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회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마스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7회 삼성화재배 월드 바둑마스터스는 2012년에 개최된 바둑 대회이다. 아마추어 선발전과 통합 예선을 거쳐, 중국 베이징에서 본선 32강전을 시작했다. 32강전은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진행되었고, 16강부터는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세돌 9단이 구리 9단을 2:1로 꺾고 우승했으며, 이로써 이세돌은 삼성화재배에서 네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32강전은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이 방식은 토너먼트와 리그의 장점을 결합한 것으로, 한 번 패배해도 나머지 두 경기를 이기면 다음 라운드에 진출할 수 있고, 첫 경기를 이겨도 다음 경기에서 패배하면 16강 진출이 불확실해진다.
2. 대회 일정
구분 일정 장소 아마추어 선발전 예선 : 7월 9일 ~ 7월 19일
본선 : 7월 21일, 22일한게임바둑(온라인진행)
한국기원통합 예선 8월 2일 ~ 8월 7일 한국기원 개막식 9월 3일 중국 베이징 본선 32강전 1라운드 : 9월 4일
2라운드 : 9월 5일
3라운드 : 9월 6일본선 16강전 10월 9일 대전 유성 본선 8강전 10월 10일 본선 4강전 1국 : 11월 12일
2국 : 11월 14일
3국 : 11월 15일결승전 1국 : 12월 11일
2국 : 12월 12일
3국 : 12월 13일중국 상하이대주점
3. 32강전
32강전은 9월 4일부터 6일까지 진행되었다. 4일에는 각 조의 1, 2번 선수와 3, 4번 선수가 대결을 펼쳤고, 5일에는 승자는 승자끼리, 패자는 패자끼리 경기를 가졌다. 여기서 2승을 거둔 선수는 16강 진출을 확정짓고, 2패를 한 선수는 자동 탈락했다. 첫날 패배했더라도 다음 날 승리한 선수들은 6일에 열린 3차전에서 다시 한번 승부를 겨뤄 16강 진출자를 가렸다.
3. 1. 32강전 조 편성 및 대진표
2012년 9월 3일 32강전 조 추첨이 완료됐다.
32강전은 더블 엘리미네이션 시스템으로 진행된다. 토너먼트와 리그의 장점을 살린 시스템으로, 한 번 질 경우에도 나머지 두 판을 이기면 다음 라운드에 진출할 수 있다. 첫 판을 이기더라도 다음 판을 질 경우 16강 진출이 불명확해진다.
4일에는 각 조의 1~2번, 3~4번이 맞붙는다. 5일에는 각 조의 승자는 승자끼리, 패자는 패자끼리 대국을 하는데, 총 2승을 거두면 16강 진출이 확정되고 2패를 하면 자동 탈락한다. 첫날 패했더라도 다음 날 승리하면 6일 3차전에서 다시 한번 승부를 겨룬다. 여기서 승리해도 16강 진출이 가능하다.
16강부터는 재추첨 후 토너먼트로 진행된다. (16강 진출 확정자는 굵은 글씨로 표시)조 1 2 3 4 A조 고마쓰 히데키 小松英樹|고마쓰 히데키일본어 루이나이웨이 芮迺偉|루이나이웨이중국어 세토 다이키 瀬戸大樹|세토 다이키일본어 천야오예 陈耀烨|천야오예중국어 B조 원성진 원성진|元晟溱한국어 펑리야오 彭立峣|펑리야오중국어 나현 나현|羅玄한국어 판팅위 范廷钰|판팅위중국어 C조 박정환 박정환|朴廷桓한국어 리친청 李钦诚|리친청중국어 최정 최정|崔精한국어 저우허시 周贺玺|저우허시중국어 D조 탕웨이싱 唐韦星|탕웨이싱중국어 중원징 钟文靖|중원징중국어 최철한 최철한|崔哲瀚한국어 리밍 李铭|리밍중국어 E조 백홍석 백홍석|白洪淅한국어 당이페이 党毅飞|당이페이중국어 한웅규 한웅규|韓雄奎한국어 퉈자시 柁嘉熹|퉈자시중국어 F조 장쉬 張栩|장쉬일본어 구리 古力|구리중국어 이세돌 이세돌|李世乭한국어 녜웨이핑 聂卫平|녜웨이핑중국어 G조 강동윤 강동윤|姜東潤한국어 장웨이제 江维杰|장웨이제중국어 진시영 진시영|陳時暎한국어 미위팅 芈昱廷|미위팅중국어 H조 안국현 안국현|安國鉉한국어 셰허 谢赫|셰허중국어 유창혁 유창혁|劉昌赫한국어 스웨 时越|스웨중국어
3. 2. 각 조별 경기 결과
조 | 1회전 | 2회전 | 승자조 16강 진출 | 패자조 16강 진출 |
---|---|---|---|---|
A조 | 고마쓰 히데키 루이나이웨이 승 세토 다이키 천야오예 승 | 루이나이웨이 천야오예 승 고마쓰 히데키 승 세토 다이키 | 천야오예 | 고마쓰 히데키 |
B조 | 원성진 승 펑리야오 나현 판팅위 승 | 원성진 승 판팅위 펑리야오 승 나현 | 원성진 | 판팅위 |
C조 | 박정환 리친청 승 최정 승 저우허시 | 리친청 승 최정 박정환 승 저우허시 | 리친청 | 박정환 |
D조 | 탕웨이싱 중원징 승 최철한 승 리밍 | 중원징 승 최철한 탕웨이싱 리밍 승 | 중원징 | 최철한 |
E조 | 백홍석 당이페이 승 한웅규 퉈자시 승 | 당이페이 퉈자시 승 백홍석 승 한웅규 | 퉈자시 | 백홍석 |
F조 | 장쉬 구리 승 이세돌 승 녜웨이핑 | 구리 승 이세돌 장쉬 승 녜웨이핑 | 구리 | 이세돌 |
G조 | 강동윤 장웨이제 승 진시영 미위팅 승 | 장웨이제 미위팅 승 강동윤 승 진시영 | 미위팅 | 강동윤 |
H조 | 안국현 셰허 승 유창혁 스웨 승 | 셰허 스웨 승 안국현 승 유창혁 | 스웨 | 안국현 |
4. 16강전~결승전
16강전 (10월 9일) | 8강전 (10월 10일) | 4강전 (11월 12일 ~ 11월 15일) | 결승전 (12월 11일 ~ 12월 13일) |
---|---|---|---|
이세돌 (승) - 리친청 | 이세돌 (승) - 천야오예 | 이세돌 (2) - 최철한 (0) | 이세돌 (2) - 구리 (1) |
백홍석 - 천야오예 (승) | |||
최철한 (승) - 미위팅 | 최철한 (승) - 판팅위 | 박정환 (0) - 구리 (2) | |
판팅위 (승) - 고마쓰 히데키 | |||
원성진 (승) - 퉈자시 | 원성진 - 박정환 (승) | ||
박정환 (승) - 중원징 | |||
구리 (승) - 안국현 | 구리 (승) - 강동윤 | ||
강동윤 (승) - 스웨 |
5. 특이 사항
- 이세돌은 삼성화재배에서 네 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 이세돌은 이창호에 이어 두 번째로 단일 메이저 세계기전에서 4회 우승을 달성했다. (첫 번째는 이창호의 1, 3, 5, 8회 LG배 우승)
- 구리는 삼성화재배에서 3연속 결승에 진출했다.
- 구리는 4년 만에 단일 메이저 세계기전 3연속 결승 진출 기록을 세 번째로 달성했다. (첫 번째는 이창호의 2, 3, 4회 삼성화재배 결승 진출, 두 번째는 이창호의 20, 21, 22회 후지쯔배 결승 진출)
- 이세돌과 구리는 세 번째로 세계기전 결승에서 맞붙었다.
- 이세돌은 결승전에서 두 번의 반집승(결승 1국, 결승 3국)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