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유성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유성구는 대전광역시 서북부에 위치한 구로, 삼한시대부터 백제, 신라, 고려를 거쳐 조선 시대에 이르기까지 역사를 지니고 있다. 특히 유성온천은 백제 시대부터 알려져 관광 명소로 발전했으며, 1973년 대덕연구단지 개발을 통해 과학기술 중심 도시로 성장했다. 현재 13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중심으로 과학기술 연구개발, 교육 서비스업, 제조업 등의 산업이 발달했다. 주요 교통 시설로는 대전 도시철도 1호선, BRT, 고속도로 등이 있으며, 국립중앙과학관 등 과학 문화 시설과 유성온천, 계룡산국립공원 등의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전광역시의 행정 구역 - 서구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 서구는 대전 중심부 서남부에 위치한 자치구로, 정부기관, 공공기관, 교육기관이 많고 둔산동을 중심으로 상업 및 문화 시설이 발달했으며 대전 도시철도 1호선과 고속도로가 지나 교통의 요충지이다.
  • 대전광역시의 행정 구역 - 대덕구
    대전광역시 대덕구는 오랜 역사를 지닌 지역으로 여러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신설되었으며, 풍부한 자연환경, 교육기관, 공공기관 및 기업들이 위치하고, 터키 이스탄불과 우호 교류 도시 관계를 맺고 있으나 최근 인구 감소 추세를 보인다.
  • 대전광역시의 구 - 서구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 서구는 대전 중심부 서남부에 위치한 자치구로, 정부기관, 공공기관, 교육기관이 많고 둔산동을 중심으로 상업 및 문화 시설이 발달했으며 대전 도시철도 1호선과 고속도로가 지나 교통의 요충지이다.
  • 대전광역시의 구 - 대덕구
    대전광역시 대덕구는 오랜 역사를 지닌 지역으로 여러 행정구역 개편을 거쳐 신설되었으며, 풍부한 자연환경, 교육기관, 공공기관 및 기업들이 위치하고, 터키 이스탄불과 우호 교류 도시 관계를 맺고 있으나 최근 인구 감소 추세를 보인다.
  • 대전 유성구 - 진잠군
    진잠군은 대전광역시 유성구, 서구, 계룡시에 걸쳐 있던 옛 행정 구역으로, 백제 시대부터 역사가 시작되어 고려 시대에는 고려청자 도요지가 운영되었고, 일제강점기에 대전군에 합병되었다.
  • 대전 유성구 - 노은동
    노은동은 대전광역시 유성구에 있는 행정동으로 백제 시대부터 유래한 오랜 역사를 지니며, 월드컵 개최 후 인구 증가로 분동되어 현재 3개의 행정동으로 나뉘었고, 도시철도와 도로망이 잘 갖춰져 있으며 연구 시설, 주요 기관, 월드컵경기장, 현충원, 아파트 단지 등이 위치한다.
유성구
지도
기본 정보
고유 이름유성구
로마자 표기Yuseong-gu
한자 표기儒城區
면적176.46 km²
인구369,405 명 (2024년 9월 기준)
인구 밀도auto
방언충청 방언
웹사이트유성구청
행정 구역
소속 국가대한민국
광역 자치 단체대전광역시
하위 행정 구역11개 행정동
추가 정보
구청장정용래(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갑)조승래(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을)황정아(더불어민주당)
구청 소재지대전광역시 유성구 대학로 211(어은동)
이미지
유성구 깃발
엑스포 과학공원
유성온천 족욕 체험장
유성구 지도

2. 역사

기원전 3세기 ~ 4세기 삼한시대 유성은 마한의 영역에 속하였고, 유성 계산동과 학하동 일원에 부족국가인 신흔국이 자리잡았다.[7] 삼국시대 대전은 백제의 우술군에 속하였다. 문주왕 때 백제가 수도를 웅진성(공주)으로 옮긴 후 유성은 백제의 수도권역에 속하였다. 신라가 통일한 후에는 노사지현은 유성현, 소비포현은 덕진현으로 개칭하였다.

고려시대 유성은 공주목에 영속된 군현으로 유성현과 진잠현이 통일신라 때의 행정구역을 그대로 이어왔고, 덕진현은 현종 9년에 폐현되어 공주목에 속하였다. 장대동에서는 '□城縣官(□성현관)'이라는 기와가 발견되었다.[7]

1392년 조선 건국 후, 유성 근교의 계룡산은 한양 무악산과 함께 새 왕조의 유력한 도읍지 후보로 거론되었다. 태조가 유성 온천에 머물렀다는 기록이 있다.[8] 왕실에서 온천을 이용한 것은 유성온천이 처음이었다. 결국 궁궐을 짓는 도중 천도가 무산되었지만, <정감록> 등에서 이씨 왕조가 망하고 계룡산 일대가 새 나라의 수도가 될 것이라고 예언하였다. 현대 들어서, 유성 인접지역에 정부대전청사정부세종청사, 3군 본부 등이 건립된다.

조선 태종 13년(1413년) 유성현덕진현은 폐현되어 공주목에 속하게 되었고, 진잠현은 공주목의 영현이 되었다.[9] 1602년 충청도 감영 소재지가 충주에서 공주목으로 이전되면서 충청도의 중심지가 되었다.

유성은 오래전부터 유성온천으로 널리 알려져 왔다. 백제시대 말 신라와의 싸움에서 크게 다친 아들의 약을 찾던 어머니가 백설이 뒤덮인 들판에서 날개 다친 학 한 마리가 눈 녹은 웅덩이 물로 상처 난 날개를 적셔 치료하는 것을 보고 아들의 상처를 그 물에 담그게 하여 말끔히 치료하였다는 전설이 전해오고 있다. 조선 태조가 신도안 방문시에 유성 온천에 머물렀으며, 조선 태종이 왕자이던 1393년 이곳에서 목욕을 한 뒤 군사훈련 하는 모습을 지켜보았다는 기록이 남아있는 것으로 보아 조선왕조가 시작될 무렵에는 임금이 쉬어갈 정도로 훌륭한 온천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1913년 일본인들이 들어와 욕조 4개와 특등욕장 2동을 지어 근대적인 온천시설인 만년장을 준공시킨 것을 계기로 오늘날의 유성온천으로 발전해왔다. 박정희 전 대통령이 온천욕을 위해 유성에 방문했던 일화 등도 전해지고 있다. 1994년 유성온천이 관광특구로 지정되면서 유흥업소 영업시간 제한이 없어지고 유흥업소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1990년 15개이던 유성의 목욕탕은 1997년 22개까지 늘었다.[10]

1973년부터 대덕연구단지가 개발되어 정부출연연구기관과 기업 연구소가 들어서면서 과학기술의 중심도시가 되었다. 1993년 대한민국 최초의 국제박람회기구 공인 엑스포인 대전 세계박람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하면서 과학도시로서 위상을 확립하였다.

2002년 한일 월드컵 개최 도시 중 하나로서, 노은동에 위치한 대전월드컵경기장에서 2002 FIFA 월드컵을 개최하였다.

2011년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로 선정되었다.


  • 1917년 충청남도 대전군 유성면, 진잠면, 탄동면, 구즉면
  • 1935년 대전군이 대덕군으로 개칭되었다.
  • 1973년 7월 1일 대덕군 유성면이 유성읍으로 승격되었다.[11]
  • 1983년 2월 15일 대덕군 유성읍과 구즉면·탄동면·진잠면 각 일부가 대전시에 편입되고 중구에 유성출장소가 설치되었다.[12]
  • 1988년 1월 1일 대전시 서구가 신설되면서 유성출장소가 서구에 편입되었다.[13]
  • 1989년 1월 1일 대전직할시 승격과 함께 유성구가 신설되고, 대덕군 구즉면·탄동면·진잠면(남선리 제외)을 유성구에 편입하였다.[14] (8행정동)
  • 1993년 세계 박람회를 개최하였다.
  • 1994년 8월 27일 유성을 비롯한 대한민국 5개 관광지를 정부에서 관광특구로 지정하였다.
  • 1995년 1월 1일 대전직할시 유성구가 대전광역시 유성구로 변경되었다.
  • 1998년 10월 26일 탄동과 온천2동을 온천2동으로, 진잠1·2동을 진잠동으로 각각 합동하였다. (6행정동)
  • 2003년 2월 1일 노은동을 온천2동에서 분동하였다.[15] (7행정동)
  • 2007년 1월 5일 노은동을 노은1동, 노은2동으로 분동하였다.[16] (8행정동)
  • 2010년 4월 27일 관평테크노동을 구즉동에서 분동하였다.[17] (9행정동)
  • 2010년 8월 11일 관평테크노동을 관평동으로 개칭하였다.[18]
  • 2013년 9월 16일 원신흥동을 온천1동에서 분동하였다. (10행정동)
  • 2015년 7월 20일 노은3동을 노은2동에 분동하였다.[19] (11행정동)
  • 2021년 11월 1일 진잠동 일부와 온천1동 일부를 합쳐 학하동을, 원신흥동 일부와 온천1동 일부를 합쳐 상대동을 각각 신설하였다. (13행정동)

2. 1. 고대 ~ 조선 시대

기원전 3세기 ~ 4세기 삼한시대 유성은 마한의 영역에 속하였고, 유성 계산동과 학하동 일원에 부족국가인 신흔국이 자리잡았다.[7] 삼국시대 대전은 백제의 우술군에 속하였다. 문주왕 때 백제가 수도를 웅진성(공주)으로 옮긴 후 유성은 백제의 수도권역에 속하였다. 신라가 통일한 후에는 노사지현은 유성현, 소비포현은 덕진현으로 개칭하였다.

고려시대 유성은 공주목에 영속된 군현으로 유성현과 진잠현이 통일신라 때의 행정구역을 그대로 이어왔고, 덕진현은 현종 9년에 폐현되어 공주목에 속하였다. 장대동에서는 '□城縣官(□성현관)'이라는 기와가 발견되었다.[7]

1392년 조선 건국 후, 유성 근교의 계룡산은 한양 무악산과 함께 새 왕조의 유력한 도읍지 후보로 거론되었다. 태조가 유성 온천에 머물렀다는 기록이 있다.[8] 왕실에서 온천을 이용한 것은 유성온천이 처음이었다. 결국 궁궐을 짓는 도중 천도가 무산되었지만, <정감록> 등에서 이씨 왕조가 망하고 계룡산 일대가 새 나라의 수도가 될 것이라고 예언하였다.

조선 태종 13년(1413년) 유성현덕진현은 폐현되어 공주목에 속하게 되었고, 진잠현은 공주목의 영현이 되었다.[9] 1602년 충청도 감영 소재지가 충주에서 공주목으로 이전되면서 충청도의 중심지가 되었다.

유성은 오래전부터 유성온천으로 널리 알려져 왔다. 백제시대 말 신라와의 싸움에서 크게 다친 아들의 약을 찾던 어머니가 백설이 뒤덮인 들판에서 날개 다친 학 한 마리가 눈 녹은 웅덩이 물로 상처 난 날개를 적셔 치료하는 것을 보고 아들의 상처를 그 물에 담그게 하여 말끔히 치료하였다는 전설이 전해오고 있다. 조선 태조가 신도안 방문시에 유성 온천에 머물렀으며, 조선 태종이 왕자이던 1393년 이곳에서 목욕을 한 뒤 군사훈련 하는 모습을 지켜보았다는 기록이 남아있는 것으로 보아 조선왕조가 시작될 무렵에는 임금이 쉬어갈 정도로 훌륭한 온천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10]

2. 2. 일제강점기 ~ 현재

1914년 충청남도 대전군 유성면, 진잠면, 탄동면, 구즉면이 설치되었다.[11] 1935년 대전군이 대덕군으로 개칭되었다.[12] 1973년 7월 1일 대덕군 유성면이 유성읍으로 승격되었다.[13] 1983년 2월 15일 대덕군 유성읍과 구즉면·탄동면·진잠면 각 일부가 대전시에 편입되고 중구에 유성출장소가 설치되었다.[14]

1988년 1월 1일 대전시 서구가 신설되면서 유성출장소가 서구에 편입되었다.[15] 1989년 1월 1일 대전직할시 승격과 함께 유성구가 신설되고, 대덕군 구즉면·탄동면·진잠면(남선리 제외)을 유성구에 편입하였다.[16] (8행정동)

1993년 세계 박람회를 개최하였다. 1994년 8월 27일 유성을 비롯한 대한민국 5개 관광지를 정부에서 관광특구로 지정하였다. 1995년 1월 1일 대전직할시 유성구가 대전광역시 유성구로 변경되었다.

1998년 10월 26일 탄동과 온천2동을 온천2동으로, 진잠1·2동을 진잠동으로 각각 합동하였다. (6행정동) 2003년 2월 1일 노은동을 온천2동에서 분동하였다.[17] (7행정동) 2007년 1월 5일 노은동을 노은1동, 노은2동으로 분동하였다.[18] (8행정동)

2010년 4월 27일 관평테크노동을 구즉동에서 분동하였다.[19] (9행정동) 2010년 8월 11일 관평테크노동을 관평동으로 개칭하였다.[20] 2013년 9월 16일 원신흥동을 온천1동에서 분동하였다. (10행정동) 2015년 7월 20일 노은3동을 노은2동에 분동하였다. (11행정동) 2021년 11월 1일 진잠동 일부와 온천1동 일부를 합쳐 학하동을, 원신흥동 일부와 온천1동 일부를 합쳐 상대동을 각각 신설하였다. (13행정동)

3. 지리

유성구는 대전광역시 서북부에 위치한다. 동쪽으로는 갑천을 경계로 서구, 대덕구와 인접한다.[20] 서쪽으로는 갑하산(469m), 우산봉(573m), 빈계산 등 계룡산 산맥을 경계로 충청남도 공주시, 남쪽으로는 계룡시와 접한다.[20] 북쪽으로는 금병산금강을 경계로 세종특별자치시와 접한다.[20]

월평공원에서 본 유성 중심지 모습


이중환의 《택리지》에 조선 도읍지로서 최고의 길지는 '유성'과 넓은 '태전'이라 하였을 정도로 예로부터 토지가 비옥하고 산수가 수려하여 유성은 살기 좋은 곳으로 잘 알려져 있다.[20] 한국과학기술원, 충남대학교, 한밭대학교를 비롯한 교육시설 있고, 라듐 온천 관광지로 널리 알려진 유성온천으로 유명하다.[20] 1993년 세계 박람회의 성공적 개최를 계기로 국제관광도시, 과학기술도시, 교육문화도시, 군사교육도시로 급부상하고 있다.[20] 대한민국 과학 기술의 중심지인 대덕연구개발특구가 조성되어 있다.[20] 정부대전청사, 정부세종청사와 인접한다.[20]

서쪽은 계룡산을 비롯한 산지이다. 북쪽에는 금강이 서쪽으로 흘러가며, 금강의 지류인 갑천이 구의 동쪽 경계를 이루고 있다. 남북으로 긴 구의 거의 중간에 유성온천가가 있으며, 온천가에서 북동쪽으로 약간 떨어진 곳에 구청과 충남대학교가 있어 이 주변이 주로 구의 중심부를 구성한다.

동쪽은 갑천을 사이에 두고 대전광역시 대덕구·서구와 인접한다. 북쪽 금강 건너편은 충청북도 청주시이다. 북서쪽에는 세종특별자치시, 남서쪽에는 계룡시·논산시가 인접해 있다.

4. 행정 구역

유성구는 13개 행정동(53개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2022년 12월 말 기준 인구는 35만 6,093명이다.[5]

유성구의 행정구역


행정동한자면적 (km2)인구세대
진잠동鎭岑洞40.4924,77411,408
학하동鶴下洞13.418,4268,386
상대동上垈洞2.8325,2819,123
온천1동溫泉1洞4.926,37017,667
온천2동溫泉2洞9.040,01520,570
노은1동老隱1洞9.221,4318,834
노은2동老隱2洞11.7323,9439,507
노은3동老隱3洞7.6136,88814,146
신성동新城洞31.0925,92112,062
전민동田民洞9.0126,74911,489
구즉동九則洞27.4730,81813,742
관평동官坪洞7.2028,39610,825
원신흥동元新興洞2.827,08112,546
유성구儒城區176.57356,093160,305


4. 1. 행정동 목록

유성구는 13개 행정동이 설치되어 있으며, 53개 법정동을 관할한다. 유성구의 인구는 2022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35만 6,093명, 16만 305가구이다.[5]

행정동한자면적 (km2)인구세대
진잠동鎭岑洞40.4924,77411,408
학하동鶴下洞13.418,4268,386
상대동上垈洞2.8325,2819,123
온천1동溫泉1洞4.926,37017,667
온천2동溫泉2洞9.040,01520,570
노은1동老隱1洞9.221,4318,834
노은2동老隱2洞11.7323,9439,507
노은3동老隱3洞7.6136,88814,146
신성동新城洞31.0925,92112,062
전민동田民洞9.0126,74911,489
구즉동九則洞27.4730,81813,742
관평동官坪洞7.2028,39610,825
원신흥동元新興洞2.827,08112,546
유성구儒城區176.57356,093160,305



각 행정동 및 관할 법정동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해당 행정동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5. 정치

5. 1. 역대 구청장

유성구청장 선거는 유성구의 구청장을 선출하는 선거이다. 역대 구청장 목록은 해당 문서를 참고하면 된다. 현재 유성구청은 대전광역시 유성구 어은동에 있다.

6. 경제

유성구는 사업체와 경제활동 인구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과학기술 연구개발업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대덕연구개발특구를 중심으로 첨단 산업이 발달하였다.

'''주요 산업'''

유성구는 과학기술 연구개발업, 제조업, 교육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경제활동 인구와 사업체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2013년 말 기준 유성구의 사업체 수는 18,205개, 종사자는 123,971명이다. 산업별 경제활동 인구는 과학기술 연구개발업(22%), 제조업(13%), 교육 서비스업(11%) 순으로 비중을 차지한다.[23]

대덕연구단지는 한국 최고의 연구개발 고급인력을 보유한 곳으로, 한국과학기술원(KAIST)을 비롯하여 정보기술, 생명공학, 나노기술, 로봇, 우주공학 등 혁신산업에 집중하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이 있다. 삼성 대덕연구센터, LG화학, LG생명과학, LG생활건강, LG유플러스 기술연구원, KT 네트워크기술연구소, 한화그룹 중앙연구소(한화케미칼, 한화건설), GS플라텍, GS칼텍스 중앙기술연구소, KT&G 중앙연구원, SK C&C, SK이노베이션 글로벌 테크놀로지, 대한항공 기술연구원, 대림산업 연구소, 삼양 중앙연구소, 롯데케미칼 연구소, 금호석유화학 중앙연구소, 한국타이어 중앙연구소, 애경 종합기술원, 두산중공업 기술연구소, 쌍용양회공업 기술연구소, LIG넥스원 대전연구소, 태광산업 중앙연구소, 한전원자력연료 등 대기업 연구소와 ㈜선바이오텍, ㈜매크로그래프, ㈜비티웍스, ㈜제이피이 등 연구소기업, 중앙백신연구소 등 벤처기업들이 밀집해 있다.[23] 반석동에는 삼성탈레스 대전연구소, 한국항공우주산업 대전연구센터, 국방과학연구소 민군협력진흥원 등이 있으며, 금호폴리켐㈜ 등도 대전으로 연구소를 이전할 계획이다.[23]

한국과학기술원


2011년 기준 대덕연구개발특구에는 정부출연출연기관 31개, 공공기관 11개, 국공립기관 14개, 기타비영리기관 33개, 대학 5개, 기업 1306개 등 모두 1400개 기관이 입주해 있고, 전문 인력은 6만2689명이다.[23] 연구개발비는 6조8173억원이며, 특허출원은 11만3211건이고, 해외특허가 29%를 차지한다.[23]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로 확정되었다.

다양한 분야의 과학기술을 토대로 산학연간 융복합 공동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DRAM & SRAM 칩, LCD 모듈, 휴대폰 기술, 무선광역통신기술 분야 등 상용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유통'''

유성구에는 노은농수산물도매시장, 유성장 (전통시장)이 있다. 홈플러스 유성점(봉명동), 서대전점(대정동), 롯데마트 노은점(하기동), 대덕테크노밸리점(관평동), 서대전점(원내동)이 있다. 현대 프리미엄 아울렛 대전점(테크노중앙로 124)과 모다아울렛 대전점(유성구 대정동)도 있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가 조성되는 엑스포과학공원에는 연면적 271,366m2, 지하 4층, 지상 43층의 사이언스 콤플렉스가 건립될 계획이다. ㈜신세계는 2017년 4월 대전 현지법인을 설립하고, 2017년 12월 19일 기공식을 했다. 2020년까지 쇼핑·문화·과학·여가를 즐길 수 있는 복합 엔터테인먼트 시설로 조성할 계획이다. 193m 피라미드형의 사이언스 타워는 갑천변에 배치되어 상층부 9개층은 랜드마크 시설로 전망대와 식당, 놀이시설이 들어서고, 특급호텔과 병원 등 힐링센터, 과학문화시설도 입주하며, 옥상에는 테마공원과 야외수영장이 조성된다. 유성온천역 인근 유성구 봉명동 549-11번지에는 연면적 89,000㎡ 지하 6층, 지상 9층의 프리미엄 아울렛 '골든하이(DOLDEN HI)'가 2019년 오픈됐다.

'''금융'''

유성구의 금융기관은 총 102개이다. 우리은행 12개 지점, 국민은행 11개 지점, 신한은행 6개 지점, IBK기업은행 3개 지점, 하나은행 10개 지점, 신협 9개 지점, 농협중앙회 6개 지점, 농협 25개 지점이 있다. 지족동에는 KB국민은행 콜센터가 있고, 덕명동에는 신협중앙연수원이 있다.

6. 1. 주요 산업

유성구는 과학기술 연구개발업, 제조업, 교육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경제활동 인구와 사업체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2013년 말 기준 유성구의 사업체 수는 18,205개, 종사자는 123,971명이다. 산업별 경제활동 인구는 과학기술 연구개발업(22%), 제조업(13%), 교육 서비스업(11%) 순으로 비중을 차지한다.[23]

대덕연구단지는 한국 최고의 연구개발 고급인력을 보유한 곳으로, 한국과학기술원(KAIST)을 비롯하여 정보기술, 생명공학, 나노기술, 로봇, 우주공학 등 혁신산업에 집중하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이 있다. 삼성 대덕연구센터, LG화학, LG생명과학, LG생활건강, LG유플러스 기술연구원, KT 네트워크기술연구소, 한화그룹 중앙연구소(한화케미칼, 한화건설), GS플라텍, GS칼텍스 중앙기술연구소, KT&G 중앙연구원, SK C&C, SK이노베이션 글로벌 테크놀로지, 대한항공 기술연구원, 대림산업 연구소, 삼양 중앙연구소, 롯데케미칼 연구소, 금호석유화학 중앙연구소, 한국타이어 중앙연구소, 애경 종합기술원, 두산중공업 기술연구소, 쌍용양회공업 기술연구소, LIG넥스원 대전연구소, 태광산업 중앙연구소, 한전원자력연료 등 대기업 연구소와 ㈜선바이오텍, ㈜매크로그래프, ㈜비티웍스, ㈜제이피이 등 연구소기업, 중앙백신연구소 등 벤처기업들이 밀집해 있다.[23] 반석동에는 삼성탈레스 대전연구소, 한국항공우주산업 대전연구센터, 국방과학연구소 민군협력진흥원 등이 있으며, 금호폴리켐㈜ 등도 대전으로 연구소를 이전할 계획이다.[23]

2011년 기준 대덕연구개발특구에는 정부출연출연기관 31개, 공공기관 11개, 국공립기관 14개, 기타비영리기관 33개, 대학 5개, 기업 1306개 등 모두 1400개 기관이 입주해 있고, 전문 인력은 6만2689명이다.[23] 연구개발비는 6조8173억원이며, 특허출원은 11만3211건이고, 해외특허가 29%를 차지한다.[23]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로 확정되었다.

다양한 분야의 과학기술을 토대로 산학연간 융복합 공동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DRAM & SRAM 칩, LCD 모듈, 휴대폰 기술, 무선광역통신기술 분야 등 상용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6. 2. 대규모 개발 계획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조성[23]사이언스 콤플렉스 건립[24][25][26]이 계획되어 있다.

2011년, 전문가들의 입지 평가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대전 유성구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로 확정되었다.[23] 2013년 미래창조과학부와 대전광역시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관련 기관의 협력사항을 담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였다. 기초과학연구원은 유성구 도룡동에 위치하며, 과학벨트 거점지구는 신동·둔곡지구에서 도룡동 일원까지 확대되었다. 신동·둔곡지구에는 중이온가속기 부지가 국고로 매입되고, 대기업을 유치하여 R&D 성과를 상용화하기 위한 첨단 산업단지로 조성될 예정이다.

도룡동에는 국제 사이언스 센터가 건립될 계획이다. 지상 20층 이상 규모의 국제 사이언스 센터에는 첨단기업 창업·입주 공간, 국립 과학도서관, 기술거래소, 과학기술 핵심 기관이 들어설 계획이며, 엑스포과학공원은 시민 과학체험 공간과 전시공간을 갖춘 과학 테마파크로 재창조될 계획이다. 엑스포과학공원에는 연면적 271,366m2, 지하 4층, 지상 43층의 '''사이언스 콤플렉스'''가 건립될 계획이다. ㈜신세계는 2017년 대전 현지법인을 설립하고,[24] 2017년 12월 19일 기공식을 했다.[25] 2020년까지 쇼핑·문화·과학·여가를 즐길 수 있는 복합 엔터테인먼트 시설로 조성할 계획이다.[25] 193m 피라미드형의 사이언스 타워는 갑천변에 배치되어 상층부 9개층은 랜드마크 시설로 전망대와 식당, 놀이시설이 들어서고, 특급호텔과 병원 등 힐링센터, 과학문화시설도 입주하며, 옥상에는 테마공원과 야외수영장이 조성된다.[26]

]

6. 3. 유통

유성구에는 노은농수산물도매시장, 유성장 (전통시장)이 있다. 홈플러스 유성점(봉명동), 서대전점(대정동), 롯데마트 노은점(하기동), 대덕테크노밸리점(관평동), 서대전점(원내동)이 있다. 현대 프리미엄 아울렛 대전점(테크노중앙로 124)과 모다아울렛 대전점(유성구 대정동)도 있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가 조성되는 엑스포과학공원에는 연면적 271,366m2, 지하 4층, 지상 43층의 사이언스 콤플렉스가 건립될 계획이다. ㈜신세계는 2017년 4월 대전 현지법인을 설립하고, 2017년 12월 19일 기공식을 했다. 2020년까지 쇼핑·문화·과학·여가를 즐길 수 있는 복합 엔터테인먼트 시설로 조성할 계획이다. 193m 피라미드형의 사이언스 타워는 갑천변에 배치되어 상층부 9개층은 랜드마크 시설로 전망대와 식당, 놀이시설이 들어서고, 특급호텔과 병원 등 힐링센터, 과학문화시설도 입주하며, 옥상에는 테마공원과 야외수영장이 조성된다. 유성온천역 인근 유성구 봉명동 549-11번지에는 연면적 89,000㎡ 지하 6층, 지상 9층의 프리미엄 아울렛 '골든하이(DOLDEN HI)'가 2019년 오픈됐다.

6. 4. 금융

유성구의 금융기관은 총 102개이다. 우리은행 12개 지점, 국민은행 11개 지점, 신한은행 6개 지점, IBK기업은행 3개 지점, 하나은행 10개 지점, 신협 9개 지점, 농협중앙회 6개 지점, 농협 25개 지점이 있다. 지족동에는 KB국민은행 콜센터가 있고, 덕명동에는 신협중앙연수원이 있다.

7. 교육

2013년 12월말 기준 유성구의 학교 수는 184개교이고, 학생 수는 110,240명이다. 대전광역시서부교육지원청 관할이다.

;대학교

충남대학교, 한밭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국가연구소대학교, 침례신학대학교, 한남대학교 대덕밸리캠퍼스, 대덕대학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전충남지역대학 등이 유성구에 위치해 있다.

;국방 관련 교육 기관

국군간호사관학교는 1996년 12월에 유성구 자운대로 이전하였다. 합동군사대학교국군의 장교 합동교육 및 연합교육을 주관하는 국방부 직할 군사교육기관이다.

;고등학교

대전과학고등학교, 유성고등학교, 대전노은고등학교, 대전반석고등학교, 대전지족고등학교, 유성여자고등학교, 대덕고등학교, 대전전민고등학교, 대전용산고등학교, 대전전자디자인고등학교, 대덕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등학교, 서일고등학교, 중일고등학교, 대전체육고등학교, 유성생명과학고등학교, 대전예술고등학교, 대전공업고등학교가 있다.

;특수학교

대전성세재활학교가 있다.

7. 1. 대학교

충남대학교, 한밭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국가연구소대학교, 침례신학대학교, 한남대학교 대덕밸리캠퍼스, 대덕대학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전충남지역대학 등이 유성구에 위치해 있다. 2013년 12월말 기준으로 유성구에는 184개 학교와 110,240명의 학생이 있다.

7. 2. 국방 관련 교육 기관

국군간호사관학교는 1996년 12월에 유성구 자운대로 이전하였다. 합동군사대학교국군의 장교 합동교육 및 연합교육을 주관하는 국방부 직할 군사교육기관이다.

7. 3. 고등학교

2013년 12월말 기준으로 유성구의 학교 수는 184개교이고, 학생 수는 110,240명이다. 유성구에는 대전과학고등학교, 유성고등학교, 대전노은고등학교, 대전반석고등학교, 대전지족고등학교, 유성여자고등학교, 대덕고등학교, 대전전민고등학교, 대전용산고등학교, 대전전자디자인고등학교, 대덕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등학교, 서일고등학교, 중일고등학교, 대전체육고등학교, 유성생명과학고등학교, 대전예술고등학교, 대전공업고등학교가 있다.

7. 4. 특수학교

대전성세재활학교가 있다.

8. 교통

대전 도시철도 1호선이 유성구를 지나며, 반석역(칠성대), 지족역(침신대), 노은역, 월드컵경기장역(노은도매시장), 현충원역(한밭대), 구암역, 유성온천역(충남대.목원대)이 있다.

BRT가 반석역에서 정부세종청사를 거쳐 오송역 구간을 5~12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대전 시내버스유성구 마을버스 1번, 3번, 5번이 운행되고 있다. 유성구는 대전 5개 자치구 중 유일하게 마을버스가 운행되는 곳이다.

서산영덕고속도로(

20px
)와 호남고속도로지선(
20px
)이 유성구를 통과한다. 호남고속도로지선에는 유성 나들목, 북대전 나들목, 유성 분기점이 있으며, 남세종 나들목과 인접해 있다.

유성구 구암동에는 유성시외버스정류소가 있어, 충청남도 각 지역과 서울,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시외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그 외 인천, 충주, 전주, 익산, 군산, 수원, 강릉, 속초, 원주 등에도 노선이 있다. 유성고속버스터미널은 장대동에 있으며, 서울 강남터미널까지 약 20분 간격으로 버스가 배차된다.

구암역 인근에는 유성복합터미널이 건립될 예정이다.

8. 1. 지하철

대전 도시철도 1호선이 유성구를 지나며, 반석역(칠성대), 지족역(침신대), 노은역, 월드컵경기장역(노은도매시장), 현충원역(한밭대), 구암역, 유성온천역(충남대.목원대)이 있다.[21][22]

8. 2. 버스

BRT가 반석역에서 정부세종청사를 거쳐 오송역 구간을 5~12분 간격으로 운행한다. 대전 시내버스유성구 마을버스 1번, 3번, 5번이 운행되고 있다. 유성구는 대전 5개 자치구 중 유일하게 마을버스가 운행되는 곳이다.

8. 3. 고속도로

서산영덕고속도로()와 호남고속도로지선()이 유성구를 통과한다. 호남고속도로지선에는 유성 나들목, 북대전 나들목, 유성 분기점이 있으며, 남세종 나들목과 인접해 있다.

8. 4. 시외/고속버스

유성구 구암동에는 유성시외버스정류소가 있어, 충청남도 각 지역과 서울, 경기도 지역을 중심으로 시외버스가 운행되고 있다. 그 외 인천, 충주, 전주, 익산, 군산, 수원, 강릉, 속초, 원주 등에도 노선이 있다. 유성고속버스터미널은 장대동에 있으며, 서울 강남터미널까지 약 20분 간격으로 버스가 배차된다.

구암역 인근에는 유성복합터미널이 건립될 예정이다.

9. 과학

대덕연구개발특구는 한국 최고의 연구개발 지역으로, 다양한 분야의 연구기관과 기업들이 밀집해 있다.

'''주요 연구 분야'''

대덕연구단지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을 비롯하여 정보기술, 생명공학, 나노기술, 로봇, 우주공학 등 혁신산업에 집중하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이 있는 곳으로, 한국 최고의 연구개발 인력을 보유하고 있다. 다양한 분야의 과학기술을 토대로 산학연간 융복합 공동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삼성 대덕연구센터, LG화학, LG생명과학, LG생활건강, LG유플러스 기술연구원, KT 네트워크기술연구소, 한화그룹 중앙연구소(한화케미칼, 한화건설), GS플라텍, GS칼텍스 중앙기술연구소, KT&G 중앙연구원, SK C&C, SK이노베이션 글로벌 테크놀로지, 대한항공 기술연구원, 대림산업 연구소, 삼양 중앙연구소, 롯데케미칼 연구소, 금호석유화학 중앙연구소, 한국타이어 중앙연구소, 애경 종합기술원, 두산중공업 기술연구소, 쌍용양회공업 기술연구소, LIG넥스원 대전연구소, 태광산업 중앙연구소, 한전원자력연료 등 대기업 연구소와 ㈜선바이오텍, ㈜매크로그래프, ㈜비티웍스, ㈜제이피이 등 연구소기업, 중앙백신연구소 등 벤처기업들이 밀집해 있어 DRAM & SRAM 칩, LCD 모듈, 휴대폰 기술, 무선광역통신기술 분야 등 상용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반석동에는 삼성탈레스 대전연구소, 한국항공우주산업 대전연구센터, 국방과학연구소 민군협력진흥원 등이 있다. 금호폴리켐㈜ 등도 대전으로 연구소를 이전할 계획이다.

2011년 기준 대덕연구개발특구에는 정부출연출연기관 31개, 공공기관 11개, 국공립기관 14개, 기타비영리기관 33개, 대학 5개, 기업 1306개 등 모두 1400개 기관이 입주해 있고, 전문 인력은 6만2689명이다. 2011년 연구개발비는 6조8173억원이다. 특허출원은 11만3211건이고, 해외특허가 29%를 차지한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로 확정되었다.

'''정부출연연구기관'''

유성구 일대의 대덕연구단지는 한국 최고의 연구개발 고급인력을 보유하고 있는 곳으로서,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정보기술, 생명공학, 나노기술, 로봇, 우주공학 등 혁신산업에 집중하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이 있다. 다양한 분야의 과학기술을 토대로 산학연간 융복합 공동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삼성 대덕연구센터, LG화학, LG생명과학, LG생활건강, LG유플러스 기술연구원, KT 네트워크기술연구소, 한화그룹 중앙연구소(한화케미칼, 한화건설), GS플라텍, GS칼텍스 중앙기술연구소, KT&G 중앙연구원, SK C&C, SK이노베이션 글로벌 테크놀로지, 대한항공 기술연구원, 대림산업 연구소, 삼양 중앙연구소, 롯데케미칼 연구소, 금호석유화학 중앙연구소, 한국타이어 중앙연구소, 애경 종합기술원, 두산중공업 기술연구소, 쌍용양회공업 기술연구소, LIG넥스원 대전연구소, 태광산업 중앙연구소, 한전원자력연료 등 대기업 연구소와 ㈜선바이오텍, ㈜매크로그래프, ㈜비티웍스, ㈜제이피이 등 연구소기업, 중앙백신연구소 등 벤처기업들이 밀집해 있어 DRAM & SRAM 칩, LCD 모듈, 휴대폰 기술, 무선광역통신기술 분야 등 상용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반석동에는 삼성탈레스 대전연구소, 한국항공우주산업 대전연구센터, 국방과학연구소 민군협력진흥원 등이 있다. 금호폴리켐㈜ 등도 대전으로 연구소를 이전할 계획이다. 2011년 기준 대덕연구개발특구에는 정부출연출연기관 31개, 공공기관 11개, 국공립기관 14개, 기타비영리기관 33개, 대학 5개, 기업 1306개 등 모두 1400개 기관이 입주해 있고, 전문 인력은 6만2689명이다. 2011년 연구개발비는 6조8173억원이다. 특허출원은 11만3211건이고, 해외특허가 29%를 차지한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로 확정되었다.

유성구에는 다음과 같은 정부출연연구기관들이 있다.


  • 한국과학기술원 (KAIST)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ETRI)
  • 한국화학연구원
  • 한국기계연구원
  • 한국원자력연구원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 한국한의학연구원
  • 한국천문연구원
  • 기초과학연구원
  • 국방과학연구소
  • 국가수리과학연구소
  • 국가보안기술연구소
  • 나노종합팹센터
  •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 국립문화재연구소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한국수력원자력 중앙연구원
  • 한국토지주택공사 국토도시연구원
  •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중부분소
  • 국제지식재산연수원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연구개발인력교육원
  • 한국연구재단


'''기업 연구소'''

유성구 일대의 대덕연구단지는 한국 최고의 연구개발 고급인력을 보유하고 있는 곳으로서,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정보기술, 생명공학, 나노기술, 로봇, 우주공학 등 혁신산업에 집중하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이 있다. 다양한 분야의 과학기술을 토대로 산학연간 융복합 공동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삼성 대덕연구센터, LG화학, LG생명과학, LG생활건강, LG유플러스 기술연구원, KT 네트워크기술연구소, 한화그룹 중앙연구소(한화케미칼, 한화건설), GS플라텍, GS칼텍스 중앙기술연구소, KT&G 중앙연구원, SK C&C, SK이노베이션 글로벌 테크놀로지, 대한항공 기술연구원, 대림산업 연구소, 삼양 중앙연구소, 롯데케미칼 연구소, 금호석유화학 중앙연구소, 한국타이어 중앙연구소, 애경 종합기술원, 두산중공업 기술연구소, 쌍용양회공업 기술연구소, LIG넥스원 대전연구소, 태광산업 중앙연구소, 한전원자력연료 등 대기업 연구소와 ㈜선바이오텍, ㈜매크로그래프, ㈜비티웍스, ㈜제이피이 등 연구소기업, 중앙백신연구소 등 벤처기업들이 밀집해 있어 DRAM & SRAM 칩, LCD 모듈, 휴대폰 기술, 무선광역통신기술 분야 등 상용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반석동에는 삼성탈레스 대전연구소, 한국항공우주산업 대전연구센터, 국방과학연구소 민군협력진흥원 등이 있다. 금호폴리켐㈜ 등도 대전으로 연구소를 이전할 계획이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유성구 일대의 대덕연구단지는 한국 최고의 연구개발 고급인력을 보유하고 있는 곳으로서,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정보기술, 생명공학, 나노기술, 로봇, 우주공학 등 혁신산업에 집중하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이 있다. 다양한 분야의 과학기술을 토대로 산학연간 융복합 공동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삼성 대덕연구센터, LG화학, LG생명과학, LG생활건강, LG유플러스 기술연구원, KT 네트워크기술연구소, 한화그룹 중앙연구소(한화케미칼, 한화건설), GS플라텍, GS칼텍스 중앙기술연구소, KT&G 중앙연구원, SK C&C, SK이노베이션 글로벌 테크놀로지, 대한항공 기술연구원, 대림산업 연구소, 삼양 중앙연구소, 롯데케미칼 연구소, 금호석유화학 중앙연구소, 한국타이어 중앙연구소, 애경 종합기술원, 두산중공업 기술연구소, 쌍용양회공업 기술연구소, LIG넥스원 대전연구소, 태광산업 중앙연구소, 한전원자력연료 등 대기업 연구소와 ㈜선바이오텍, ㈜매크로그래프, ㈜비티웍스, ㈜제이피이 등 연구소기업, 중앙백신연구소 등 벤처기업들이 밀집해 있어 DRAM & SRAM 칩, LCD 모듈, 휴대폰 기술, 무선광역통신기술 분야 등 상용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반석동에는 삼성탈레스 대전연구소, 한국항공우주산업 대전연구센터, 국방과학연구소 민군협력진흥원 등이 있다. 금호폴리켐㈜ 등도 대전으로 연구소를 이전할 계획이다.

2011년 전문가들의 입지 평가에서 압도적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대전 유성구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로 확정되었다. 2013년 6월 28일 미래창조과학부는 ‘제2차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위원회’를 개최하여 유성구 엑스포과학공원을 거점지구로 포함하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 확대 및 기본계획 일부 변경(안)’을 심의·의결하고, 2013년 7월 3일 미래창조과학부와 대전광역시 등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관련 기관의 협력사항을 담은 업무협약서(MOU)를 체결하였다. 기초과학연구원의 위치는 유성구 도룡동으로 결정되고, 과학벨트 거점지구는 신동·둔곡지구에서 도룡동 일원까지 확대되었다. 유성구 신동·둔곡동에 들어설 중이온가속기 부지는 국고로 매입하기로 하였고, 원안대로 전체 면적이 유지되며, 신동·둔곡지구에 대기업을 유치하여 R&D 성과를 상용화하기 위한 첨단 산업단지로 조성하기로 하였다.

도룡동에는 국제 사이언스 센터가 건립될 계획이다. 지상 20층 이상 규모의 국제 사이언스 센터에는 첨단기업 창업·입주 공간, 국립 과학도서관, 기술거래소, 과학기술 핵심 기관이 들어설 계획이며, 엑스포과학공원은 시민 과학체험 공간과 전시공간을 갖춘 과학 테마파크로 재창조될 계획이다.

9. 1. 주요 연구 분야

대덕연구단지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을 비롯하여 정보기술, 생명공학, 나노기술, 로봇, 우주공학 등 혁신산업에 집중하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이 있는 곳으로, 한국 최고의 연구개발 인력을 보유하고 있다. 다양한 분야의 과학기술을 토대로 산학연간 융복합 공동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삼성 대덕연구센터, LG화학, LG생명과학, LG생활건강, LG유플러스 기술연구원, KT 네트워크기술연구소, 한화그룹 중앙연구소(한화케미칼, 한화건설), GS플라텍, GS칼텍스 중앙기술연구소, KT&G 중앙연구원, SK C&C, SK이노베이션 글로벌 테크놀로지, 대한항공 기술연구원, 대림산업 연구소, 삼양 중앙연구소, 롯데케미칼 연구소, 금호석유화학 중앙연구소, 한국타이어 중앙연구소, 애경 종합기술원, 두산중공업 기술연구소, 쌍용양회공업 기술연구소, LIG넥스원 대전연구소, 태광산업 중앙연구소, 한전원자력연료 등 대기업 연구소와 ㈜선바이오텍, ㈜매크로그래프, ㈜비티웍스, ㈜제이피이 등 연구소기업, 중앙백신연구소 등 벤처기업들이 밀집해 있어 DRAM & SRAM 칩, LCD 모듈, 휴대폰 기술, 무선광역통신기술 분야 등 상용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반석동에는 삼성탈레스 대전연구소, 한국항공우주산업 대전연구센터, 국방과학연구소 민군협력진흥원 등이 있다. 금호폴리켐㈜ 등도 대전으로 연구소를 이전할 계획이다.

2011년 기준 대덕연구개발특구에는 정부출연출연기관 31개, 공공기관 11개, 국공립기관 14개, 기타비영리기관 33개, 대학 5개, 기업 1306개 등 모두 1400개 기관이 입주해 있고, 전문 인력은 6만2689명이다. 2011년 연구개발비는 6조8173억원이다. 특허출원은 11만3211건이고, 해외특허가 29%를 차지한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로 확정되었다.

9. 2. 정부출연연구기관

유성구 일대의 대덕연구단지는 한국 최고의 연구개발 고급인력을 보유하고 있는 곳으로서,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정보기술, 생명공학, 나노기술, 로봇, 우주공학 등 혁신산업에 집중하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이 있다. 다양한 분야의 과학기술을 토대로 산학연간 융복합 공동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삼성 대덕연구센터, LG화학, LG생명과학, LG생활건강, LG유플러스 기술연구원, KT 네트워크기술연구소, 한화그룹 중앙연구소(한화케미칼, 한화건설), GS플라텍, GS칼텍스 중앙기술연구소, KT&G 중앙연구원, SK C&C, SK이노베이션 글로벌 테크놀로지, 대한항공 기술연구원, 대림산업 연구소, 삼양 중앙연구소, 롯데케미칼 연구소, 금호석유화학 중앙연구소, 한국타이어 중앙연구소, 애경 종합기술원, 두산중공업 기술연구소, 쌍용양회공업 기술연구소, LIG넥스원 대전연구소, 태광산업 중앙연구소, 한전원자력연료 등 대기업 연구소와 ㈜선바이오텍, ㈜매크로그래프, ㈜비티웍스, ㈜제이피이 등 연구소기업, 중앙백신연구소 등 벤처기업들이 밀집해 있어 DRAM & SRAM 칩, LCD 모듈, 휴대폰 기술, 무선광역통신기술 분야 등 상용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반석동에는 삼성탈레스 대전연구소, 한국항공우주산업 대전연구센터, 국방과학연구소 민군협력진흥원 등이 있다. 금호폴리켐㈜ 등도 대전으로 연구소를 이전할 계획이다. 2011년 기준 대덕연구개발특구에는 정부출연출연기관 31개, 공공기관 11개, 국공립기관 14개, 기타비영리기관 33개, 대학 5개, 기업 1306개 등 모두 1400개 기관이 입주해 있고, 전문 인력은 6만2689명이다. 2011년 연구개발비는 6조8173억원이다. 특허출원은 11만3211건이고, 해외특허가 29%를 차지한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로 확정되었다.

유성구에는 다음과 같은 정부출연연구기관들이 있다.

  • 한국과학기술원 (KAIST)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ETRI)
  • 한국화학연구원
  • 한국기계연구원
  • 한국원자력연구원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 한국한의학연구원
  • 한국천문연구원
  • 기초과학연구원
  • 국방과학연구소
  • 국가수리과학연구소
  • 국가보안기술연구소
  • 나노종합팹센터
  •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 국립문화재연구소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한국수력원자력 중앙연구원
  • 한국토지주택공사 국토도시연구원
  •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중부분소
  • 국제지식재산연수원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 연구개발인력교육원
  • 한국연구재단

9. 3. 기업 연구소

유성구 일대의 대덕연구단지는 한국 최고의 연구개발 고급인력을 보유하고 있는 곳으로서,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정보기술, 생명공학, 나노기술, 로봇, 우주공학 등 혁신산업에 집중하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이 있다. 다양한 분야의 과학기술을 토대로 산학연간 융복합 공동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삼성 대덕연구센터, LG화학, LG생명과학, LG생활건강, LG유플러스 기술연구원, KT 네트워크기술연구소, 한화그룹 중앙연구소(한화케미칼, 한화건설), GS플라텍, GS칼텍스 중앙기술연구소, KT&G 중앙연구원, SK C&C, SK이노베이션 글로벌 테크놀로지, 대한항공 기술연구원, 대림산업 연구소, 삼양 중앙연구소, 롯데케미칼 연구소, 금호석유화학 중앙연구소, 한국타이어 중앙연구소, 애경 종합기술원, 두산중공업 기술연구소, 쌍용양회공업 기술연구소, LIG넥스원 대전연구소, 태광산업 중앙연구소, 한전원자력연료 등 대기업 연구소와 ㈜선바이오텍, ㈜매크로그래프, ㈜비티웍스, ㈜제이피이 등 연구소기업, 중앙백신연구소 등 벤처기업들이 밀집해 있어 DRAM & SRAM 칩, LCD 모듈, 휴대폰 기술, 무선광역통신기술 분야 등 상용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반석동에는 삼성탈레스 대전연구소, 한국항공우주산업 대전연구센터, 국방과학연구소 민군협력진흥원 등이 있다. 금호폴리켐㈜ 등도 대전으로 연구소를 이전할 계획이다.

9. 4.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유성구 일대의 대덕연구단지는 한국 최고의 연구개발 고급인력을 보유하고 있는 곳으로서,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정보기술, 생명공학, 나노기술, 로봇, 우주공학 등 혁신산업에 집중하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이 있다. 다양한 분야의 과학기술을 토대로 산학연간 융복합 공동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삼성 대덕연구센터, LG화학, LG생명과학, LG생활건강, LG유플러스 기술연구원, KT 네트워크기술연구소, 한화그룹 중앙연구소(한화케미칼, 한화건설), GS플라텍, GS칼텍스 중앙기술연구소, KT&G 중앙연구원, SK C&C, SK이노베이션 글로벌 테크놀로지, 대한항공 기술연구원, 대림산업 연구소, 삼양 중앙연구소, 롯데케미칼 연구소, 금호석유화학 중앙연구소, 한국타이어 중앙연구소, 애경 종합기술원, 두산중공업 기술연구소, 쌍용양회공업 기술연구소, LIG넥스원 대전연구소, 태광산업 중앙연구소, 한전원자력연료 등 대기업 연구소와 ㈜선바이오텍, ㈜매크로그래프, ㈜비티웍스, ㈜제이피이 등 연구소기업, 중앙백신연구소 등 벤처기업들이 밀집해 있어 DRAM & SRAM 칩, LCD 모듈, 휴대폰 기술, 무선광역통신기술 분야 등 상용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반석동에는 삼성탈레스 대전연구소, 한국항공우주산업 대전연구센터, 국방과학연구소 민군협력진흥원 등이 있다. 금호폴리켐㈜ 등도 대전으로 연구소를 이전할 계획이다.

2011년 전문가들의 입지 평가에서 압도적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대전 유성구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로 확정되었다. 2013년 6월 28일 미래창조과학부는 ‘제2차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위원회’를 개최하여 유성구 엑스포과학공원을 거점지구로 포함하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 확대 및 기본계획 일부 변경(안)’을 심의·의결하고, 2013년 7월 3일 미래창조과학부와 대전광역시 등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관련 기관의 협력사항을 담은 업무협약서(MOU)를 체결하였다. 기초과학연구원의 위치는 유성구 도룡동으로 결정되고, 과학벨트 거점지구는 신동·둔곡지구에서 도룡동 일원까지 확대되었다. 유성구 신동·둔곡동에 들어설 중이온가속기 부지는 국고로 매입하기로 하였고, 원안대로 전체 면적이 유지되며, 신동·둔곡지구에 대기업을 유치하여 R&D 성과를 상용화하기 위한 첨단 산업단지로 조성하기로 하였다.

도룡동에는 국제 사이언스 센터가 건립될 계획이다. 지상 20층 이상 규모의 국제 사이언스 센터에는 첨단기업 창업·입주 공간, 국립 과학도서관, 기술거래소, 과학기술 핵심 기관이 들어설 계획이며, 엑스포과학공원은 시민 과학체험 공간과 전시공간을 갖춘 과학 테마파크로 재창조될 계획이다.

10. 문화/관광

국립중앙과학관 등 과학문화 시설이 많고, 계룡산국립공원과 유성컨트리클럽, 경마장 등을 비롯한 위락시설을 골고루 갖추는 등 국제적인 관광·휴양도시로서 개발되고 있다.

백제 시대부터 유성의 온천과 온천장을 찾는 여행객들이 있었다. 이는 궁극적으로 유성 특구의 생성으로 이어졌다. 대전의 호텔 대부분이 이 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대전의 상업 중심지 중 하나이다. 주요 관광지는 대전현충원, 지질박물관, 한국화폐박물관, 자연사박물관, 대전선사박물관, 아시아박물관, 여진갤러리, 대전시립미술관 등이 있다. 과학 관련 명소로는 국립중앙과학관, 대전시민천문대, 대덕연구개발특구, 대전교육과학연구원 등이 있다.

공원으로는 엑스포과학공원과 금돌이랜드가 있다. 문화시설로는 목원대학교 대덕과학문화센터, 정심화국제문화센터, 엑스포아트홀, 수운교천단, 안산산성, 짐잠향교, 성현고전강당 등이 있다.

2021년에는 도룡동에 대규모 복합 쇼핑몰인 대전 신세계 아트앤사이언스가 개장했다.

10. 1. 관광 명소

유성구국립중앙과학관 등 과학문화 시설이 많고, 계룡산국립공원과 유성컨트리클럽, 경마장 등을 비롯한 위락시설을 골고루 갖추고 있어 국제적인 관광·휴양도시로 개발되고 있다.

유성온천은 지하 100m 이하에서 분출되는 섭씨 27~56도의 고온 열천으로 알칼리성 라듐 온천이다. 우리나라의 온천 지구 가운데서 가장 오래된 유성온천은 부존량과 사용량에서 전국 최대 규모를 자랑하고 있으며 약알칼리성 단순천으로 천질이 매끄럽고 피부에 자극이 없고 양이온 및 아연, 철 등 미네랄성 금속류들이 골고루 함유되어 있다. 대중 온천 목욕탕과 유성호텔, 호텔 리베라, 호텔 인터시티, 계룡스파텔 등 대형 숙박업소와 유흥업소, 편의시설 등이 군집하고 있고, 족욕체험장이 무료로 개방되어 있다. 1994년 관광특구로 지정되었으며, 매년 5월 유성온천문화축제가 열린다. 눈을 닮은 하얀 꽃잎이 아름다운 이팝나무가 가로수로 많이 심어져 있는 눈꽃거리가 있다. 행정안전부는 유성을 2012년 온천대축제 주개최지로 선정하였다. 백제 시대부터 유성의 온천과 온천장을 찾는 여행객들이 있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유성 특구의 생성으로 이어졌다.

이외에도 국립중앙과학관, 화폐박물관, 지질박물관, 대전역사박물관, 선사박물관, 아주미술관, 여진미술관, 대전시민천문대, 한국법문화진흥센터, 국립대전현충원 등이 있다. 대전의 호텔 대부분이 유성온천 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대전의 상업 중심지 중 하나이다. 주요 관광지는 대전현충원, 지질박물관, 한국화폐박물관, 자연사박물관, 대전선사박물관, 아시아박물관, 여진갤러리, 대전시립미술관 등이 있다. 과학 관련 명소로는 국립중앙과학관, 대전시민천문대, 대덕연구개발특구, 대전교육과학연구원 등이 있다.

공원으로는 엑스포과학공원과 금돌이랜드가 있다. 문화시설로는 목원대학교 대덕과학문화센터, 정심화국제문화센터, 엑스포아트홀, 수운교천단, 안산산성, 짐잠향교, 성현고전강당 등이 있다.

2021년에는 도룡동에 대규모 복합 쇼핑몰인 대전 신세계 아트앤사이언스가 개장했다.

10. 2. 기타 문화 시설

엑스포과학공원, 금돌이랜드와 같은 공원과 목원대학교 대덕과학문화센터, 정심화국제문화센터, 엑스포아트홀 등의 문화시설이 있다. 수운교천단, 안산산성, 짐잠향교, 성현고전강당도 이 지역에 위치해 있다. 2021년에는 도룡동에 대전 신세계 아트앤사이언스가 개장했다.

11. 의료기관

유성에는 병원 165개소, 한의원 86개소, 치과 88개소, 보건소 1개소, 보건지소 2개소, 보건진료소 4개소, 약국 121개소가 있다. 종합병원으로는 유성선병원이 있다.

12. 도서관

유성구에는 유성도서관, 구암도서관, 구즉도서관, 노은도서관, 진잠도서관, 관평도서관이 있다.

13. 주요 기관

한국조폐공사, 한국가스기술공사, 한전원자력연료, 한국특허정보원, 화학물질안전원이 유성구에 있다. 또한 국립대전현충원, 정부통합전산센터, 정보통신산업진흥원, 대전지방기상청, 금강유역환경청, 대전충남지방중소기업청, 대전지방교정청, 대전본부세관이 있다. 대전컨벤션센터, KOTRA 대전무역전시관, 대전월드컵경기장, 대전종합유통단지 역시 유성구에 위치한다. 육군교육사령부, 육군군수사령부, 중소기업진흥공단 대전지역본부, 위성항법중앙사무소, 북대전세무서, 대전북부소방서, 대전유성경찰서 또한 유성구에 있다.

14. 방송

유성구에는 대전문화방송(대전MBC), 대전방송(TJB), 대전극동방송이 있다.

15. 자매결연도시

지역 & 국가도시
25px
경상남도
25px
산청군 (2005년)
25px
전라남도
25px
여수시 (2009년)
25px
충청남도
25px
당진시 (2009년)



'''국내'''



'''국외'''

  • 다롄시 시강구(중국 랴오닝성)
  • * 1997년 9월 7일 자매결연 체결

15. 1. 국내

경상남도 산청군(2005년), 전라남도 여수시(2009년), 충청남도 당진시(2009년)와 자매 결연을 맺었다. 이외에도 대구광역시 남구, 인천광역시 부평구, 광주광역시 북구, 울산광역시 북구, 의왕시, 평창군, 충주시, 금산군, 무주군, 완도군, 군위군, 고성군, 서귀포시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15. 2. 국외

다롄시 시강구(중국 랴오닝성) (1997년)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2] 뉴스 Yuseong Spa District's Development 유성온천의 현황과 연혁 http://kr.blog.yahoo[...] 2007-04-23
[3] 뉴스 Daejeon's Leisure Town http://blog.daum.net[...] 2007-04-24
[4]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2
[5] 웹인용 2022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6] 뉴스 대전 재발견 - (24) 유성 http://www.daejonilb[...] 대전일보 2009-07-22
[7] 뉴스 온천관광지서 첨단 과학도시로 변모, ‘삶의 질’ 최고 대전 유성구 http://news.khan.co.[...] 경향신문
[8] 서적 동국여지승람
[9] 뉴스 1천년前 유성 복원 새장 열렸다 http://www.cctoday.c[...] 충청투데이 2013-11-11
[10] 뉴스 대전 재발견 - (23) 유성온천 http://www.daejonilb[...] 대전일보
[11] 법률 대통령령 제6543호 읍설치에관한규정 1973-03-12
[12] 법률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01-10
[13] 법률 대통령령 제12367호 서울특별시송파구등13개구설치와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87-12-31
[14] 법률 법률 제4049호 대전직할시설치에관한법률 1988-12-31
[15] 법률 구조례 제593호 행정기구설치조례 2003-01-28
[16] 법률 구조례 제738호 행정기구설치조례 2007-01-05
[17] 법률 구조례 제875호 행정기구설치조례 2010-04-27
[18] 법률 구조례 제896호 행정기구설치조례 2010-08-11
[19] 법률 대전광역시 유성구 조례 제1105호, 대전광역시 유성구 행정기구 설치 조례, 일부개정 http://www.elis.go.k[...] 2015-03-25
[20] 문서 2011년 통계연보 http://www.yuseong.g[...]
[21] 뉴스 대전 유성종합터미널 복합환승센터로 http://www.daejonilb[...] 대전일보
[22] 문서 대전 유성종합터미널 건립을 위한 대전 도시관리계획(개발제한구역 일부해제) 결정에 따른 의견 청취의 건 http://council.metro[...] 대전광역시의회 회의록
[23] 뉴스 유성구, 사업체와 종사자 모두 증가세 http://news1.kr/arti[...] News1
[24] 뉴스인용 대전 사이언스 콤플렉스 연내 기공…신세계 "명품건물 만들겠다"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7-08-29
[25] 뉴스인용 대전 신세계 백화점 건축 디자인 공개…19일 첫 삽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7-12-14
[26] 뉴스인용 베일 벗은 사이언스콤플렉스, 19일 첫 삽 http://www.tjb.co.kr[...] TJB 2017-12-14
[27] 뉴스인용 대전 유성 대형 패션아웃렛 조성 http://www.daejonilb[...] 대전일보 2017-09-27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