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흑삼릉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흑삼릉속은 북반구 온대 및 아한대 습지에 주로 분포하며, 전 세계적으로 약 20종이 알려져 있고, 한국에는 흑삼릉 등 3~4종이 분포한다. 다년생 수생식물로, 지하에 뿌리줄기가 있으며, 잎은 가늘고 길며 2열로 배열된다. 꽃은 단성화로 암수 구별이 있으며, 풍매화이다. 흑삼릉속은 흑삼릉아속과 Xanthosparganium 아속으로 분류되며, 다양한 종이 존재한다. 화석 기록은 덴마크 등지에서 발견되었으며, 분자 시계에 따르면 미크리속과 부들속은 백악기 후기에 분기된 것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들과 - 흑삼릉
    흑삼릉은 북반구와 오스트레일리아의 호수와 하천에 널리 분포하는 여러해살이 수생식물로, 밤의 가시와 비슷한 꽃차례를 가지며 관상용으로도 이용된다.
  • 부들과 - 큰부들
    큰부들은 잎으로 자리나 돗자리를 만드는 데 사용된 여러해살이 수생 식물로, 전 세계 넓은 지역에 분포하며, 과거에는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었고 현대에는 수질 정화 식물로도 사용된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벵골호랑이
    벵골호랑이는 인도아대륙에서 서식하는 호랑이 아종으로, 노란색~주황색 털과 검은 줄무늬를 가지며, 멧돼지, 사슴 등 우제류를 먹이로 하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제한적인 지역에서 서식한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잉어
    잉어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민물고기로, 하천 중류 이하의 진흙 바닥을 선호하며, 길조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요리 재료로 활용되며, 기생충 감염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흑삼릉속 - [생물]에 관한 문서
속 정보
학명Sparganium L.
권위자L.
이명Platanaria Gray
생물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군
강 (계급 없음)외떡잎식물군
목 (계급 없음)닭의장풀군
벼목
가마과
미크리속
학명Sparganium L.

2. 분포

흑삼릉속은 주로 북반구의 온대·아한대 습지에 분포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약 20종 정도가 알려져 있는데, 한국에는 흑삼릉 등 3~4종이 분포하고 있다. 미국과 캐나다에는 9종이 서식한다.[6] 흑삼릉속은 온대에서 극지방에 이르는 지역의 수생 및 늪지 식생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3. 특징

땅속에 뿌리줄기가 있는데 여기에서 주경이 뻗어나온다. 잎은 어긋나게 달려 곧게 뻗거나 수면에 뜬다. 잎의 밑부분은 잎집이 된다. 은 모여서 공 모양의 두상꽃차례를 이루는데, 그들은 다시 총상 또는 원추상으로 배열된다. 아래쪽 두상꽃차례는 암꽃만으로 이루어져 있는 반면, 위쪽 것은 수꽃만으로 이루어져 있다. 암꽃과 수꽃은 모두 3-6개의 꽃받침을 가지고 있다. 씨방은 크고 작은 2개 또는 3개의 심피로 이루어져 있는데, 1개의 씨만이 열매를 맺는다. 그러나 백악기의 화석 식물은 5개의 심피로 이루어져 있다. 1개 또는 2개의 암술머리가 있는데, 이들은 열매가 형성된 후에도 계속 남아 있다. 열매는 견과로, 바깥쪽의 과피는 부드러운 스폰지 모양인 데 비해 안쪽은 딱딱하다. 발아 시에는 씨껍질의 일부가 뚜껑 모양으로 벗겨진다.[6][7][8][9]

다년생 수생식물로, 지하에 뿌리줄기가 있어 옆으로 뻗는다. 잎은 2열로 배열되며, 가늘고 길며, 부드럽고 약간 서거나 수면에 떠 있다. 잎의 밑부분은 잎집이 된다. 은 단성화로, 암수 구별이 있으며 구상 두상꽃차례를 이루며, 줄기 위에 수꽃차례, 아래에 암꽃차례가 몇 개씩 달린다. 꽃차례는 약간 갈라지기도 한다. 수꽃, 암꽃 모두 인편과 같은 화피편이 있지만, 기부에만 있어 눈에 띄지 않는다. 수꽃에는 3-6개의 수술이 있으며, 화피편에서 돌출한다. 풍매화로, 꽃가루는 바람에 의해 산포된다. 암꽃에서는 암술에 여러 개의 심피가 있지만, 그중 하나만 씨앗이 된다. 열매는 견과이지만, 표면은 약간 부드럽다.

4. 분류

흑삼릉속(''Sparganium'')에는 다음과 같은 종들이 속한다.[3][10][11][12]

학명한국어 이름분포 지역
Sparganium acaule흑삼릉 acaule북아메리카 동부[13]
Sparganium americanum흑삼릉 americanum북아메리카 동부
Sparganium androcladum흑삼릉 androcladum북아메리카 동부
Sparganium angustifolium흑삼릉 angustifolium유럽, 아시아, 북아메리카
Sparganium confertum흑삼릉 confertum윈난성
Sparganium emersum흑삼릉 emersum유럽, 아시아, 북아메리카
Sparganium × englerianum흑삼릉 × englerianum독일
Sparganium erectum흑삼릉유럽, 아시아, 북아메리카
Sparganium eurycarpum흑삼릉 eurycarpum러시아 극동, 일본, 북아메리카
Sparganium fallax흑삼릉 fallax동아시아, 히말라야 산맥, 수마트라, 뉴기니
Sparganium fluctuans흑삼릉 fluctuans캐나다, 미국 북부 (뉴잉글랜드, 뉴욕주, 펜실베이니아주, 뉴저지주, 미시간주, 위스콘신주, 미네소타주, 워싱턴주)
Sparganium glomeratum흑삼릉 glomeratum스칸디나비아, 발트 3국, 벨라루스, 러시아, 중국, 몽골, 일본, 캐나다, 미네소타주, 위스콘신주
Sparganium gramineum흑삼릉 gramineum스칸디나비아, 발트 3국, 러시아, 일본
Sparganium hyperboreum흑삼릉 hyperboreum알프스, 아한대 (유럽, 러시아, 알래스카, 캐나다, 그린란드)
Sparganium japonicum흑삼릉 japonicum연해주, 일본, 대한민국
Sparganium kawakamii흑삼릉 kawakamii사할린, 쿠릴 열도
Sparganium limosum흑삼릉 limosum윈난성
Sparganium × longifolium흑삼릉 × longifolium러시아 북부
Sparganium natans흑삼릉 natans유럽, 아시아, 북아메리카
Sparganium × oligocarpon흑삼릉 × oligocarpon시베리아
Sparganium probatovae흑삼릉 probatovae캄차카
Sparganium rothertii흑삼릉 rothertii시베리아, 만주, 일본
Sparganium × speirocephalum흑삼릉 × speirocephalum핀란드
Sparganium × splendens흑삼릉 × splendens러시아 서부
Sparganium stoloniferum흑삼릉 stoloniferum온대 아시아
Sparganium subglobosum흑삼릉 subglobosum동아시아, 히말라야 산맥, 뉴기니, 호주, 뉴질랜드
Sparganium yunnanense흑삼릉 yunnanense윈난성



분자 시계에 따르면, 흑삼릉속과 부들속이 분기된 것은 백악기 후기(7200만 년 전)로 추정된다.[16]

하위 섹션인 '흑삼릉아속'과 'Xanthosparganium 아속'에 대한 내용은 이미 상세히 다루어졌으므로, 여기서는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4. 1. 흑삼릉아속 (Sparganium)

Cook and Nicholls[18]는 ''Sparganium emersum''에 아종 subsp. ''acaule''과 subsp. ''emersum''을 인정했지만, 이 종은 다계통군이라는 점이 Ito et al.[19]에 의해 지적되었다.

  • 아속 - 암술머리·자방실은 2
  • * 미크리 L.
  • * - 북미
  • 아속 - 암술머리·자방실은 1
  • * 지시마미크리 Laest.
  • * 히나미크리
  • * (Engelm.) Morong, Bull. - 북미
  • * Nutt. - 북미
  • * 히메미크리 Morong, Bull. 분포는 혼슈, 시코쿠, 규슈, 오키나와, 한국, 중국, 러시아
  • * 우키미크리 Georgi
  • * (Engelm.) B.L.Rob. - 북미
  • * 호소바우키미크리 Michx.
  • * 야마토미크리 Graebn.
  • * 나가에미크리 Rothert
  • * 타마미크리 Laest.
  • * 에조미크리 Rehmann.
  • * (Beeby ex Macoun) Rydb. - 북미[19]


Sulman et al.[16]은 분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두 가지 잡종 형성을 보고했지만 (S. japonicum × S. fallax와 S. angustifolium × S. emersum), 후자의 결론은 Ito et al.[19]에 의해 오류로 지적되었다.

4. 2. Xanthosparganium 아속

Xanthosparganium 아속은 암술머리와 자방실이 1개인 특징을 가진다.[18]

}) ||

|-

| 히나미크리 (Sparganium natans|la) ||

|-

| Sparganium androcladum|la || 북미

|-

| Sparganium americanum|la || 북미

|-

| 히메미크리 (Sparganium subglobosum|la) || 혼슈, 시코쿠, 큐슈, 오키나와, 한국, 중국, 러시아

|-

| 우키미크리 (Sparganium gramineum|la) ||

|-

| Sparganium fluctans|la || 북미

|-

| 호소바우키미크리 (Sparganium angustifolium|la) ||

|-

| 야마토미크리 (Sparganium fallax|la) ||

|-

| 나가에미크리 (Sparganium japonicum|la) ||

|-

| 타마미크리 (Sparganium glomeratum|la) ||

|-

| 에조미크리 (Sparganium emersum|la) ||

|-

| Sparganium acaule|la || 북미[19]

|}

5. 화석 기록

덴마크 중앙 유틀란트 실케보르 근처의 중기 마이오세 지층에서 화석 내과피와 †'''''Sparganium pusilloides'''''의 씨앗 몇 개가 발견되었다. 이 외에도 이 종은 중앙 유럽의 중기 올리고세에서 중기 마이오세 식물군에서 기록되었으며, 여기에는 라이프치히의 중기 올리고세 하젤바허 호 점토가 포함된다. †'''''Sparganium simplex'''''의 내과피 20개와 †'''''Sparganium multiloculare'''''의 내과피 1개의 화석도 중앙 유틀란트 실케보르 근처의 Fasterholt 지역에서 발견되었으며, ''S. multiloculare''는 영국 남부의 올리고세와 중앙 유럽 및 서시베리아올리고세마이오세 식물군에서도 기록되었다.[14] ''Sparganium''은 북미 북극 지역의 플라이오세마이오세 식물군에서도 기록된다.[15]

참조

[1] 서적 Species Plantarum 2: 971 https://www.biodiver[...] 1753
[2] 웹사이트 Sparganium L. http://www.tropicos.[...]
[3] 웹사이트 Kew World Checklist of Selected Plant Families http://apps.kew.org/[...]
[4] 웹사이트 Flora of North America Vol. 22, bur-reed, Sparganium Linnaeus http://www.efloras.o[...]
[5] 웹사이트 Flora of China, Vol. 23 Page 158 黑三棱属 hei san leng shu Sparganium Linnaeus http://www.efloras.o[...]
[6] 간행물 Flora of North America. http://www.efloras.o[...] Flora of North America and Editorial Committee, eds. 1993+. Flora of North America North of Mexico. 1997
[7] 웹사이트 Sparganium research page, UW-Madison Dept. of Botany http://botany.wisc.e[...]
[8] 서적 Wetland Ecology: Principles and Conserv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2010
[9] 서적 A new herbal Cambridge U. Press. 1562
[10] 논문 A monographic study of the genus Sparganium. Part 1: Subgenus Xanthosparganium. 1986
[11] 논문 A monographic study of the genus Sparganium. Part 2: Subgenus Sparganium. 1987
[12] 웹사이트 Biota of North America 2013 county distribution maps http://bonap.net/NAP[...]
[13] 논문 Phylogeny of Sparganium (Typhaceae) revisited: Non-monophyletic nature of S. emersum sensu lato and resurrection of S. acaule. https://link.springe[...] 2015
[14] 간행물 Angiosperm Fruits and Seeds from the Middle Miocene of Jutland (Denmark) The Royal Danish Academy of Sciences and Letters 1985
[15] 논문 Neogene and early Pleistocene flora from Alaska, USA and Arctic/Subarctic Canada: New data, intercontinental comparisons and correlations 2021
[16] 논문 Systematics, biogeography, and character evolution of Sparganium (Typhaceae): Diversification of a widespread, aquatic lineage http://www.botany.wi[...] 2013
[17] 논문 Calibrated Birth–Death Phylogenetic Time-Tree Priors for Bayesian Inference http://sysbio.oxford[...] 2015
[18] 논문 A monographic study of the genus Sparganium (Sparganiaceae) 1986
[19] 논문 Phylogeny of Sparganium (Typhaceae) revisited: non-monophyletic nature of S. emersum sensu lato and resurrection of S. acaule http://link.springer[...]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이름분포
지시마미크리 ({{lang|la|Sparganium hyperbore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