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노예제 폐지운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예제 폐지 운동은 인류 역사상 노예 제도를 종식시키기 위한 다양한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노력을 총칭한다. 이 운동은 계몽주의와 인도주의 사상의 영향을 받아 18세기부터 시작되었으며, 퀘이커 교도들이 초기 운동을 주도했다. 주요 국가별로 노예제 폐지 운동이 전개되었으며, 영국은 노예 무역 폐지를, 프랑스는 혁명 이념을 바탕으로 노예제 폐지를 시도했다. 미국에서는 남북 전쟁을 통해 노예제가 폐지되었고, 아이티는 혁명을 통해 노예제 폐지를 달성하여 흑인 공화국을 건설했다. 라틴 아메리카 국가들도 독립 과정에서 노예제를 폐지했다. 한국에서는 갑오개혁을 통해 노비 해방이 법제화되었고, 개화기 지식인들이 노비 해방 운동을 전개했다. 노예제 폐지 운동은 인간 존엄성과 평등에 대한 인식을 높였으며, 현대 사회에서도 강제 노동과 인신매매에 맞서는 중요한 영감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예제 폐지운동 - 바르톨로메 데 라스 카사스
    바르톨로메 데 라스 카사스는 스페인의 사제이자 역사가로, 아메리카 원주민에 대한 스페인의 잔혹 행위를 목격한 후 원주민 옹호에 평생을 바쳤으며, 식민 정책을 비판하고 인디언 인권 옹호에 기여했지만 아프리카 노예제도를 옹호한 과거는 비판받고 있다.
  • 노예제 폐지운동 - 미국식민협회
    미국식민협회는 1816년 미국 내 자유 흑인들을 아프리카로 이주시키는 것을 목표로 설립되어 라이베리아 식민지를 건설하고 이주민들을 지원했으나,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반대, 재정적 어려움, 남북 전쟁 이후의 상황 변화로 1964년에 해산되었다.
  • 노예제 - 헤일로타이
    헤일로타이는 고대 스파르타의 라코니아와 메세니아 지역에 거주하며 스파르타 시민에게 예속되어 농업 노동에 종사했던 원주민 집단으로, 생산물 일부를 바치고 억압 속에서 생활하며 반란을 시도하기도 했다.
  • 노예제 - 1850년 타협
    1850년 타협은 미국-멕시코 전쟁 이후 노예제 문제로 갈등이 심화된 북부와 남부의 대립을 해결하기 위해 헨리 클레이가 주도하여 캘리포니아의 자유주 편입, 도망 노예법 강화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지만, 남북 전쟁을 10년 연기하는 데 그쳤다는 평가를 받는다.
노예제 폐지운동
개요
이름노예제 폐지운동
주요 목표노예 무역 종식
노예 해방
관련 이념인권
자유주의
사회주의
기독교
주요 활동출판물 발행
강연
로비 활동
노예 무역선 봉쇄
노예 해방 지원
주요 결과노예 무역 폐지 (대부분 국가)
노예 제도 폐지 (대부분 국가)
역사적 배경
기원18세기 후반, 서유럽과 북미
주요 영향 요인계몽주의 사상 확산
종교적 양심
경제적 변화
초기 운동가퀘이커 교도
복음주의 기독교인
인권 운동가
주요 국가별 노예제 폐지 운동
영국윌리엄 윌버포스
토머스 클락슨
올라우다 에퀴아노
영국의 노예 무역 폐지1807년
영국의 노예 제도 폐지1833년
미국윌리엄 로이드 개리슨
프레더릭 더글러스
해리엇 터브먼
미국의 노예 제도 폐지1865년 (수정 헌법 제13조)
프랑스소시에테 데 아미 데 누아르 (흑인 친구 협회)
프랑스의 노예 제도 폐지1794년 (일시적), 1848년 (최종)
노예제 폐지 운동의 영향
사회적 영향인권 의식 향상
사회 정의 실현 노력 확대
인종 차별 문제에 대한 인식 증가
정치적 영향제국주의 비판
국제 협력 강화 (노예 무역 근절 노력)
경제적 영향새로운 노동 시스템 도입
경제 구조 변화
현대의 노예제
형태인신매매
강제 노동
아동 노동
강제 결혼
대응 노력국제 협약
각국 법률 제정
시민 사회 운동
관련 단체
국제반노예 인터내셔널
국제 노동 기구 (ILO)
기타다양한 인권 단체 및 시민 사회
참고 문헌
관련 서적노예제 폐지 운동 관련 역사 연구 서적 및 관련자들의 회고록 등
관련 자료관련 웹사이트 및 출판물

2. 역사적 배경

노예제는 고대 문명 시기부터 세계 여러 지역에서 나타난 뿌리 깊은 제도였다. 이는 단순히 노동력을 확보하는 수단을 넘어, 각 사회의 경제적 기반, 사회 계층 구조, 그리고 정치 체제와 밀접하게 얽혀 발전해왔다. 고대 그리스로마 제국의 번영은 일정 부분 노예 노동에 의존했으며, 중세 유럽에서도 농노제와 함께 다양한 형태의 예속적 노동 관계가 존재했다.

특히 대항해 시대 이후 유럽 열강의 아메리카 대륙 식민지 개척은 노예제의 양상을 크게 변화시켰다. 플랜테이션 농업, 특히 사탕수수 재배에 필요한 막대한 노동력을 충당하기 위해 아프리카 대륙에서 수백만 명의 사람들을 강제로 끌어와 노예로 삼는 대서양 노예 무역이 대규모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과정에서 노예들은 비인간적인 대우를 받았으며, 이는 점차 계몽주의 사상과 인권 의식의 성장과 맞물려 노예제 자체의 정당성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하게 만들었다. 이러한 역사적 흐름 속에서 노예제의 비도덕성과 잔혹성에 대한 비판이 높아지며, 마침내 노예제를 폐지하려는 움직임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2. 1. 초기 역사

셸의 발틸드는 전직 노예 출신으로 클로비스 2세와 결혼하여 누스트리아와 부르고뉴의 왕비가 되었다. 그녀는 아들 클로타르 3세가 5세에 불과했기에 657년에 섭정이 되었다. 그녀의 통치 기간 중 정확한 시점은 알 수 없으나, 노예 무역을 폐지했지만 노예제 자체를 폐지하지는 않았다. 그녀와 동시대의 성 엘리지우스는 노예, 특히 아이들을 사서 자유롭게 해주는 자선 활동을 즐겨 했다. 이 시기 노예제는 점차 줄어들고 농노제로 대체되기 시작했다.[2][3]

1315년, 프랑스 국왕 루이 10세는 "프랑스는 자유를 의미한다"고 선언하며 프랑스 땅을 밟는 모든 노예는 자유롭게 되어야 한다는 법령을 발표했다. 이는 이후 정부가 프랑스 식민 제국 내 노예제를 제한하는 정책을 펴는 데 영향을 미쳤다.[4]

프랑스 땅에서 자유를 얻은 아프리카 노예 사례도 기록되어 있다. 1571년 보르도에서 노르망디 출신 노예 상인이 노예를 팔려다 체포되었고, 그의 노예들은 프랑스에서는 노예제가 용납될 수 없다는 기옌 고등 법원의 선언에 따라 자유를 얻었다. 하지만 '프랑스에는 노예가 없었다'는 것은 오해이며, 18세기 프랑스에는 수천 명의 아프리카 노예가 있었다.[5][6] 생도맹그에서 노예로 태어난 토마 알렉상드르 뒤마는 1776년 아버지를 따라 프랑스로 와서 자유인이 되었다.

카리브해의 산도밍고(현재 아이티 공화국)는 프랑스의 식민지로, 흑인 노예를 이용한 플랜테이션 농업으로 설탕, 커피, 코코아, 담배를 생산하여 프랑스에 막대한 이익을 안겨주었다. 당시 유럽 전체 수요의 절반 이상을 공급할 정도였다. 프랑스 혁명 소식을 접한 약 50만 명의 흑인 노예와 혼혈인들은 '자유, 평등, 우애'의 원칙을 산도밍고에도 적용하라고 요구했다.[147] 그러나 프랑스 혁명 정부는 이를 인정하지 않았고, 흑인들은 무력으로 저항했다. 1791년 8월 22일, 부두교의 고위 성직자 투생 루베르튀르가 흑인 노예들을 이끌고 봉기했다.[148][149][150] 한 달간의 격렬한 전투 끝에 백인 1천 명, 흑인 1만 명 이상이 사망하고 많은 농장이 파괴되었지만, 결국 흑인들의 승리로 끝났다.[147]

자크 피에르 브리소 (1754–1793), 1788년 흑인들의 벗 협회를 조직했다.


프랑스 제1 공화국 (1792–1804) 최초의 선출 의회인 국민 공회는 막시밀리앙 로베스피에르의 주도 아래 1794년 2월 4일, 프랑스와 그 식민지에서 법적으로 노예제를 폐지했다.[14] 앙리 그레구아르 신부와 흑인들의 벗 협회는 프랑스 본토에서 노예제 반대 여론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폐지 운동의 일부였다. 이 법의 첫 조항은 프랑스 식민지에서 "노예제가 폐지되었다"고 명시했고, 두 번째 조항은 "노예 소유주에게 노예 가치에 대한 재정적 보상을 할 것"이라고 규정했다. 1795년에 통과된 프랑스 헌법의 인권 선언에도 노예제 폐지 내용이 포함되었다.

그러나 프랑스 혁명 전쟁 기간 동안 프랑스 노예 소유주들은 대거 반혁명 세력에 가담했고, 영국이 여전히 노예제를 허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화이트홀 협정을 통해 프랑스령 카리브해 식민지를 영국의 통제하에 두려고 시도했다. 농장주들의 로비 활동, 서인도 제도의 경제적 이익에 대한 우려, 그리고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배우자 조세핀 드 보아르네의 노예 소유 가문의 영향 등으로 인해, 제1통령이 된 나폴레옹은 노예제를 다시 복원하기로 결정했다. 그는 1802년 5월 20일 법을 공포하고, 이를 강제하기 위해 식민지에 군사 총독과 군대를 파견했다.

1802년 5월 10일, 델그레스 대령은 과들루프에서 나폴레옹의 대표인 리슈팡스 장군에 맞서 반란을 일으켰으나, 반란은 진압되고 노예 제도가 다시 부활했다.

영국에서는 강제적 예속의 마지막 형태인 농노제17세기 초에 사라졌다. 그러나 18세기에 이르러 런던이나 에든버러에 개인 하인으로 흑인 노예들이 들어오기 시작했다. 이들은 매매된 존재였지만, 그 법적 지위는 1772년까지 불분명했다. 그해 제임스 서머셋이라는 도망 노예 사건에 대한 판결이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서머셋의 소유주 찰스 스튜어트는 그를 납치하여 자메이카설탕 플랜테이션으로 보내려 했다. 서머셋은 런던에서 세례를 받았고, 그의 세례 부모들이 헤이비어스 코퍼스 (인신 보호 영장) 발부를 청구했다. 고등 법원 수석 판사 맨스필드 경은 영국에는 노예에 관한 법률이 없었으므로, 영국의 관습법에 따라 납치의 합법 여부를 판단해야 했다. 1772년 6월 22일 판결에서 맨스필드 경은 "이 판결로 인해 어떤 불편함이 따르든, 나는 영국 법에 비추어 이 사건이 허용되거나 용인될 수 없다고 판단한다. 따라서 이 흑인은 석방되어야 한다"고 선언했다. 이로써 노예라는 신분은 영국 법에서는 존재하지 않음이 선언되었다. 이 판결은 당시 영국에 있던 1만 명에서 1만 4천 명으로 추산되는 노예들을 해방시켰고, 다른 법체계(예: 미국 식민지) 하에서 계약된 노예라 할지라도 영국 내에서는 그 지위를 강제할 수 없게 되었다.[124] 이 사건은 흑인 노예 무역의 잔혹성을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1781년에 발생한 종호 사건 역시 노예제 반대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사건은 재판에서 항해로 지친 노예를 바다에 버리는 것이 보험금의 대상이 되는가, 라는 논점으로 다투어졌다. 초심은 보험 회사가 졌고, 재심에서는 보험 회사가 역전승했다. 최종심에서 맨스필드 경은 노예는 가축 (그 시대에는 가축의 말을 바다에 투기하는 일이 있었다)과 같은 소유물이며, 보험 회사는 보상금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는 판결을 내렸다. 이 사건은 1780년대 후반에 노예 폐지 운동을 활발하게 하는 역할을 했다.

스코틀랜드에 있던 조셉 나이트라는 흑인 노예는, 서머셋 사건의 판결을 읽은 후 주인이었던 존 웨더번의 곁을 떠났다. 1776년에 웨더번에게도 서머셋 사건과 같은 일이 일어나 같은 결과가 나왔다. 재산으로서의 노예는 스코틀랜드 법 아래에서는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스코틀랜드에서 태어난 노예가 1799년까지 존재했다. 이 때, 이전 노예 상태에 있던 석탄 광부가 해방되었다).

2. 2. 중세 시대

셸의 발틸드는 전직 노예 출신이었으나 클로비스 2세와 결혼하여 누스트리아와 부르고뉴의 왕비가 되었다. 아들 클로타르 3세가 5세에 불과했던 657년에는 섭정이 되었다. 그녀는 통치 기간 중 노예 무역을 폐지했지만, 노예제 자체를 폐지하지는 않았다. 또한, 그녀와 동시대 인물인 성 엘리지우스는 노예, 특히 아이들을 사서 해방시키는 자선 활동을 중요하게 여겼다. 이 시기 노예제는 점차 줄어들고 농노제로 대체되기 시작했다.[2][3]

1315년, 루이 10세 국왕은 "프랑스는 자유를 의미한다"고 선언하며 프랑스 땅을 밟는 모든 노예는 해방되어야 한다는 법령을 발표했다. 이는 이후 정부가 프랑스 식민 제국에서 노예제를 제한하는 정책으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었다.[4]

2. 3. 대항해 시대와 노예 무역의 확대

신대륙 발견 이후 유럽 국가들은 아메리카 대륙에 식민지를 건설하고 플랜테이션 농업 등을 위해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프랑스카리브해의 식민지인 프랑스령 서인도 제도와 북아메리카의 루이지애나 등지에서 사탕수수 농장을 운영하며 노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대서양 노예 무역에 크게 의존했다. 뉴올리언스 주변 남부 지역에서는 프랑스 식민지 개척자들이 노예를 소유하고 사탕수수 농장을 건설했다.

루이 14세 시기에는 ''노예 법전''(Code Noir)을 제정하여 식민지에서의 노예 무역과 제도를 규제했다. 이 법은 노예에게 결혼할 권리, 공공 집회에 참여할 권리, 일요일에 쉴 권리 등 이전에는 없던 일부 권리를 부여하기도 했다.[9][10] 또한 노예 소유주가 노예를 고문하거나 가족을 분리하는 것을 금지했지만, 특정 조건 하에서는 노예에 대한 잔혹한 신체적 처벌을 허용하고 법제화했다. 법전은 노예가 된 아프리카인들에게 가톨릭 신앙 교육을 의무화했는데, 이는 아프리카인 역시 영혼을 가진 인간임을 인정한 것이었으며, 당시까지 프랑스 법은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7] 그 결과, 루이지애나 노예제의 역사에서는 1830년 흑인 인구 비율이 13.2%에 달했으며, 이들은 평균적으로 문해력이 높고 일부는 사업체나 재산, 심지어 다른 노예를 소유하기도 했다.[8][9] ''노예 법전''은 인종 간 결혼을 금지했지만, 실제 프랑스 식민지 사회에서는 이러한 규정이 종종 무시되었고, 백인과 흑인 사이에서 태어난 물라토는 별도의 중간 계급을 형성하기도 했다. 이는 물라토와 흑인을 동등하게 차별했던 영국 식민지와는 다른 양상이었다.[9][10]

영국에서는 17세기농노제가 소멸했지만, 18세기에 이르러 런던이나 에든버러 등지에서 아프리카 흑인들이 개인 노예로 들어오기 시작했다. 이들의 법적 지위는 불분명했으나, 1772년 제임스 서머셋이라는 도망 노예 사건을 통해 중요한 판결이 내려졌다. 그의 소유주 찰스 스튜어트는 서머셋을 자메이카설탕플랜테이션으로 보내려 했으나, 서머셋 측은 인신 보호 영장(Habeas Corpus)을 청구했다. 당시 고등 법원 수석 판사였던 맨스필드 경은 영국 관습법에는 노예에 관한 법률이 없음을 확인하고, "영국의 법에 비추어 이 사건은 허가도 용인도 할 수 없다. 따라서 이 흑인은 방면되어야 한다"고 판결하여 노예 신분 자체를 영국 법에서는 인정할 수 없다고 선언했다. 이 판결로 영국 내에 있던 1만 명에서 1만 4천 명으로 추정되는 노예가 해방되었고, 다른 법제(예: 미국의 식민지)에서 계약된 노예라 할지라도 영국 영토 내에서는 그 신분을 강제할 수 없게 되었다.[124]

또한 1781년에 발생한 종호 사건은 노예 무역의 비인간성을 드러내며 노예제 폐지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이 사건은 항해 중 병들거나 지친 노예들을 보험금을 타낼 목적으로 바다에 버린 행위가 보험금 지급 대상이 되는지를 두고 벌어진 재판이었다. 초심에서는 보험 회사가 패소했으나 재심에서는 승소했다. 최종심에서 맨스필드 경은 노예를 가축과 같은 소유물로 간주하여 보험사가 보상금을 지급해야 한다고 판결했다는 주장이 있으나, 이 사건은 노예가 단순한 '화물'로 취급되는 현실을 보여주었으며, 1780년대 후반 노예제 폐지 운동이 활발해지는 계기가 되었다.

스코틀랜드에서도 1776년 조셉 나이트라는 흑인 노예가 서머셋 사건 판결을 근거로 주인을 떠나 자유를 주장하여 승소했다. 이 판결로 스코틀랜드 법 아래에서도 재산으로서의 노예는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코틀랜드에서 태어난 노예 상태의 석탄 광부들은 1799년이 되어서야 해방되었다.

3. 노예제 폐지 운동의 태동

노예제에 대한 반대와 폐지를 향한 움직임은 18세기 후반 본격화되기 이전부터 존재했다. 프랑크 왕국에서는 전직 노예 출신이었던 셸의 발틸드가 클로비스 2세와 결혼하여 왕비가 된 후, 섭정으로 통치하던 시기(657년 이후)에 노예 무역을 폐지하기도 했다. 다만 노예제 자체를 폐지한 것은 아니었으며, 노예를 사서 해방시키는 자선 활동을 장려했다.[2][3] 1315년에는 프랑스의 루이 10세가 프랑스 땅을 밟는 모든 노예는 자유롭게 되어야 한다는 칙령을 발표하며 "프랑스는 자유를 의미한다"고 선언하기도 했다.[4] 실제로 1571년 보르도에서 노르망디 상인이 노예를 팔려다 체포되고, 기옌 고등 법원이 프랑스에서는 노예제가 용납될 수 없다고 선언하며 노예들을 해방시킨 사례가 기록되어 있다.[5][6]

18세기 후반에 들어서면서 노예제 폐지 운동은 더욱 조직적인 양상을 띠기 시작했다. 특히 영국에서는 중요한 법적 판결들이 운동의 기폭제가 되었다. 1772년 제임스 서머셋이라는 도망 노예 사건에서, 고등 법원 수석 판사 맨스필드 경은 영국 법에는 노예제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서머셋을 강제로 자메이카로 보낼 수 없다고 판결했다. 이 판결은 영국 내 1만 명이 넘는 노예 해방의 법적 근거가 되었으며, 노예라는 신분이 영국 법 아래에서는 인정되지 않음을 명확히 했다.[124] 스코틀랜드에서도 1776년 조셉 나이트 사건을 통해 비슷한 판결이 내려져, 재산으로서의 노예가 스코틀랜드 법 아래에서도 존재하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법적 변화와 더불어 노예 무역의 비인간성을 고발하는 사건들도 폐지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1781년 종호 사건은 항해 중 병든 노예들을 보험금을 타기 위해 바다에 버린 사건으로, 재판 과정을 통해 노예 무역의 잔혹함이 드러나면서 1780년대 후반 노예제 폐지 운동을 더욱 활발하게 만드는 계기가 되었다.

이 시기 계몽주의 사상의 확산과 퀘이커를 비롯한 종교계의 도덕적 각성은 노예제 폐지 운동의 중요한 사상적 배경이 되었다. 또한, 프랑스 혁명의 '자유, 평등, 우애' 이념은 카리브해의 프랑스 식민지 생도맹그(현재 아이티)의 노예들에게 큰 영향을 주어, 1791년 투생 루베르튀르 등이 이끄는 대규모 봉기(아이티 혁명)로 이어졌다.[147][148][149][150] 이는 노예들이 스스로 자유를 쟁취하려는 강력한 의지를 보여준 사건으로, 전 세계 노예제 폐지 운동에 큰 자극을 주었다.

3. 1. 계몽주의와 인도주의 사상의 영향

계몽주의 시대에 몽테스키외(''법의 정신'', 1748)나 드니 디드로(''백과전서'') 같은 여러 철학자들은 노예제에 반대하며 그 도덕적, 경제적 부당함을 지적하는 글을 발표했다.[21] 이러한 사상은 인간의 존엄성과 평등을 강조하며 노예제 폐지 운동의 중요한 철학적 기반을 제공했다.

1788년에는 자크 피에르 브리소가 노예제 폐지를 목표로 하는 흑인 친구 협회(Société des Amis des Noirs)를 설립하여 프랑스 내에서 조직적인 폐지 운동의 기틀을 마련했다.

프랑스 혁명의 핵심 이념인 '자유, 평등, 우애'는 식민지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카리브해의 프랑스 식민지였던 생도맹그(현재 아이티)의 노예와 혼혈인들은 이 원칙을 자신들에게도 적용할 것을 요구하며 봉기했는데[147], 이는 아이티 혁명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프랑스 제1 공화국의 국민 공회는 1794년 2월 4일 법을 통해 프랑스 본토와 모든 식민지에서 노예제를 공식적으로 폐지했다.[14] 앙리 그레구아르 신부와 흑인 친구 협회 같은 조직들은 이러한 결정에 도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영국에서도 1783년 퀘이커 교도들을 중심으로 노예제 폐지 운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들은 인도주의적 신념에 따라 노예 무역의 비인간성을 고발하며 사회적 여론을 환기시켰다.[125] 토마스 클라크슨은 노예 무역의 참혹한 실상을 알리기 위해 방대한 증언과 자료를 수집했으며, 복음주의 개혁가인 윌리엄 윌버포스영국 의회 내에서 노예 무역 폐지 운동을 주도했다. 또한, 해방 노예 출신인 올루다 에퀴아노의 자서전 ''아프리카인, 이크이아노의 생애의 흥미로운 이야기''는 노예제의 실상을 알리고 폐지 여론을 형성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노력은 1807년 노예 무역법(Slave Trade Act 1807) 제정과 1833년 노예제 폐지법(Slavery Abolition Act 1833)을 통한 영국 제국 전역의 노예제 폐지로 이어졌다.

3. 2. 종교적 각성과 퀘이커 교도의 역할

1783년 미국 독립 전쟁이 끝날 무렵, 영국에서는 노예제에 반대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그 해, 퀘이커 교도들이 영국 최초의 노예제 폐지 운동 조직을 만들었다. 퀘이커 교도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운동을 이끌며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같은 해, 비르비 포테우스 주교는 영국 성공회를 향해 노예 무역 참여를 중단하고 노예들의 처우를 개선하기 위한 실질적인 정책을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 이는 노예제에 대한 종교계의 각성을 보여주는 사례였다.

1787년에는 퀘이커 교도 9명과 성공회 복음주의자 3명이 런던에서 노예 무역 폐지 촉진 협회(Society for Effecting the Abolition of the Slave Trade)를 설립하여 노예 무역 폐지 운동을 영국 전역으로 확산시켰다.[125] 당시 비국교도였던 퀘이커 교도들은 영국 의회에 직접 참여할 수 없었기에, 성공회 복음주의자였던 윌리엄 윌버포스와 협력하여 의회 내에서 노예제 폐지 운동을 이끌었다.

이 운동은 퀘이커뿐만 아니라 침례교, 감리교 등 다른 기독교 교파와 스베덴보리주의를 따르는 신예루살렘 교회, 그리고 해방된 노예들과 새로운 공장 노동자들의 지지를 받았다.

4. 주요 국가별 노예제 폐지 운동

18세기 후반, 계몽주의 사상의 확산과 인도주의적 각성은 오랫동안 유지되어 온 노예제의 정당성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했다. 이러한 사회적, 사상적 변화는 유럽아메리카 대륙을 중심으로 노예제를 폐지하려는 구체적인 운동으로 발전하는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각국의 역사적, 사회적 상황에 따라 노예제 폐지 운동은 다양한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영국에서는 개신교 복음주의자들과 퀘이커 교도들이 주도하여 의회 활동과 여론 형성을 통해 노예제 폐지를 추진했다. 이러한 노력은 1807년 노예 무역 폐지에 이어 1833년 대영 제국 전역의 노예제 폐지로 이어졌다. 영국의 점진적인 폐지 방식은 다른 국가들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프랑스에서는 프랑스 혁명 시기에 급진적인 노예제 폐지가 선언되었다. 하지만 나폴레옹 집권기에 경제적, 정치적 이유로 노예제가 부활하는 등 우여곡절을 겪었다. 결국 1848년 혁명 이후에야 프랑스 식민지에서 노예제가 최종적으로 폐지되었다.

미국에서 노예제는 국가 분열의 핵심 쟁점이었다. 목화 농업에 의존한 남부와 산업화된 북부 간의 경제적, 도덕적 갈등이 심화되었다. 이 갈등은 결국 남북 전쟁으로 이어졌으며, 전쟁 후 미국 수정 헌법 제13조를 통해 노예제가 법적으로 폐지되었다. 그러나 법적 해방 이후에도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은 극심한 인종 차별과 사회경제적 불평등에 시달려야 했다.

카리브해의 프랑스 식민지 생도맹그(현 아이티)에서는 노예들이 직접 봉기하여 아이티 혁명을 일으켰다. 노예들은 프랑스 식민 통치에 맞서 싸워 1804년 아이티 공화국으로 독립하고 노예제를 폐지했다. 이는 노예들이 스스로 해방을 쟁취하고 아메리카 대륙 최초의 흑인 공화국을 세운 중요한 사건이다.

라틴 아메리카에서는 19세기 독립 운동 과정에서 노예제 폐지가 점진적으로 이루어졌다. 새로 독립한 국가들은 공화주의 이념과 국제적 영향 아래 노예 해방을 법제화했다. 19세기 말에는 대부분의 라틴 아메리카 국가에서 노예제가 폐지되었다.

4. 1. 영국

17세기부터 노예 무역에 적극적으로 뛰어든 영국18세기에 이르러 세계 최대의 노예 무역 국가가 되었다. 삼각 무역 등을 통해 막대한 경제적 이익을 얻었으나,[159][160] 그 과정에서 수많은 아프리카인들이 비인간적인 대우를 받으며 고통받았다.[161] 이러한 참상이 알려지고 계몽주의 사상이 확산되면서 18세기 후반부터 영국 내에서는 노예 제도에 대한 비판과 함께 폐지 운동이 본격적으로 일어나기 시작했다.

인도주의자 그랜빌 샤프, 토머스 클라크슨, 그리고 하원의원 윌리엄 윌버포스 등이 주축이 되어 노예 무역의 비도덕성을 알리고 법적 금지를 위한 노력을 펼쳤다.[162] 이들은 1787년 노예 무역 폐지 협회를 결성하고,[125] 끈질긴 의회 활동과 여론 형성을 통해 마침내 1807년 영국 의회에서 노예 무역 폐지법을 통과시키는 데 성공했다.[164][38] 이 법은 대영 제국 내에서 노예를 사고파는 행위를 불법으로 규정했다.

그러나 1807년 법은 노예 '무역'만을 금지했을 뿐, 이미 존재하는 노예 소유 자체를 금지하지는 않았다. 이에 노예제 폐지 운동가들은 노예제 자체의 완전한 폐지를 목표로 활동을 이어갔다. 1823년 노예제 반대 협회가 결성되었고,[166] 지속적인 운동 끝에 1833년 노예제 폐지법이 제정되었다.[164] 이 법을 통해 1834년 8월 1일부터 인도 등 일부 지역을 제외한 대영 제국 전역에서 노예제가 공식적으로 폐지되었으며, 이후 견습 기간을 거쳐 1838년 완전한 해방이 이루어졌다.[41]

4. 1. 1. 노예무역 폐지 운동

17세기부터 영국은 노예무역에 뛰어들었고 18세기에 이르러 세계 최대의 노예무역국이 되었다. 1750년에 노예제는 13개 아메리카 식민지 전체에서 합법적인 제도였으며,[157][158] 삼각 무역서인도 대농장의 이익은 산업 혁명 당시 영국 경제의 5%를 차지했다.[159][160] 영국의 주요 항구에서는 노예무역으로 인해 수천 명의 고용 창출과 수백 척의 선박 건조 및 유지 수요가 발생했다. 그러나 아프리카에서 강제로 끌려온 흑인 노예들은 매우 비참하고 비인간적인 환경 속에서 거래되었으며,[161] 이러한 실상이 알려지면서 계몽주의자들을 중심으로 인간 존중과 평등 사상에 기반한 노예 폐지론이 제기되기 시작했고, 18세기 후반에는 이 목소리가 더욱 커졌다.

노예 무역선 내부의 아프리카 흑인 노예들


만스필드 경 (1705–1793). 그의 서머셋 사건 (1772) 판결은 영국에서 노예제의 법적 근거가 없다는 인식을 확산시켰다


1772년 서머셋 사건은 노예무역 폐지 운동에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제임스 서머셋이라는 도망 노예가 영국 땅에서는 영국 관습법 상 노예제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판결을 받아 자유의 몸이 된 것이다.[16] 당시 국왕 재판소의 대법원장 맨스필드 경은 "노예 제도는 너무나 혐오스러워서, 긍정적인 법 외에는 그 어떤 것도 그것을 지지하도록 허용할 수 없다"고 판결하며 영국 법 아래에서는 노예 신분이 존재할 수 없음을 선언했다.[25] 이 판결은 영국 내 1만 명 이상의 노예를 해방시키는 결과를 가져왔고,[124] 노예제 폐지 운동을 영국에서 본격적으로 시작하는 계기가 되었다.[16][28] 스코틀랜드에서도 1778년 나이트 대 웨더번 사건을 통해 유사한 판결이 내려져, 스코틀랜드 법 아래에서도 동산 노예 제도가 인정되지 않음이 확인되었다.[24]

1781년에 일어난 종호 사건 역시 노예무역의 잔혹성을 드러내며 폐지 운동에 불을 지폈다. 항해 중 병들거나 지친 노예들을 보험금을 타내기 위해 바다에 버린 사건으로, 노예를 인간이 아닌 단순한 '화물'로 취급하는 당시의 비인간적인 현실을 보여주었다. 이 사건은 노예 제도 폐지 운동이 더욱 활발해지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1776년 애덤 스미스는 그의 저서 국부론에서 경제적인 관점에서 노예제의 비효율성을 지적하며 폐지를 주장했다. 그는 자유 노동이 노예 노동보다 생산성이 높으며, 노예 유지에 드는 비용이 더 크다고 분석했다.

올라우다 에퀴아노는 영국에 거주하며 노예 폐지 운동에 참여한 저명한 아프리카인 중 한 명으로, 1780년대 노예 무역 반대 운동 지도자들과 교류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1783년 퀘이커 교도들을 중심으로 영국 최초의 노예 제도 폐지 운동 조직이 만들어졌고, 이들은 운동 전반에 걸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인도주의자 그랜빌 샤프는 1772년부터 의회에서 노예무역 금지법 제정을 강력히 요청하며 운동을 이끌었다. 존 뉴턴과 제임스 램지는 1781년에 찰스 미들턴, 토머스 클랙슨, 한나 모어 등과 함께 노예제 폐지 운동에 나섰다.

1787년에는 퀘이커 교도 9명과 잉글랜드 성공회 복음주의자 3명이 런던에서 노예 무역 폐지 협회(Society for Effecting the Abolition of the Slave Trade)를 결성하여 운동을 전국적으로 확산시켰다.[125] 하원의원이었던 윌리엄 윌버포스도 1786년 11월경 이 운동에 동참하여 협회 창설을 주도했으며,[162] 의회 내에서 노예무역 폐지를 위한 활동을 이끌었다. 토마스 클라크슨은 협회의 핵심 연구원으로 활동하며 브리스톨, 리버풀, 런던 등 주요 항구 도시를 직접 방문하여 선원과 전직 노예들의 증언을 수집하고 노예무역의 참상을 알리는 방대한 자료를 축적했다. 해방 노예였던 올라우다 에퀴아노의 자서전 출판과 조지아 웨지우드가 디자인한 "나는 형제가 아닙니까?" 메달 등은 대중의 인식을 높이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되었다.[33][34]

윌리엄 윌버포스 (1759–1833). 노예 무역 폐지 운동을 이끈 정치인이자 자선가였다


협회의 최종 목표는 노예제의 완전한 폐지였지만, 사회적 반발을 고려하여 우선 노예무역 폐지를 1차 목표로 삼았다. 협회의 노력으로 여론이 형성되면서 1788년 영국 총리 윌리엄 피트는 노예무역 검토를 위한 자문위원회를 설치했다.[163] 그러나 1791년에 제출된 노예무역 폐지 법안은 부결되었고, 1792년에는 하원에서 점진적 폐지 방안이 통과되었으나 이듬해 프랑스와의 전쟁 발발로 인해 상원 통과가 무산되었다.[164][35][36] 이후에도 법안은 11차례나 부결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토마스 클라크슨. 1840년 런던에서 열린 영국 및 해외 반 노예 협회(현 반 노예 국제)의 첫 회의에서 주요 연설자였다


20년에 가까운 끈질긴 노력 끝에, 1807년 2월 23일 마침내 노예무역 폐지 법안(노예 무역법 1807)이 영국 의회 하원을 통과했고, 3월 25일 국왕의 재가를 받아 법으로 제정되었다.[164][38] 이 법은 대영 제국 전역에서 노예무역을 불법으로 규정했으며, 영국 선박에서 노예가 발견될 경우 1인당 100파운드의 벌금을 부과했다. 영국은 이후 자국의 해군력(아프리카 봉쇄)을 동원하여 다른 국가들에게도 노예무역 금지 조약 체결을 압박하고 노예선을 단속하는 등 국제적인 노예무역 근절을 위해 노력했다.[39][40]

영국의 이러한 결정은 다른 나라에도 영향을 미쳤다. 덴마크는 이미 1802년에 노예무역 폐지를 결정하여 1803년부터 시행했고,[17] 미국 역시 1807년에 노예 수입을 금지했다.[165] 프랑스나폴레옹 전쟁 이후 1814년에 영국과의 협정을 통해 1819년부터 노예무역을 금지하기로 합의했다. 유럽의 여러 나라와 새로 독립한 라틴아메리카 국가들도 뒤이어 노예무역 금지에 동참했다.[166]

그러나 1807년 법은 노예 '무역'만을 금지했을 뿐, 노예제 자체를 폐지한 것은 아니었다. 따라서 편법을 통한 노예 밀매가 계속되었고, 서인도 제도와 미국 남부 등지에서는 여전히 노예제가 유지되고 있었다. 이는 노예무역의 완전한 근절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되었으며, 노예제 폐지 운동은 이후 노예제 자체를 완전히 없애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된다.[166]

4. 1. 2. 노예제 폐지 운동

1772년 소머셋 대 스튜어트 사건은 도망 노예 제임스 소머셋이 영국 관습법 하에서는 노예제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판결을 받아 자유를 얻은 사건으로, 영국 내 노예제 폐지 운동의 중요한 시작점이 되었다.[16] 이 판결은 영국 법이 노예제를 명시적으로 인정한 적이 없음을 확인했으며,[25] 당시 영국 내에 있던 1만 명에서 1만 4천 명 가량의 노예 해방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여겨진다.[124] 스코틀랜드에서도 조셉 나이트가 제기한 나이트 대 웨더번(1778) 소송을 통해, 스코틀랜드 법 하에서도 노예제가 인정되지 않는다는 판결이 내려졌다.[24]

1783년 퀘이커 교도들이 영국 최초의 노예제 폐지 운동 조직을 창설하며 운동이 본격화되었다. 1787년에는 퀘이커 교도 9명과 성공회 복음주의자 3명이 런던에서 노예 무역 폐지 협회를 설립하여 노예 '무역' 폐지를 위한 전국적인 운동을 전개하기 시작했다.[125] 이 운동에는 윌리엄 윌버포스, 토머스 클라크슨, 그랜빌 샤프 등 복음주의 개혁가들과 퀘이커 교도들이 중심적인 역할을 했다.[15] 클라크슨은 브리스톨, 리버풀 등 항구 도시에서 선원과 전직 노예들을 면담하며 노예 무역의 참상에 대한 방대한 자료를 수집하고 대중에게 알렸다.

해방 노예 출신인 올라우다 에퀴아노의 자서전 출판 등 흑인들의 활동 역시 운동 확산에 기여했다. 또한 1781년 노예선 종(Zong)호 선원들이 보험금을 타내기 위해 병든 노예들을 바다에 던진 종호 사건은 노예 무역의 비인간성을 드러내며 폐지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애덤 스미스1776년 저서 국부론에서 자유 노동이 노예 노동보다 경제적으로 더 효율적이라고 주장하며 노예제 폐지의 경제적 근거를 제시하기도 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1807년 3월 25일 영국 의회는 노예 무역 폐지법(Slave Trade Act 1807)을 통과시켜 대영 제국 내에서 노예를 거래하는 행위를 불법화했다. 1인당 100파운드의 벌금이 부과되었으나, 처벌이 약해 편법적인 노예 무역은 지속되었다. 이에 노예제 폐지론자들은 노예 소유 자체를 금지하기 위한 운동을 이어갔다. 1823년에는 노예제 완전 폐지를 목표로 하는 노예제 반대 협회(Anti-Slavery Society)가 결성되었다.[166] 1824년에는 노예 무역을 해적 행위로 간주하여 처벌을 강화하는 법안이 통과되었고,[164] 마침내 1833년 8월 23일 노예제 폐지법(Slavery Abolition Act 1833)이 제정되었다. 이 법에 따라 1834년 8월 1일부터 인도 등 일부 지역을 제외한 대영 제국 전역의 모든 노예가 해방되었지만, '견습'이라는 형태로 일정 기간 옛 주인에게 소속되어야 했다. 이 견습 제도는 1838년 완전히 폐지되었다. 노예 소유주들에게는 보상금으로 약 2000만파운드가 지급되었다.[126][127]

250px


미국에서는 1775년 4월 14일 필라델피아에서 주로 퀘이커 교도들이 중심이 되어 미국 최초의 노예제 폐지 운동 단체인 '불법적으로 구속된 자유 흑인 구제를 위한 협회'가 결성되었다. 이 단체는 미국 독립 전쟁 중 활동을 중단했다가 1784년 벤자민 프랭클린을 초대 회장으로 하여 재결성되었다.[128] 벤자민 러시, 존 울먼 등도 초기 운동에 기여했으며, 토머스 페인1775년 노예제 폐지를 주장하는 글 "미국의 아프리카인 노예"를 발표했다.[130] 미국 독립 혁명 이후 북부 주들은 점진적으로 노예제를 폐지하기 시작하여, 1780년 펜실베이니아를 시작으로 1804년 뉴저지까지 모든 북부 주에서 노예제 폐지 법안이 통과되었다. 뉴욕주에서는 존 제이, 알렉산더 해밀턴, 에런 버 등이 이끈 '뉴욕 노예 해방 협회'(New York Manumission Society)의 노력으로 1799년 점진적 노예제 폐지법이 통과되었다. 연방 차원에서는 1808년부터 국제 노예 무역이 금지되었으나 국내 노예제는 유지되었다. 1830년대에는 윌리엄 로이드 개리슨이 미국 노예제 반대 협회(American Anti-Slavery Society)를 창설하는 등 노예제 즉각 폐지를 주장하는 운동이 더욱 활발해졌다. 이러한 노예제 폐지 운동은 목화 농업 중심의 남부 경제와 충돌하며 남북 간의 갈등을 심화시켰고, 결국 남북 전쟁의 주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전쟁 후인 1865년 미국 수정 헌법 제13조가 비준되면서 범죄자에 대한 처벌을 제외하고 미국 전역에서 노예제가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

프랑스에서는 프랑스 혁명 시기 앙리 그레고아르, 자크 피에르 브리소 등이 활동한 '흑인의 친구 협회'(Société des Amis des Noirs|소시에테 데 아미 데 누아르프랑스어)의 영향으로 1794년 2월 4일 국민공회가 프랑스 모든 식민지에서의 노예제 폐지를 선언했다.[151][149][153] 그러나 나폴레옹은 1802년 5월 20일 법을 통해 노예제를 다시 부활시켰다. 노예제는 1848년 혁명 이후 프랑스 제2 공화국 하에서 빅토르 쇠르셔의 노력으로 1848년 4월 27일 다시 최종적으로 폐지되었다. 프랑스는 2001년 5월 10일 토비라 법을 통해 노예 제도와 대서양 노예 무역을 반인륜적 범죄로 공식 인정했다.

다른 유럽 국가 중 덴마크1792년 법령을 제정하여 1803년부터 대서양 노예 무역을 금지한 최초의 국가가 되었으나,[17] 덴마크령 서인도 제도에서의 노예제 자체는 1848년에야 폐지했다.[18] 루마니아왈라키아몰다비아 공국에서는 19세기 초까지 로마인(집시)에 대한 노예 제도가 합법적으로 유지되었으나, 진보적 민족주의 운동의 영향으로 1843년부터 1855년 사이에 약 25만 명의 로마인 노예가 해방되었다.[43]

4. 2. 프랑스

셸의 발틸드는 전직 노예 출신이었으나 클로비스 2세와 결혼하여 누스트리아와 부르고뉴의 왕비가 되었고, 657년에는 어린 아들 클로타르 3세를 대신해 섭정이 되었다. 그녀는 통치 기간 중 노예 무역을 폐지했으나, 노예제 자체를 없애지는 않았다. 그녀는 노예, 특히 아이들을 사서 해방시키는 자선 활동을 펼쳤으며, 이는 동시대의 성 엘리지우스도 마찬가지였다. 이후 프랑스에서 노예제는 점차 줄어들고 농노제로 대체되었다.[2][3]

1315년, 루이 10세는 "프랑스는 자유를 의미한다"고 선언하며 프랑스 땅을 밟는 모든 노예는 자유롭게 되어야 한다는 법령을 발표했다. 이는 이후 프랑스 정부가 프랑스 식민 제국 내 노예제를 제한하는 정책의 근거가 되었다.[4] 실제로 프랑스 땅에서 자유를 얻은 아프리카 노예 사례들이 기록되었는데, 1571년 보르도에서 노예를 팔려던 노르망디 상인이 체포되고 그의 노예들이 기옌 고등 법원에 의해 해방된 사건이 대표적이다. 법원은 프랑스에서 노예제가 용납될 수 없다고 선언했다. 하지만 '프랑스에는 노예가 없었다'는 통념과 달리, 18세기 프랑스 본토에는 수천 명의 아프리카 출신 노예가 존재했다.[5][6] 생도맹그에서 노예로 태어난 토마 알렉상드르 뒤마는 1776년 아버지에 의해 프랑스로 와서 자유인이 되었다.

"흑인 모차르트"로 알려진 슈발리에 드 생 조르주는 그의 사회적 지위와 정치적 참여를 통해 자유 흑인의 지도자가 되었다.


다른 신대륙 식민 열강들처럼 프랑스도 카리브해프랑스령 서인도 제도 식민지, 특히 사탕수수 농장 운영을 위해 대서양 노예 무역에 깊이 관여했다. 북아메리카의 프랑스 식민지였던 ''루이지애나''에서도, 특히 뉴올리언스 인근 남부 지역에서 사탕수수 농장을 중심으로 노예제가 시행되었다.

루이 14세가 공포한 ''노예 법전''(Code Noir)은 식민지에서의 노예 무역과 제도를 규제했다. 이 법전은 노예에게 결혼, 공공 집회, 일요일 휴식 등의 권리를 일부 인정하기도 했다. 또한 노예 소유주가 노예를 고문하거나 가족을 분리하는 행위를 금지했지만, 특정 조건 하에서는 잔혹한 신체적 처벌을 허용하고 법제화했다. 노예가 된 아프리카인들에게 가톨릭 신앙 교육을 의무화했는데, 이는 프랑스 법이 이전까지 인정하지 않았던 아프리카인의 인간성을 간접적으로나마 인정한 것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 결과적으로 프랑스 식민지에서는 영국 식민지에 비해 자유 유색인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이들은 일정 수준의 교육을 받고 재산을 소유하기도 했다.[7][8][9] 줄리앙 레이몽과 같은 자유 유색인들은 노예제 폐지를 주장하기도 했다. ''노예 법전''은 인종 간 결혼을 금지했지만 실제로는 잘 지켜지지 않았고, 물라토는 백인과 흑인 사이의 중간 계층을 형성했다.[9][10]

프랑스 혁명기에 노예제가 일시적으로 폐지되었으나(1794년), 나폴레옹에 의해 1802년 부활했다. 이후 1848년 혁명을 거치며 프랑스 제2공화국 하에서 1848년 4월 27일 빅토르 쇨셰르가 주도한 법령에 따라 최종적으로 폐지되었다. 19세기 후반 아프리카 식민지 확장 과정에서도 노예제 폐지 노력이 이어졌으며, 1905년에는 프랑스령 서아프리카 대부분 지역에서 노예제가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 2001년에는 토비라 법을 통해 노예제와 대서양 노예 무역이 인류에 반한 죄로 공식 인정되었다.

4. 2. 1. 프랑스 혁명과 노예제

프랑스 혁명은 '자유, 평등, 박애'라는 보편적 인권 이념을 내세웠지만, 이는 프랑스 식민 제국의 노예제 현실과 충돌했다. 카리브해의 프랑스 식민지 생도맹그(현재 아이티)는 플랜테이션 농업을 통해 프랑스에 막대한 부를 안겨주었으나, 이는 수많은 흑인 노예들의 희생 위에 세워진 것이었다. 혁명의 소식이 전해지자, 약 50만 명의 흑인 노예와 혼혈인들은 혁명의 원칙이 식민지에도 적용되어야 한다고 요구했다.[147] 그러나 프랑스 혁명 정부는 초기에 이들의 요구를 외면했고, 이는 결국 아이티 혁명으로 이어졌다. 1791년 8월 22일, 부두교 성직자였던 투생 루베르튀르가 이끄는 흑인 노예들이 봉기하여 백인 농장주들에게 맞서 싸웠다.[148][149][150] 이 봉기는 큰 희생을 치렀지만 결국 흑인들의 승리로 돌아섰다.[147]

계몽주의 시대 사상가들은 이미 노예제의 비도덕성과 비합리성을 지적하며 폐지론의 이론적 기반을 마련했다. 몽테스키외는 ''법의 정신''(1748)에서, 드니 디드로는 ''백과전서''를 통해 노예제를 비판했다.[21]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1788년 자크 피에르 브리소는 노예제 폐지를 목표로 하는 흑인 친구 협회(Société des Amis des Noirs)를 파리에서 결성했다.

혁명이 진행되면서 프랑스 정부의 태도에도 변화가 나타났다. 1792년 4월 4일, 프랑스 입법의회는 자유 유색인(gens de couleur libres)에게 완전한 시민권을 부여했다. 이듬해인 1793년, 생도맹그에 파견된 프랑스 공화국의 시민 위원 레제-펠리시테 손토낙스와 에티엔 폴베렐은 식민지 흑인들의 지지를 확보하고 혁명 프랑스에 대한 충성을 유도하기 위해 노예 해방을 선언했다. 이는 현대사 최초의 노예 해방 선언 중 하나로 평가받으며, 실제로 많은 흑인 군대가 프랑스 측에 가담하는 계기가 되었다.[12]

마침내 1794년 2월 4일, 막시밀리앙 로베스피에르가 이끄는 국민 공회는 프랑스 공화국과 모든 식민지에서 노예제를 전면적으로 폐지하는 법령(1794년 2월 4일 법)을 통과시켰다.[14] 이 법은 "프랑스 식민지에서 노예제가 폐지되었다"고 명시하며, 동시에 "노예 소유주에게는 재정적 보상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규정했다. 앙리 그레구아르 신부와 흑인 친구 협회 같은 폐지론자들의 꾸준한 노력이 결실을 본 것이었다. 1795년 프랑스 헌법에는 인간의 권리 선언의 일부로 노예제 폐지가 명시되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혁명적 조치는 오래가지 못했다. 프랑스 혁명 전쟁 중 많은 프랑스 노예 소유주들은 반혁명 세력에 가담했고, 노예제를 유지하고 있던 영국과 손잡고 식민지를 넘기려 했다. 서인도 제도 플랜테이션 농장주들의 강력한 로비와 식민지 경제적 이익에 대한 고려, 그리고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부인 조제핀 드 보아르네 가문의 영향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제1통령이 된 나폴레옹은 노예제 부활을 결정했다. 그는 1802년 5월 20일 법을 공포하고, 이를 강제하기 위해 군대를 식민지에 파견했다.

나폴레옹의 노예제 부활 시도에 식민지에서는 격렬한 저항이 일어났다. 과들루프에서는 루이 델그레스 대령이 앙투안 리슈팡스 장군이 이끄는 프랑스군에 맞서 봉기했으나 진압되었고 노예제가 다시 시행되었다. 생도맹그에서는 1794년 폐지령과 델그레스의 봉기 소식이 전해지며 다시 한번 저항이 거세졌다. 나폴레옹은 2만 명이 넘는 대규모 원정군을 보냈지만, 황열병과 흑인 및 자유 유색인들로 구성된 '토착군'(L'armée indigène)의 완강한 저항에 부딪혀 참패했다.[13] 결국 1804년 생도맹그는 아이티 공화국으로 독립을 선언하며, 아메리카 대륙 최초의 흑인 공화국이자 영구적으로 노예제를 폐지한 국가가 되었다.[19] 생도맹그 원정의 실패는 나폴레옹이 북미 대륙에서의 영향력 확대를 포기하고 1803년 루이지애나 매입을 통해 광대한 영토를 미국에 판매하는 결정에도 영향을 미쳤다. 프랑스가 아이티의 독립을 공식적으로 인정한 것은 막대한 배상금을 요구한 후인 1825년이었다.

4. 2. 2. 노예제 재폐지

프랑스 혁명 정부는 1794년 2월 4일 법을 통해 프랑스 제국 전역에서 노예제를 폐지했다. 그러나 나폴레옹은 식민지에 대한 통제력을 강화하려는 정책의 일환으로 1802년 5월 20일 법을 통해 노예제를 다시 부활시켰다.[17] 프랑스 식민 제국은 1848년 혁명의 결과로 1848년에 이르러서야 노예제를 최종적으로 다시 폐지했다.[19]

4. 3. 미국

미국에서 노예제는 남부 지역의 목화 중심 농업 경제를 유지하는 핵심 요소였으나, 동시에 심각한 인권 문제이자 사회 갈등의 근원이었다. 18세기 후반부터 퀘이커 등을 중심으로 노예제 폐지에 대한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했으며, 19세기에 들어 윌리엄 로이드 개리슨이 주도한 미 노예 제도 폐지 협회나 전직 노예 출신 프레더릭 더글러스와 같은 인물들의 활동으로 폐지 운동이 본격화되었다. 특히 1852년 헤리엇 비처 스토의 소설 《톰 아저씨의 오두막》은 노예제의 비참한 현실을 고발하며 북부 여론을 크게 움직여 폐지 운동에 대한 대중적 지지를 확산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노예제 존폐를 둘러싼 북부남부의 대립은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갈등을 격화시켜 결국 1861년 남북 전쟁으로 폭발했다. 전쟁 중 1863년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은 노예 해방 선언을 발표하여 남부 연합 지역의 노예들에게 법적인 자유를 부여했으며, 이는 전쟁의 향방과 노예제 폐지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1865년 북부의 승리로 전쟁이 끝나고 같은 해 미국 수정 헌법 제13조가 비준됨으로써 미국 전역에서 노예 제도는 마침내 법적으로 완전히 폐지되었다.

그러나 법적인 해방 이후에도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은 쿠 클럭스 클랜(KKK)과 같은 백인 우월주의 집단의 폭력과 위협, 뿌리 깊은 인종 차별, 경제적 어려움 등 새로운 형태의 억압에 직면해야 했다. 이는 노예제 폐지가 완전한 평등과 자유의 실현으로 곧바로 이어지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과제를 남겼다.[169][75][76]

4. 3. 1. 노예제 존폐 논쟁과 남북 전쟁

미국에서는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목화 농업에 필요한 노동력 확보를 위해 흑인 노예를 이용하면서 노예 제도가 매우 민감한 문제로 떠올랐다. 목화 농사가 지역 경제의 핵심이었던 남부에서는 노예제가 필수적이라고 주장했으며, 1831년에는 흑인 내트 터너가 백인 지주의 억압에 맞서 봉기를 일으키기도 했다. 반면, 자본주의가 발달한 북부에서는 흑인들을 저임금 공장 노동자로 활용하려는 자본가들의 이해관계와 맞물려 노예 제도 폐지 목소리가 높아졌다. 미 노예 제도 폐지 협회(대표 윌리엄 개리슨) 등이 중심이 되어 노예 제도 폐지를 주장하면서, 노예제를 둘러싼 논쟁은 북부와 남부 간의 심각한 지역 갈등으로 번져 결국 남북전쟁이라는 내전으로 이어졌다.

미국 개신교 내부에서도 노예제를 둘러싼 남북 간의 신학적 논쟁이 벌어졌다. 기독교 근본주의 성향이 강했던 남부 개신교 신자들은 성서를 문자 그대로 해석하여 노예제를 옹호한 반면, 진보적 신학 전통을 가진 북부 개신교 신자들은 성서를 역사적 상황에 맞게 재해석하며 노예제에 반대했다. 또한 19세기 미국 교회 내 소수였던 퀘이커, 메노나이트 등 기독교 평화주의자들은 "네 이웃에게 대접받고자 하는 대로 너도 네 이웃을 대접하라"는 황금률에 근거하여 노예제에 반대했다.[168]

톰 아저씨의 오두막(Uncle Tom's Cabin)은 노예제의 비인간성을 고발하며 북부 여론을 움직였다.


초기 노예 제도 폐지 운동은 대중적 지지 기반이 약해 1837년 러브조이 암살 사건과 같은 탄압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1852년 헤리엇 비처 스토의 소설 《톰 아저씨의 오두막》이 큰 인기를 얻으면서 노예제의 비참한 현실이 널리 알려졌고, 폐지 운동은 대중의 강력한 지지를 받게 되었다.

1860년 대통령 선거에서 노예제를 '악의 제도'라고 비판했던 공화당 후보 에이브러햄 링컨이 당선되자, 이에 반발한 남부 11개 주가 연방을 탈퇴하면서 1861년부터 1865년까지 남북 전쟁이 벌어졌다. 전쟁 중인 1862년 4월 16일, 링컨 대통령은 컬럼비아 특별구 배상 해방법에 서명하여 수도 워싱턴 D.C.에서 노예제를 우선 폐지했다. 또한 연방 정부는 남부에서 탈출하여 연방 전선으로 넘어오는 노예들을 보호하기 위해 몰수법을 제정했다. 처음에는 단순히 노예를 '몰수된 재산'으로 취급하여 남부 주인에게 돌려보내지 못하게 했으나, 1862년 7월의 2차 몰수법에서는 반란에 가담한 자의 노예는 "전쟁 포로로 간주되어 영원히 노역에서 자유로워지며 다시는 노예로 간주되지 않는다"고 명시하여 해방의 근거를 마련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미국의 여러 주에서 노예제가 폐지되는 과정


결정적으로 1863년 1월 1일, 링컨 대통령은 노예 해방 선언을 발표하여 미국 남부 연합 지역 내 300만 명 이상의 노예들에게 법적인 자유를 선언했다. 이 선언은 즉각적인 해방을 의미하지는 않았지만, 연방군이 진격하거나 노예들이 스스로 탈출하면서 점차 현실화되었다. 노예 해방 선언은 해방된 흑인들이 미국 유색인 부대와 같은 부대에 입대하여 연방군으로 복무할 길을 열어주기도 했다. 남부 연합의 로버트 리 장군조차 "적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주된 출처는 우리 흑인들이다"라고 인정할 만큼, 해방된 흑인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북부 연방에 기여했다.[73] 1865년 남북 전쟁이 북부의 승리로 끝나면서 노예 해방 선언은 미국 전역에서 효력을 발휘하게 되었고, 마침내 수정 헌법 제13조가 1865년 12월에 비준되면서 미국 내 모든 노예 제도는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 전쟁 중에도 국경 주였던 메릴랜드(1864), 미주리(1865), 웨스트버지니아(1865) 등에서 자체적으로 노예제를 폐지하는 움직임이 있었다.[77]

1866년 아칸소주 리틀록에서 제대하며 자유를 맞이하는 연방 흑인 지원병들, Harper's Weekly, 1866


그러나 노예 해방이 곧바로 흑인들의 완전한 자유와 평등을 의미하지는 않았다. 특히 북부에서는 뉴잉글랜드를 중심으로 한 자본가들이 해방된 흑인들을 저임금 노동자로 고용하여 열악한 환경에서 착취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는 노예 신분에서 벗어났지만 경제적으로는 여전히 백인 자본가들에게 종속되는 새로운 형태의 억압이었다. 남부에서는 쿠 클럭스 클랜 (Ku Klux Klan; KKK)과 같은 백인 우월주의 비밀 결사 단체들이 조직되어 흑인들을 상대로 폭력과 위협을 가하며 사회적 차별을 지속했다. 일부 거리 상인 등으로 자영업에 종사하며 생계를 유지한 흑인들은 상대적으로 나은 처지에 있었으나, 대다수 해방 흑인들은 여전히 힘겨운 삶을 살아가야 했다.[169] 농장주들은 해방된 노예들에 대한 보상을 받지 못했으며, 해방된 노예들 역시 과거의 노동 착취에 대한 어떠한 보상도 받지 못했다.[75][76]

4. 3. 2. 노예 해방 이후

1865년 남북 전쟁이 끝나면서 1863년 공포된 노예 해방 선언이 발효되어, 미국 내의 흑인들은 법적으로 해방과 자유를 얻었다. 이후 미국 헌법 수정 제13조가 1865년 12월에 발효되면서 미국 전역에서 범죄에 대한 처벌을 제외하고 노예 제도는 최종적으로 폐지되었다.[77][78] 노예 해방 기념일(1865년 6월 19일, 텍사스)까지 연방군은 남부 연합 전체를 장악하고 모든 노예를 해방했다. 농장주들은 보상을 받지 못했고, 해방된 노예들도 전 소유주로부터 보상을 받지 못했다.[75][76] 1867년에는 미국에 편입된 알래스카 부족을 포함한 미국 원주민 부족들 사이의 노예 제도도 폐지되었다.[78]

그러나 법적인 해방이 곧 완전한 자유를 의미하지는 않았다. 특히 남부에서는 과격 비밀 결사 단체 쿠 클럭스 클랜 (Ku Klux Klan; KKK)과 같은 보수적인 세력들이 흑인들을 조직적으로 탄압하였다. 북부로 이주한 흑인들 역시 상황이 쉽지 않았다. 상당수가 북부 자본가들에게 고용되어 열악한 노동 조건 아래 저임금으로 착취당하는 등 경제적으로 종속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형식적인 신분 해방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예속 상태가 다른 형태로 지속되었음을 보여준다. 다만, 거리 상인 등으로 자영업에 종사하는 흑인들은 상대적으로 나은 생활을 영위하기도 했다.[169]

미국 외 다른 국가들에서도 노예제 폐지가 이루어졌다. 프랑스프랑스 혁명 시기인 1794년 처음 노예제를 폐지했으나, 나폴레옹 집권기인 1802년에 부활시켰다가 1848년 프랑스 제2공화국 시기에 최종적으로 폐지했다. 영국1772년 소머셋 사건 판결로 영국 본토 내 노예제가 법적 근거가 없음을 확인했고, 1807년에는 노예 무역을 금지했으며, 1833년 노예 폐지 법을 통해 대영 제국 전역에서 노예제를 폐지했다(인도 등 일부 예외 존재).[16][17][18][19]

서구 세계에서 노예제를 가장 늦게 폐지한 국가는 쿠바(1880년)와 브라질(1888년)이었다.[79] 브라질에서는 1888년 황금법에 따라 노예제가 완전히 폐지되었다.[143]

아래는 주요 국가별 노예제 폐지 연도이다.

국가폐지 연도비고
포르투갈1761년본국 및 포르투갈령 인도 (아프리카 식민지는 1836년)
스웨덴1847년식민지 최종 폐지 기준 (본토는 1335년)
스코틀랜드1776년웨더번 사건 판결[140]
버몬트1777년독립 공화국 시절 폐지
영국1833년1772년 본토 판결, 1833년 제국 법제화 (1834/38 발효)
아이티1804년아이티 혁명으로 독립하며 완전 폐지
칠레1823년1811년 부분 폐지 시작
중앙아메리카 연방1824년
멕시코1829년
프랑스1848년1794년 첫 폐지, 1802년 부활, 1848년 최종 폐지
덴마크1848년식민지 포함[18]
콜롬비아1853년1821년 단계적 폐지 시작
아르헨티나1853년1813년 출생자 해방 시작, 1853년 완전 폐지
베네수엘라1854년1819년 단계적 폐지 시작
페루1851년
루마니아1855년/1856년몰다비아/왈라키아 공국 시절 로마인 노예 해방
러시아1861년농노 해방령[141]
네덜란드1863년식민지 포함
미국1865년미국 수정 헌법 제13조 비준
푸에르토리코1873년당시 스페인령
오스만 제국1876년법적 폐지, 실질적 폐지는 이후 진행[142]
쿠바1880년당시 스페인령
브라질1888년황금법[143]
조선1894년갑오개혁 (신분제 폐지)
중국1910년
사우디아라비아1962년
모리타니1981년 / 2007년법적 폐지는 1981년, 범죄화는 2007년


4. 4. 아이티

카리브해의 프랑스 식민지였던 생도맹그(현재 아이티)는 프랑스 혁명의 영향을 받아 노예 해방과 독립을 향한 격렬한 투쟁의 장이 되었다. 1791년 투생 루베르튀르를 중심으로 흑인 노예들이 봉기하여 아이티 혁명이 시작되었고,[148][149][150] 이는 프랑스 식민 통치에 대한 전면적인 저항으로 발전했다.

혁명 과정에서 생도맹그는 프랑스와의 치열한 전투 끝에 1804년 1월 1일, 아이티라는 이름으로 독립을 선언했다.[155][156] 이로써 아이티는 세계 최초의 흑인 공화국이자,[156] 아메리카 대륙에서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독립한 국가가 되었다. 또한, 아이티는 노예제 폐지를 법으로 명문화한 최초의 북아메리카 국가로서[19] 노예 해방 운동 역사에 중요한 이정표를 세웠다. 아이티 혁명과 독립은 이후 미국영국 식민지의 노예 반란, 그리고 라틴 아메리카의 독립 및 노예제 폐지 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프랑스는 아이티의 독립을 즉각 인정하지 않고, 혁명 기간 중 입은 손실에 대한 막대한 배상금을 요구하며 1825년에야 아이티 정부를 인정했다.

4. 4. 1. 아이티 혁명

카리브해생도맹그(현재 아이티 공화국)는 프랑스의 중요한 식민지로, 수많은 흑인 노예들의 노동력에 의존한 플랜테이션 농업을 통해 설탕, 커피, 코코아, 담배 등을 대량 생산하여 프랑스에 막대한 부를 안겨주었다. 당시 유럽 전체 수요의 절반 이상을 이곳에서 공급할 정도였다.[147]

프랑스 혁명의 소식이 전해지자, 약 50만 명에 달하는 흑인 노예와 혼혈인들은 혁명의 이념인 '자유, 평등, 우애'가 생도맹그에도 적용되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147] 그러나 프랑스 혁명 정부는 이들의 요구를 외면했고, 이에 흑인들은 무력으로 저항하기 시작했다. 1791년 8월 22일, 부두교의 고위 성직자였던 투생 루베르튀르는 흑인 노예들을 이끌고 봉기를 일으키며 아이티 혁명의 시작을 알렸다.[148][149][150] 한 달간 이어진 격렬한 전투 끝에 백인 약 1천 명, 흑인 1만 명 이상이 희생되고 수많은 농장이 파괴되었지만, 결국 흑인들의 승리로 귀결되었다.[147] 이 반란은 식민지 북부 지역을 휩쓸며 수천 명의 노예 흑인들에게 자유를 가져다주었지만, 동시에 극심한 폭력과 죽음을 동반했다.[11]

이후 생도맹그는 프랑스와의 지속적인 갈등 속에서 프랑스 관리들을 축출하고, 1801년 7월에는 독자적인 헌법을 제정하며 독립을 선언하였다. 하지만 당시 프랑스 제1통령이었던 나폴레옹은 이를 인정하지 않고, 1801년 11월 약 3만 명 규모의 원정대를 파견하여 식민지를 재탈환하고 노예제를 부활시키려 시도했다.[154] 나폴레옹은 1802년 5월 20일 법을 공포하며 노예제 부활을 공식화했고, 군대를 보내 이를 강제하려 했다.

그러나 생도맹그의 흑인들과 자유 유색인들은 나폴레옹의 생도맹그 원정에 맞서 '토착군'(L'armée indigènefra)을 결성하여 격렬하게 저항했다.[13] 나폴레옹이 파견한 2만 명 이상의 병력 중 3분의 2 이상이 황열병으로 사망하는 등 프랑스군은 큰 타격을 입었다. 결국 베르티에 전투에서의 결정적인 승리를 통해 프랑스군을 몰아낸 생도맹그는 1804년 1월 1일, 아이티라는 이름으로 정식 독립을 선포했다.[155][156][13]

이로써 아이티는 세계 최초의 흑인 공화국이자[156] 아메리카 대륙에서는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독립을 이룬 국가가 되었다. 또한, 노예제 폐지를 법으로 명문화한 최초의 북아메리카 국가로서 역사에 기록되었다.[19] 프랑스 혁명의 이상에 영향을 받아 시작된 아이티 혁명과 독립은 이후 미국영국 식민지 내 노예들의 반란, 그리고 라틴 아메리카 지역의 탈식민지 운동과 노예제 폐지 움직임에 큰 영향을 미쳤다.

한편, 프랑스 정부는 아이티의 독립을 즉각 인정하지 않았다. 오히려 혁명 기간 동안 프랑스가 입은 손실에 대한 상당한 양의 배상금을 아이티에 요구했으며, 이는 신생 독립국 아이티가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이었다. 프랑스는 이러한 배상금 지불을 조건으로 내걸며 1825년에 이르러서야 아이티 정부를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나폴레옹은 생도맹그 원정의 실패 이후, 북미 대륙에서의 영향력 확대에 한계를 느끼고 1803년 루이지애나 매입을 통해 광대한 루이지애나 지역을 미국에 판매하기로 결정했다.

4. 5. 라틴 아메리카

프랑스의 주요 카리브해 식민지였던 생도맹그(현 아이티)에서는 1791년 대규모 노예 반란이 일어나 아이티 혁명의 시작을 알렸다. 이 혁명은 이전에 노예였던 조르주 비아수, 투생 루베르튀르, 장 자크 데살린 등이 이끌었다. 반란은 식민지 북부를 휩쓸며 수많은 흑인 노예들에게 자유를 안겨주었으나, 동시에 극심한 폭력과 희생을 동반했다.[11]

1793년, 생도맹그에 파견된 프랑스 공화국의 시민 위원 레제-펠리시테 손토낙스와 에티엔 폴베렐은 현대사 최초의 노예 해방 선언을 발표했다. 이는 혁명 프랑스에 대한 현지 주민들의 지지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 조치였으며, 실제로 많은 흑인 군대가 프랑스 측에 합류하여 분쟁 기간 동안 프랑스가 식민지를 유지하는 데 기여했다.[12] 프랑스 제1공화국의 국민 공회는 1794년 2월 4일, 막시밀리앙 로베스피에르의 주도로 프랑스 본토와 모든 식민지에서 노예제를 공식적으로 폐지하는 법령을 통과시켰다.[14]

그러나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는 집권 후 1802년 5월 20일 법을 통해 노예제를 다시 부활시키려 시도했고, 이를 강제하기 위해 군대를 파견했다. 이에 생도맹그의 흑인 및 유색인 자유민들은 나폴레옹의 생도맹그 원정에 맞서 '토착군'(L'armée indigène|라르메 인디젠프랑스어)을 결성하여 저항했다.[12] 결정적인 베르티에 전투에서 프랑스군을 격파한 이들은 마침내 1804년 아이티 공화국의 독립을 선언했다.[13] 이로써 아이티는 서반구에서 노예제를 영구적으로 폐지한 최초의 근대 국가가 되었다.[19] 하지만 프랑스 정부는 아이티의 독립을 즉각 인정하지 않았고, 혁명 기간 동안 프랑스인들이 입은 손실에 대한 막대한 배상금을 요구하며 1825년까지 아이티 정부를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5. 한국의 노예제와 노비 해방 운동

조선 시대에 존재했던 노비 제도는 1894년 갑오개혁을 통해 법적으로 폐지되었다. 하지만 오랜 관습으로 인해 사회 전반에서 완전한 해방이 이루어지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했다. 개화기를 거치면서 일부 지식인들과 개신교 신자들을 중심으로 노비 해방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점차 사회적인 운동으로 발전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변화는 독립협회 등의 활동을 통해 구체화되었다.

5. 1. 조선 시대 노비 제도

조선시대 노비가 상민으로 면천하는 방법 중에는 국가의 기득권을 위협할 만한 전쟁이나 자연재해 같은 특수한 상황에서 활약하는 방법이 있었다. 또한 '속오군'에 지원하는 방법이 있었다. 임진왜란을 계기로 신설된 '속오군'은 병농일치제에 따른 체제로서 부자 2대에 걸쳐 '평생동안' 군대에 복무해야 상민으로 해방될 수 있었다. 그리고 노비의 아버지가 조선 정부의 관리일 경우, 노비는 장예원에 심사를 거쳐 상민이 될 수 있었다. 대신에 노비는 '보충대'라는 곳에 입속하여 일정기간을 거쳐야 상민이 될 수 있었다.

노비 해방을 최초로 법으로 도입한 시기는 1894년 갑오개혁이 최초이다. 그러나 아직 사회의 인식이 따라가지 못하여 법만 피하기 위해 머슴이란 이름으로 구색만 맞출 정도의 임금만 지급하거나 지방 유력자들은 갑오개혁을 무시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진보 활동가들은 사회에 노비 해방 분위기를 위해 노력하기 시작한다.

개화기에 개신교 신자들이 노비해방을 하는 일이 있었다. 여운형은 클라크 선교사의 권유로 기독교인이 된 후에 노비문서를 불태워버림으로써 집에서 부리던 노비들을 해방하였다.[170] 감리교 신문인 《조선 그리스도인 회보》에 양반이 노비를 부리는 것이 교리적으로 볼때 가 된다는 신념으로 여성노비를 해방하였으며, 자신의 수양딸로 입양하였다는 이야기가 실렸다.[171]

서재필


조선후기에 노비해방에 앞장선 사람은 개화파 정치인 윤치호였다. 1895년 2월 13일 그는 미국 유학을 마치고 귀국 즉시 자기 집의 노비문서를 불에 소각하고, 노비들에게 재산을 주어 독립시켰다. 그때 윤치호의 가족들은 그의 전도를 받고 즉시 대대로 내려온 신주단지를 불태우고 종문서를 불태웠다.[172] 이로서 한국에서 종문서를 제일 먼저 불태운 가문이 되었다.[173] 1895년 12월 서재필 귀국하자 윤치호서재필과 함께 노비해방 방안을 계획하였다. 이들은 적당한 시기가 오면 이를 공론화시키기로 작정하고 1897년 이를 독립협회만민공동회에 상정하였다.

5. 2. 갑오개혁과 노비 해방

1894년 갑오개혁을 통해 신분제가 폐지되면서 노비 제도 역시 법적으로는 처음으로 폐지되었다. 이는 오랫동안 지속된 신분 질서에 큰 변화를 가져온 조치였으나, 법 제정만으로 뿌리 깊은 사회적 인식이 즉시 바뀌지는 않았다. 일부에서는 법망을 피하기 위해 이름만 머슴으로 바꾸고 이전과 다름없이 부리거나, 지방의 유력자들은 개혁 자체를 무시하는 경우도 많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회 전반에 노비 해방의 정신을 확산시키기 위한 진보적인 활동가들의 노력이 이어졌다.

개화기에는 개신교 신자들을 중심으로 노비 해방 실천 사례가 나타났다. 여운형은 클라크 선교사의 권유로 기독교인이 된 후, 집안의 노비 문서를 불태워 노비들을 해방시켰다.[170] 감리교 신문인 《조선 그리스도인 회보》에는 한 양반 신자가 노비를 부리는 것이 교리적으로 라는 신념에 따라 여성 노비를 해방하고 자신의 수양딸로 입양했다는 이야기가 실리기도 했다.[171]

조선 후기 노비 해방에 적극적으로 나선 인물 중에는 개화파 정치인 윤치호가 있었다. 그는 1895년 2월 미국 유학을 마치고 귀국하자마자 자신의 집 노비 문서를 불태우고, 노비들에게 재산을 나누어 주어 독립적인 삶을 살도록 도왔다. 윤치호의 가족들 또한 그의 뜻에 따라 대대로 내려오던 신주단지와 종문서를 함께 불태웠는데, 이는 한국 역사상 가문 단위에서 처음으로 종문서를 소각한 사례로 기록된다.[172][173] 같은 해 12월 서재필이 귀국하자, 윤치호서재필과 함께 노비 해방을 사회적으로 확산시킬 방안을 모색했다. 이들은 적절한 시기에 이를 공론화하기로 하고, 1897년 독립협회만민공동회에 이 문제를 정식으로 제기했다.

1897년 11월 1일, 독립협회가 주최한 제8회 토론회에서 서재필은 노비 해방을 토론 주제로 제안하여 채택되었다. 약 500여 명이 참석한 이 토론회는 뜨거운 분위기 속에서 진행되었다. 윤치호는 노비 제도의 폐단과 비인간성을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설명하며 폐지를 역설했고, 서재필미국아프리카 흑인 노예들이 겪었던 참상을 소개하며 노예제의 부당함을 강조했다.[174] 열띤 토론 끝에 진행된 투표에서 노비 해방 안건은 만장일치로 찬성 결의되었다.[174] 독립협회의 이러한 결의는 사회적 파급력을 가져, 한성부의 양반가를 중심으로 노비 문서를 불태우고 노비들을 풀어주는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윤치호서재필은 "인간은 물건이 아니며 재산이 될 수 없다", "인간의 생명은 하늘이 부여한 것"이라며 노비 해방의 당위성을 꾸준히 설파했고, 많은 반대에도 불구하고 노비 해방의 분위기는 점차 사회 전반으로 확산되어 갔다.

5. 3. 개화기 지식인들의 노비 해방 운동

개화기에는 개신교 신자들이 노비 해방에 앞장서는 사례들이 나타났다. 여운형은 클라크 선교사의 권유로 기독교인이 된 후, 집안의 노비 문서를 불태워 노비들을 해방시켰다.[170] 또한, 감리교 신문인 《조선 그리스도인 회보》에는 한 양반이 노비를 부리는 것이 라는 신념에 따라 여성 노비를 해방하고 자신의 수양딸로 삼았다는 이야기가 실리기도 했다.[171]

조선 후기 노비 해방 운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 중 하나는 개화파 정치인 윤치호였다. 그는 1895년 2월 13일, 미국 유학을 마치고 귀국하자마자 자신의 집 노비 문서를 불태우고 노비들에게 재산을 나누어 주어 독립시켰다. 윤치호의 가족들도 그의 영향을 받아 대대로 내려오던 신주단지와 종문서를 불태웠는데,[172] 이는 한국 역사상 가문 단위에서 종문서를 처음으로 불태운 사례로 기록된다.[173]

1895년 12월, 서재필이 귀국하자 윤치호는 그와 함께 노비 해방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세웠다. 이들은 적절한 시기에 이 문제를 공론화하기로 하고, 1897년 독립협회만민공동회에 노비 해방 문제를 공식적으로 제기했다.

1897년 11월 1일, 독립협회가 주최한 제8회 토론회에서 서재필은 노비 해방을 토론 주제로 제안하여 채택되었다. 약 500명이 참석한 이 토론회에서는 열띤 논의가 벌어졌다. 윤치호는 노비 제도의 폐해와 비인간성을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가며 설명했고, 서재필미국흑인 노예들이 겪었던 참상을 예로 들며 노비 해방의 필요성을 역설했다.[174] 토론 후 진행된 투표에서는 노비 해방에 대한 만장일치 찬성이 나왔다.[174]

독립협회의 이러한 결의는 사회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한성부의 일부 양반 가문에서는 노비 문서를 불태우고 노비들을 해방시키는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윤치호서재필은 "인간은 물건이 아니며 재산이 될 수 없다", "인간의 생명은 하늘이 부여한 것이다"라고 주장하며 노비 해방의 당위성을 널리 알렸다. 많은 반대에도 불구하고 노비 해방을 지지하는 분위기는 점차 확산되었다.

6. 노예 폐지 운동의 영향과 현대적 의의

노예제나 농노제와 같이 인구의 상당 부분이 강제 노동에 종사하던 사회에서, 폐지를 선언하는 법률은 중대한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결과를 가져올 수 있었다. 보상이나 구제, 토지 재분배, 그리고 시민권 부여와 같은 문제들은 해결하기 어려운 과제로 남는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아이티노예 반란과 혁명(1792–1804)을 통해 실질적으로 노예제를 폐지했지만, 국제 사회의 인종적 편견이나 반혁명적 분위기 속에서 금융 및 외교적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이로 인해 아이티는 상대적 빈곤 상태에 놓이게 되었다. 특히 아이티의 지속적인 빈곤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프랑스가 1825년 해방에 대한 대가로 아이티에 강요한 막대한 배상금이다. 이 부채는 2차 부채와 이자를 포함하여 1947년까지 상환되지 못했다.
  • 1861년 러시아 농노 해방은 농촌 및 산업 지역의 불안을 잠재우는 데 실패했고, 이는 1917년 혁명을 촉발하는 요인 중 하나가 되었다.
  • 미국은 1865년 12월 6일 미국 수정 헌법 제13조 비준으로 노예 해방을 이루었지만, 이후에도 짐 크로우법과 같은 인종 차별 정책, 시민권 확보를 위한 투쟁, 그리고 미국의 교도소 노동 문제 등 노예제와 관련된 인종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했다.
  • 퀸즐랜드는 1901년부터 1906년 사이에 블랙버딩으로 강제 이주된 대부분의 태평양 섬 주민 노동력을 추방하는 조치를 취했다.


영국에서는 1807년 법률 제정 이후 노예가 공공연하게 매매되지는 않았지만, 여전히 매매되고 소유되고 있었다. 1820년대에 노예제 폐지 운동이 다시 활발해졌으며, 이번에는 노예제 자체를 반대하는 운동으로 전개되었다. 1823년에는 반 노예 제도 협회가 창설되었고, 많은 참가자는 이전의 노예 무역 반대 운동에 참여했던 인물들이었다.

1827년, 영국은 노예 무역에 관여한 자를 해적으로 간주하여 사형에 처할 수 있도록 법을 강화했다. 1833년 8월 23일에는 노예 제도 폐지법이 제정되어 영국 식민지에서의 노예제를 불법으로 규정했다. 1834년 8월 1일, 영국 제국 내의 모든 노예는 해방되었으나, 연공 봉사 제도를 통해 이전 주인을 섬겨야 하는 경우가 남았다. 이 연공 봉사 제도 역시 1838년에 완전히 폐지되었다. 카리브해의 플랜테이션 소유자들에게는 보상금으로 2천만 달러가 지급되었다. 이 자금 마련에는 로스차일드 가문이 1500만 파운드의 금괴를 제공하며 관여했는데, 이전까지 로스차일드 가문 역시 노예제에 연루되어 있었다는 비판도 있다.[126][127]

7. 노예 폐지 운동 연표

주요 노예제 폐지 관련 연표
연도국가/지역/기구사건 내용
1444년포르투갈라구스에 노예시장 개설.[1][2]
1761년포르투갈노예제 폐지.[175]
1794년프랑스국민공회에서 노예 해방 선언.[176][177][178][179]
1802년프랑스프랑스 식민지에 노예제 재도입 (생도맹그 원정).
1804년아이티프랑스로부터 독립 선언, 최초의 흑인 공화국 탄생.[180][181]
1807년영국노예 무역 금지법 제정.
1808년미국노예 무역 금지.
1811년스페인노예제 폐지.
1814년네덜란드노예 매매 폐지.
1824년 ~ 1840년중남미 신생 독립국대부분의 국가에서 노예제 폐지.
1834년영국노예제 폐지법 발효 (1833년 제정).
1843년영국령 인도노예제 폐지.
1863년미국링컨 대통령, 노예 해방 선언 발표 (남북 전쟁 중).
1888년브라질노예제 폐지.[182]
1894년조선갑오개혁을 통해 노비 제도 폐지.
1948년UN세계 인권 선언 채택 (제4조에서 노예제 금지 명시).[183]
2007년모리타니노예제 공식 폐지 (세계 마지막 노예제 유지 국가).[184][185]


참조

[1] 뉴스 Slavery's last stronghold http://edition.cnn.c[...] CNN 2012-03-00
[2] 웹사이트 The Life of St. Eligius http://www.fordham.e[...] 2011-12-02
[3] 서적 Forgetful of their Sex: Female Sanctity and Society, ca. 500–1100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8-00-00
[4] 서적 The French Atlantic Triangle: literature and culture of the slave trade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5] 서적 The Old Regime and the Haitian Revolu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간행물 'There Are No Slaves in France': A Re-Examination of Slave Laws in Eighteenth Century France https://www.jstor.or[...]
[7] 서적 For the Glory of God: How Monotheism Led to Reformations, Science, Witch-hunts, and the End of Slavery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8] 서적 The Rough Guide to the USA https://books.google[...] Rough Guides UK 2011-00-00
[9] 서적 The Louisiana Journey https://books.google[...] Gibbs Smith 2007-00-00
[10] 서적 Disorders of Hemoglobin: Genetics, Pathophysiology, and Clinical Management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서적 Avengers of the New World: The Story of the Haitian Revolu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2] 서적 You Are All Free: The Haitian Revolution and the Abolition of Slave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서적 The Haitian Revolution: A Documentary History https://books.google[...] Hackett Publishing
[14] 서적 You are all Free. The Haitian Revolution and the Abolition of Slavery
[15] 서적 The Oglethorpe Plan
[16] 서적 Though the Heavens May Fall: The Landmark Trial that Led to the End of Human Slavery Da Capo Press 2005-00-00
[17] 웹사이트 Denmark Abolishes Slavery https://aaregistry.o[...]
[18] 웹사이트 The Abolition of Slavery https://en.natmus.dk[...]
[19] 웹사이트 Haiti was the first nation to permanently ban slavery https://www.washingt[...] Julia Gaffield 2020-07-15
[20] 간행물 African Slaves and English Law http://archive.lib.m[...] 1983-11-00
[21] 간행물 Abolition and Republicanism over the Transatlantic Long Term, 1640–1800 https://journals.ope[...]
[22] 웹사이트 Free African Americans of Virginia, North Carolina, South Carolina, Maryland and Delaware http://www.freeafric[...] 2008-02-15
[23] 웹사이트 First Indian-American Identified: Mary Fisher, Born 1680 in Maryland https://web.archive.[...] 2010-04-20
[24] 웹사이트 Slavery, freedom or perpetual servitude? – the Joseph Knight case https://web.archive.[...] National Archives of Scotland 2010-11-27
[25] 서적 The Wit and Wisdom of the Bench and Bar The Lawbook Exchange
[26] 서적 History of the English-Speaking Peoples Oxford University Press
[27] 서적 Housing, Race and Law: The British Experience Routledge
[28] 서적 Encyclopedia of Antislavery and Abolition Greenwood Publishing Group
[29] 그림 The Anti-Slavery Society Convention, 1840 http://www.npg.org.u[...]
[30] 웹사이트 The Records of the Parliaments of Scotland to 1707 https://web.archive.[...] University of St. Andrews 2007-00-00
[31] 서적 The Constitutional History of England (1760–1860) https://books.google[...] A.C. Armstrong and Son
[32] 서적 Forging an American Law of Slavery in Revolutionary South Carolina and Massachusett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Georgia Press 2014-00-00
[33] 웹사이트 Wedgwood https://web.archive.[...] 2015-08-12
[34] 서적 The Slave in European Art: From Renaissance Trophy to Abolitionist Emblem 2012-00-00
[35] 서적 Parliamentary History https://books.google[...] Corbett
[36] 서적 Journal of the House of Lords https://books.google[...] H.M. Stationery Office
[37] 논문
[38] 서적 History of the Rise, Progress and Accomplishment of the Abolition of the African Slave Trade by the British Parliament London
[39] 서적 Encyclopedia of the middle passage https://books.google[...] Greenwood Press 2007
[40] 웹사이트 William Loney RN – Background https://www.pdavis.n[...]
[41] 간행물 The Colonial Office and the Abolition of Slavery http://www.jstor.org[...]
[42] 웹사이트 Anti-Slavery International http://portal.unesco[...] 2011-10-11
[43] 간행물 Romanian Abolitionists on the Future of the Emancipated Gypsies
[44] 뉴스 Columbus 'sparked a genocide' http://news.bbc.co.u[...] BBC News 2003-10-12
[45] 서적
[46] 서적 Abolition and Antislavery: A Historical Encyclopedia of the American Mosaic
[47] 문서 History of Halifax
[48] 서적 Slavery in the Maritime Provinces https://archive.org/[...] The Journal of Negro History 1920-07
[49] 웹사이트 Biography – MacGregor James Drummond – Volume VI (1821–1835) – Dictionary of Canadian Biography http://www.biographi[...]
[50] 서적 Historic Black Nova Scotia
[51] 서적 Black Refugees
[52] 웹사이트 Biography – Strange, Sir Thomas Andrew Lumisden – Volume VII (1836–1850) – Dictionary of Canadian Biography http://www.biographi[...]
[53] 웹사이트 Celebrating the 250th Anniversary of the Supreme Court of Nova Scotia. https://web.archive.[...] 2015-02-01
[54] 간행물 Slavery and the Judges of Loyalist Nova Scotia
[55] 웹사이트 Nova Scotia Archives – African Nova Scotians https://novascotia.c[...] 2020-04-20
[56] 서적 Blacks in Canada: A History
[57] 서적 The Abolitionist Legacy: From Reconstruction to the NAACP https://archive.org/[...] Princeton University Press
[58] 서적 Benjamin Franklin: Genius of Kites, Flights, and Voting Rights
[59] 서적 Freeman's Challenge: The Murder That Shook America's Original Prison for Profit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4
[60] 서적 The Young people's encyclopedia of the United States Millbrook Press 1993
[61] 서적 A Heritage of Holiness: The Story of Allegheny Wesleyan Methodism Allegheny Press 2018
[62] 서적 New Perspectives on Race and Slavery in America: Essays in Honor of Kenneth M. Stampp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1986-01-01
[63] 웹사이트 Introduction – Social Aspects of the Civil War http://www.itd.nps.g[...]
[64] 뉴스 Amos Dresser's Own Narrative https://www.newspape[...] 1835-09-26
[65] 뉴스 Amos Dresser's Case https://www.newspape[...] 1835-09-17
[66] 서적 The Alphabet as Resistance: Laws Against Reading, Writing and Religion in the Slave South Independently Published
[67] 서적 A. J. Tomlinson: Plainfolk Modernist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68] 서적 Drugs and Society Jones & Bartlett Learning 2017
[69] 서적 Drugs and Society Jones & Bartlett Learning 2017
[70] 서적 The Encyclopedia of Libertarianism SAGE Publications, Cato Institute
[71] 서적 John Mercer Langston: Principle and Politics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72] 서적 Hellfire Nation: The Politics of Sin in American History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73] 웹사이트 African Americans in The Civil War https://www.historyn[...] 2021-07-24
[74] 서적 Been in the Storm So Long: The Aftermath of Slavery
[75] 서적 The Emancipation Proclamation: A Brief History with Documents
[76] 간행물 Reexamining Southern Emancipation in Comparative Perspective 2015-02
[77] 웹사이트 Emancipation Proclamation http://www.history.c[...] History Channel 2014-10-13
[78] 서적 Final Freedom: The Civil War, the Abolition of Slavery, and the Thirteenth Amendment
[79] 서적 Patchwork Freedoms: Law, Slavery, and Race beyond Cuba's Plant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80] 서적 The Uses of Justice in Global Perspective, 1600–1900 Routledge
[81] 간행물 'As a slave woman and as a mother': women and the abolition of slavery in Havana and Rio de Janeiro 2011-10-04
[82] 뉴스 A emancipação na tribuna sagrada' 1881-01-01
[83] 웹사이트 Woman Abolitionists https://www.gilderle[...]
[84] 웹사이트 Stories / Adelina Charuteira https://enslaved.org[...] 2024-05-17
[85] 웹사이트 How Sojourner Truth Used Photography to Help End Slavery https://www.smithson[...]
[86] 웹사이트 Why Abolitionist Frederick Douglass Loved the Photograph https://www.whatitme[...] 2015-12-04
[87] 웹사이트 The True Wesleyan https://secure.wesle[...] Wesleyan Church 2024-07-16
[88] 웹사이트 Western News - Western rediscovers, revives long-lost abolitionist newspaper https://news.western[...] 2022-10-28
[89] 웹사이트 Voice of the Bondsman https://news.ouronta[...] 2022-10-28
[90] 서적 Slavery in the Twentieth Century: The Evolution of a Global Problem AltaMira Press
[91] 서적 Slavery in the Twentieth Century: The Evolution of a Global Problem AltaMira Press
[92] 서적 Slavery in the Twentieth Century: The Evolution of a Global Problem AltaMira Press
[93] 서적 Slavery in the Twentieth Century: The Evolution of a Global Problem AltaMira Press
[94] 서적 Encyclopedia of human right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95] 웹사이트 Slavery in Islam https://www.bbc.co.u[...] BBC 2015-10-06
[96] 뉴스 U.S. works to fight modern-day slavery http://english.alara[...] 2015-07-07
[97] 웹사이트 Human Trafficking http://www.polarispr[...] 2015-07-21
[98] 뉴스 Haiti's Lost Billions https://www.nytimes.[...] 2022-05-20
[99] 뉴스 The Root of Haiti's Misery: Reparations to Enslavers https://www.nytimes.[...] 2022-05-20
[100] 간행물 France dismisses petition for it to pay $17 billion in Haiti reparations https://www.csmonito[...]
[101] 웹사이트 1807 Commemorated http://www.history.a[...] Institute for the Public Understanding of the Past and the Institute of Historical Research 2010-11-27
[102] 웹사이트 Slave Trade Act 1807 UK http://www.anti-slav[...] anti-slaverysociety.addr.com 2008-04-16
[103] 웹사이트 Slavery Abolition Act 1833 UK http://www.anti-slav[...] anti-slaverysociety.addr.com 2008-04-16
[104] 웹사이트 Les Chemins de la Liberté : Réflexions à l'occasion du bicentenaire de l'abolition de l'esclavage / Routes to Freedom : Reflections on the Bicentenary of the Abolition of the Slave Trade http://www.abolition[...] University of Ottawa 2010-11-27
[105] 간행물 Abolition Constitutionalism https://harvardlawre[...] 2019
[106] 논문 Whence Comes Section One? The Abolitionist Origins of the Fourteenth Amendment 2011
[107] 서적 Slavery and the Death Penalty: A Study in Abolition https://www.taylorfr[...] Routledge 2018-05-16
[108] 논문 The Constitution of Black Abolitionism: Re-Framing the Second Founding 2021
[109] 서적 Ending Slavery: How We Free Today's Slav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7
[110] 웹사이트 Does Slavery Still Exist? http://anti-slaverys[...] 2007-04-06
[111] 웹사이트 How we work to end slavery https://www.antislav[...] Anti-Slavery International
[112] 뉴스 Mauritanian MPs pass slavery law http://news.bbc.co.u[...] 2007-08-09
[113] 서적 A Concise Chronicle History of the African-American People Experience in America
[114] 논문 'When This Breaks Down, It's Black Gold': Race and Gender in Agricultural Health and Safety 2017-01-02
[115] 웹사이트 Public Law 106–386 – 28 October 2000, Victims of Trafficking and Violence Protection Act of 2000 https://2009-2017.st[...]
[116] 웹사이트 TVPA Fact Sheet http://www.acf.hhs.g[...]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08-09-10
[117] 뉴스 Pope Francis And Other Religious Leaders Sign Declaration Against Modern Slavery http://m.huffpost.co[...] 2014-12-02
[118] 웹사이트 Louisiana voters rejected an antislavery ballot measure. The reasons are complicated https://www.npr.org/[...] 2022-11-17
[119] 웹사이트 US Department of State Trafficking in Persons Report 2008, Introduction https://2001-2009.st[...] state.gov 2008-06-10
[120] 웹사이트 U.S. Constitution - Thirteenth Amendment | Resources | Constitution Annotated | Congress.gov | Library of Congress https://constitution[...]
[121] 웹사이트 5 states to decide on closing slavery loopholes in voter referendums https://www.pbs.org/[...] 2023-10-19
[122] 웹사이트 Colorado Votes To Abolish Slavery, 2 Years After Similar Amendment Failed https://www.npr.org/[...] 2018-11-07
[123] 뉴스 Movement grows to abolish US prison labor system that treats workers as 'less than human' https://www.theguard[...] 2023-10-19
[124] 서적 Though the Heavens May Fall Pimlico 2005
[125] 논문 イギリスにおける反奴隷制運動と女性 (「文明社会」とその「他者」たち : 近代イギリスにおける「他者」への態度の変容) 2012
[126] 뉴스 Rothschild and Freshfields founders had links to slavery, papers reveal http://www.ft.com/cm[...] Financial Times 2009-06-26
[127] 뉴스 Rothschilds gained less from slavery than from financing its abolition http://www.ft.com/cm[...] Financial Times 2009-06-30
[128] 서적 The Transformation of American Abolitionism: Fighting Slavery in the Early Republic Univ of North Carolina Press 2002
[129] 문서 A Quaker Abolitionist Travels Through Maryland and Virginia http://historymatter[...] New York: Houghton Mifflin 1909
[130] 서적 The Life and Works of Thomas Paine New York: Thomas Paine National Historical Society 1925
[131] 문서 Negro President 2006
[132] 서적 Age of Jackson
[133] 서적 Confrontation and Abolition in the 1850s 1972
[134] 서적 Free Soil, Free Labor, Free Men: The Ideology of the Republican Party Before the Civil War 1970
[135] 문서 Leonidas Polk
[136] 문서 All in the Fire http://memory.loc.go[...] 1854
[137] 서적 The Abolitionist Legacy: From Reconstruction to the NAACP
[138] 문서
[139] 웹사이트 人身売買、ダメ絶対!鎌倉幕府の公式記録『吾妻鏡』に見る鎌倉幕府の禁止令と社会背景 : Japaaan https://mag.japaaan.[...] 2023-09-08
[140]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www.ltscotlan[...] 2012-01-03
[141] 서적 World History: A New Perspective Pimlico
[142] 웹사이트 Should The Islamic World Apologize For Slavery? http://www.globalpol[...]
[143] 뉴스 Brazil's Prized Exports Rely on Slaves and Scorched Land http://forests.org/a[...] New York Times 2002-03-25
[144] 웹사이트 http://www.state.gov[...]
[145] 웹사이트 Amazigh Arts in Morocco http://www.utexas.ed[...]
[146] 뉴스 BBC Born to be a slave in Niger http://news.bbc.co.u[...] BBC
[147] 서적 100문 100답 세계사산책 백산서당 1994-01-10
[148] 백과사전 아이티의 역사 두산백과
[149] 서적 상식밖의 세계사 새길 1994-03-15
[150] 웹인용 The Slave Rebellion of 1791 https://kreyol.com/h[...] 2022-04-05
[151] 서적 100문 100답 세계사산책 백산서당 1994-01-10
[152] 서적 100문 100답 세계사산책 백산서당 1994-01-10
[153] 웹사이트 Decree of the National Convention of 4 February 1794, Abolishing Slavery in all the Colonies. http://chnm.gmu.edu/[...] 2010-01-14
[154] 서적 100문 100답 세계사산책 백산서당 1994-01-10
[155] 백과사전 아이티의 역사 두산백과
[156] 서적 상식밖의 세계사 새길 1994-03-15
[157] 서적 Cornerstones of Georgia history http://books.google.[...] University of Georgia Press 1995-07
[158] 웹인용 Thurmond: Why Georgia's founder fought slavery http://savannahnow.c[...] 2009-10-04
[159] 웹인용 Was slavery the engine of economic growth? http://www.digitalhi[...] Digitalhistory.uh.edu 2009-04-18
[160] 서적 Africana: The Encyclopedia of the African and African American Experience https://archive.org/[...] Basic Civitas Books
[161] 백과사전 윌리엄 윌버포스 인물세계사
[162] 백과사전 인간 매매를 금하다 https://terms.naver.[...] 죽기 전에 꼭 알아야 할 세계 역사 1001 Days 2009-08-20
[163] 백과사전 노예폐지협회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두피디아
[164] 백과사전 윌리엄 윌버포스 https://terms.naver.[...] 인물세계사
[165] 백과사전 노예폐지협회 https://terms.naver.[...] 네이버 기관단체사전 : 종합
[166] 백과사전 노예폐지협회 https://terms.naver.[...] 네이버 기관단체사전 : 종합
[167] 서적 최신 신학의 흐름 나눔사 2013-07-13
[168] 서적 두 얼굴을 한 하나님 살림 2013-07-13
[169] 서적 상식밖의 세계사 새길 2013-07-13
[170] 서적 여운형 이야기 자주독립을 향한 올곧은 양심 http://www.yes24.com[...] 우진주니어 2011-08-15
[171] 서적 기독교 사회주의 산책 홍성사
[172] 서적 나 그들과 함께 있었네 여성신문사 1994
[173] 서적 나 그들과 함께 있었네 여성신문사 1994
[174] 서적 독립협회 연구 (상) 일조각 2006
[175] 서적 역사를 바꾼 씨앗 5가지 세종서적 1997
[176] 문서
[177] 서적 100문 100답 세계사산책 백산서당 1994-01-10
[178] 서적 상식밖의 세계사 새길 1994-03-15
[179] 웹사이트 Decree of the National Convention of 4 February 1794, Abolishing Slavery in all the Colonies. http://chnm.gmu.edu/[...] 2010-01-14
[180] 백과사전 아이티의 역사 두산백과
[181] 서적 상식밖의 세계사 새길 1994-03-15
[182] 문서
[183] 문서
[184] 뉴스 Mauritanian MPs pass slavery law http://news.bbc.co.u[...] BBC news 2007-07-09
[185]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