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치상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흑치상지는 백제 의자왕 때 달솔 벼슬을 지내며 풍달군 군장을 겸했고, 백제 부흥 운동에 참여했다가 당나라에 귀화하여 당나라 장군으로 활약한 인물이다. 백제 멸망 후 당나라에 투항하여 여러 전투에서 공을 세웠으며, 토번과 돌궐을 격퇴하는 데 기여했다. 측천무후 시대에 옥사했으며, 사후 명예가 회복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흑치상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한글 | 흑치상지 |
한자 | 黑齒常之 |
로마자 표기 | Heukchi Sangji |
일본어 | こくし じょうし |
개인 정보 | |
출생 | 630년 |
출생지 | 백제 서부 |
사망 | 689년 10월 (음력, 59세) |
사망지 | 당나라 감옥 |
자(字) | 항원(恒元) |
묘소 | 북망산 |
가문 | |
부모 | 흑치사차(黑齒沙次) |
자녀 | 흑치준, 딸(남편: 물부순) |
경력 | |
관등 (백제) | 서부달솔 |
관등 (당나라) | 부양군개국공(浮陽郡開國公) 식읍(食邑) 2천 호(戶), 연국공(燕國公) 식읍 3천 호 |
직책 (백제) | 풍달군장(風達郡將) |
직책 (당나라) | 웅진성절충도위(熊津城折衝都尉), 충무장군(忠武將軍), 행대방주장사(行帶方州長史), 사지절(使持節) 사반주제군사(沙泮州諸軍事) 사반주자사(沙泮州刺史) 상주국(上柱國), 조하도경략부사(洮河道經略副使), 좌령군장군(左領軍將軍) 겸 웅진도독부사마(熊津都督府司馬), 좌무위장군(左武衛將軍), 우무위위대장군(右武威衛大將軍) 신무도경략대사(神武道經략大使), 회원군경략대사(懷遠軍經략大使), 좌무위위대장군(左武威衛大將軍), 검교좌우림군(檢校左羽林軍), 증 좌옥검위대장군(贈左玉鈐衛大將軍) |
기타 | |
국적 | 백제 → 당나라 |
2. 생애
1929년, 중국 뤄양에서 흑치상지의 묘가 발견되어 발굴되었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그는 백제 멸망(660년) 당시 당나라 군에 항복한 백제의 서부 출신 인물로, 당나라의 뛰어난 장군이 되었다. 묘지명에는 그의 가문이 백제 왕족(부여씨, 扶餘氏)의 방계였지만, 그들의 조상이 흑치국(黑齒國)에 봉해졌기 때문에 후손들이 이 이름을 사용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묘지명에는 또한 흑치 씨족 지도자들이 달솔(達率, 2등 관등)의 지위에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의 증조부는 문대(文大), 조부는 덕현(德顯), 아버지는 사차(沙次)였다.[3]
660년, 나당 연합군이 백제를 공격하여 사비를 함락시키자, 흑치상지는 다른 여러 장수들과 함께 강산성으로 피신하여 백제부흥운동에 합류했다. 그는 10일 만에 3만 명의 병력을 모았으며, 소정방이 이끄는 당나라군에 맞서 200개 이상의 성을 탈환하며 연전연승했다.[4]
663년, 백강 전투에서 부흥 운동이 붕괴된 후, 흑치상지는 당나라에 항복했다. 당나라는 그를 좌이부외위대장군(左威衛外將軍)과 양주(揚州) 좌이부위(左威衛) 시민으로 임명했다.
687년, 무후가 섭정으로 있을 때, 동돌궐의 아사나 구돌로가 침략했다. 무후는 흑치상지에게 이다좌의 도움을 받아 방어하도록 명했고, 이들은 황화퇴 전투(현재의 산서성삭주시)에서 동돌궐 군을 격파했다.
2. 1. 백제 장군
660년 소정방과 김유신이 이끄는 나·당 연합군이 백제를 공격했을 때, 의자왕은 항복하였으나 흑치상지는 임존성에서 3만 명의 유민과 함께 저항하였다.[16] 그는 지형을 이용하여 200여 성을 회복하는 등 당나라에 맞서 싸웠다.[4]663년, 부흥 운동의 중심지였던 주류성이 나·당 연합군에 포위되자, 부흥군 내부에서는 갈등이 일어났다. 복신은 도침을 살해하고 부여풍에게 살해되었으며, 백강 전투에서 왜군(일본)이 패배하면서 부흥 운동은 큰 타격을 입었다. 결국 흑치상지는 별부장 사타상여와 함께 당나라에 투항하였다.[16]
흑치상지의 투항은 그의 군사적 재능을 높이 평가한 당나라의 회유에 의한 것이었다. 이후 흑치상지는 당나라 장군으로 임명되어 웅진도호부에 소속되었다.
2. 2. 당나라 귀화
660년 나당 연합군이 백제를 공격하여 사비를 함락시킨 후, 흑치상지는 백제 부흥 운동에 참여하였으나, 부흥 운동이 실패로 끝나자 663년 당나라에 항복했다.[4] 당나라는 그를 좌이부외위대장군(左威衛外將軍)과 양주(揚州) 좌이부위(左威衛) 시민으로 임명했다. 이후 흑치상지는 당나라의 장군으로 활약하며, 유인궤와 함께 백제 부흥군의 근거지였던 임존성 공격에 앞장섰다.677년 티베트가 당나라를 공격했을 때, 흑치상지는 조하(洮河)로 출진한 유인궤의 부장으로서 티베트 전선에 투입되었다. 678년 칭하이호 일대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당나라 군대가 티베트군에 포위되자, 흑치상지는 결사대 500인을 이끌고 야습을 감행하여 티베트군을 격퇴하고 이경현을 구출했다. 이 공으로 흑치상지는 좌무위장군(左武威將軍)으로 승진하고, 하원군부사(河源軍副使)가 되었다.
680년 흑치상지는 양비천(良非川)에서 가르친링을 패주시켰고, 이경현을 대신해 하원군경략대사(河源軍經略大使)가 되어 하원 지역 방어를 책임졌다. 흑치상지는 현지에 둔전을 설치하고 봉수대를 만들어 방어력을 높였다. 681년에는 청해 둔전을 공격해 온 티베트군을 격파하고 2천 급을 베는 전공을 세웠다. 흑치상지가 청해에 머무른 7년 동안 티베트는 당의 영토를 넘볼 수 없었다고 한다.
684년 흑치상지는 좌무위대장군(左武衛大將軍)이 되고 검교좌우림군(檢校左羽林軍)이 되었다. 같은 해 서경업이 측천무후 타도를 외치며 거병하자, 흑치상지는 군을 이끌고 서경업의 군을 진압했다. 685년 흑치상지는 전국의 변방 업무를 주관하게 되었고, 686년 돌궐의 쿠틀룩이 하동도(河東道)를 공격하자 좌응양위대장군(左鷹揚衛大將軍) 연연도부대총관(燕然道副大總管)이 되어 돌궐군을 상대로 승리하고 많은 가축을 노획했다. 이 공으로 흑치상지는 연국공(燕國公) 식읍 2천 호의 작에 봉해졌다.
687년 돌궐이 다시 당의 삭주(朔州)를 침공하자, 흑치상지는 우무위위대장군(右武威衛大將軍) 신무도경략대사(神武道經略大使)로서 황화퇴 전투에서 돌궐을 크게 격파했다. 이후 찬보벽이 돌궐 잔당을 추격하다 전멸당하는 사건이 발생했고, 흑치상지는 찬보벽의 폭주를 막지 못한 책임을 추궁당해 면관되었다.
689년 주흥 등은 흑치상지가 반역했다고 모함했고, 흑치상지는 체포되어 옥에 갇혔다가 죽었다. 신당서와 삼국사기에는 교수형을 당했다고 나오나, 구당서에 따르면 스스로 목을 매 죽었다고 한다.[4]
2. 3. 죽음
그러나 흑치상지와 그의 후원자였던 조 장군은 측천무후에게 미움을 받아 모함을 받고 투옥되었다.[1] 결국, 흑치상지는 689년에 족쇄에 채워진 채 사형 선고를 받았다.[1]3. 흑치씨의 유래
흑치상지 묘지명에는 흑치씨의 조상을 백제 왕족으로 기록하고 있으며, 흑치를 성으로 삼게 된 이유를 흑치(黑齒)에 책봉되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중국 사료에 등장하는 흑치국의 위치를 필리핀으로 비정하는 설이 있으며[17], 이곳에는 이를 검게 물들이는 문화가 있다.[18] 묘지명에는 흑치 씨족 지도자들이 달솔(達率, 2등 관등)의 지위에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묘지명에 따르면 그의 증조부는 문대(文大), 조부는 덕현(德顯), 아버지는 사차(沙次)였다.[3]
4. 평가
687년, 무후가 섭정으로 있을 때, 동돌궐의 칸 아사나 구돌로와 그의 장군 아사덕원진(阿史德元珍)이 침략하였다. 무후는 백제 출신의 흑치상지 장군에게 이다좌의 도움을 받아 아사나 구돌로의 공격을 방어하도록 명했고, 그들은 황화퇴 전투에서 동돌궐 군을 격파하여 도주하게 만들었다.[1]
4. 1. 긍정적 평가
흑치상지는 뛰어난 군사적 능력과 전략으로 당나라를 위해 많은 공을 세웠다. 특히 동돌궐과 토번과의 전투에서 그의 활약은 두드러졌다.전투 | 시기 | 내용 |
---|---|---|
토번과의 전투 | 678년 | 이경현의 지휘 아래 토번과의 전투에 참여, 정예병 500명을 이끌고 야습을 감행하여 토번군 격퇴[1] |
토번군 요격 | 679년 | 침공해 온 토번군을 요격[1] |
토번군 야습 | 680년 | 3,000명의 정예 기병을 이끌고 토번군을 다시 야습하여 퇴각시킴, 하원도경략대사로 임명됨[1], 이후 국경 경비, 둔전 개발, 성채 설치에 힘씀[1] |
토번 논찬파 격파 | 681년 | 양비천에서 토번의 논찬파를 격파하고 병량과 가축을 확보[1] |
동돌궐군 격퇴 | 686년 | 200여 명의 병력으로 3,000여 명의 동돌궐군을 격퇴, 연연도대총관에 임명되어 대동돌궐 전선 최고 지휘관이 됨[1] |
황화퇴 전투 | 687년 | 황화퇴 전투에서 동돌궐을 크게 격파[1] |
서경업의 난 진압 | 684년 | 무측천에 반기를 든 서경업의 난을 진압하기 위해 강남도대총관으로 임명되어 큰 공을 세움[1] |
흑치상지가 군에 주둔한 7년 동안 토번은 감히 변경을 침범하지 못했다.[1] 이러한 공로들을 인정받아 당나라로부터 '''연국공''' 작위를 받았다.[1]
4. 2. 부정적 평가
흑치상지는 측천무후에게 미움을 받아 조 장군과 함께 투옥되었고, 결국 689년에 사형당했다.[1]5. 가족
1929년 중국 뤄양에서 흑치상지의 묘가 발견되어 발굴되었다. 묘지명에 따르면 그의 증조부는 문대(文大), 조부는 덕현(德顯), 아버지는 사차(沙次)였다.[3]
관계 | 이름 |
---|---|
증조부 | 문대(文大) |
조부 | 덕현(德顯) |
아버지 | 사차(沙次) |
장남 | 흑치준 |
사위 | 물부순 |
6.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참조
[1]
서적
Book of Zhou
[2]
서적
Samguk Sagi
[3]
논문
Massive Influx of the Paekche People from the Korean Peninsula
2012
[4]
서적
Samguk Sagi, Scroll 28
[5]
웹사이트
흑치상지(黑齒常知)
https://encykorea.ak[...]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2021-01-28
[6]
서적
資治通鑑
[7]
서적
新唐書吐蕃伝上
[8]
서적
資治通鑑
[9]
서적
資治通鑑
[10]
서적
資治通鑑
[11]
서적
黒歯常之墓志
[12]
뉴스
순장군공덕기(珣將軍功德記)
https://www.yna.co.k[...]
聯合ニュース
2006-11-17
[13]
뉴스
순장군 공덕기 (珣將軍 功德記)
https://db.history.g[...]
국사편찬위원회
[14]
Youtube
KBS 역사추적 – 비운의 무장 흑치상지, 그는 배신자인가
https://www.youtube.[...]
[15]
문서
약 172cm로 추산. 당시 척을 24.5cm 정도로 본다.
[16]
서적
《신당서》 열전
[17]
서적
백제장군 흑치상지 평전 - 한 무장의 비장한 생애에 대한 변명
주류성
1996
[18]
문서
이를 검게 물들이는 문화는 일본, 베트남, 라오스, 타이, 중국의 운남성의 소수민족에서 찾을 수 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