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훙마오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훙마오성은 타이완 단수이에 위치한 역사적인 요새로, 스페인, 네덜란드, 정씨 왕조, 청나라, 영국 등 여러 시대를 거치며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다. 1626년 스페인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이후 네덜란드에 점령되어 안토니 요새로 개축되었다. 정성공이 네덜란드를 몰아낸 후, 청나라 시대에는 방치되다가 19세기 개항 이후 영국 영사관으로 사용되었다. 1972년 영국이 중화인민공화국을 승인하면서 중화민국에 반환되었고, 현재는 국가 일급 고적으로 지정되어 박물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만의 성 - 츠칸러우
    츠칸러우는 타이난시에 위치한 역사적인 건축물로,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가 건설한 요새를 기반으로 세워졌으며, 다양한 세력의 각축장이었던 타이난의 역사를 간직하고, 정성공 시대에는 행정 중심지였으며, 현재는 타이난 시립 박물관으로 활용되어 대만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랜드마크이다.
  • 1644년 완공된 건축물 - 능가사
    능가사는 신라 눌지왕 때 아도화상이 창건하고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후 정현대사가 중건한 사찰로, 대웅전, 동종, 목조석가여래삼존상 및 십육나한상 일괄, 사적비 등의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다.
  • 1644년 완공된 건축물 - 지그문트 3세 바사 기둥
    지그문트 3세 바사 기둥은 브와디스와프 4세 바사가 부왕을 기리기 위해 1643년에 건설한 기념물이며, 로마 기둥을 본떠 제작되었고 왕의 권력을 상징하며 바르샤바에 위치해 있다.
훙마오성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공식 영사관 포트 산토 도밍고
포트 산토 도밍고
다른 이름聖多明哥城 (Sèng To-bêng-ko Siâⁿ)
스페인어 이름el Fuerte de Santo Domingo (산토 도밍고 요새)
네덜란드어 이름Fort Antonio
위치담수구, 신베이시, 타이완
좌표25°10′29.76″ N 121°26′01.88″ E
상세 정보
유형요새
건설 시작1644년
건설 주체스페인 동인도 (철거된 구조물),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현존하는 구조물)
사용 재료불명
상태양호
사건담수 전투
현재 관리자불명
지정불명
웹사이트포트 산토 도밍고
추가 정보
이미지 1포트 산토 도밍고의 항공 사진: 정면의 직사각형 건축물은 포트 산토 도밍고의 주요 요새이며, 뒤에 있는 2층 건물은 이전 영국 영사관저임.
이미지 2타이완 사적 스탬프: 포트 산토 도밍고: 타이완 정부가 1985년에 제작한 5달러 스탬프.
이미지 32010년 타이완 기념 주화: 100달러 뒷면의 조각은 포트 산토 도밍고의 주요 건축물임.

2. 역사

16세기, 새로운 항로의 발견 이후 유럽 국가들은 무역을 통해 이익을 추구하기 위해 아시아로 진출을 시도했고, 대만도 그들의 손길을 피할 수 없었다. 네덜란드스페인이 각각 대만에 상륙했고, 네덜란드는 남부에, 스페인은 북부를 중심으로 식민지 통치를 시작했다. 양국은 통치를 강화하기 위해 항만과 요새를 건설했다.

스페인은 1626년에 현재 기륭 평화섬에 산살바도르 성을 건설하고, 1628년에는 담수에 산토도밍고 성을 건설했는데, 후자가 오늘날 훙마오성의 전신이 되었다.[4] 스페인은 담수담수하를 수운 통치의 중심으로 삼고, 1632년 타이베이 분지에 진출하여 담수하 연안의 원주민을 복속시켜 세력을 신주 일대까지 확대시켰다. 그러나 필리핀 루손에서 혼란을 겪으며 대만 경영에 집중할 수 없는 상황에서, 1642년 네덜란드가 훙마오성에 무혈입성하여 스페인 세력은 대만에서 밀려나게 되었다.[1]

1642년, 네덜란드는 훙마오성에 무혈입성하여 대만 북부를 점령하고, 1644년부터 산토도밍고 성을 개축하여 1646년에 완성하고 '''안토니오 요새'''라고 명명했다. 한족들은 네덜란드인을 ‘홍모’ (紅毛) 또는 ‘홍이’(紅夷)라고 칭했기에 ‘훙마오성’이라고 칭해지게 되었다. 현존하는 훙마오성 대부분은 이때 건축된 것이다.[2]

1662년, 정성공이 네덜란드 세력을 대만에서 내쫓고 담수 방어를 위해 훙마오성 수리를 명령했으나,[1] 1683년에 정씨 왕국이 청나라에 항복하면서 훙마오성은 일단 포기되었다.[1] 청나라 초, 대만 북부에 많은 이주민이 이주하며 원주민의 치안 유지와 해안을 방어할 필요가 생겨 1724년 담수청 동지(同知) 왕견(王汧)에 의해 대규모 수리가 이루어져 성벽이나 성문을 추가하여 통치 거점이 되었으나,[3] 이후 정책 변동으로 점차 방어 기능을 잃고 폐허가 되었다.

훙마오성이 다시 주목받은 것은 1858년 톈진 조약과 베이징 조약에 의해 담수가 개항되면서이다.[3] 함풍 연간에 영국-프랑스 연합군에 패한 청나라는 단수이를 시작으로 기륭, 안핑, 타구를 개항했고, 각 항구에는 각국의 무역과 영사관이 설치되었다. 당시 대만 북부에서는 잎과 장뇌의 수출이 증가하여, 영국은 1867년에 청나라와 훙마오성 영구 조차 협정을 체결하고, 이듬해 훙마오성 성내에 영사관을 설치하고 영국 사람 약 10명이 거주하게 되었다.[3]

1895년 일본의 대만 통치 시작과 함께, 1912년 영국은 일본과 다시 조차 협정을 체결했다. 1941년 태평양 전쟁 발발로 일본군이 훙마오성을 완전 접수했으나, 종전 후 다시 영국에 반환되었다. 1972년 영국과 단교로 영국 영사관이 철수하고 호주 대사관이 관리를 대행했지만, 호주마저 단교하며 미국이 관리하게 되었다. 1980년까지 미국 주재 대사의 관리가 계속되다 외교부 협상 결과 1980년 6월 30일 대만 정부에 반환, 1984년부터 일반에 개방되었다.[5]

2. 1. 스페인 점령기 (1626-1642)

1626년, 스페인은 지룽 평화섬에 산살바도르 성을 건설하고, 1628년에는 단수이에 산토도밍고 성을 건설했는데, 이 산토도밍고 성이 현재 훙마오성의 전신이다.[4] 스페인은 단수이 강을 중심으로 수운 통치를 강화하고, 타이베이 분지까지 세력을 확장했다.

1632년, 스페인은 타이베이 분지에 진출하여 단수이강 연안의 원주민을 복속시키고 단수이에서 지룽까지의 도로(현재 양진 공로에 상당)를 건설하여 수운 외의 교통도 정비하고 그 세력을 신주 일대까지 확대했다.

1630년대에서 1640년대에 걸쳐 스페인 제국에 영향을 미친 경제 침체(이베리아 연합 말기)로 인해, 수입이 줄어들고 방어 비용이 증가했으며, 스페인령 동인도의 군대와 자원은 여러 전선에서 여러 적(예: 조호르 술탄국, 마귄다나오 술탄국,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네덜란드-포르투갈 전쟁의 일부)을 상대하느라 분산되었다. 당시의 스페인 총독들은 대만의 스페인 주둔이 자원과 인력의 낭비라고 생각했다.

필리핀, 루손에서 혼란을 겪으며 대만 경영에 집중할 수 없는 상황이 되자, 1642년 네덜란드 세력은 이 상황을 이용해 북부에 진출하여 훙마오성에 무혈입성하게 되었고, 스페인 세력은 대만에서 밀려나게 되었다.[1]

2. 2. 네덜란드 점령기 (1642-1662)

1642년, 네덜란드스페인을 몰아내고 훙마오성에 무혈입성하여 대만 북부를 점령했다. 네덜란드는 1644년부터 타이난의 자재와 인력을 투입하여 산토도밍고 성을 개축하기 시작했고, 1646년에 완공하여 안토니 판 디멘의 이름을 따 '''안토니오 요새'''로 명명했다. 현존하는 훙마오성 건물의 대부분은 이 시기에 건설된 것이다. 당시 한족들은 네덜란드인을 '홍모'(紅毛) 또는 '홍이'(紅夷)라고 불렀기 때문에, 이 요새는 '훙마오성'으로 불리게 되었다.[2] 네덜란드는 단수이강에 선박을 배치하여 무역 구역을 보호하고, 유황과 사슴 가죽 무역을 유지하기 위해 요새를 건설했다. 1644년에 벽돌과 돌로 지어진 "구 네덜란드 요새"는 "당시 생산할 수 있는 어떤 전쟁 무기에도 끄떡없다"고 묘사되었다.

스페인 요새 지도(단수이), 나중에는 VOC의 손에 넘어갔다

2. 3. 정씨 왕국 시대 (1662-1683)

1662년, 정성공은 네덜란드 세력을 대만에서 몰아냈다. 대만 북부에 진출한 정성공은 단수이 방어를 위해 훙마오성을 수리하도록 명령했다.[1] 1683년에 정씨 왕국이 청나라에 항복하면서 훙마오성은 일단 버려졌다.[1]

2. 4. 청나라 통치 시기 (1683-1895)

1683년 정씨 왕국이 청나라에 항복하면서 훙마오성은 청나라의 통치 하에 들어갔다. 초기에는 방치되었으나, 1724년 담수청 동지(同知) 왕견(王汧)에 의해 대규모 수리가 이루어져 성벽이나 성문을 추가하여 통치 거점으로 활용되었다.[3] 그러나 이후 정책 변동으로 훙마오성은 점차 방어 기능을 잃고 폐허가 되었다.

훙마오성이 다시 주목받은 것은 1858년 톈진 조약과 베이징 조약에 의해 담수(단수이)가 개항되면서이다.[3] 함풍 연간에 영국-프랑스 연합군에 패한 청나라는 단수이를 시작으로 기륭, 안핑, 타구를 개항했고, 이에 따라 각 항구에는 각국의 무역과 영사관이 설치되었다. 이 시기 영국은 타구, 안핑, 담수에 영사관을 설치했다. 당시 대만 북부에서는 잎과 장뇌의 수출이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응하기 위해 영국은 청나라와 1867년에 훙마오성 영구 조차 협정을 체결하고, 이듬해에는 훙마오성 성내에 영사관을 설치하고 영국 사람 약 10명이 거주하게 되었다.[3]

1868년 대영 제국은 요새를 점령하여 무역 영사관으로 삼고 붉은색으로 칠했다(이전에는 흰색이었다). 이 요새는 담수 전투에서 1884년 프랑스군의 포격으로 타격을 받았지만 피해는 없었다. 언어학자 허버트 앨런 자일스는 1885년부터 1888년까지 이 요새에 거주하며 표준 중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인 웨이드-자일스 시스템에 대한 작업을 완료했다. 영국은 1891년에 요새 옆에 영사관 관저를 지었다.

2. 5. 영국 영사관 시대 (1867-1972)

1858년, 톈진 조약으로 단수이가 개항되면서 훙마오성은 다시 주목받게 되었다. 영국프랑스 연합군에 패배한 청나라는 단수이를 비롯한 여러 항구를 개항했고, 각 항구에는 각국의 무역 사무소와 영사관이 설치되었다. 당시 대만 북부에서는 장뇌 수출이 증가하고 있었고, 이에 대응하기 위해 영국은 1867년에 청나라와 훙마오성 영구 조차 협정을 체결하고, 1868년에 훙마오성 내에 영사관을 설치하여 영국인 약 10명이 거주하게 되었다.[1]

1895년 일본의 대만 통치가 시작되자, 1912년 영국 정부는 일본 정부와 다시 조차 협정을 체결했다. 1941년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자 일본군은 훙마오성을 접수했다. 종전 후 훙마오성은 다시 영국에 반환되었지만, 1972년 대만과 영국이 단교하면서 영국 영사관은 철수했다.[2]

2. 6. 중화민국 시대 (1972-현재)

1972년 영국이 중화인민공화국과 수교하면서 영국 영사관은 철수했다.[5] 이후 오스트리아 대만 대사관이 몇 달 동안 훙마오청 관리를 대행했지만, 오스트리아 역시 중화인민공화국과 수교하면서 훙마오청 관리는 미국으로 넘어갔다. 미국 주재 대사관은 1980년까지 훙마오청 관리를 계속했다.[5] 이후 중화민국 외교부의 협상 결과, 1980년 6월 30일 훙마오청은 중화민국 정부에 반환되었고, 1984년 12월 25일부터 일반에 공개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5]

훙마오청은 1등급 역사 유적으로 지정되었으며, 현재는 사진을 바탕으로 내부를 재현한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2003년에는 부지 유지 관리가 내무부에서 타이베이현 정부로 위임되었고,[6] 2005년에 보수 공사를 거쳐 재개관했다.

3. 건축

훙마오청은 여러 시대와 여러 국가의 건축 양식이 혼합된 독특한 모습을 지니고 있다.

3. 1. 주요 건축물

1642년, 네덜란드 세력은 스페인인들이 필리핀, 루손에서의 혼란으로 대만 경영에 집중할 수 없는 상황을 이용하여 북부에 진출했고, 훙마오청은 무혈 개성되어 스페인 세력이 대만에서 축출되었다.[1] 1644년 봄부터 네덜란드인들은 타이난에서 자재와 인력을 투입하여 산토 도밍고 성을 개축, 1646년에 완성하여 '''안토니 요새'''(안동니보)라고 명명했다.[1] 한인들은 네덜란드인을 "홍모" 또는 "홍이"라고 칭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홍마오청"이라고 불리게 되었고 현재에 이르고 있다.[1] 현존하는 훙마오청의 대부분은 이때 건축된 것이다.[1]

3. 2. 건축 자재

훙마오청의 전신은 1628년 스페인단수이에 건설한 '''산토 도밍고 성'''이다. 1642년 네덜란드는 스페인을 몰아내고 훙마오청을 차지했다. 이후 1644년부터 타이난에서 자재와 인력을 투입하여 산토 도밍고 성을 개축, 1646년에 완성하여 '''안토니 요새'''(안동니보)라고 명명했다. 현재 남아있는 훙마오청의 대부분은 이때 건축된 것이다.[1]

4. 교통

타이베이 첩운 단수이역에서 북서쪽으로 도보 거리에 있다.

참조

[1] 서적 How Taiwan Became Chinese: Dutch, Spanish and Han Colonization in the Seventeenth Century http://www.gutenberg[...]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5
[2] 문서
[3] 뉴스 'Old Dutch Fort' in Tamsui reopens after repairs http://www.taipeitim[...] 2016-09-19
[4] 서적 Tamsui Map+Guide 2011 Tamsui Historical Museum
[5] 뉴스 Taiwan in Time: Fort San Domingo: do not enter https://taipeitimes.[...] 2021-06-27
[6] 뉴스 Historic fort handed over into Taipei County's care http://www.taipeitim[...] 2003-07-27
[7] 웹사이트 尋找十大土木史蹟與史蹟作品競賽—成果揭曉 http://www.twce.org.[...] 台灣省土木技師公會 技師報260期 2014-01-01
[8] 웹인용 尋找十大土木史蹟與史蹟作品競賽—成果揭曉 http://www.twce.org.[...] 台灣省土木技師公會 技師報260期 2014-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