러나 1960년대 초반 유행이 사그라들면서 재고가 넘쳐나자 Wham-O는 1965년까지 생산을 중단했다. 이후 실린더에 볼 베어링을 넣어 돌릴 때 소리가 나는 새로운 버전의 훌라후프를 출시했다. 훌라후프는 1999년 뉴욕주 로체스터에 있는 더 스트롱 국립 놀이 박물관의 국립 장난감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훌라후프 열풍은 전 세계적으로 퍼졌다가 1980년대에는 대부분의 지역에서 인기가 식었지만, 중국과 러시아에서는 전통적인 서커스 기술과 리듬 체조의 일부로 받아들여져 명맥을 유지했다. 1990년대 중후반, 훌라후핑은 성인들을 위한 새로운 형태의 활동으로 다시 주목받기 시작했는데, 이는 어린이들의 놀이와 구분하기 위해 "후프댄스"(hoopdanceeng) 또는 단순히 "후핑"(hoopingeng)이라고 불렸다. 미국의 잼 밴드인 The String Cheese Incident는 공연 중 관객에게 성인용 크기의 후프를 던져주며 후핑을 장려했고, 이는 후프댄스에 대한 관심을 다시 불러일으키는 데 기여했다. 2003년에는 후퍼들을 위한 웹사이트 Hooping.org가 개설되어 온라인 커뮤니티 형성을 도왔고, 샌프란시스코의 베이 에어리어 후퍼스(Bay Area Hoopers)와 같은 그룹들이 정기적인 "후프 잼" 모임을 열면서 전 세계적으로 유사한 커뮤니티가 생겨났다. 2007년에는 첫 번째 세계 후프의 날(World Hoop Day)이 개최되었다. 현대의 훌라후핑은 미국, 영국, 호주, 유럽 등지의 다양한 축제와 행사에서 공연 및 여가 활동으로 자리 잡았다.
3. 훌라후프의 다양한 활용
후프 표면은 시각적 효과나 그립감 향상을 위해 다양한 종류의 테이프(천, 플라스틱, 가퍼 테이프 등)로 마감 처리된다. 야광, 패턴, 반짝이는 테이프를 사용하거나, LED 조명을 내장하여 어두운 곳에서 공연 효과를 높이기도 한다. 최근에는 모바일 기기로 제어 가능한 프로그래밍 '스마트 후프'도 등장했다.
훌라후프는 단순한 놀이를 넘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현대 후핑은 몸에 붙이거나(온 바디) 몸에서 떨어뜨려(오프 바디) 조작하는 등 광범위한 기술(브레이크, 아이솔레이션, 다리 후핑, 더블 후핑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발전했다.
전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피트니스 활동으로 자리 잡았으며,[13] 운동 효과를 높이기 위해 약 0.68kg에서 약 3.63kg 사이의 무게를 가진 가중 훌라후프도 사용된다.[14]
서커스 공연의 소품으로 활용되어 고난도 연기를 선보이거나, 음악과 결합된 후프 댄스 형태로 발전하기도 했다.
특수한 활용 예로는 후프 외부에 케블라 심지를 달아 불을 붙여 공연하는 '불 후핑'이 있으며,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접이식 훌라후프도 개발되었다.
3. 1. 훌라후프 댄스
아메리카 원주민의 훌라후프 댄스는 소품으로 훌라후프를 사용하는 스토리텔링 춤의 한 형태이다. 이 소품들은 다양한 동물, 상징, 스토리텔링 요소를 나타내는 정적 및 동적 형태를 만드는 데 사용된다. 이 춤은 일반적으로 여러 개의 훌라후프를 가진 솔로 댄서가 공연한다.
흔히 알려진 플라스틱 장난감 형태 이전의 전통적인 "훌라후프"는 말린 버드나무, 등나무, 포도 덩굴 또는 뻣뻣한 풀로 만들어졌다. 수천 년 동안 존재해 왔지만, 종종 1950년대에 발명되었다는 잘못된 믿음이 있다.[4] 작가 찰스 파나티는 14세기 영국에서 나무와 금속 훌라후프 사용이 유행했으며, 의사들이 이를 이용해 환자를 치료했다는 기록을 언급한다.[5] 파나티는 또한 "훌라"라는 이름이 유사한 엉덩이 움직임 때문에 18세기 하와이 춤에서 유래했다고 설명한다.[5]
2000년경부터 미국의 블루그래스 계열 록 밴드인 The String Cheese Incident의 무대에 훌라후프를 돌리는 댄서가 등장하면서 현대적인 후프 댄스의 흐름이 시작되었다. 밴드 멤버가 콘서트장에서 팬들에게 훌라후프를 나눠주며 인기를 끌었고, 이를 계기로 "후프 댄스"라는 뉴에이지 장르의 흐름이 형성되었다. 최근에는 이것이 하나의 문화적 현상으로 자리 잡아 팝 문화뿐만 아니라 다이어트, 명상 분야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네바다주 블랙록 사막에서 매년 열리는 "버닝 맨" 축제는 후핑(hooping)과 후프 댄스를 더욱 선도적인 문화로 확산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다.
21세기의 새로운 후퍼들은 과거 어린이용 완구와 달리, 폴리에틸렌 튜브로 더 크고 무거운 후프를 직접 제작하여 사용한다. 이 후프는 일반적으로 비닐 테이프 등으로 감겨 있으며, 공연자의 격렬한 움직임에도 견딜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큰 사이즈의 후프는 돌리기가 더 용이하다. 감는 테이프는 다채로운 색상으로 꾸며지며, 야광 물질이나 LED 조명, 홀로그램 테이프 등을 부착하여 개성을 더하기도 한다.
또한, 많은 후퍼들이 가솔린을 적신 섬유 심지를 후프 바깥쪽에 부착하여 불을 붙이는 "파이어 후프(fire hoop)" 퍼포먼스를 선보이기 시작했다. 최근 뮤직 비디오 등에서도 후프 댄스와 함께 파이어 후프 공연이 자주 등장하고 있다.
3. 2. 서커스 공연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전 세계의 서커스 공연에 훌라후프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특히 러시아와 중국의 공연자들은 훌라후프를 이용해 고난도의 연기를 선보였다. 이러한 공연들은 현대 서커스 공연자들에게 영향을 주었으며, 대표적인 예로 오스트레일리아의 서커스 코미디언이자 훌라후프 역사가인 주디스 라니간은 30개의 훌라후프를 사용하여 "백조의 죽음"을 연기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태양의 서커스의 유명 공연인 "알레그리아" 등에서도 여러 명의 훌라후프 공연자들이 출연하고 있으며, 뮤테이터와 같은 그룹의 퍼포먼스에서도 후프를 활용한 공연을 볼 수 있다.
3. 3. 피트니스 및 운동
후핑은 인기 있는 피트니스 활동으로 자리 잡아, 전 세계 여러 도시에서 관련 수업이 진행되고 있다.[13] 특히 운동 효과를 높이기 위해 약 0.68kg에서 약 3.63kg 사이의 무게를 가진 가중 훌라후프가 사용되기도 한다. 이 무거운 후프는 주로 플라스틱이나 패딩 처리된 강철로 만들어지며, 체중 감량 프로그램에 활용되거나 음악과 함께 반복적인 동작을 통해 운동에 재미를 더하는 데 쓰인다.[14]
2000년대 들어서는 미국의 블루그래스 계열 록 밴드인 The String Cheese Incident의 공연에 훌라후프 댄서가 등장하고, 밴드가 팬들에게 훌라후프를 나눠주면서 대중적인 관심을 받기 시작했다. 이는 "후프 댄스"라는 뉴에이지 문화의 흐름으로 이어졌고, 팝 문화 속에서 다이어트나 명상의 도구로까지 활용되며 영향력을 넓혔다. 미국 네바다주 블랙록 사막에서 열리는 버닝 맨 축제는 후핑과 후프 댄스를 더욱 선도적인 문화 현상으로 확산시키는 데 기여했다.
현대의 후핑은 단순히 허리에 돌리는 것을 넘어 다양한 기술을 포함한다. 후프를 몸에 붙여 돌리는 '온 바디(on body)' 동작과 몸에서 떨어뜨려 조작하는 '오프 바디(off body)' 동작으로 나뉘며, 브레이크, 아이솔레이션, 다리 후핑, 여러 개의 후프를 동시에 사용하는 더블 후핑 등 다채로운 기술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현대 후핑과 댄스에 사용되는 후프는 과거의 어린이용 장난감과는 다르다. 많은 후퍼들은 PVC 파이프, 폴리프로필렌(폴리프로), 폴리에틸렌 튜브 등으로 직접 후프를 제작하는데, 이는 1950년대의 후프보다 크고 무거운 경향이 있다. 후프의 크기와 무게는 스타일에 따라 선택되는데, 무겁고 큰 후프는 초보자나 느린 동작에, 가볍고 얇은 후프는 빠른 손기술에 주로 사용된다. 후프 표면은 천이나 플라스틱 테이프로 감싸 시각적 효과를 더하거나, 가퍼 테이프를 안쪽에 붙여 그립감을 높이기도 한다. 야광, 패턴, 반짝이는 테이프, LED 조명 등을 활용하여 개성을 표현하며, 모바일 앱으로 제어 가능한 프로그래밍 '스마트 후프'도 등장했다.
특수한 형태의 후핑으로는 '불 후핑'이 있다. 후프 외부에 케블라 섬유로 만든 심지를 부착하고 연료를 적셔 불을 붙인 상태로 공연하는 방식이다. 휴대와 보관이 용이하도록 접이식 훌라후프도 개발되었다.
3. 4. 기타
2000년경부터 미국 블루그래스 계열 록 밴드인 The String Cheese Incident의 무대에 훌라후프를 돌리는 댄서가 등장하면서 새로운 흐름이 시작되었다. 밴드 멤버들이 콘서트 회장에서 팬들에게 훌라후프를 나눠주며 인기를 끌었다. 이를 이어받은 사람들이 "후프 댄스"라는 뉴에이지 장르의 흐름을 일으켰고, 최근에는 이것이 하나의 문화 현상이 되어 팝 문화뿐만 아니라 다이어트, 명상 분야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네바다주의 블랙록 사막에서 매년 개최되는 버닝 맨 축제를 통해 후핑(hooping)과 후프 댄스는 더욱 선도적인 컬처로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21세기의 뉴에이지 후퍼들은 과거 어린이용 완구인 훌라후프와는 다른, 폴리에틸렌 튜브로 만든 더 크고 무거운 후프를 사용한다. 이 후프는 일반적으로 비닐 테이프 등으로 감겨 있으며, 퍼포머가 격렬한 퍼포먼스를 해도 견딜 수 있도록 제작된다. 또한 큰 사이즈 덕분에 돌리기가 더 쉬운 경향이 있다. 후프를 감는 테이프는 다채로운 색상으로 꾸며지며, 야광(축광) 기능이나 LED 라이트 부착, 또는 홀로그램 테이프 등을 사용하여 더욱 개성적으로 만들기도 한다.
또한 많은 후퍼들이 가솔린을 적셔 불꽃을 붙인 섬유로 만들어진 심지를 후프 바깥쪽에 부착한 "파이어 후프"를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최근의 뮤직 비디오에는 "후프 댄스"와 함께 파이어 후프 퍼포먼스가 많이 등장하고 있다.
훌라후프는 돌리는 것 외에 다음과 같은 놀이에도 활용될 수 있다.
4. 한국에서의 훌라후프
'''한국에서의 훌라후프''' 유행에 대한 정보는 제공된 자료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4. 1. 1950년대의 붐과 몰락
훌라후프는 1950년대 후반에 국제적인 인기를 얻었는데, 이는 Wham-O 사의 플라스틱 버전이 성공적으로 판매되면서 시작되었다. 원래 덩굴로 만든 후프는 아이들이 땅에 굴리거나 몸으로 돌리며 노는 장난감이었다. 1957년, 노르웨이 스테잉케르의 아이들 사이에서 "바위 고리"라 불리는 놀이가 유행했는데, 이는 서커스 공연에서 영감을 받아 덩굴 고리를 돌리는 것이었다.[6] 같은 해 여름, 호주 여학생들도 후프를 사용했으며,[7] 이때 "훌라후프"라는 이름으로 처음 미국에 알려졌는데, 이는 허리를 흔들어 후프를 돌리는 모습에서 유래한 이름이다.[8]대나무 후프에서 플라스틱 후프로의 전환은 호주에서 시작되었다. 시드니의 한 교사가 학생들에게 대나무 후프 돌리기를 가르쳤고, 이것이 인기를 끌자 콜스 백화점에서 판매하기 시작했다. 수요가 급증하자 콜스는 장난감 제작자 알렉스 톨머(Alex Tolmer, Toltoys 설립자)에게 대량 생산을 의뢰했다. 톨머는 1957년, 기존 플라스틱보다 강하고 덜 깨지는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여 다양한 색상의 가벼운 플라스틱 후프를 2USD 미만에 판매했다. Toltoys는 1957년 한 해에만 호주에서 40만 개의 플라스틱 후프를 판매했다.[9] Toltoys는 이미 미국의 Wham-O와 협력 관계를 맺고 있었고, 톨머는 로열티 대신 Wham-O에게 호주 어린이 병원 후원을 요청했다. 1958년까지 Wham-O의 플라스틱 후프는 캘리포니아에서 사용되기 시작했고, 이후 미국 전역과 세계로 유행이 퍼져나갔다.
Wham-O의 Richard Knerr와 Arthur "Spud" Melin은 Toltoys의 디자인을 개선하여 Marlex 플라스틱으로 만든 직경 약 106.68cm의 후프를 생산했다. 1958년 6월 16일, 로스앤젤레스의 백화점에서 "Wham-O의 훌라후프"라는 이름으로 1.98USD에 처음 광고 및 판매되었다.[10] Wham-O의 적극적인 마케팅과 소매 전략 덕분에 1958년 7월부터 본격적인 유행이 시작되어,[11][12] 4개월도 안 되어 2천 5백만 개가 팔렸고, 2년 만에 판매량은 1억 개를 넘어섰다.[3] 칼론 프로덕츠 코퍼레이션(Carlon Products Corporation)도 초기 제조업체 중 하나로, 1950년대 동안 하루에 5만 개 이상의 훌라후프를 생산했다.

1958년 미국에서의 대유행은 일본에도 영향을 미쳐, 같은 해 10월 18일 도쿄도의 여러 백화점에서 일제히 판매가 시작되었다. 세키스이 화학(積水化学)의 폴리에틸렌 관을 미국 회사가 가공하여 역수입한 것으로, 가격은 어른용이 270JPY, 어린이용이 200JPY였다. 하루 2만 개씩 팔려나가 한 달 만에 80만 개가 판매되었고, 일본 전역에서 폭발적인 붐을 일으켰다. 인기로 인해 품귀 현상이 발생하자 마루산 상점(マルサン商店) 등 다른 회사들도 생산에 참여했으며, 소매상이 자체적으로 폴리에틸렌 호스를 연결하여 150JPY에 판매하기도 했다.[17][18] 당시에는 "훌라 후프"라는 표기도 사용되었다.[19]
훌라후프는 미용과 건강에 좋다고 선전되어 어린이뿐 아니라 어른들도 즐겼고, 관련 경기 대회도 열렸다. 인기에 힘입어 닛카츠(日活)는 훌라후프를 소재로 한 영화 《달은 지구를 돈다》(月は地球を廻ってる)를 1959년 1월 22일에 개봉했고, 일본 컬럼비아(日本コロムビア)는 나카지마 소노미(中島そのみ)가 부른 레코드 "훌라 후프 송"(フラ・フープ・ソング)을 발매하여 한 달 만에 3만 장을 판매했다.[20]
그러나 일본에서의 붐은 오래가지 못했다. 11월 18일, 훌라후프 사용으로 인한 것으로 추정되는 위 천공 환자 발생 사건과 더불어, 요코하마시와 고베시에서 길거리에서 훌라후프를 하던 어린이가 교통 사고를 당하는 일이 발생하면서 경찰청이 문제 삼기 시작했다. 21일에는 지바현에서 소년 3명이 장 염전 등 내장 장애를 호소하는 사례가 보고되자, 지바현 토가네시(東金市)립 토가네 초등학교는 11월 22일 어린이들에게 훌라후프 금지령을 내렸다. 미야기현 교육위원회도 경고하고 후생성이 건강 영향 검토에 나서면서 붐은 급속히 식었다. 결국 40일도 채 안 되어 1958년 일본의 훌라후프 붐은 막을 내렸다.[21] 이러한 건강 문제 우려는 2년 전 유행했던 호핑(위하수, 골막염 유발 논란)의 사례와 유사했다.[22] (훗날 훌라후프와 장 염전 등의 직접적인 인과관계는 과학적으로 부정되었으며, 2010년 토가네시는 이를 기념하는 훌라후프 기념비를 세웠다.) 1971년 일본에서는 하이젝스(ハイゼックス) 소재에 방울을 단 훌라후프가 재출시되기도 했다.
세계적인 훌라후프 열풍은 점차 사그라들었고, 과잉 재고 문제가 발생하자 Wham-O는 1965년까지 생산을 중단했다. 이후 Wham-O는 실린더에 볼 베어링을 넣어 소리가 나게 만든 새로운 버전의 훌라후프를 출시하기도 했다. 훌라후프는 1999년 뉴욕 로체스터의 더 스트롱에 있는 국립 장난감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4. 2. 대중문화 속 훌라후프
- 1958년 9월 6일, 가수 조지아 깁스는 미국의 TV 프로그램 ''에드 설리번 쇼''에 출연하여 "The Hula Hoop Song"을 불렀다. 이 곡은 그녀의 마지막 미국 톱 40 히트곡이었으며, 당시 유행에 편승해 만들어진 다른 네 곡과 경쟁했다.[15]
- 훌라후프는 1958년 앨빈과 슈퍼스타의 노래 "The Chipmunk Song (Christmas Don't Be Late)" 가사에 언급되었다. 또한 Emson의 라이선스 하에 Wayout Toys는 훌라후프를 돌리며 훌라후프를 갖고 싶다는 노래를 부르는 앨빈 훌라후프 인형을 출시하기도 했다.
- 빌리 조엘은 1989년에 발표한 노래 "We Didn't Start The Fire"의 가사에서 "Hula hoops"라고 언급하며 당시의 시대상을 담았다.
- 코언 형제 감독의 1994년 코미디 영화 ''허드서커 대리인''은 주가 조작 계획의 일환으로 제조 회사 사장이 된 우편실 직원(팀 로빈스)이 우연히 훌라후프를 발명하게 되는 허구의 이야기를 다룬다.
- 2000년대 초반, 미국의 블루그래스 기반 록 밴드인 The String Cheese Incident의 공연 무대에 훌라후프를 돌리는 댄서가 등장하면서 새로운 관심을 받기 시작했다. 밴드 멤버들이 콘서트장에서 팬들에게 훌라후프를 나눠주며 함께 즐기는 문화가 퍼져나갔고, 이는 이후 "후프 댄스"라는 뉴에이지 문화 흐름으로 이어져 팝 문화뿐만 아니라 다이어트, 명상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네바다주 블랙록 사막에서 매년 열리는 버닝 맨 축제는 후핑과 후프 댄스를 더욱 선도적인 문화 현상으로 확산시키는 데 기여했다.
- 훌라후프는 Wii Fit 게임 시리즈에서 에어로빅 미니 게임으로 등장한다.
- 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의 영화 ''월-E'' 제작 중 공개된 클립에서는 주인공 월-E가 훌라후프를 처음 발견하고 목에 걸고 돌리는 모습이 나온다.
- 아티스트 켈러 윌리엄스는 훌라후프에 대한 애정을 담은 "Hula Hoop to the Loop"이라는 노래를 발표했다.
- TV 시리즈 ''M*A*S*H''의 마지막 시즌 에피소드 "누가 알았을까?(Who Knew?)"에서는 클링거 상사가 아이들이 나무 고리를 가지고 노는 것을 보고 금속 튜브로 훌라후프와 유사한 장난감을 만드는 장면이 나온다. 그는 윈체스터 소령에게 생산 자금 지원을 요청하지만 거절당한다.
- 영국 노팅엄에서는 2020년 뱅크시가 그린 거리 예술 작품 ''훌라후프를 하는 소녀''가 발견되었다. 이 작품은 자전거 타이어로 훌라후프를 하는 어린 소녀를 묘사한다.
'''일본에서의 유행과 문화적 영향'''
1958년 미국에서의 대유행에 힘입어 같은 해 10월 18일, 도쿄의 주요 백화점에서 훌라후프가 일제히 판매되기 시작했다. 세키스이 화학의 폴리에틸렌 관을 미국 회사가 가공하여 역수입한 형태로, 가격은 어른용이 270엔, 어린이용이 200엔이었다. 초기에는 하루 2만 개씩 팔려나가 한 달 만에 80만 개가 판매될 정도로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다. 구매를 위해 가게 앞에 줄을 서는 진풍경이 벌어졌고, 전국적인 붐을 일으켰다. 품귀 현상이 나타나자 마루산 상점 등 다른 회사들도 생산에 참여했으며, 일부 소매상은 자체적으로 폴리에틸렌 호스를 연결해 150엔에 판매하기도 했다.[17][18] 당시에는 '훌라 후프'라는 표기도 사용되었다.[19]
훌라후프는 미용과 건강에 좋다는 홍보와 함께 어린이뿐 아니라 어른들에게도 큰 인기를 얻었으며, 관련 경연 대회도 열렸다. 이러한 인기에 힘입어 영화사 닛카츠는 훌라후프를 소재로 한 영화 '달은 지구를 돈다(月は地球を廻ってる)'를 1959년 1월 22일에 개봉했고, 일본 컬럼비아는 "훌라 후프 송" 음반을 발매했다. 나카지마 소노미가 부른 이 음반은 한 달 만에 3만 장이 팔렸다.[20] 하지만 훌라후프 붐이 단기간에 끝나면서 영화 '달은 지구를 돈다'는 흥행에 실패했다.[20]
그러나, 11월 18일 훌라후프 사용으로 인한 것으로 추정되는 위 천공 환자 발생 사건과 요코하마시, 고베시 등에서 길거리 훌라후프 놀이 중 어린이가 교통 사고를 당하는 일이 연이어 발생하면서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었다. 경찰청도 이를 문제 삼았고, 21일에는 지바현에서 소년 3명이 장 염전 등 내장 장애를 호소하는 사례가 보고되자, 지바현 토가네시립 토가네 초등학교는 11월 22일 학생들에게 훌라후프 금지령을 내렸다. 미야기현 교육위원회의 경고와 후생성의 건강 영향 검토 착수 소식이 알려지면서 붐은 급격히 식었다. 결국 1958년 일본의 훌라후프 붐은 40일도 채 되지 않아 막을 내렸다.[21] 이는 2년 전 유행했던 호핑 장난감이 위하수와 골막염을 유발한다는 논란으로 쇠퇴한 것과 유사한 사례였다.[22] 이후 일본의 대중적인 장난감 붐은 1960년 닷코짱 인형으로 이어졌다.[23]
훗날 장 염전 등 보고된 증상과 훌라후프의 직접적인 인과 관계는 과학적으로 근거가 부족한 것으로 밝혀졌다. 2010년 11월, 토가네시는 이러한 역사적 해프닝을 기억하기 위해 시 중앙 공원에 훌라후프 기념비를 세웠다.
일본 빅터는 훌라후프 장시간 레이스용 레코드로 기존 곡을 메들리 형식으로 녹음한 '이것이 훌라 후프!(これがフラ・フープ!)'(연주: 아리마 토루와 노체 쿠바나, 브라이트 리듬 보이즈)를 발매하고, 흥안환 선박을 빌려 훌라후프 대회까지 열었으나, 붐이 급속히 끝나면서 계획은 실패로 돌아갔다.[24]
1971년에는 하이젝스 소재를 사용하고 방울을 단 새로운 훌라후프가 출시되어 다시 한번 붐을 일으키려 시도하기도 했다.
'''훌라후프 관련 노래'''
제목 | 발표 연도 | 가수/연주자 | 비고 |
---|---|---|---|
The Hula Hoop Song | 1958 | 조지아 깁스 | 미국 히트곡[25]. 스티브 앨런, 테레사 브루어, 모린 에반스 등도 녹음. |
The Hula Hoop Song (일본어 버전) | 1958 | 나카지마 소노미 (노래), 스윙 웨스트 (반주) | 일본 컬럼비아 발매. 이토 유카리(킹레코드), 미즈타니 료코(일본 빅터) 버전도 존재.[24] 나카지마 소노미는 목소리가 테레사 브루어와 비슷하여 기용됨.[20] |
Hoopa Hoola (With A Hula-Hoop) | 1958 | 베티 존슨 | |
돌리면 돌아가 (廻せば廻る) | 1958 | 나카지마 소노미 | 일본 창작 훌라후프 곡 1호. 작사/작곡: 핫토리 레이몬드. |
훌라후프 로망스 (フラ・フープ・ロマンス) | 1958 | 시라네 카즈오, 쿠사바 히카루 | |
세계를 도는 훌라후프 (世界を廻るフラフープ) | 1958 | 카네코 토미에 | |
샤미센 훌라후프 (三味線フラフープ) | 1958 | 카구라자카 우키코 | |
이것이 훌라 후프! (これがフラ・フープ!) | 1958 | 아리마 토루와 노체 쿠바나, 브라이트 리듬 보이즈 | 일본 빅터 발매. 훌라후프 장시간 레이스용 메들리 레코드 (규격 품번: EV-107. A면: "훌라 후프 메들리", B면: "세계 일주 훌라 후프"). |
커다란 고리가 있다면 (おおきなわがあれば) | 1991 | (NHK 어머니와 함께 삽입곡) | 훌라후프 놀이 소개 곡. |
Hula Hoop | 2015 | 오미 |
4. 3. 현재의 훌라후프
2000년경부터 미국의 블루그래스 계 록 밴드인 The String Cheese Incident의 무대에 훌라후프를 돌리는 댄서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 밴드의 멤버들이 콘서트 현장에서 팬들에게 훌라후프를 나누어 주면서 인기를 끌게 되었다. 이를 계기로 "후프 댄스(Hoop Dance)"라는 뉴에이지 문화의 흐름이 생겨났으며, 최근에는 이러한 흐름이 하나의 문화적 물결을 이루어 팝 문화뿐만 아니라 다이어트, 명상 분야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네바다주의 블랙록 사막에서 매년 열리는 버닝 맨(Burning Man) 축제를 통해 후핑(Hooping)과 후프 댄스는 더욱 주목받는 문화 현상으로 확산되고 있다.이러한 흐름 속의 후퍼들은 과거 어린이용 완구였던 훌라후프와는 다른 형태의 후프를 사용한다. 이들은 폴리에틸렌 튜브를 이용하여 더 크고 무거운 후프를 직접 제작한다. 이 후프들은 일반적으로 비닐 테이프 등으로 감겨 있어, 공연자의 격렬한 움직임에도 견딜 수 있도록 내구성이 강화되었다. 또한, 큰 크기의 후프는 돌리기가 더 용이하다. 후프를 감싸는 테이프는 다채로운 색상으로 꾸며지며, 야광 효과를 내는 축광 테이프, LED 라이트, 홀로그램 테이프 등을 사용하여 개성을 더하기도 한다.
더 나아가 많은 후퍼들이 "파이어 후프"(Fire Hoop)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는 가솔린 등을 적신 섬유 심지에 불꽃을 붙여 사용하는 방식이다. 최근 뮤직 비디오에서는 후프 댄스와 함께 파이어 후프 공연이 자주 등장한다.
5. 세계 기록
훌라후프와 관련된 다양한 세계 기록이 존재한다.
훌라후프를 가장 오랫동안 돌린 기록으로는 1976년 8월 19일, 당시 8세였던 메리 제인 프리즈가 후핑 지구력 콘테스트에서 10시간 47분을 기록하며 우승한 사례가 있다.[1] 이후 1987년 4월 2일부터 6일까지 미국의 로산 로즈가 90시간 동안 훌라후프를 계속 돌린 기록을 세웠다.[2]
가장 많은 사람이 동시에 훌라후프를 돌린 기록은 2000년 10월 28일 대만의 창첸 스타디움에서 세워졌는데, 2,290명이 최소 2분 동안 동시에 훌라후프를 돌렸다.[3] 한 사람이 가장 많은 훌라후프를 동시에 돌린 기록은 2005년 6월 4일 오스트레일리아의 카레나 오츠가 세운 100개이다.[4] 가장 큰 훌라후프를 성공적으로 돌린 기록은 2017년 일본의 야마다 유야가 지름 5.14m의 후프를 돌린 것이다.[5]
일본의 연예인 츠지 노조미와 카고 아이 역시 훌라후프 세계 기록을 보유한 적이 있으며, 이 기록은 기네스북 2005년판에 등재되었다. 내용은 원주 12.8m의 훌라후프를 30초 동안 돌린 것이다.[6]
허리로 훌라후프를 돌리면서 달리는 경기의 기록은 다음과 같다.[7]
종목 | 기록 | 기록 보유자 |
---|---|---|
100m | 13.84초 | 로만 셰둘러 (오스트리아) |
약 1.61km | 7분 47초 | 폴 블레어 (미국) |
10km (남자) | 1시간 6분 35초 | 폴 블레어 (미국) |
10km (여자) | 1시간 43분 | 베티 후프스 |
또한, 2000년 오스트레일리아 브레겐츠에서 열린 제5회 색소니아 레코드 대회에서는 로만 셰둘러가 약 24.04kg 무게의 트랙터 타이어를 후프처럼 사용하여 71초 동안 돌리는 기록을 세웠다.[8]
참조
[1]
서적
Timeless Toys: Classic Toys and the Playmakers Who Created Them
https://books.google[...]
Andrews McMeel Publishing
2005-10
[2]
웹사이트
Who Invented the Hula Hoop? Joan Anderson Did. - The Atlantic
https://www.theatlan[...]
2024-09-18
[3]
웹사이트
Background, history, raw materials, design, and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hula hoops
http://www.madehow.c[...]
Madehow.com
2011-05-23
[4]
웹사이트
Hula Hoop History
http://www.ideafinde[...]
The Great Idea Finder
2012-06-22
[5]
서적
The Extraordinary Origins of Everyday Things
William Morrow Paperbacks / HarperCollins
[6]
뉴스
New Craze Is Rock and Ring
https://www.newspape[...]
Liverpool Echo
1957-08-07
[7]
뉴스
The Cane Means Fun
https://www.newspape[...]
The Age
1957-07-20
[8]
뉴스
Hula Hoop Of Cane All Rage in Australia
The Tampa Tribune
1957-12-03
[9]
서적
The Playmakers: Amazing Origins of Timeless Toys
Keys Publishing
[10]
광고
Advertisement
https://www.newspape[...]
Los Angeles Mirror
1958-06-16
[11]
서적
The nature of marketing: marketing to the swarm as well as the herd
Palgrave Macmillan
[1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1950s
Greenwood Publishing Group
[13]
웹사이트
Beginners guide to learning hula hooping
http://infinitecircl[...]
2017-08-06
[14]
웹사이트
WEIGHTED HULA HOOP AND HOW TO USE IT FOR EXERCISE
https://curvygirljou[...]
2022-01-15
[15]
서적
Great Pretenders: My Strange Love Affair with '50s Pop Music
Simon and Schuster
[16]
웹사이트
Hula-Hoopの意味
https://kotobank.jp/[...]
英和辞典 - コトバンク
[17]
서적
少年ブーム 昭和レトロの流行もの
晶文社
[18]
서적
マルサン物語 玩具黄金時代伝説
朝日新聞出版
[19]
뉴스
朝日新聞
朝日新聞
1958-11-10
[20]
간행물
週刊東京
週刊東京
1959-09-26
[21]
뉴스
asahi.com(朝日新聞社):フラフープ再び回れ 下火きっかけの地、ブーム復活狙う - 社会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010-11-28
[22]
서적
現代世相風俗史年表:1945-2008
河出書房新社
[23]
서적
昭和玩具文化史
住宅新報社
[24]
서적
S盤アワーわが青春のポップス
アドパックセンター
[25]
뉴스
中島そのみが吹込み コロムビア フラ・フープ・ソング
読売新聞
1958-10-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