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부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큰부들은 부들, 고양이 꼬리 등으로도 불리는 여러해살이풀로, 얕은 물에서 자란다. 잎은 선형이며, 꽃은 6~8월에 피고, 암꽃과 수꽃이 이어진 원통형의 꽃차례를 이룬다. 꽃이 지면 암꽃이삭은 갈색으로 변하여 '가마의 이삭'이 되고, 씨앗은 바람에 날려 번식한다. 큰부들은 북반구 온대 및 열대 지역에 널리 분포하며, 전통적으로 식량, 약재, 공예 재료 등으로 사용되었다. 특히 꽃가루는 포황이라는 생약으로 사용되며, 일본의 신화와 문화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들과 - 흑삼릉
흑삼릉은 북반구와 오스트레일리아의 호수와 하천에 널리 분포하는 여러해살이 수생식물로, 밤의 가시와 비슷한 꽃차례를 가지며 관상용으로도 이용된다. - 부들과 - 흑삼릉속
흑삼릉속은 북반구 온대 및 아한대 습지에 분포하는 다년생 수생 식물로, 뿌리줄기로 번식하며 습지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다양한 경제적 가치를 지니지만 환경 위협으로 보호 노력이 필요하다. - 1753년 기재된 식물 - 옥수수
옥수수는 멕시코 남부 원산의 벼과 식물로, 오래전부터 재배되어 전 세계로 퍼져나갔으며 식용, 사료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옥수수 또는 maize라고 불린다. - 1753년 기재된 식물 - 메밀
마디풀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인 메밀은 5세기 무렵부터 재배된 구황작물로, 초가을에 흰 꽃이 피고 세모진 열매는 가루를 내어 다양한 음식 재료로 쓰이며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철분, 비타민 B 복합체 등을 함유하고 있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벵골호랑이
벵골호랑이는 인도아대륙에서 서식하는 호랑이 아종으로, 노란색~주황색 털과 검은 줄무늬를 가지며, 멧돼지, 사슴 등 우제류를 먹이로 하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제한적인 지역에서 서식한다.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 - 잉어
잉어는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민물고기로, 하천 중류 이하의 진흙 바닥을 선호하며, 길조의 상징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요리 재료로 활용되며, 기생충 감염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
큰부들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상태 | 관심 필요 |
상태 시스템 | IUCN 3.1 |
속 | 부들속 |
종 | 큰부들 |
학명 | Typha latifolia L. |
이명 | Massula latifolia (L.) Dulac Typha ambigua Schur ex Rohrb. Typha angustifolia var. inaequalis Kronf. Typha angustifolia var. media Kronf. Typha angustifolia var. sonderi Kronf. Typha crassa Raf. Typha elatior Raf. (부적절) Typha elatior Boreau (부적절) Typha elongata Dudley Typha engelmannii A.Br. ex Rohrb. Typha intermedia Schur Typha latifolia var. ambigua Sond. Typha latifolia var. angustifolia Hausskn. Typha latifolia var. bethulona (Costa) Kronf. Typha latifolia subsp. capensis Rohrb. Typha latifolia f. divisa Louis-Marie Typha latifolia var. elata Kronf. Typha latifolia var. elatior Graebn. Typha latifolia var. elongata Dudley Typha latifolia subsp. eulatifolia Graebn. Typha latifolia var. gracilis Godr. Typha latifolia fo. remota Skvortsov Typha latifolia subsp. maresii (Batt.) Batt. Typha latifolia var. obconica Tkachik Typha latifolia var. orientalis (C.Presl) Rohrb. Typha latifolia var. remotiuscula (Schur) Simonk. Typha latifolia subsp. shuttleworthii (W.D.J.Koch & Sond.) Stoj. & Stef. Typha latifolia var. transsilvanica (Schur) Nyman Typha latifolia var. typica Rothm. Typha major Curtis Typha media Pollini (부적절) Typha palustris Bubani Typha pendula Fisch. ex Sond. Typha remotiuscula Schur Typha spathulifolia Kronf. |
한국어 이름 | 가마 (蒲, 香蒲) |
영어 이름 | Common Bulrush |
식물학적 특징 | |
학명 (한국어) | 큰부들 |
2. 명칭
큰부들은 때때로 큰 골풀(주로 역사적인 용어,[9] 하지만 현대에도 가끔 사용됨[10]), 부들, 고양이 꼬리, 쿠퍼 갈대, 검붕기라고도 알려져 있다. 국명인 '가마'는 잎을 엮어 자리나 돗자리를 만든 데서 유래하여, 한국어의 '감'(재료)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별명으로는 미즈쿠사·미스크사·미스구사 (미초)와 키츠네노로소쿠(여우의 촛불)라고도 한다. 한자의 '蒲'는 소리를 나타내는 '浦'와 뜻을 나타내는 '艸'를 결합한 형성 문자이다.[26][27]
큰부들은 여러해살이풀로 얕은 물 밑의 진흙 속 뿌리줄기에서 줄기가 곧게 뻗어 자란다. 옆으로 뻗는 지하경에 의해 군생한다. 키는 1~2m이며, 물 속 진흙 속에 지하경을 뻗는다. 잎은 선형으로 두껍고, 하부는 잎집 모양으로 줄기를 감싼다. 잎의 단면은 초승달 모양이며, 내부는 스펀지 모양이다.
큰부들은 주로 개울가나 연못에서 자라며, 한국에서는 제주도, 경상도, 강원도, 황해도, 평안도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북반구의 온대에서 열대의 온난한 지역 및 오스트레일리아에 광범위하게 분포한다.[28] 일본에서는 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에 분포한다.[28]
큰부들은 전통적으로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어 왔다. 브리티시컬럼비아의 특정 원주민 문화에서는 식량, 약재 등으로 사용되었다. 뿌리줄기는 요리 후 껍질을 제거하여 식용이 가능하며, 껍질을 벗긴 줄기와 잎자루는 생으로 먹거나 요리할 수 있다. 어린 꽃 이삭, 어린 싹, 뿌리줄기 끝의 싹도 식용할 수 있으며[20][23][21], 성숙한 원뿔에서 나온 꽃가루는 조미료로 사용 가능하다.[22] 녹말질 뿌리줄기는 미국 원주민에 의해 가루로 갈아 사용되었다.[23] 다만, 수질 오염으로 오염된 식물은 오염 물질을 흡수하므로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매우 쓴맛이나 매운맛이 나는 식물도 섭취하지 않아야 한다.[24]
일본 최고(最古)의 역사서로 여겨지는 『고사기』(712년) 속 「이나바의 흰 토끼」의 삽화에 등장하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고사기』의 「이나바의 흰 토끼」 설화에서는 털이 뽑힌 토끼에게 오오아나무치 신(오오쿠니누시의 다른 이름)이 부들꽃가루를 가져다가 흩뿌리고, 그 위에 굴러다니도록 가르친다.[36] 또한, 「이나바의 흰 토끼」가 감싸진 것은 부들의 꽃 솜털이라는 설도 있다.
일본에서 주로 보이는 가마속(''Typha'') 식물은 큰부들 외에 키가 1m 안팎인 꼬꼬마, 키 1.7m 정도인 좀부들 3종이다.[33] 이들은 일본 전역의 연못이나 늪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이며, 개화기는 6~8월이다.[33] 큰부들이 가장 먼저 개화하고, 좀부들, 꼬꼬마 순으로 개화한다.[33] 암꽃차례와 수꽃차례가 약 1cm 정도 떨어져 꽃줄기의 축이 보이는 것은 좀부들이다.[33] 암꽃차례와 수꽃차례가 연속되어 있고, 암꽃차례의 길이가 10~20cm인 것은 큰부들, 6~10cm인 것은 꼬꼬마이다.[33] 3종 중에서 열매가 달린 큰부들의 이삭이 가장 굵다.
[1]
간행물
"''Typha latifolia''"
2017
3. 특징
꽃은 6~8월경에 피며, 잎보다 높이 줄기를 뻗어 꼭대기에 원통형의 꽃차례를 단다. 상부는 노란 꽃가루를 흩날리는 수꽃이삭, 하부의 녹색 부분은 암꽃이삭이며, 수꽃이삭과 암꽃이삭은 이어진다. 수꽃무리 속에 부드러운 작은 포엽이 생기기도 한다. 꽃가루는 4개가 붙어 있다. 수꽃군은 가늘고, 길이 7~12cm이며, 개화 시에는 노란색 약이 한 면에 나타나는 풍매화이다. 암꽃군은 길이 10~12cm, 직경 약 6mm이다. 수꽃과 암꽃 모두 꽃잎 등은 없고, 매우 단순한 구조로 되어 있다. 암꽃 부분과 수꽃 부분은 인접해 있는데, 이는 암꽃과 수꽃 사이에 3~8cm의 맨 줄기가 있는 가는잎부들과 쉽게 구별되는 특징이다.
꽃이 지면 수꽃은 흩어져 줄기만 이삭 위에 서고, 암꽃이삭은 갈색으로 변하여 굵기도 1.5~2cm로 굵어지며, 소시지와 모양이 비슷한 '가마의 이삭'이 된다. 암꽃은 결실 후에는 솜털과 같은 관모를 가진 미세한 열매가 된다. 이 열매는 긴 열매자루의 기부에 이삭 솜이 되는 흰 털이 붙고, 선단의 암술머리가 물든다. 늦가을이 되면 가마의 이삭이 풀려 바람에 의해 흩날리고, 수면에 떨어지면 재빨리 씨앗이 열매에서 방출되어 수저에 가라앉아 거기서 발아한다. 또한, 강한 충격에 의해 씨앗이 흩날리는 경우도 있다.
명나방과 (또는 들명나방과)의 벼줄기나방(Asiatic rice borer, ''Chilo suppressalis''), 밤나방과의 왕담배나방(''Nonagria puengeleri'') 등의 유충의 식초이다.[29] 어류 등의 산란 장소나 피난 장소로 이용되며, 영양염류의 제거 등 수질 정화에 도움이 된다.[29]
4. 분포 및 서식지
유라시아와 북아메리카에서 널리 자생하며, 아프리카와 남아메리카에서도 지역적으로 발견된다.[12] 캐나다에서는 모든 주와 유콘 준주 및 노스웨스트 준주에서도 발견되며, 미국에서는 하와이를 제외한 모든 주에서 자생한다.[13][14] 호주와 하와이에서는 유해 잡초로 간주된다.[15]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뉴질랜드, 파푸아뉴기니, 필리핀에서도 보고되었다.[12]
열대, 아열대, 남부 및 북부 온대, 습한 해안 및 건조 대륙을 포함한 다양한 기후에서 발견된다.[14] 해수면에서 2,300m 고도까지 발견된다.
큰부들은 "절대 습지" 종으로, 항상 물 안이나 근처에서 발견된다.[16] 일반적으로 수심이 0.8m를 초과하지 않는 침수 지역에서 자라지만, 약간 더 깊은 물에서 부유하는 매트에서도 자라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4] 주로 담수에서 자라지만 약간 기수성 늪에서도 발견된다.[16] 염도가 감소하면 염생 습지에 서식하는 다른 종을 대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조건에서 이 식물은 염생 습지 서식지 보존을 방해하기 때문에 공격적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16][18]
부들(''T. angustifolia'')과 교배하여 ''Typha × glauca''(''T. angustifolia × T. latifolia'')를 형성한다.[14] 큰부들은 일반적으로 부들보다 얕은 물에서 발견된다.[19] 연못이나 늪, 강가 등의 얕은 수변에 자생한다.
5. 용도
필리핀 세부의 카모테스 제도 산프란시스코에서는 '솔리-솔리'라 불리는 이 식물을 매트, 가방, 모자 등 유기농 액세서리 및 장식을 만드는 직조 섬유 및 재료로 사용한다. 솔리-솔리 직조는 산프란시스코하논의 주요 생계 수단 중 하나로, 이 마을은 솔리-솔리 축제를 통해 이를 기념한다.
한국에서는 어린잎을 식용하고, 꽃가루는 상처약으로 사용했으며, 잎과 줄기는 자리나 발의 재료로 사용했다. 이삭 솜은 초석과 섞어 불쏘시개로 사용하거나[30], 말려서 모기향 대용으로 사용하기도 했다. 줄기와 잎은 술통 재료 틈새에 끼워 기밀성을 높이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31]
큰부들의 꽃가루는 '''포황'''(蒲黃)이라 불리는 생약으로, 애기가마, 고욤가마와 함께 사용된다. 한방에서는 이뇨 작용, 통경 작용이 있다고 하며, 민간에서는 달여서 복용한다. 외상에는 꽃가루를 직접 붙여 사용하며, 신농본초경, 비급천금요방에는 지혈과 찰과상에 효과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32] 포황에는 플라보노이드 배당체의 이소람네틴, 지방유 등의 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며[28], 수렴 작용을 통해 혈관을 수축시켜 출혈을 멈추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6. 문화
"부들의 꽃"은 어묵의 어원이다. 옛날 어묵은 널빤지에 담겨 나오는 현재의 형태와 달리, 가는 대나무에 생선살을 붙여 구운 음식을 가리켰다. 이것은 현재의 치쿠와에 해당한다. 치쿠와와 부들의 꽃은 색깔과 모양이 비슷하며, 창처럼 보이는 부들의 꽃술은 "가마호코"라고 불린다. 장어구이도 옛날에는 장어를 갈라놓지 않고 통째로 토막 내어 꼬챙이에 꽂아 구웠기 때문에, 그 모양이 부들의 꽃과 비슷하여 "蒲" 자가 붙여졌다고 한다.
이불 또한 본래 "蒲團"이라고 썼으며, 에도 시대 이전에는 스펀지 모양의 섬유질이 들어간 튼튼하고 부드러운 부들의 잎을 사용하여 둥글게 엮어 평평한 돗자리를 만들었다.
꽃말은 순종, 솔직함, 허둥지둥함, 무차별, 구호, 자애, 예언 등 다수 있다.
7. 근연종 (가마속, *Typha*)
큰부들의 꽃가루는 현미경으로 보면 4개가 정사각형이나 1열로 늘어서서 합착되어 있지만, 꼬꼬마와 좀부들의 꽃가루는 1개씩 단독으로 되어 있다.[33][34] 종에 따라 산소 누출 속도가 다르며, 생육하고 있는 토양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34]
8. 기타
참조
[2]
웹사이트
Tropicos, Typha latifolia
http://www.tropicos.[...]
[3]
웹사이트
The Plant List, Typha latifolia
http://www.theplantl[...]
[4]
웹사이트
Bulrush ''Typha latifolia'' L.
https://plantatlas20[...]
Botanical Society of Britain and Ireland
2024-06-15
[5]
서적
"''Collins Flower Guide''"
2009
[6]
웹사이트
Common Bulrush
http://www.wildflowe[...]
2024-06-15
[7]
PLANTS
2015-12-12
[8]
논문
Genome assembly, annotation, and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attail ''Typha latifolia''
https://doi.org/10.1[...]
2021-11-22
[9]
웹사이트
Handbook of the British Flora
https://www.biodiver[...]
2024-06-15
[10]
웹사이트
Great Reedmace
https://www.sirhowyh[...]
2024-06-15
[11]
웹사이트
Cattails (Typha spp.)
https://ipm.ucanr.ed[...]
2023-06-10
[12]
웹사이트
"Typha latifolia (aquatic plant)"
http://www.issg.org/[...]
2016-03-28
[13]
웹사이트
Flora of North America vol 22 p 282.
http://www.efloras.o[...]
[14]
웹사이트
"Typha latifolia, U.S. Forest Service Fire Effects Information Database"
http://www.fs.fed.us[...]
[15]
웹사이트
"Typha latifolia (Typhaceae) Species description or overview"
http://www.hear.org/[...]
[16]
웹사이트
"USDA Plant Guide: Typha latifolia"
http://plants.usda.g[...]
[17]
웹사이트
"Broadleaf Cattail"
http://extension.usu[...]
2016-12-02
[18]
웹사이트
Can Native Plants be Invasive?
https://www.ecobenef[...]
[19]
웹사이트
Lesser Bulrush ''Typha angustifolia'' L.
https://plantatlas20[...]
Botanical Society of Britain and Ireland
2024-06-15
[20]
서적
"Food Plants of Interior First Peoples"
UBC Press
1997
[21]
서적
Edible Wild Plants: A North American Field Guide to Over 200 Natural Foods
https://www.worldcat[...]
Sterling
[22]
서적
Northwest Foraging: The Classic Guide to Edible Plants of the Pacific Northwest
https://www.worldcat[...]
Skipstone
[23]
서적
The Audubon Society Field Guide to North American Wildflowers, Eastern Region
Knopf
[24]
Youtube
YouTube - Wild Living with Sunny: episode 4
https://www.youtube.[...]
[25]
웹사이트
"''Typha latifolia'' L."
http://www.itis.gov/[...]
ITIS
2011-11-21
[26]
서적
古文字譜系疏証
商務印書館
[27]
서적
字源
天津古籍出版社、遼寧人民出版社
[28]
웹사이트
ガマ
http://www.yanagidou[...]
やなぎ堂薬局
2011-11-21
[29]
웹사이트
ガマの生態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2011-11-21
[30]
서적
ガマ科
朝日新聞社
1996-07-14
[31]
서적
ガマ科
朝日新聞社
1996-07-14
[32]
서적
道教と日本文化
ミネルヴァ書房
1982
[33]
웹사이트
取手市植物図鑑
http://www.city.tori[...]
取手市
2011-11-21
[34]
웹사이트
水辺に生きる植物たちのはたらき
http://www.nies.go.j[...]
国立環境研究所
2011-11-21
[35]
웹사이트
ヒメガマ
http://www.pharm.kum[...]
熊本大学薬学部
2011-11-21
[36]
서적
古事記
岩波書店
1963
[37]
웹사이트
Typha latifolia (aquatic plant)
http://www.issg.org/[...]
2011-02-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