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수이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단수이구는 타이완 북부에 위치한 신베이시의 행정구로, 단수이강 하구에 자리 잡고 있다. 원래는 타이완 원주민 케타갈란족이 거주하던 지역으로, 17세기 스페인, 네덜란드, 청나라, 일본의 지배를 거치며 다양한 역사를 겪었다. 1860년 톈진 조약으로 개항되어 대만 최대의 항구로 번성했지만, 일본 통치 시대에 항구 기능이 기룽으로 이전되면서 어촌으로 변모했다. 현재는 홍마오청을 비롯한 역사 유적과 단수이 어인 부두, 연인의 다리 등 관광 명소, 그리고 타이베이 첩운 단수이선과 단하이 경전철을 통해 접근성이 뛰어나 타이베이 시민들이 즐겨 찾는 관광지로 발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단수이구 - 양밍산
양밍산은 중화민국 타이베이시와 신베이시에 걸쳐 있는 산으로, 왕양명을 기념하여 이름 붙여졌으며, 화산 지형을 특징으로 하고, 샤오유컹 등 관광 명소가 있으며, 눈 내리는 풍경으로 유명하다. - 단수이구 - 훙마오성
훙마오성은 17세기 초 스페인이 건설한 산토 도밍고 성에서 시작되어 네덜란드, 정성공, 청나라, 영국을 거치며 다양한 국가의 영향을 받은 단수이의 역사적인 건축물로, 현재는 박물관으로 공개된 타이완의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 신베이시의 행정 구역 - 린커우구
린커우구는 신베이시에 위치한 구로, 산지가 대부분이며 린커우대지 위에 촌락이 형성, 케타갈란족 거주지, 일본 통치 시대를 거쳐 신베이시로 승격되었고, 린커우 신도시 개발과 교통망 확충, 교육/관광/쇼핑 시설을 갖춘 인구 증가율이 높은 지역이다. - 신베이시의 행정 구역 - 시즈구
신베이시에 위치한 시즈구는 타이베이 분지 남동쪽의 교통 요충지로서, 과거 수반각으로 불렸으며 에이서 그룹 등 주요 기업과 우즈산 군사 묘지, 시즈 궁베이 사원 등의 명소가 있다.
단수이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단수이구 |
로마자 표기 | Dànshuǐ Qū |
기타 명칭 | 호미 (滬尾) |
영어 명칭 | Tamsui District |
광역 자치 단체 | 신베이시, 타이완 |
면적 | 70.65 km² |
인구 | 189271 (2023년 2월) |
인구 밀도 | 2299 명/km² |
시간대 | +8 |
공식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정치 | |
행정 구역 | |
하위 구역 | 42리 694린 |
기타 정보 | |
![]() | |
일본어 표기 | たんすい |
가나 표기 | ダンシュイ |
2. 명칭
단수이라는 이름은 타이완 원주민인 케타갈란족의 언어에서 유래한 '호바'(강어귀)를 타이완어로 음역한 것에서 시작되었으며, 스페인과 네덜란드 식민 통치 시기를 거치며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다.[5] 이후 조지 레슬리 매케이 목사가 영어 표기 'Tamsui'를 널리 알렸으나,[6] 20세기 초반까지도 'Tamshuy', 'Tan-sui' 등 다양한 표기가 혼용되며 혼란이 있었다. 역사적으로 '단수이'는 강 이름뿐만 아니라 항구, 특정 마을, 심지어 더 넓은 지역을 포괄하는 모호한 용어로 사용되기도 했다.
현대에 들어 타이완의 행정구역 명칭으로 사용되면서 영어 표기를 두고 표준 중국어 발음에 기반한 'Danshui'와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온 'Tamsui' 사이에 논의가 있었고, 현재 단수이구는 'Tamsui'를 공식 영어 명칭으로 사용하고 있다.
2. 1. 역사적 명칭
케타갈란 타이완 원주민은 현대의 단수이 주변 지역을 '호바'라고 불렀는데, 이는 '강어귀'를 의미한다. '호바'는 타이완어로 '호베'로 음역되었다. 영어 역사서에서는 이 지역을 'Hobe', 'Hobé', 또는 'Hobe Village'라고 지칭하기도 했다. 17세기 스페인 식민지 개척자들은 이 지역을 '카시도르'라고 명명했고, 단수이강은 '키마론'이라고 불렀다. 네덜란드 기록에는 'Tamsuy'와 'Tampsui'라는 이름이 언급되어 있지만, 이는 타이완 남부에 있는 다른 지역인 '조지 레슬리 매케이 목사는 1895년 저서 《멀리 떨어진 포르모사에서》(From Far Formosaeng)를 통해 'Tamsui'라는 영어 표기를 널리 알렸다.[6] 'Tamsui'는 민난어의 문어적 읽기와 일치하며,[7][8] 오래된 발음인 'Tām-súi'의 교회 로마자 표기에서 성조 부호와 하이픈을 제거한 형태와도 유사하다.[9] 1900년경에는 'Tamsui'라는 표기가 상당히 알려져 영어로 제작된 지도에도 등장했다.[10] 하지만 미국 외교관 제임스 W. 데이비슨이 1903년에 쓴 《포르모사 섬》(The Island of Formosaeng)을 보면, 당시에도 명칭에 대한 혼란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데이비슨은 'Tamsui, Tamshuy, Tamshui, Tamsoui, Tan-sui' 등 다양한 표기가 통용된다고 기록했다.
역사적으로 '단수이'라는 용어는 그 의미가 명확하지 않아, 때로는 항구, 강, 호베 마을, 다다오청, 또는 반카를 가리키기도 하고, 더 넓게는 해당 지역 전체를 의미하기도 했다.
2. 2. 현대적 명칭
1950년부터 신베이시가 설립된 2010년 이전까지, 단수이는 타이베이 현에 속한 '단수이 진'(淡水鎮|단수이진중국어)이라는 공식 명칭을 사용했다. 2010년 신베이시가 설립되면서 현재의 '단수이구(淡水區)'가 되었다.영어 표기법과 관련해서는 두 가지 방식이 사용되어 왔다. 과거 타이완 정부나 타이베이 첩운 등에서는 표준 중국어 발음(淡水|단수이중국어)에 기반한 "Danshui"를 공식적으로 사용했다. 이는 중국어 병음 표기에서 유래한 것이다.
하지만 단수이구의 지방 정부는 오랫동안 "Tamsui"를 공식 영어 명칭으로 사용해왔으며, 2011년에는 행정원에 공식 영어 표기를 "Danshui"가 아닌 "Tamsui"로 사용할 것을 통보했다.
3. 지리
타이완 섬 최북단, 단수이 강 하구 북쪽에 위치한다. 북쪽으로는 싼즈 구, 남쪽으로는 타이베이 시 베이터우 구 및 관두와 접하고, 서쪽은 타이완 해협에 면한다. 동쪽은 단수이 강을 사이에 두고 바리 구와 마주보고 있다.
풍광이 아름다운 곳으로 알려져 타이완 8경 중 하나로 꼽히며, "동방의 베니스"라는 별칭으로 불리기도 했다. 현재에도 단수이 강의 석양은 타이베이 지역을 대표하는 아름다운 풍경으로 유명하다.
3. 1. 행정 구역
단수이구는 42개의 촌 (리)을 관할한다.[15]구분 | 중국어[15][16] | 로마자 표기 (통용 병음)[17][18] | 로마자 표기 (한어 병음)[19][18] | 로마자 표기 (웨이드-자일스) | 인구 (2010)[15] |
---|---|---|---|---|---|
촌 | 中和중국어리 | Jhonghe[20] | Zhonghe[21] | Chung-ho[22] | 693 |
屯山중국어리 | Tunshan | Tunshan | 1,229 | ||
賢孝중국어리 | Siansiao | Xianxiao | Hsien-hsiao | 1,736 | |
興仁중국어리 | Singren | Xingren | Hsing-jen | 1,749 | |
蕃薯중국어리 | Fanshu | Fanshu | Fan-shu | 1,076 | |
義山중국어리 | Yishan | Yishan | I-shan | 2,820 | |
忠山중국어리 | Jhongshan | Zhongshan | Chung-shan | 1,026 | |
崁頂중국어리 | Kanding | Kanding | K’an-ting | 2,632 | |
埤島중국어리 | Pidao | Pidao | P’i-tao | 1,312 | |
新興중국어리 | Sinsing | Xinxing | Hsin-hsing | 6,547 | |
水碓중국어리 | Shueiduei[23] | Shuidui | Shui-tui | 6,304 | |
北投중국어리 | Beitou | Beitou | Pei-t’ou | 5,779 | |
水源중국어리 | Shueiyuan | Shuiyuan | Shui-yüan | 2,516 | |
忠寮중국어리 | Jhongliao | Zhongliao | Chung-liao | 1,354 | |
樹興중국어리 | Shusing | Shuxing | Shu-hsing | 1,165 | |
坪頂중국어리 | Pingding | Pingding | P’ing-ting | 1,411 | |
福德중국어리 | Fude | Fude | Fu-te | 6,574 | |
竹圍중국어리 | Jhuwei | Zhuwei | Chu-wei | 6,322 | |
民生중국어리 | Minsheng | Minsheng | Min-sheng | 6,774 | |
八勢중국어리 | Bashih | Bashi | Pa-shih | 4,374 | |
竿蓁중국어리 | Ganjhen | Ganzhen | Kan-chen | 7,890 | |
鄧公중국어리 | Denggong | Denggong | 6,355 | ||
中興중국어리 | Jhongsing | Zhongxing | Chung-hsing | 4,613 | |
長庚중국어리 | Changgeng | Changgeng | 1,686 | ||
清文중국어리 | Cingwun | Qingwen | 1,320 | ||
草東중국어리 | Caodong | Caodong | 901 | ||
協元중국어리 | Sieyuan | Xieyuan | 1,749 | ||
永吉중국어리 | Yongji | Yongji | 1,018 | ||
民安중국어리 | Min-an | Minan/Min'an | 930 | ||
新生중국어리 | Sinsheng | Xinsheng | Hsin-sheng | 999 | |
文化중국어리 | Wunhua | Wenhua | 2,133 | ||
油車중국어리 | Youche | Youche | Yu-ch’e | 5,628 | |
沙崙중국어리 | Shalun | Shalun | Sha-lun | 3,499 | |
新義중국어리 | Sinyi | Xinyi | Hsin-i | 4,658 | |
新春중국어리 | Sinchun | Xinchun | 6,870 | ||
新民중국어리 | Sinmin | Xinmen | Hsin-min | 4,960 | |
正德중국어리 | Jhengde | Zhengde | Cheng-te | 4,482 | |
北新중국어리 | Beisin | Beixin | Pei-hsin | 2,907 | |
民權중국어리 | Mincyuan | Minquan | Min-ch’uan/Min-ch’üan | 3,940 | |
幸福중국어리 | Singfu | Xingfu | Hsing-fu | 4,742 | |
學府중국어리 | Syuefu | Xuefu | 4,357 | ||
大庄중국어리 | Dajhuang | Dazhuang | 4,451 |
4. 역사
원래 타이완 원주민 평포족 케타갈란족의 거주지였으며, 이들은 이곳을 '호베'라고 불렀다. 이는 이후 대만어 음차를 통해 한자로 호미(滬尾) 또는 호미(虎尾)로 표기되었다.
1624년 스페인이 마닐라에서 진출하여 이곳을 점령하고 산도밍고 요새를 건설했으나, 1642년 타이완 남부를 점령한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에 의해 축출되었다. 네덜란드는 스페인이 버린 요새를 재건했는데, 이것이 오늘날의 홍마오청이다. 1661년 정성공이 네덜란드를 몰아냈으나, 1683년 정씨왕국이 멸망하면서 청나라의 영토가 되었다.
1858년 톈진 조약과 1860년 베이징 조약을 통해 단수이항이 개항되면서, 19세기 후반에는 차, 장뇌, 유황 등을 수출하는 타이완 최대의 무역항으로 번영했다. 홍마오청에는 영국 영사관이 설치되기도 했다.
그러나 일본 통치 시대(1895년~1945년)에 들어서면서 단수이강 하구에 토사가 쌓여 대형 선박의 입항이 어려워지자, 타이완 총독부는 지룽에 새로운 항구를 건설했다. 이로 인해 항구 기능은 지룽으로 옮겨갔고 단수이는 작은 어촌으로 쇠퇴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홍마오청 등 풍부한 역사 유적을 바탕으로 단수이는 점차 관광지로 발전했다. 특히 1997년 타이베이 첩운 단수이선이 개통되면서 타이베이시에서의 접근성이 크게 향상되어 많은 관광객이 찾는 명소가 되었다. 2010년 12월 25일 타이베이현이 신베이시로 승격됨에 따라 단수이진(淡水鎮)에서 단수이구(淡水區)로 개편되어 현재에 이른다.
4. 1. 스페인 식민 시대

17세기 초, 스페인은 타이완 북부 단수이 지역에 진출했다. 1629년 가을, 마닐라에서 온 스페인군은 이곳을 점령하고 산토 도밍고 요새를 건설하여 스페인령 포르모사 최초의 주요 정착지를 마련했다.
스페인이 타이완 북부를 점령한 주된 이유는 해안 푸젠과 스페인령 필리핀을 잇는 자국의 해상 무역로를 경쟁국인 네덜란드(당시 타이완 남부에 기지를 둠), 영국, 포르투갈로부터 보호하고, 중국 및 일본과의 무역을 증진시키기 위해서였다.
그러나 스페인의 영향력은 오래가지 못했다. 이미 1638년에 단수이 정착지를 포기한 스페인은 1642년, 타이완 남부에서 세력을 키운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에 의해 타이완에서 완전히 축출되었다. 네덜란드는 이후 스페인이 버린 요새 터에 새로운 요새를 지었는데, 이것이 오늘날 홍마오청의 기원이 된다.
4. 2. 네덜란드 통치 시대
1642년, 타이완 남부를 점령하고 있던 네덜란드 동인도회사는 단수이 지역에 진출해 있던 스페인 세력을 몰아냈다.[1][2] 스페인은 1624년 마닐라로부터 진출하여 이곳을 점령하고 산도밍고 요새를 세웠으나, 네덜란드에 의해 축출된 것이다.[1][2] 네덜란드는 스페인이 세운 산도밍고 요새를 점령한 뒤 이를 재건했으며, 이 요새는 훗날 홍마오청(紅毛城)으로 불리게 되었다.[1][2]4. 3. 청나라 통치 시대
1661년 정성공이 네덜란드인을 축출했지만, 1683년 그의 손자인 정극상이 청나라에 항복하면서 정씨왕국은 멸망하고 단수이는 청나라의 영토가 되었다.[11]중국 대륙과의 근접성 및 자연 항구로서의 지리적 이점을 바탕으로 단수이는 빠르게 주요 어항이자 무역항으로 발전했다. 1808년에는 청나라 해군 순찰대가 단수이에 전초 기지를 건설하기도 했다. 1858년 톈진 조약에 따라 단수이항의 개항이 결정되었으나, 해당 조약이 비준되지 않아 실제 개항은 1860년 베이징 조약 체결 이후 조약 항구로서 이루어졌다. 개항 이후 단수이는 차, 장뇌, 유황, 석탄, 아편, 염료 등을 수출하는 주요 무역항이 되었다.[12][13] 19세기 중반에는 타이완에서 가장 큰 항구로 번성했으며, 훙마오청에는 영국 영사관이 설치되고 여러 국가의 상관들이 모여들면서 상당한 외국인 인구를 형성했다.[12][13]

1872년 3월 9일, 캐나다 출신의 의사이자 선교사인 조지 레슬리 매케이 목사가 단수이에 도착했다. 그는 타이완 최초의 서양식 병원과 알레테이아 대학교의 전신인 옥스포드 칼리지(Oxford College)를 설립하는 등 서양 의학과 근대 교육 도입에 기여했다.[6]
1884년 청불 전쟁 당시, 아메데 쿠르베 제독이 이끄는 프랑스 해군은 단수이 항구를 봉쇄했다.[14] 그러나 프랑스군은 단수이 전투에서 청나라 군대에 패배했다. 당시 타이완 방어를 이끌던 류밍촨은 한족 군인뿐만 아니라 타이완 원주민까지 규합하여 프랑스군에 맞섰으며, 이 전투의 승리로 프랑스군의 타이완 북부 점령 시도를 저지하고 기륭에서 8개월간 대치하게 만들었다. 전통적인 기록에 따르면 이 전투에서의 승리는 바다의 여신 마조의 도움 덕분이라고도 전해진다.
4. 4. 일본 통치 시대
1895년 청일 전쟁 이후 대만이 일본에 할양되면서 일본 통치 시대(1895년~1945년)가 시작되었다. 이 시기 단수이의 항구 기능은 단수이강 하구에 모래가 계속 쌓여 대형 선박의 입항이 어려워지면서 점차 쇠퇴했다. 당시 대만을 통치하던 타이완 총독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룽에 새로운 항구를 건설하고 다이호쿠와 지룽 사이에 철도를 부설했다. 이로 인해 대만의 주요 항구 기능은 지룽으로 옮겨갔고, 단수이는 점차 작은 어촌으로 변모했으며 지역 경제는 주로 농업 중심으로 전환되었다.일본 통치 초기 단수이의 인구는 약 6,000명이었다. 1920년부터 현(縣) 제도가 시행되면서 단수이는 '단수이 가이'(淡水街)로 불렸으며, 타이호쿠 현 산하 단수이 구(淡水郡)에 속하게 되었다. 항구로서의 기능은 약화되었지만, 일본의 공공 기반 시설 건설 사업을 통해 단수이는 지역 행정 및 문화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하기도 했다.

4. 5. 전후 시대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일본 통치 시대에 항구 기능을 지룽에 넘겨주고 쇠퇴했던 단수이는 타이베이현의 작은 어촌 향으로 돌아갔다.
1997년 타이베이 첩운 단수이선이 개통되면서 단수이 지역으로의 접근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이후 타이베이시 시민들이 부담 없이 방문할 수 있는 관광지로 더욱 번창하며 관광객 수가 급증했다. 이러한 변화는 여러 강변 공원이 조성되고, 전통 수공예품과 길거리 음식을 파는 노점 시장이 성장했으며, 단수이 어인부두가 건설되고 강을 오가는 여객 페리 운행이 증가하는 등 관광 시설 확충으로 이어졌다.
2010년 12월 25일, 타이베이현이 신베이시로 승격되면서 기존의 단수이진(淡水鎮)은 단수이구로 개편되어 현재에 이른다.
5. 기후
6. 교육
진리 대학교
성요한 과학기술 대학교
타이베이 해양 과학기술 대학교
사립 단장 고급중학교
신베이 시립 단수이 국민중학교
신베이 시립 주웨이 국민중학교
현효국중
신베이 시립 문화 국민초등학교
신베이 시립 덩궁 국민초등학교
신베이 시립 신싱 국민초등학교
신베이 시립 주웨이 국민초등학교
신베이 시립 톈성 국민초등학교
신베이 시립 수위안 국민초등학교
신베이 시립 싱런 국민초등학교
신베이 시립 툰산 국민초등학교
신베이 시립 핑딩 국민초등학교
신베이 시립 충산 국민초등학교
신베이 시립 중타이 국민초등학교
신베이 시립 위잉 국민초등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