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3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003년은 북송, 요나라, 고려 등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연호를 사용하고 간지(干支)가 계묘(癸卯)년이었던 해이다. 주요 사건으로는 고려에서 과거제도를 정비하고 성을 수축했으며, 교황 실베스테르 2세가 사망하고 요한 17세가 즉위했다. 또한 유럽에서는 독일-폴란드 전쟁이 벌어졌으며, 헝가리와 보헤미아 등에서 왕위 계승과 관련된 사건들이 발생했다. 이 해에는 잉글랜드 국왕 에드워드 참회왕, 서하의 경종 등이 탄생했고, 교황 실베스테르 2세, 교황 요한 17세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003년 |
---|
2. 연호
3. 기년
유대력 |
---|
4. 사건
- 1월 1일 - 헝가리 왕국의 국왕 머르크 왕이 사망하고, 러슬로 1세가 즉위한다.
- 1월 23일 - 비잔티움 제국과 불가리아 제1제국 간의 스트루미차 전투에서 바실리우스 2세 황제가 승리한다.
- 4월 17일 - 로베르 2세가 아키텐 공작 기욤 5세와 평화 협정을 맺는다.
- 5월 12일 - 실베스테르 2세가 4년간의 교황 재위 기간을 마치고 사망했다. 요한 17세가 제140대 교황으로 가톨릭 교회의 수장이 되었다.
- 6월 15일 - 폴란드 왕국의 국왕 볼레스와프 1세가 보헤미아 공작 올드르지흐를 프라하에서 격파한다.
- 11월 6일 - 요한 17세가 약 7개월의 재위 기간을 마치고 사망하여 로마의 라테라노 대성전에 묻혔다.
- 11월 22일 - 알프스 산맥을 넘어 이탈리아로 돌아온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헨리 2세가 파비아에서 열린 종교 회의에 참석한다.
- 아이슬란드의 레이캬비크에 알싱기가 설립된다.
- 알 자지라에서 이집트의 파티마 왕조와 알레포의 미르다시드 왕조 사이의 전투가 발생한다.
- 헤리베르트 쾰른 대주교가 도이츠 수도원을 도이츠 (독일)에 설립했다.
- 잉글랜드 국왕 스벤 1세('''포크비어드''')는 덴마크 바이킹 함대를 이끌고 이스트 앵글리아에 상륙하여 시골을 약탈했다. 노섬브리아는 그에게 항복했다(추정 날짜).
- 적조가 북송으로 건너가 황제 진종으로부터 자의와 원통대사의 호를 하사받았다.
4. 1. 한국
- 고려 목종이 개경, 서경, 동경을 비롯한 10도의 관리들에게 교서를 내려 관내의 박학한 자를 천거할 것을 지시하였으며 과거 제도를 정비하여 제술업, 명경업 및 잡업의 시행 규칙을 변경하였다.
- 덕주· 가주· 위화· 광화 등 4개의 성을 수축하였다.
4. 2. 동아시아
고려 목종은 개경과 서경, 동경을 비롯한 10도(道)의 관리들에게 교서를 내려 관내의 박학한 자를 천거할 것을 지시하였으며, 과거 제도를 정비하여 제술업과 명경업 및 잡업의 시행 규칙을 변경하였다.[1] 또한 덕주(德州), 가주(嘉州), 위화(威化), 광화(光化) 등 4개의 성을 수축하였다.[1]요 요 성종 황제가 이끄는 거란족은 몽골로 원정을 떠나 주부 부족을 복속시키고 매년 조공을 바치도록 하였다.[1]
4. 3. 유럽
- 2월 9일 - 보례슬라프 3세가 볼레스와프 1세의 군사적 지원을 받아 권력을 되찾았다. 몇 달 후, 보례슬라프의 형제들인 야로미르와 올드르지흐는 독일로 피신하여 하인리히 2세의 보호를 받았다. 한편 보례슬라프는 비셰흐라트에서 보헤미아의 주요 귀족들을 학살하라고 명령했다.[1]
- 독일-폴란드 전쟁: 볼레스와프 1세가 보헤미아와 모라비아 일부(현대 슬로바키아)를 합병했다. 슈바인푸르트의 하인리히 휘하의 독일 귀족들은 하인리히 2세(바이에른 공국을 약속받음)에 반란을 일으켰다.[1]
- 올리바 백작('''테일페르''') 리폴. 올리바는 베네딕토회 수도복을 입고 리폴 성 마리아 수도원에 들어갔다.[1]
- 로베르 2세('''경건왕''')가 부르고뉴를 침략했지만 실패했다. 이후 로베르는 두 번째 부인인 부르고뉴의 베르타를 버리고 아를의 콘스탄스와 결혼하여 프랑스의 왕비가 되었다.[1]
- 루돌프 3세는 움베르토 1세('''백수공''')에게 아오스타 영지를 수여했다. 그는 사보이 가문의 첫 번째 백작이 되었다.[1]
- 헝가리의 이슈트반 1세가 트란실바니아 (현대 루마니아)를 침략하고 트란실바니아 교구를 설립했다(대략적인 연도).[1]
- 알베사 전투: 코르도바 칼리파테의 무슬림 군대가 레온, 팜플로나, 카스티야의 북부 기독교 군대를 격파했다.[1]
5. 탄생
- 아마투스, 누스코 가톨릭 교구 주교 (추정 연도)
- 콘라트 2세 ('''청년'''), 카린티아 공작 (1039년 사망)
- 에드워드 참회왕, 잉글랜드 왕국 국왕 (1066년 사망)
- 프리드리히, 하로렌 공작 (추정 연도)
- 헤드비지 (또는 '''아드비자'''), 프랑스 공주 (추정 연도)
- 에르레바, 노르만 귀족 여성 (추정 연도)
- 이븐 하유스, 시리아 시인이자 찬양 시인 (1081년 사망)
- 이븐 자이둔, 안달루시아 시인이자 작가 (1071년 사망)
- 경종, 서하의 중국 황제 (1048년 사망)
- 브라운슈바이크의 리우돌프, 프리슬란트의 변경백 (1038년 사망)
- 무샤리프 알 다울라, 부야 왕조의 아미르, 이라크 (1025년 사망)
- 이원호, 서하의 초대 황제 (+ 1048년)
6. 사망
- 5월 12일 - 실베스테르 2세, 가톨릭교회 교황[1]
- 11월 6일 - 요한 17세, 가톨릭교회 교황
- 1월 19일 - 쾰른의 킬리안, 아일랜드 수도원장
- 1월 25일 - 북마르크의 로타르 1세, 북마르크의 변경백
- 5월 4일 - 슈바벤 공작 헤르만 2세, 슈바벤 공작 (독일)
- 7월 11일 - 알 만수르 알 카심 알 이아야니, 자이드파 이맘
- 8월 3일 - 앗 타이, 바그다드의 아바스 왕조 칼리파 (출생 929년)
- 12월 24일 - 빌헬름 2세, 독일 귀족
- 12월 27일 - 블루아의 엠마, 아키텐 공작부인
- 아토스의 아타나시우스, 비잔틴 수도자 (출생 920년)
- 브라이언 막 마엘루아나이드, 메이 세올라 (아일랜드)의 왕
- 디다, 카슈미르 (인도)의 여왕 배우자이자 섭정
- 에리크 붉은머리, 노르드 바이킹 탐험가 (대략적인 날짜)
- 플란차드 우아 루아이디네, 클론맥노이스의 수도원장
- 나레크의 그레고리, 아르메니아 신학자 (출생 951년)
- 바스푸라칸의 구르겐 4세, 바스푸라칸 (아르메니아)의 왕
- 이브라힘 이븐 박스, 부이 왕조 학자이자 의사
- 알렉산드리아의 필로테오스, 알렉산드리아 (이집트) 총대주교
- 로잘라, 프랑스 왕비이자 플랑드르 백작부인
- 보헤미아의 블라디보이, 보헤미아 (
- 2월 7일 - 로자라 디탈리, 로베르 2세의 첫 번째 왕비
- 7월 10일 - 조가, 헤이안 시대의 천태종 승려
- 9월 5일 - 미나모토노 나리요리, 헤이안 시대의 무장, 호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