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0년 전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0년 전쟁은 1868년부터 1878년까지 쿠바에서 일어난 스페인으로부터의 독립을 위한 전쟁이다. 쿠바 농장주와 사업가들은 1850년대와 1860년대에 사회, 경제 개혁을 요구했으나, 스페인 정부의 반동적인 정책으로 인해 개혁이 좌절되자 봉기가 시작되었다. 카를로스 마누엘 데 세스페데스가 주도한 봉기는 쿠바 동부 지역으로 확산되었고, 막시모 고메스의 게릴라 전술이 사용되었다. 1878년 휴전 협정으로 전쟁은 종결되었지만, 약 20만 명이 사망하고 쿠바 독립 전쟁의 발발로 이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0년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분쟁 개요
분쟁 명칭10년 전쟁
다른 명칭에스파냐어: Guerra de los Diez Años (10년 전쟁)
에스파냐어: Guerra Grande (대 전쟁)
일부쿠바 독립 전쟁
기간1868년 10월 10일 – 1878년 5월 28일 (10년 7개월 2주 4일)
장소쿠바
결과산혼 협정
교전 세력
교전국 1쿠바 해방군
지원 세력: 미국, 푸에르토리코, 도미니카 공화국, 멕시코 자원군
교전국 2에스파냐 제국
쿠바 총독부
지휘관 및 지도자
교전국 1 지휘관카를로스 마누엘 데 세스페데스
마누엘 데 케사다 이 로야나스
이그나시오 아그라몬테
비센테 가르시아 곤살레스
카를로스 롤로프
앙헬 델 카스티요 아그라몬테
오노라토 델 카스티요
미겔 헤로니모 구티에레스
칼릭스토 가르시아
안토니오 마세오 그라할레스
페루초 피게레도
프란시스코 비센테 아길레라
도나토 마르몰
막시모 고메스
루이스 마르카노
모데스토 디아스
토마스 조던 (장군)
헨리 리브 (군인)
교전국 2 지휘관프란시스코 레르순디 호르마에체아
도밍고 둘세
블라스 비야테
펠리페 히노베스 델 에스피나르
안토니오 카바예로 이 페르난데스 데 로다스
프란시스코 데 세바요스 이 바르가스
칸디도 피엘타인 이 호베 우에르보
호아킨 호벨라르
호세 구티에레스 데 라 콘차
카밀로 폴라비에하
아르세니오 마르티네스 캄포스
발레리아노 웨일러
병력 규모
교전국 1 병력1869년: 10,000–20,000명
1873년: 10,000–12,000명 (1,500–2,000명 자메이카로 도주)
1878년: 8,000명 이상
교전국 2 병력동원 병력 (전쟁 기간): 181,000명
1868년: 30,000명
1869년 후반: 40,000명
1870년: 55,000명 (에스파냐인 20,000명, 쿠바인 35,000명)
1875년: 30,000명
사상자 규모
교전국 1 사상자50,000–100,000명 사망
교전국 2 사상자81,248–90,000명 사망
이미지
10년 전쟁
10년 전쟁 관련 다양한 삽화
바르셀로나 항에서 카탈루냐 의용군 출항
1870년

2. 배경

1850년대와 1860년대에 걸쳐 쿠바의 농장주와 사업가들은 스페인 식민 당국에 사회 및 경제 개혁을 요구했다. 그러나 1867년에 들어서자 식민지 정부는 오히려 반동적이고 전통주의적인 정책을 강화하며 대규모 증세를 단행했고, 자유주의적인 개혁 요구는 묵살되었다. 이러한 억압적인 상황 속에서 쿠바 내 불만은 고조되었고, 독립을 향한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같은 해 7월, 부유한 플랜테이션 소유주인 프란시스코 비센테 아길레라를 중심으로 스페인으로부터의 독립을 목표로 하는 개혁 위원회가 설립되었다. 당초 봉기는 10월 14일로 계획되었으나, 스페인 당국이 이 계획을 사전에 알아차리면서 예정보다 앞당겨 실행될 수밖에 없었다.

2. 1. 사회, 경제적 배경

1850년대와 1860년대에 걸쳐 쿠바의 농장주와 사업가들은 스페인 식민 당국에 근본적인 사회 및 경제 개혁을 요구했다. 노예 무역 금지 조치는 느슨하게 시행되었고, 이는 1856년부터 1860년 사이에 약 9만 명에 달하는 노예 수입의 급증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현상은 쿠바 내 노예제 폐지론 운동이 활발했음에도 불구하고 발생했으며, 특히 동부 지역 노예 소유 농장주들에게 비용 증가 부담을 안겨주었다. 새로운 기술과 농업 기법의 도입으로 대규모 노예 노동력의 필요성이 줄어들었고, 노예 소유는 점차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이 되어갔다.

1857년 경제 위기는 많은 사업체, 특히 설탕 농장과 정제소의 파산을 초래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노예폐지론자들은 스페인 정부가 노예 소유주에게 경제적 보상을 제공하는 점진적인 노예 해방 방안을 주장하며 설득력을 얻어갔다. 일부 농장주들은 노예 제도의 종말을 예상하고, 대안으로 중국인 계약 노동자를 고용하기 시작했다. 1870년대 이전에 이미 12만 5천 명 이상의 중국인 노동자가 쿠바로 유입되었다. 1865년 5월, 쿠바의 크리올 엘리트들은 스페인 의회에 네 가지 주요 요구 사항을 전달했다. 이는 관세 개혁, 스페인 의회 내 쿠바 대표 파견, 쿠바인과 스페인 본토인 간의 사법적 평등 보장, 그리고 노예 무역 금지 조치의 완전한 시행이었다.[11]

그러나 당시 스페인 의회는 점차 보수화되고 있었으며, 모든 자유주의적 개혁을 철회하려는 반동적이고 전통주의적인 정치인들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었다. 군사 재판소의 권한이 강화되었으며, 식민 정부는 쿠바 농장주와 기업가들에게 6%의 세금 인상을 단행했다. 또한 모든 정치적 반대 의견 표명과 언론 활동은 억압되었다. 쿠바 내에서 불만을 표출할 통로가 막히자 사회 전반에 걸쳐 불만이 광범위하게 확산되었으며, 특히 동부 쿠바의 유력 농장주와 대지주들 사이에서 이러한 불만이 컸다.[12]

개혁을 위한 최근의 노력들이 실패하고, ''"정보 위원회"''가 해체되었으며, 1866년에서 1867년에 또 다른 경제 위기가 닥치면서 쿠바 사회의 긴장은 더욱 고조되었다. 식민 행정부는 쿠바에서 막대한 이윤을 거두었으나, 이를 섬 주민들의 복지를 위해 재투자하는 대신 군사비(수입의 44%), 식민 정부 운영비(41%), 그리고 스페인의 또 다른 식민지인 페르난도 포 지원(12%)에 사용했다. 유럽 출신 스페인인들(반도인)은 쿠바 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부를 독점했다. 반면, 쿠바 태생 주민들은 여전히 정치적 권리가 없었고 스페인 의회에 대표를 보낼 수도 없었다. 이러한 억압적인 조건에 대한 반발은 쿠바 최초의 본격적인 독립 운동을 촉발시키는 배경이 되었으며, 특히 동부 지역에서 그 움직임이 두드러졌다.

1867년에 들어서자 식민지 정부는 더욱 반동적이고 전통주의적인 정책을 강하게 추진하며 대규모 증세를 단행했고, 자유주의적 개혁의 가능성은 완전히 배제되었다. 같은 해 7월, 가장 부유한 플랜테이션 소유주 중 한 명인 프란시스코 비센테 아길레라의 주도로 스페인 제국으로부터의 독립을 목표로 하는 개혁 위원회가 설립되었다. 봉기는 본래 10월 14일로 계획되었으나, 스페인 당국이 사전에 계획을 눈치채면서 예정보다 앞당겨 실행될 수밖에 없었다.

2. 2. 정치적 배경

1850년대와 1860년대에 걸쳐 쿠바의 농장주와 사업가들은 식민 통치에 대한 근본적인 사회, 경제 개혁을 스페인에 요구했다. 노예 무역 금지에 대한 느슨한 집행으로 인해 1856년에서 1860년 사이에는 약 9만 명의 노예가 수입되는 등 노예 수가 급증했다. 이는 쿠바 내 강력한 노예제도 폐지 운동에도 불구하고 발생했으며, 특히 동부 지역 노예 소유 농장주들에게 비용 증가 부담을 안겨주었다. 새로운 기술과 농업 기법의 도입으로 많은 수의 노예가 불필요해졌고, 노예제 유지는 비용 부담이 커졌다. 1857년 경제 위기 속에서는 많은 설탕 농장과 정제 공장을 포함한 사업체들이 파산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스페인 정부가 노예주에게 경제적 보상을 제공하며 점진적으로 노예제를 폐지하자는 노예폐지론자들의 주장이 설득력을 얻었다. 일부 농장주들은 노예제 종말을 예상하고 중국인 이민자들을 노동자로 고용하기 시작했으며, 1870년대 이전에 약 12만 5천 명이 쿠바로 유입되었다. 1865년 5월, 쿠바의 크리올 엘리트들은 스페인 의회에 관세 개혁, 쿠바 대표의 의회 파견, 스페인 제국 내 사법적 동등성 보장, 노예 무역 금지 전면 시행 등 네 가지 요구 사항을 청원했다.

그러나 1867년에 들어서자 스페인 식민 정부는 태도를 바꿔 반동적이고 전통주의적인 정책을 강화했다. 대규모 증세를 단행하고 자유주의적 개혁 요구는 묵살했다. 당시 스페인 의회에서는 모든 자유주의 개혁을 폐기하려는 반동적, 전통주의적 정치인들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었다. 군사 재판소의 권한이 강화되었고, 식민 정부는 쿠바 농장주와 기업에 6%의 세금 인상을 부과했으며, 모든 정치적 반대 의견 표명과 언론 활동을 억압했다. 쿠바 내에서는 불만을 표출할 방법이 제한되면서 사회 전반에 걸쳐 불만이 크게 확산되었는데, 특히 동부 쿠바의 유력한 농장주와 대지주들이 이를 강하게 느꼈다.[12]

개혁을 위한 최근의 노력이 실패하고, '정보 위원회'가 해체되었으며, 1866년과 1867년에 또 다른 경제 위기가 닥치면서 섬의 사회적 긴장은 더욱 고조되었다. 식민 행정부는 막대한 이윤을 거두었지만, 이를 쿠바 주민들의 이익을 위해 재투자하지 않았다. 수입의 대부분은 군사비(44%)와 식민 정부 운영비(41%)로 사용되었고, 일부는 스페인의 또 다른 식민지인 페르난도 포(현재의 적도 기니)를 지원하는 데 쓰였다(12%). 유럽 본토 출신 스페인인들(소위 '반도인'이라 불리는 Peninsulareses)은 쿠바 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섬의 부를 상당 부분 독점했다. 반면, 쿠바 태생 주민들은 여전히 정치적 권리가 없었고 스페인 의회에 대표를 파견할 수도 없었다. 이러한 억압적인 조건에 대한 반발은 최초의 본격적인 독립 운동을 촉발시켰으며, 특히 섬 동부 지역에서 그 움직임이 두드러졌다.

1867년 7월, 쿠바에서 가장 부유한 플랜테이션 소유주 중 한 명인 프란시스코 비센테 아길레라의 주도로 '바야모 혁명 위원회'가 결성되었다. 이 독립 음모는 오리엔테 주의 주요 도시들, 특히 만사니요로 빠르게 퍼져나갔고, 이곳에서 카를로스 마누엘 데 세스페데스가 1868년 봉기의 핵심 인물로 부상했다. 원래 바야모 출신인 세스페데스는 '라 데마하과'(La Demajaguaes)라는 이름의 농장과 설탕 공장을 소유하고 있었다. 스페인 당국은 세스페데스의 반식민적 저항 의지를 꺾기 위해 그의 아들 오스카를 투옥하며 압박했지만, 세스페데스는 협상을 거부했고 결국 오스카는 처형당했다. 이러한 개인적인 비극은 그의 독립 의지를 더욱 확고하게 만들었다. 봉기는 원래 10월 14일로 계획되었으나, 스페인 당국이 계획을 사전에 감지하면서 예정보다 앞당겨 실행될 수밖에 없었다.

3. 과정

카를로스 마누엘 데 세스페데스


1868년 10월 10일, 설탕 공장주였던 카를로스 마누엘 데 세스페데스는 라 데마하구아에서 자신의 노예들을 해방시키고 스페인으로부터의 쿠바 독립을 선언하며 봉기를 시작했다. 이는 스페인 측이 봉기 계획을 미리 알아채면서 예정보다 나흘 앞당겨진 것이었다. 이 날은 '야라의 외침'으로 알려져 있으며, 쿠바의 국경일로 기념된다.[13][25] 초기에는 야라 점령에 실패하는 등 어려움을 겪었으나, 봉기는 곧 오리엔테 주 등 쿠바 동부 지역으로 확산되어 10월 말에는 약 12,000명의 지원자가 모였다.

같은 달, 도미니카 공화국 독립 전쟁 경험이 있는 막시모 고메스가 합류하여 농민들을 마체테로 무장시키고 백병전 위주의 전술을 도입했다. 이 전술은 스페인군에게 효과적이었으며, 특히 쿠바의 풍토병인 황열병에 면역이 없던 스페인 병사들은 큰 피해를 입었다.[15][26] 1870년 6월, 고메스는 오리엔테 지역 사령관에 임명되었다.[26] 반군은 중요한 거점이었던 바야모를 점령했으나, 1869년 1월 12일 스페인군에게 탈환당하자 시민들은 도시를 불태웠다.

1869년 2월에는 중부 카마궤이 주에서도 봉기가 일어났고, 4월에는 각지의 반란군 대표들이 카마궤이 주에 모여 공화국 헌법을 공포하고 12일에 세스페데스를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했다. 그러나 혁명 지도부 내의 갈등은 계속되었다. 세스페데스는 서부 침공 작전을 추진하던 고메스를 1872년 6월 명령 위반으로 해임했고, 1873년 10월 27일에는 세스페데스 자신도 보수 세력이 다수를 차지한 의회에 의해 독재적 권력을 비판받으며 대통령직에서 물러났다. 고메스는 군무에 복귀하여 서부 침공을 재개하려 했으나 의회의 압력으로 중단되었다.

전쟁이 장기화되고 주요 지도자들이 사망하면서 반군의 활동은 점차 약화되었다. 스페인은 아르세니오 마르티네스 캄포스 장군을 새로운 총사령관으로 임명하고 대규모 병력을 투입하여 군사적 압박과 함께 화해 정책을 추진했다. 결국 1878년 2월 10일, 양측은 산혼 조약으로 알려진 휴전 협정을 체결했다. 이 협정은 재정 상황 개선을 위한 개혁과 노예 제도 폐지를 약속했지만, 쿠바의 완전한 독립이라는 목표는 달성하지 못했다. 10년간 지속된 이 전쟁으로 약 20만 명이 목숨을 잃었다.

3. 1. 봉기 시작



1867년 7월, 쿠바의 부유한 농장주였던 프란시스코 비센테 아귈레라의 주도로 '바야모 혁명 위원회'가 창설되었다. 이 움직임은 오리엔테 주의 만사니요를 비롯한 여러 도시로 빠르게 퍼져나갔고, 만사니요에서는 카를로스 마누엘 데 세스페데스가 1868년 봉기의 주요 인물로 부상했다. 바야모 출신인 세스페데스는 '라 데마하과'라는 이름의 농장과 설탕 공장을 소유하고 있었다. 스페인 당국은 그의 반식민지적 의지를 꺾기 위해 아들 오스카를 투옥하며 압박했지만, 세스페데스는 협상을 거부했고 결국 오스카는 처형당했다.

세스페데스와 동지들은 본래 10월 14일에 거사를 계획했으나, 스페인 측이 계획을 사전에 알아차리면서 봉기일을 나흘 앞당겨야 했다. 1868년 10월 10일 이른 아침, 세스페데스는 자신의 농장인 라 데마하구아에서 "10월 10일 선언"을 발표하며 스페인 통치에 대한 전면적인 군사 봉기의 시작을 알렸다. 그는 자신의 공장 노예들을 해방시키고 투쟁에 동참할 것을 호소하며 쿠바의 독립을 선언했다[25]. 이 날은 현재 쿠바에서 '야라의 외침'(Grito de Yara|야라의 외침es)이라는 이름의 국경일로 기념되고 있다.[13]

세스페데스는 새롭게 제정한 쿠바 국기를 게양하고[16], 공장 계단에서 15명의 동지들과 함께 서명한 선언서를 발표하며 공장 종을 울렸다. 이 선언문은 스페인 식민 통치의 부당함을 열거하고 다음과 같은 운동의 목표를 명확히 밝혔다.[17]

: 우리의 목표는 신이 인간에게 부여한 자유의 혜택을 누리는 것입니다. 우리는 형제애, 관용, 정의의 정책을 추구하며 모든 인간을 평등하게 대할 것이고, 평화롭게 살기를 선택하는 스페인인이라 할지라도 이러한 혜택에서 제외하지 않을 것입니다.

:

: 우리의 목표는 국민이 법률 제정, 부의 분배, 기금 투자에 직접 참여하는 것입니다.

:

: 우리의 목표는 노예 제도를 폐지하고 정당한 보상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집회의 자유, 언론의 자유, 정직한 통치를 회복하고, 인간의 양도할 수 없는 권리를 존중하며 실천하고자 합니다. 이는 국민의 독립과 위대함의 기초입니다.

:

: 우리의 목표는 스페인의 멍에를 벗어던지고 자유롭고 독립적인 국가를 건설하는 것입니다.

봉기 초기, 세스페데스는 10월 11일 인근 도시 야라를 점령하려 했으나 실패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하지만 야라에서의 봉기 소식은 오리엔테 주 여러 지역에서 지지를 얻었고, 독립 운동은 쿠바 동부 전역으로 빠르게 확산되었다. 10월 13일까지 반군은 8개 도시를 점령하며 세력을 넓혔고, 10월 말에는 약 12,000명의 지원자가 봉기에 참여했다.

같은 달, 도미니카 공화국 독립 전쟁에 참전하여 뛰어난 군사적 재능을 보였던 막시모 고메스가 합류했다. 그는 농민들을 마체테로 무장시키고 매복과 근접전을 활용하는 전술을 고안했다. 당시 쿠바 병사들과 달리 스페인 병사들은 어릴 때 황열병에 대한 면역력이 없었기 때문에, 이 전술은 스페인군에게 큰 피해를 입혔다.[26]



반군의 초기 거점이었던 바야모는 봉기 3개월 후인 1869년 1월 12일 스페인군에게 다시 점령당했고, 함락 과정에서 시민들은 도시를 불태워 초토화시켰다. 동부 지역의 봉기에 이어 1869년 2월 무렵에는 중부 카마궤이 주에서도 반란이 시작되었다. 각지의 반란군과 독립 운동가들은 카마궤이 주에 모여 1869년 4월 10일 공화국 헌법을 공포했으며, 이틀 뒤인 12일에는 세스페데스를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했다.

3. 2. 군사적 전개



1868년 10월 10일, 설탕 공장주였던 카를로스 마누엘 데 세스페데스는 라 데마하구아에서 "10월 10일 선언"을 발표하며 스페인 통치에 대한 군사 봉기를 시작했다. 그는 자신의 노예들을 해방시키고 투쟁에 동참할 것을 촉구하며 쿠바의 독립과 노예 해방을 선언했다. 이날은 현재 쿠바에서 ''그리토 데 야라'' ("야라의 외침")라는 국경일로 기념된다.[13][25] 원래 봉기는 10월 14일로 계획되었으나, 스페인 측이 계획을 사전에 감지하면서 4일 앞당겨졌다.

초기 봉기는 어려움을 겪었다. 세스페데스는 10월 11일 인근 도시 야라 점령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하지만 봉기는 오리엔테 주 여러 지역에서 지지를 얻으며 쿠바 동부 전역으로 빠르게 확산되었다. 10월 13일까지 반군은 8개 도시를 점령했고, 10월 말에는 약 12,000명의 지원병이 모였다.

같은 달, 도미니카 공화국 독립 전쟁 경험이 있는 막시모 고메스가 합류하여 쿠바군에게 마체테를 이용한 돌격 전술을 가르쳤다. 이는 총기와 마체테를 결합하여 스페인군의 방진(사각형 대형)을 효과적으로 공격하는 방식이었다.[15] 또한 스페인 병사들은 쿠바와 달리 황열병에 대한 면역력이 없어 큰 피해를 입었다. 고메스는 1870년 6월 오리엔테 지역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26]

반군은 중요한 도시 바야모를 3일간의 전투 끝에 점령했고, 이곳은 세스페데스가 이끄는 첫 번째 공화국 정부의 거점이 되었다. 이때 시인이자 음악가인 페루초 피게레도는 쿠바의 국가인 "라 바야메사"를 작곡했다. 그러나 바야모는 3개월 후인 1869년 1월 12일 스페인군에게 탈환되었고, 시민들은 도시를 불태웠다.

동부의 봉기에 이어 1868년 11월 4일에는 카마궤이 주에서 라스 클라벨리나스 봉기가 일어났고, 1869년 2월 초에는 라스 비야스 지역에서도 봉기가 시작되었다. 하지만 피나르델리오, 아바나, 마탄자스 등 서부 지역에서는 큰 호응을 얻지 못했다. 각지의 반란군 대표들은 카마궤이 주에 모여 1869년 4월 10일 공화국 헌법을 공포하고, 12일 세스페데스를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했다.

1868년, 세스페데스는 쿠바군 사령관으로 미국 남북 전쟁 당시 미국 남부 연합군 출신인 토마스 조던 장군을 임명했다. 조던은 잘 훈련된 부대를 이끌었지만, 그의 정규전 전술은 발마세다 백작과 같은 스페인 지휘관들의 잔혹한 진압 작전에 취약점을 드러냈다. 조던이 사임한 후 세스페데스는 막시모 고메스를 다시 사령관으로 임명했다. 이후 안토니오 마세오 그라할레스, 호세 마세오, 칼릭스토 가르시아, 빈센테 가르시아 곤잘레스[18], 페데리코 페르난데스 카바다 등 새로운 세대의 쿠바 지휘관들이 성장했다. 특히 미국 남북 전쟁에서 북군 대령으로 복무했던 페르난데스 카바다는 1870년 4월 4일 쿠바군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19]

쿠바군 총사령관 페데리코 페르난데스 카바다


스페인 정부는 정규군 외에도 '자원군'(Voluntarios)이라는 민병대를 동원했다. 이들은 주로 스페인 본토 출신이나 쿠바 내 친스페인 세력으로 구성되었으며, 1869년 초까지 7만 명 이상이 참여했다.[21] 자원군은 도시 질서 유지와 반란군 진압에 투입되었으나, 훈련 부족과 잔혹 행위로 악명이 높았다. 1871년 11월 27일에는 아바나 대학교 학생 8명을 처형했으며, 1873년 10월에는 공해상에서 미국 선박 버지니어스호를 나포하여 선장과 선원, 쿠바 반군 등 53명을 처형하는 사건을 일으켰다.[21] 시골 지역의 자원군들은 농민과 반군 가족들을 학살하거나 집중 수용소로 보내는 만행을 저질렀다. 독일인 거주자들도 자신들의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클럽 데 알레마네스"라는 자경단을 조직했으나, 사실상 스페인 정부 편에 섰다.[22]

1872년 6월, 세스페데스는 서부 침공 작전을 추진하던 고메스를 명령 불복종을 이유로 해임했다. 그러나 1873년 10월 27일, 보수파가 다수인 의회는 세스페데스의 독재적 권력을 비판하며 그를 대통령직에서 축출했다. 고메스는 군에 복귀하여 서부 침공을 재개하려 했으나 의회의 반대로 중단되었다.

전쟁은 1872년1873년에 가장 격렬했지만, 아그라몬테와 세스페데스 같은 주요 지도자들의 사망 이후 쿠바군의 활동은 카마궤이 주와 오리엔테 주 지역으로 제한되었다. 고메스는 1875년 서부 쿠바 침공을 다시 시도했지만, 부유한 설탕 농장주들과 노예 대다수는 반란에 참여하지 않았다. 1876년, 고메스의 신뢰받는 부하였던 미국인 헨리 리브가 전사하자 서부 침공 작전은 완전히 중단되었다.

한편, 스페인에서는 1872년부터 제3차 카를로스 전쟁이 발발하여 쿠바에 대한 군사적 노력을 집중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1876년 스페인 내전이 종결되자, 스페인 정부는 쿠바에 25만 명 이상의 대규모 병력을 파견하여 반란군을 압박했다. 양측 모두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지 못했지만, 장기적으로는 스페인이 군사적 우위를 점하게 되었다.

새로운 스페인군 총사령관 아르세니오 마르티네스 캄포스는 군사적 압박과 함께 후퇴를 거듭하는 반군에게 정전과 화해 정책을 제안했다. 결국 1878년 2월 10일, 산혼 조약으로 알려진 휴전 협정이 체결되었다. 협정은 쿠바의 재정 상황 개선을 위한 개혁과 노예 제도 폐지를 약속했다. 그러나 10년간 지속된 이 전쟁으로 약 20만 명이 목숨을 잃었다.

3. 3. 정치적 발전



1868년 10월 10일, 설탕 공장주였던 카를로스 마누엘 데 세스페데스는 자신의 노예를 해방하고 37명의 동지와 함께 독립 운동을 시작했다. 그는 야라에서 스페인으로부터의 독립과 노예 해방을 선언하며 모든 인종에게 자유를 위한 투쟁에 동참할 것을 촉구했다.[16][25] 세스페데스는 새로운 쿠바 국기를 게양하고, 스페인의 부당한 통치를 비판하며 운동의 목표를 담은 선언문을 발표했다.[17] 이 선언문은 자유의 혜택 향유, 모든 인간의 평등, 국민의 입법 및 재정 참여, 노예제 폐지(정당한 보상 포함), 집회언론의 자유 보장, 그리고 스페인의 멍에를 벗어던지고 자유롭고 독립적인 국가 수립 등을 목표로 명확히 제시했다.

반군은 초기에 중요한 도시인 바야모를 점령했고, 이곳에 무장 공화국의 첫 정부가 수립되었다. 이 승리의 열기 속에서 시인이자 음악가인 페루초 피게레도는 쿠바의 국가인 "라 바야메사"를 작곡했다. 그러나 3개월 후인 1869년 1월 12일, 스페인군이 바야모를 탈환했고, 시민들은 도시를 불태워 초토화 작전을 감행했다.

독립 운동은 쿠바 동부 오리엔테 주 전역으로 빠르게 확산되었다. 1868년 11월 4일에는 중부 카마궤이 주에서 라스 클라벨리나스 봉기가 일어났고, 1869년 2월 초에는 라스 비야스 지역에서도 봉기가 이어졌다. 비록 피나르델리오, 아바나, 마탄사스 등 서부 지역에서는 광범위한 지지를 얻지 못했지만, 16세의 호세 마르티와 같은 열렬한 지지자들은 스페인 당국에 의해 체포되어 탄압받는 등 저항은 계속되었다.

1869년 4월 10일, 봉기에 참여한 지역 대표들은 과이마로에 모여 헌법 제정 의회를 개최했다. 이 회의는 혁명 운동에 조직적이고 법적인 통일성을 부여하기 위한 중요한 발걸음이었다. 격렬한 논의 끝에, 의회는 군사 지휘부와 민간 정부를 분리하고 군대가 민간 정부에 종속되도록 하는 원칙에 합의했다. 이그나시오 아그라몬테 이 로이나스와 안토니오 삼브라나 등이 주도하여 작성한 과이마로 헌법이 이날 공포되었다. 이어 4월 12일에는 세스페데스가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으로, 살바도르 시스네로스 베탕쿠르가 의회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군 총사령관으로는 멕시코에서 프랑스의 침략에 맞서 싸운 경험이 있는 마누엘 데 케사다 장군이 임명되었다.

그러나 혁명 지도부 내의 갈등은 피할 수 없었다. 세스페데스 대통령은 서부 침공 작전을 추진하던 막시모 고메스 사령관을 1872년 6월 명령 위반을 이유로 좌천시켰다. 이러한 갈등은 1873년 10월 27일 정점에 달했는데, 보수파가 다수를 차지한 의회는 세스페데스의 독재적 권력 행사를 강하게 비판하며 그를 대통령직에서 해임했다. 고메스는 군에 복귀하여 서부 침공 작전을 재개하려 했으나, 의회의 압력으로 인해 결국 중단되었다.

전쟁이 장기화되고 반군의 세력이 약화되자, 새로 부임한 스페인군 총사령관 아르세니오 마르티네스 캄포스는 후퇴를 거듭하는 반군에게 정전과 화해 정책을 제안했다. 결국 1878년 2월 10일, 양측은 산혼 협정(Pact of Zanjón)으로 알려진 휴전 협정을 체결하게 된다. 이 협정은 쿠바의 재정 상황 개선을 위한 다양한 개혁과 노예 제도의 폐지를 약속했지만, 쿠바의 완전한 독립이라는 목표는 달성하지 못했다. 10년에 걸친 이 전쟁으로 약 20만 명의 쿠바인이 목숨을 잃었다.

3. 4. 전쟁의 교착과 종결

1872년1873년에 걸쳐 10년 전쟁의 활동은 절정에 달했으나, 전쟁은 점차 교착 상태에 빠져들었다. 카를로스 마누엘 데 세스페데스 대통령은 서부 침공 작전을 추진하던 오리엔테군 사령관 막시모 고메스1872년 6월 명령 위반으로 좌천시켰다. 그러나 1873년 5월 11일, 뛰어난 지휘관이었던 이그나시오 아그라몬테가 전투 중 사망하면서[18] 중앙 군대의 지휘는 다시 막시모 고메스에게 넘어갔다.

반군 내부의 정치적, 개인적 불화는 심화되었다. 1873년 10월 27일, 보수 세력이 다수를 차지한 의회는 세스페데스의 독재적 권력을 비판하며 그를 대통령직에서 해임하고 시스네로스를 후임으로 임명했다。 세스페데스는 이후 1874년 2월 27일, 스페인군 순찰대의 기습으로 사망했다. 새로운 쿠바 정부는 그에게 단 한 명의 호위병만 남겨두었고, 미국으로의 망명 요청도 거부한 상태였다. 한편, 군무에 복귀한 고메스는 서부 침공 작전을 재개했지만, 의회의 압력으로 인해 작전은 다시 중단되었다。

전쟁 초기, 미국 남북 전쟁 참전 경력이 있는 토마스 조던이 쿠바군 사령관으로 임명되기도 했으나, 그의 정규전 전술은 스페인군의 잔혹한 초토화 작전에 취약점을 드러냈다. 조던 장군 사임 후 고메스가 다시 사령관이 되었고, 안토니오 마세오 그라할레스, 호세 마세오, 칼릭스토 가르시아, 빈센테 가르시아 곤잘레스[18] 등 숙련된 쿠바 지휘관들이 성장했다.

스페인 측은 1869년 초부터 본토 병력을 증강하고, 자원군 (Voluntarios|볼룬타리오스es)을 동원하여 반란 진압에 나섰다. 이베리아 반도 출신과 쿠바 현지인으로 구성된 자원군은 7만 명 이상에 달했으며, 특히 도시 지역에서 공공 질서 유지를 명목으로 활동하며 독립 지지자들에 대한 가혹한 탄압으로 악명을 떨쳤다. 1871년 11월 27일에는 아바나 대학교 학생 8명을 처형하는 사건이 발생했으며, 1873년 10월에는 공해상에서 미국 선적 증기선 버제니어스호를 나포하여 선장과 선원, 쿠바 반군 등 53명을 처형했다.[21] 시골 지역에서도 자원군은 농민과 반군 가족들을 집중 수용소로 보내거나 살해하는 만행을 저질렀다.

아그라몬테와 세스페데스의 사망 이후 쿠바 반군의 작전은 카마궤이 주와 오리엔테 지역으로 제한되었다. 고메스는 1875년 서부 쿠바 침공을 다시 시도했지만, 부유한 설탕 생산자들과 다수의 노예들이 반란에 참여하지 않아 실패로 돌아갔다. 1876년, 그의 신뢰받는 부관이었던 미국인 헨리 리브가 사망하자 고메스는 작전을 완전히 종료했다.

1876년 스페인에서 제3차 카를로스 전쟁이 종식되자, 스페인 정부는 쿠바에 더 많은 군대를 파견하여 병력 규모는 25만 명 이상으로 늘어났다. 스페인군의 압도적인 병력과 가혹한 탄압은 반군을 약화시켰다. 전쟁은 어느 쪽도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지 못하는 소모전 양상으로 흘러갔지만, 장기적으로는 스페인이 우위를 점하게 되었다.

반군이 승리하지 못한 데에는 여러 요인이 있었다. 조직과 자원의 부족, 백인들의 소극적인 참여, 인종차별 문제로 인한 내부 분열, 서부 지역으로 전쟁을 확산시키지 못한 점, 그리고 미국 정부가 쿠바 독립을 지지하지 않고 오히려 스페인에 최신 무기를 판매한 것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1877년 10월 19일, 후안 바우티스타 스포토르노의 뒤를 이어 무장 공화국 대통령이 된 토마스 에스트라다 팔마가 스페인군에 체포되었다. 계속되는 불운 속에서 1878년 2월 8일, 쿠바 정부의 헌법 기구가 해산되었고, 반군 지도자들은 푸에르토 프린시페의 산혼 (Zanjón|산혼es)에서 평화 협상을 시작했다.

1878년 하바나에 입성하는 마르티네스 캄포스 장군


새롭게 스페인군 총사령관으로 부임한 아르세니오 마르티네스 캄포스 장군은 후퇴를 거듭하는 반군에게 정전과 화해 정책을 제시했다. 약 2년간의 설득 끝에 대부분의 반군 지도자들은 이를 받아들였고, 1878년 2월 10일 산혼 조약이 체결되었다. 이 조약에서 스페인 정부는 재정 상황 개선을 위한 다양한 개혁과 노예 제도 폐지를 약속했다.

이로써 10년간 지속된 전쟁은 막을 내렸지만, 약 20만 명이라는 막대한 인명 피해를 남겼다. 가르시아 장군과 안토니오 마세오 그라할레스 등 일부 지도자들은 산혼 조약을 거부하고 1878년 3월 15일 로스 망고스 데 바라과 (Los Mangos de Baraguá|로스 망고스 데 바라과es)에서 항의하며 저항을 이어갔다.

4. 주요 인물



10년 전쟁에는 쿠바 독립을 위해 헌신한 인물들과 스페인 제국 측 인물들이 복잡하게 얽혀 있다.

쿠바 반군 측에서는 다양한 인물들이 활약했다. 봉기 초기, 바야모 점령의 열기 속에서 시인이자 음악가인 페루초 피게레도는 쿠바의 국가가 된 "라 바야메사"를 작곡했다. 카를로스 마누엘 데 세스페데스는 봉기의 주요 지도자였으며, 과이마로에서 열린 헌법 제정 의회에서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젊은 호세 마르티는 반란의 열렬한 지지자였으나 체포되어 스페인으로 추방되었고, 훗날 쿠바 독립 전쟁의 주요 설계자로 성장했다.

군사 지도자로는 초기 사령관을 맡았던 미국 남부 연합군 출신의 토마스 조던이 있었으나, 그의 정규 전술은 한계를 보였다. 이후 막시모 고메스, 안토니오 마세오 그라할레스, 호세 마세오, 칼릭스토 가르시아, 빈센테 가르시아 곤잘레스[18] 등 숙련된 지휘관들이 부상했다. 특히 미국 남북 전쟁 참전 경력이 있는 페데리코 페르난데스 카바다는 1870년 쿠바군 총사령관으로 임명되기도 했다.[19] 그의 형제 아돌포 페르난데스 카바다 역시 전투에 참여했다. 이 외에도 도나토 마르몰, 루이스 마르카노-알바레즈, 카를로스 롤로프, 엔리케 로레 데 몰라, 훌리오 상구일리, 도밍고 데 고이쿠리아, 기예르모 몬카다, 킨틴 반데라, 벤하민 라미레즈, 훌리오 그라베 데 페랄타 등이 주요 지도자로 활약했다.

1869년 과이마로에서 열린 헌법 제정 의회는 카를로스 마누엘 데 세스페데스를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하고, 살바도르 시스네로스 베탕쿠르를 의회 의장으로, 마누엘 데 케사다를 군 사령관으로 임명했다. 이그나시오 아그라몬테 이 로이나스와 안토니오 삼브라나는 헌법 초안 작성에 참여했다.

반면, 스페인 측에서는 블라스 비야테(발마세다 백작)와 같이 반군 가족들을 대상으로 잔혹한 전술을 사용한 인물도 있었다. 발레리아노 웨일러 역시 발마세다 백작과 함께 싸웠으며, 훗날 "도살자 웨일러"라는 악명을 얻게 된다. 전쟁 말기에는 아르세니오 마르티네스 캄포스가 스페인군 총사령관으로 부임하여 반군과의 협상을 통해 산혼 조약 체결을 주도했다.

4. 1. 카를로스 마누엘 데 세스페데스



1867년 7월, 쿠바의 부유한 농장주였던 프란시스코 비센테 아귈레라의 주도로 '바야모 혁명 위원회'가 창설되었다. 이 움직임은 오리엔테 주의 여러 도시, 특히 만사니요로 빠르게 퍼져나갔고, 이곳에서 설탕 공장주이자 농장주였던 카를로스 마누엘 데 세스페데스가 1868년 봉기의 주요 인물로 부상했다. 세스페데스는 라 데마하구아로 알려진 농장과 제당 공장을 소유하고 있었다. 스페인 당국은 그의 반식민지적 의지를 꺾기 위해 아들 오스카를 투옥했으나, 세스페데스는 협상을 거부했고 결국 오스카는 처형당했다.

세스페데스와 그의 동지들은 원래 1868년 10월 14일에 봉기를 시작할 계획이었으나, 스페인 당국이 계획을 눈치채면서 10월 10일로 앞당겨 실행에 옮겼다. 이날 새벽, 세스페데스는 자신의 공장인 라 데마하구아에서 역사적인 "10월 10일 선언"을 발표하며 스페인 통치에 대한 전면적인 군사 봉기의 시작을 알리고 쿠바의 독립을 선언했다. 이 선언과 함께 그는 자신의 공장 노예들을 해방시키고 혁명에 동참할 것을 호소했다. 이 사건은 훗날 '야라의 외침'(Grito de Yaraes)으로 불리며 현재 쿠바의 국경일로 기념되고 있다.[13][25]

세스페데스는 모든 인종의 사람들에게 자유를 위한 투쟁에 동참할 것을 촉구하며, 독립 쿠바의 새로운 깃발을 게양했다.[16] 그는 15명의 동지들과 함께 서명한 선언서를 통해 스페인의 부당한 통치를 비판하고 혁명의 목표를 다음과 같이 밝혔다.[17]

: 우리의 목표는 자유의 혜택을 누리는 것입니다. 신은 인간이 이를 누리도록 창조했습니다. 우리는 형제애, 관용, 정의의 정책을 진심으로 표방하며, 모든 인간을 평등하게 여기고, 스페인인이라 할지라도 우리와 함께 평화롭게 살기를 선택한다면, 누구도 이러한 혜택에서 제외하지 않을 것입니다.

:

: 우리의 목표는 국민이 법률 제정, 분배, 기금 투자에 참여하는 것입니다.

:

: 우리의 목표는 노예 제도를 폐지하고 보상을 받을 자격이 있는 사람들에게 보상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집회의 자유, 언론의 자유, 정직한 통치를 회복할 자유를 추구하며, 인간의 양도할 수 없는 권리를 존중하고 실천하고자 합니다. 이는 국민의 독립과 위대함의 기초입니다.

:

: 우리의 목표는 스페인의 멍에를 벗어던지고 자유롭고 독립적인 국가를 수립하는 것입니다.

봉기 초기, 10월 11일 인근 도시 야라를 점령하려던 시도는 실패로 돌아갔다. 그러나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봉기는 오리엔테 주 여러 지역에서 지지를 얻으며 쿠바 동부 전역으로 빠르게 확산되었다. 10월 13일까지 반군은 8개 도시를 점령했으며, 10월 말에는 약 12,000명의 지원자가 모였다. 반군은 바야모를 거점으로 삼았으나, 3개월 뒤인 1869년 1월 12일 스페인군에게 탈환되었고 도시는 시민들에 의해 불탔다.

동부의 봉기에 이어 1869년 2월경에는 중부 카마궤이 주에서도 반란이 일어났다. 각지의 반란군과 독립 운동가들은 카마궤이 주의 과이마로에 모여 4월 10일 공화국 헌법(과이마로 헌법)을 제정하고 공포했다. 이틀 뒤인 4월 12일, 이 의회는 세스페데스를 무장 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했다. 이그나시오 아그라몬테와 안토니오 삼브라나가 헌법 초안 작성에 참여했으며, 살바도르 시스네로스 베탕쿠르가 대표 의회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대통령이 된 세스페데스는 서부 침공 작전을 추진하던 오리엔테군 사령관 막시모 고메스1872년 6월 명령 위반을 이유로 좌천시켰다. 그러나 1873년 이그나시오 아그라몬테가 전투 중 사망하면서 정치적 갈등이 심화되었고, 같은 해 10월 27일 보수 세력이 다수를 차지한 의회에서 독재적 권력을 행사한다는 비판을 받으며 결국 대통령직에서 물러났다. 새로운 쿠바 정부는 그에게 단 한 명의 호위병만 남겼으며, 미국으로 망명하여 무장 원정대를 준비하려던 계획도 허가하지 않았다. 결국 세스페데스는 1874년 2월 27일, 스페인 군 순찰대의 기습을 받아 사망했다.

4. 2. 막시모 고메스

도미니카 공화국 출신으로 과거 스페인군 기병 장교였던[15] 막시모 고메스는 뛰어난 군사적 재능을 가지고 10년 전쟁에 참여했다. 그는 1868년 10월, 농민들을 마체테로 무장시켜 매복과 근접전을 벌이는 전술을 고안했다. 이 "마체테 돌격"은 쿠바군에게 가장 효과적인 전술 중 하나가 되었으며, 총기 사용과 결합되어 방진(사각형 대형)을 갖춘 스페인군에게 큰 타격을 주었다.[15] 또한 스페인군 병사들은 쿠바의 풍토병인 황열병에 대한 면역력이 없어 전투 외적으로도 큰 손실을 입었다.[26]

1870년 6월, 고메스는 오리엔테 주 지역 사령관에 임명되었다.[26] 그러나 1872년 6월, 서부 침공 작전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당시 대통령이었던 카를로스 마누엘 데 세스페데스와의 의견 차이로 명령 위반을 이유로 좌천되었다.

1873년 5월, 카마구에이 주의 주요 지도자였던 이그나시오 아그라몬테가 전사하자 고메스는 중앙 군대의 지휘를 맡게 되었다. 같은 해 10월, 세스페데스 대통령이 보수 세력이 다수인 의회와의 갈등 끝에 실각하자 고메스는 군무에 복귀하여 서부 침공 작전을 재개하려 했으나, 의회의 압력으로 인해 작전은 중단되었다.

고메스는 1875년 서부 쿠바 침공을 다시 시작했지만, 이 지역의 대다수 노예와 부유한 설탕 생산자들이 반란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아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1876년, 그가 가장 신뢰하던 부하 중 한 명이자 미국인 출신 장군이었던 헨리 리브가 전사하자, 고메스는 서부 침공 작전을 최종적으로 중단했다.

4. 3. 안토니오 마세오

10년 전쟁이 진행됨에 따라 쿠바군에서는 새로운 세대의 숙련된 지휘관들이 부상하였다. 안토니오 마세오 그라할레스는 이 시기에 두각을 나타낸 주요 인물 중 한 명으로, 호세 마세오, 칼릭스토 가르시아, 빈센테 가르시아 곤잘레스[18], 페데리코 페르난데스 카바다 등과 함께 쿠바 독립을 위한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성장했다.

4. 4. 아르세니오 마르티네스 캄포스



새로운 스페인군 총사령관으로 아르세니오 마르티네스 캄포스가 부임했다. 그는 쿠바에 도착하여 스페인의 새로운 정책을 적용할 책임자였다. 당시 반군은 계속 후퇴하며 약화되고 있었는데, 캄포스는 이들에게 정전과 화해 정책을 제안했다.

캄포스는 약 2년에 걸쳐 대부분의 반군 지도자들을 설득하여 산혼 조약을 받아들이게 했다. 마침내 1878년 2월 10일, 쿠바 반군 협상 위원회는 산혼 조약에 서명했다. 이 조약에는 스페인이 약속한 재정 상황 개선을 위한 다양한 개혁과 노예 제도 폐지 합의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 조약으로 가르시아 장군과 안토니오 마세오 그라할레스 등이 이끄는 오리엔테 지역의 소규모 저항 세력을 제외하고는 10년간 지속된 전쟁이 종결되었다.

5. 결과 및 영향

1878년 2월 10일, 스페인군 총사령관 아르세니오 마르티네스 캄포스가 제시한 정전 및 화해 방침에 따라 잔혼 조약이 체결되면서 10년 간의 전쟁은 막을 내렸다. 협정에서는 쿠바 거주민의 재정 상황 개선을 위한 다양한 개혁과 함께, 스페인을 위해 싸운 노예들의 해방을 약속했다. 실제로 1880년 스페인 의회는 쿠바 등 식민지에서 점진적인 방식으로 노예제를 폐지하는 법안을 통과시켰으나, 해방된 노예들은 낮은 임금으로 인해 경제적 자립에 어려움을 겪었다.

전쟁은 쿠바 사회에 큰 상처를 남겼다. 약 20만 명에 달하는 인명 손실이 발생했으며, 섬 전체는 심각한 경제 불황에 시달렸다. 특히 주요 산업이었던 커피 산업은 황폐화되었고, 미국의 관세 정책은 쿠바의 수출에 큰 타격을 입혔다.

전쟁 종결 후에도 쿠바인들과 스페인 정부 사이의 긴장은 17년간 지속되었다. 이 시기는 "보상의 휴전"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1879년1880년 사이에는 작은 전쟁( La Guerra Chiquita|라 게라 치키타es )이 발발하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스페인 통치에 반대하며 망명을 택한 호세 마르티와 같은 열정적인 분리주의자들이 독립 운동의 새로운 구심점으로 부상했다.

10년 전쟁의 경험은 이후 독립 운동의 중요한 자산이 되었다. 카를로스 마누엘 데 세스페데스의 독립 선언으로 시작된[25] 이 전쟁에 참여했던 막시모 고메스, 칼릭스토 가르시아, 안토니오 마세오 형제 등 많은 지도자와 병사들은 패배에도 굴하지 않고 독립 의지를 이어갔다.[23] 이들은 10년 전쟁의 경험을 바탕으로 1895년 2월 24일 발발한 쿠바 독립 전쟁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결국 이 전쟁은 1898년 미국의 개입(스페인-미국 전쟁)으로 이어졌고, 같은 해 12월 10일 파리 조약을 통해 쿠바는 독립을 승인받게 되었다. 비록 10년 전쟁 자체는 실패로 끝났지만, 쿠바 독립 운동의 중요한 밑거름이 되어 다음 세대의 투쟁으로 이어지는 결정적인 계기를 마련했다.

5. 1. 산혼 협정

후안 바우티스타 스포토르노의 뒤를 이어 무장 공화국 대통령이 된 토마스 에스트라다 팔마는 1877년 10월 19일 스페인군에게 체포되었다. 이러한 불운이 겹치면서 1878년 2월 8일, 쿠바 정부의 헌법 관련 기구들이 해산되었고, 반군 지도자들은 푸에르토 프린시페의 산혼에서 평화 협상을 시작했다.

스페인 정부는 새로운 정책을 시행할 책임자로 아르세니오 마르티네스 캄포스 장군을 쿠바로 파견했다. 그는 약 2년에 걸쳐 대부분의 반군 지도자들을 설득하여 산혼 조약을 받아들이게 했고, 이 조약은 1878년 2월 10일 협상 위원회에 의해 최종 서명되었다. 조약 문서에는 스페인이 약속한 개혁 내용 대부분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 조약으로 10년 전쟁은 사실상 종결되었으나, 가르시아 장군과 안토니오 마세오 그라할레스가 이끄는 오리엔테 지역의 소규모 저항 세력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1878년 3월 15일 로스 망고스 데 바라과에서 항의 의사를 밝혔다.

협약에 따라 쿠바에 헌법과 임시 정부가 수립되었지만, 혁명의 열기는 사그라들었다. 임시 정부는 마세오를 설득하여 항복하게 만들었고, 그의 항복과 함께 1878년 5월 28일 전쟁은 완전히 끝났다. 10년 전쟁을 경험했던 많은 인물들, 예를 들어 마세오 형제, 막시모 고메스, 칼릭스토 가르시아 등은 이후 1895년에 시작된 쿠바 독립 전쟁의 주역이 되었다.[23]

산혼 조약은 쿠바 주민들의 재정 상황 개선을 위한 여러 개혁을 약속했다. 가장 중요한 개혁 중 하나는 스페인을 위해 싸운 모든 노예를 해방하는 것이었다. 노예제 폐지는 반란군 측에서도 제안했던 사항이었고, 스페인에 충성하던 이들 중에서도 노예제 폐지를 원하는 목소리가 있었다. 결국 1880년, 스페인 의회는 쿠바를 포함한 식민지에서 점진적인 방식으로 노예제를 폐지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 이 법은 해방된 노예들이 일정 기간 동안 이전 주인 밑에서 계속 일하도록 규정했지만, 주인은 그들의 노동에 대해 대가를 지불해야 했다. 그러나 지급되는 임금이 매우 낮아 해방된 노예들이 경제적으로 자립하기는 어려웠다.

5. 2. 쿠바 독립 운동에 미친 영향

1878년 2월 10일 잔혼 조약으로 10년 전쟁은 끝났지만, 쿠바의 완전한 독립을 이루지는 못했다. 잔혼 조약은 쿠바 거주민의 재정 상황 개선을 위한 다양한 개혁과 스페인을 위해 싸운 노예의 해방을 약속했다.[23] 이는 반란군뿐 아니라 스페인에 충성했던 이들 중에서도 노예제 폐지를 원했던 목소리가 반영된 결과였다. 마침내 1880년, 스페인 의회는 쿠바를 포함한 식민지에서 점진적인 형태로 노예제를 폐지하는 법을 통과시켰다. 하지만 이 법은 해방된 노예가 일정 기간 동안 이전 주인 밑에서 계속 일하도록 강제했고, 지급되는 임금은 매우 낮아 실질적인 자립은 어려웠다.

전쟁이 끝난 후에도 쿠바인들과 스페인 정부 사이의 긴장은 17년 동안 계속되었다. 이 시기를 "보상의 휴전"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1879년1880년 사이에는 작은 전쟁(La Guerra Chiquitaes)이 일어나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스페인 통치에 반대하며 망명을 택한 호세 마르티와 같은 열정적인 분리주의자들이 등장하여 이후 독립 운동의 중요한 구심점이 되었다.

10년 전쟁은 쿠바 사회에 큰 상처를 남겼다. 약 20만 명이 목숨을 잃었으며, 섬 전체가 심각한 경제 불황을 겪었다. 특히 커피 산업은 황폐화되었고, 미국의 관세 정책은 쿠바의 수출에 큰 타격을 주었다.

그러나 10년 전쟁의 경험은 사라지지 않았다. 카를로스 마누엘 데 세스페데스1868년 10월 10일 자신의 노예를 해방하고 독립을 선언하며 시작된[25] 이 전쟁은, 비록 실패로 끝났지만 쿠바 독립 의지를 다지는 계기가 되었다. 막시모 고메스, 칼릭스토 가르시아, 마세오 형제 등 10년 전쟁에 참여했던 많은 지도자와 병사들은 패배에도 굴하지 않고 독립의 꿈을 이어갔다.[23] 이들은 10년 전쟁의 경험을 바탕으로 1895년 2월 24일 발발한 쿠바 독립 전쟁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결국 이 전쟁은 1898년 미국의 개입(스페인-미국 전쟁)으로 이어졌고, 같은 해 12월 10일 파리 조약을 통해 쿠바는 독립을 승인받게 된다. 즉, 10년 전쟁은 그 자체로는 성공하지 못했지만, 쿠바 독립 운동의 중요한 밑거름이 되었으며, 다음 세대의 독립 투쟁으로 이어지는 다리 역할을 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5. 3. 국제적 영향

10년 전쟁은 쿠바 내부의 독립 운동이었지만, 국제적인 인물의 참여와 이후 국제 정세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

전쟁 초기, 도미니카 공화국의 스페인 독립 전쟁 경험이 있는 막시모 고메스가 합류하여 쿠바 반란군에게 중요한 군사적 전술을 제공했다. 그는 농민들을 마체테로 무장시켜 매복과 근접전을 벌이는 작전을 구사했으며, 이는 스페인군에게 큰 타격을 주었다. 특히 스페인 병사들은 쿠바 병사와 달리 어릴 때 황열병에 대한 면역이 없어 질병으로 인한 손실도 컸다.[26] 고메스는 1870년 6월 오리엔테 지역 사령관에 임명되었으나[26], 이후 카를로스 마누엘 데 세스페데스 대통령과의 갈등 및 의회의 압력으로 서부 침공 작전이 중단되기도 했다.

1878년 휴전 협정으로 10년 전쟁은 끝났지만, 쿠바 거주민과 스페인 정부 사이의 긴장은 17년간 지속되었다. 이 시기는 "보상의 휴전"이라 불리며, 1879년1880년 사이에는 작은 전쟁( La Guerra Chiquita|라 게라 치키타es )이 일어나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스페인 통치에 반대하며 망명을 택한 반군 중 가장 열정적인 인물인 호세 마르티가 분리주의자들의 지지를 얻게 되었다.

결국 10년 전쟁 종결 17년 후인 1895년 2월 24일, 쿠바 독립 전쟁이 다시 발발했다. 이 전쟁은 1898년 4월 25일 미국이 개입하면서 스페인-미국 전쟁으로 확대되었다. 같은 해 12월 10일 체결된 파리 조약을 통해 쿠바는 마침내 독립을 승인받았다.

10년 전쟁은 약 20만 명의 사망자를 낳았으며, 섬 전체에 심각한 경제 불황을 가져왔다. 특히 쿠바의 주요 산업이었던 커피 산업은 황폐화되었고, 미국의 관세 정책은 쿠바 수출에 큰 타격을 입혔다.

6. 역사적 평가

쿠바 혁명의 지도자 피델 카스트로는 자신의 7월 26일 운동을 10년 전쟁과 쿠바 독립 전쟁으로 이어지는 탈식민주의 투쟁의 연장선으로 간주하며 역사적 의미를 부여했다.[24]

참조

[1] 서적 From Spanish domination to American domination, 1762–1909 Grijalbo 1973
[2] 문서 1973
[3] 서적 War of the 10 i.e. Ten years Editorial De Ciencias Sociales 1972
[4] 간행물 Conference on the Cuban insurrection Artillery Corps Printing 1895
[5] 서적 General History of Spain and America: Revolution and Restoration: (1868–1931) Rialp Editions 1981
[6] 서적 Annals of the civil war: Spain from 1868 to 1876 Astort Brothers 1875
[7] 문서
[8] 웹사이트 Military Historical Victimary http://remilitari.co[...]
[9] 서적 The Presidency of Ulysses S. Grant 2017
[10] 서적 Cuba: The Pursuit of Freedom 1971
[11] 서적 Spain and the Abolition of Slavery in Cuba, 1817–1886 1967
[12] 서적 Cuba: Between Reform and Revolution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3] 서적 Cuba: The Culture https://books.google[...] Crabtree Publishing Company 2004
[14] 웹사이트 Marysville Daily Appeal 27 December 1868 — California Digital Newspaper Collection https://cdnc.ucr.edu[...] 2024-11-12
[15] 웹사이트 Máximo Gómez Báez :: Guerra de los diez años (1868–1878) http://www.bohemia.c[...] 2005-12-26
[16] 문서 es:Grito de Yara
[17] 웹사이트 Manifiesto de la Junta Revolucionaria de la Isla de Cuba, Dirigido a sus Compatriotas y a todas las Naciones http://www.autentico[...]
[18] 웹사이트 Cronologia_abril http://www.periodico[...] 2005-12-28
[19] 문서 The Latino Experience in U.S. History Globe Pearson
[20] 학술저널 Cubans in Tampa: From Exiles to Immigrants http://palmm.digital[...] 1978-10
[21] 서적 Volunteers of the empire : war, identity, and Spanish imperialism, 1855–1898 https://www.worldcat[...] Bloomsbury Academic
[22] 서적 La diplomacia bismarckiana ante la cuestión cubana, 1868–1874 https://books.google[...] Editorial CSIC – CSIC Press 1988
[23] 웹사이트 The Ten Year War http://www.historyof[...]
[24] 서적 The Low-Carbon Contradiction: Energy Transition, Geopolitics, and the Infrastructural State in Cub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23
[25] 웹사이트 独立戦争の父 カルロス・マヌエル・デ・セスペデス http://www.atenajapa[...] アテナ・ジャパン 2013-11-18
[26] 웹사이트 独立革命指導者 マキシモ・ゴメス http://www.atenajapa[...] アテナ・ジャパン 2013-11-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