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각 주별 선거 결과
의석
민주공화당 | 연방주의자 | 의석 | 변동 | 의석 | 변동 |
---|
코네티컷 | 전 주 | 1794년 9월 15일 | 7 | 0 | style="background-color:#AACC99" data-sort-value=0 | | 7 | style="background-color:#F6D6C9" data-sort-value=0 | |
---|
델라웨어 | 전 주 | 1794년 10월 5일 | 1 | 1 | +1 | 0 | -1 |
---|
조지아 | 전 주 | 1794년 10월 6일 | 2 | 2 | style="background-color:#AACC99" data-sort-value=0 | | 0 | style="background-color:#F6D6C9" data-sort-value=0 | |
---|
메릴랜드 | 선거구 | 1794년 10월 6일 | 8 | 4 | style="background-color:#AACC99" data-sort-value=0 | | 4 | style="background-color:#F6D6C9" data-sort-value=0 | |
---|
매사추세츠 | 선거구 | 1794년 11월 3일 | 14 | 3 | style="background-color:#AACC99" data-sort-value=1 | | 11 | style="background-color:#F6D6C9" data-sort-value=-1 | |
---|
뉴햄프셔 | 전 주 | 1794년 8월 25일 | 4 | 1 | style="background-color:#AACC99" data-sort-value=0 | | 3 | style="background-color:#F6D6C9" data-sort-value=0 | |
---|
뉴저지 | 전 주 | 1794년 12월 30일 | 5 | 0 | style="background-color:#AACC99" data-sort-value=0 | | 5 | style="background-color:#F6D6C9" data-sort-value=0 | |
---|
뉴욕 | 선거구 | 1794년 12월 12일 | 10 | 5 | +2 | 5 | -2 |
---|
펜실베이니아 | 선거구 | 1794년 10월 14일 | 13 | 9 | +1 | 4 | -1 |
---|
로드아일랜드 | 전 주 | 1794년 8월 26일 | 2 | 0 | style="background-color:#AACC99" data-sort-value=0 | | 2 | style="background-color:#F6D6C9" data-sort-value=0 | |
---|
사우스캐롤라이나 | 선거구 | 1794년 10월 14일 | 6 | 4 | -1 | 2 | +1 |
---|
버몬트 | 선거구 | 1794년 12월 30일 | 2 | 1 | -1 | 1 | +1 |
---|
노스캐롤라이나 | 선거구 | 1795년 2월 13일 | 10 | 9 | style="background-color:#AACC99" data-sort-value=0 | | 1 | style="background-color:#F6D6C9" data-sort-value=0 | |
---|
늦은 선거 (1795년 3월 4일 다음 임기 시작 이후) |
---|
버지니아 | 선거구 | 1795년 3월 16일 | 19 | 17 | +2 | 2 | -2 |
---|
켄터키 | 선거구 | 1795년 9월 5일 | 2 | 2 | style="background-color:#AACC99" data-sort-value=0 | | 0 | style="background-color:#F6D6C9" data-sort-value=0 | |
---|
테네시 | 전 주 | 1796년 10월 15일 | 1 | 1 | +1 | 0 | style="background-color:#F6D6C9" data-sort-value=0 | |
---|
합계 | 106 | 59 | +5 | 47 | -4 |
---|
7. 1. 코네티컷
현직 의원 | 이번 선거 |
---|
의원 | 정당 | 최초 당선 | 결과 | 후보자 |
---|
제임스 힐하우스 | 친행정당 | 1790 | 현직 의원 은퇴. | rowspan=7 | |
조슈아 코이트 | 친행정당 | 1792년 | 현직 의원 은퇴. |
조나단 트럼불 주니어 | 연방주의자 | 1788 | 현직 의원 재선. |
유라이아 트레이시 | 친행정당 | 1793 | 현직 의원 재선. |
제임스 데이븐포트 | 연방주의자 | 1791 | 현직 의원 재선. |
제파니아 스위프트 | 친행정당 | 1792년 | 현직 의원 재선. |
아모사 리어드 | 친행정당 | 1791 | 현직 의원 은퇴. |
7. 2. 델라웨어
민주공화당 획득. |
7. 3. 조지아
현직 의원 | 이번 선거 |
---|
정당 | 최초 당선 | 결과 | 후보자 |
---|
에이브러햄 볼드윈 | 반행정부 | 1789 | 현직 의원이 민주공화당으로 재선. | rowspan=2 | |
토머스 P. 카네스 | 반행정부 | 1792 | 현직 의원 재선 실패. |
7. 4. 메릴랜드
후임자 선출. | 메릴랜드 3구 | 유라이어 포레스트 | 친행정부 | 1792년 | 퇴임 | |
메릴랜드 4구 | 토머스 스프리그 | 반행정부 | 1792년 | 민주공화당으로 재선 | |
메릴랜드 5구 | 새뮤얼 스미스 | 반행정부 | 1792년 | 민주공화당으로 재선 | |
메릴랜드 6구 | 가브리엘 크리스티 | 반행정부 | 1792년 | 민주공화당으로 재선 | |
메릴랜드 7구 | 윌리엄 힌드먼 | 친행정부 | 1792년 | 연방주의자로 재선 | |
메릴랜드 8구 | 윌리엄 V. 머레이 | 친행정부 | 1790년 | 연방주의자로 재선 | |
7. 5. 매사추세츠
매사추세츠주는 제3차 의회와 제4차 의회 사이에 지역구를 재조정하여 14개 선거구로 나뉘었다. 메인 지역( - )을 포함한 14개 선거구에서 선거가 치러졌으며, 과반수 득표자가 없을 경우 추가 투표를 실시했다. 그 결과 5개 선거구에서 추가 투표가 진행되었다.[12]
1794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매사추세츠)선거구 | 후보자 | 정당 | 득표율 | 당선 여부 | rowspan=2| | 테오도르 시지윅 | 연방주의자 | 53.8% | -- |
---|
톰슨 J. 스키너 | 민주공화당 | 46.2% | |
rowspan=2| | 윌리엄 라이먼 | 민주공화당 | 52.1% | -- |
---|
윌리엄 셰퍼드 | 연방주의자 | 47.9% | |
rowspan=2| | 새뮤얼 라이먼 | 연방주의자 | 65.5% | -- |
---|
다니엘 비글로우 | 민주공화당 | 34.5% | |
rowspan=3| | 드와이트 포스터 | 연방주의자 | 50.8% | -- |
---|
레비 링컨 시니어 | 민주공화당 | 46.1% | |
사무엘 블랙번 | 미상 | 3.1% | |
rowspan=2| | 너새니얼 프리먼 주니어 | 연방주의자 | 70.0% | -- |
---|
펠레그 코핀 주니어 | 연방주의자 | 30.0% | |
rowspan=3| | 존 리드 시니어 | 연방주의자 | 64.6% | -- |
---|
조지 파트리지 | 민주공화당 | 22.1% | |
존 데이비스 | 무소속 | 8.7% | |
rowspan=3| | 조지 레너드 | 연방주의자 | 76.3% | -- |
---|
엘리샤 메이 | 연방주의자 | 16.5% | |
파누엘 비숍 | 민주공화당 | 7.2% | |
rowspan=2| | 피셔 에임스 | 연방주의자 | 56.6% | -- |
---|
찰스 자비스 | 민주공화당 | 43.4% | |
rowspan=2| | 조셉 브래들리 바넘 | 민주공화당 | 51.4% | -- |
---|
사무엘 덱스터 | 연방주의자 | 48.6% | |
rowspan=2| | 벤자민 굿휴 | 연방주의자 | 68.2% | -- |
---|
새뮤얼 홀튼 | 연방주의자 | 31.8% | |
| 테오필루스 브래드버리 | 연방주의자 | 100% | -- |
---|
rowspan=4| | 헨리 디어본 | 민주공화당 | 51.2% | -- |
---|
조나단 보우먼 | 연방주의자 | 28.7% | |
다니엘 코니 | 연방주의자 | 5.6% | |
아이작 파커 | 연방주의자 | 5.5% | |
rowspan=3| | 펠레그 워즈워스 | 연방주의자 | 52.0% | -- |
---|
윌리엄 위드제리 | 민주공화당 | 34.2% | |
윌리엄 마틴 | 미상 | 5.9% | |
rowspan=3| | 조지 대처 | 연방주의자 | 68.4% | -- |
---|
내서니얼 웰스 | 연방주의자 | 20.5% | |
조셉 터커 | 미상 | 6.5% | |
7. 6. 뉴햄프셔
뉴햄프셔주의 선거법에 따라, 당선에는 유권자 과반수(득표율 12.5%)가 필요했다. 1차 투표에서 단 세 명의 후보만이 과반수를 획득하여 네 번째 의석을 놓고 결선 투표가 치러졌다.[3]
1794년 뉴햄프셔 주 하원의원 선거 결과[3]후보 | 정당 | 득표율 |
---|
제레마이어 스미스 | 연방주의자 | 20.5% |
존 S. 셔번 | 민주공화당 | 17.2% |
니컬러스 길먼 | 연방주의자 | 13.0% |
아비엘 포스터 | 연방주의자 | 11.1% |
페인 윙게이트 | 연방주의자 | 8.1% |
기타 | | 30.1% |
---|
1차 투표에서 과반수를 획득한 후보가 3명뿐이었기 때문에, 1794년 12월 8일에 결선 투표가 치러졌다.[3]
1794년 뉴햄프셔 주 하원의원 결선 투표 결과[3]후보 | 정당 | 득표율 |
---|
아비엘 포스터 | 연방주의자 | 82.7% |
페인 윙게이트 | 연방주의자 | 17.3% |
결선 투표 결과, 아비엘 포스터가 당선되었다.[3]
7. 7. 뉴저지
1794년 뉴저지주 연방 하원 의원 선거에서는 연방주의자 후보 5명이 당선되었다. 당선된 의원들은 다음과 같다.
- 조나단 데이턴 (연방주의자) 13.6%
- 에런 키치(Aaron Kitchell) (연방주의자) 11.0%
- 토마스 헨더슨 (연방주의자) 9.3%
- 아이작 스미스 (연방주의자) 7.9%
- 마크 톰슨 (연방주의자) 7.9%
나머지 후보들은 다음과 같다.
- 토마스 시닉슨 (연방주의자) 7.5%
- 조셉 블룸필드 (민주공화당) 6.6%
- 존 비티 (연방주의자) 6.4%
- 제임스 린 (민주공화당) 6.3%
- 에비니저 엘머 (민주공화당) 5.8%
- 제임스 슈어먼 (연방주의자) 4.1%
- 램버트 캐드월러더 (연방주의자) 4.0%
- 리처드 스미스 (알 수 없음) 3.0%
7. 8. 뉴욕
민주공화당 승리. | 2구 | 존 와츠 | 친행정부 | 1793년 | 현직 재선 실패. 민주공화당 승리. | |
3구 | 필립 반 코르틀랜드 | 반행정부 | 1793년 | 현직 민주공화당으로 재선. | |
4구 | 피터 반 가스벡 | 친행정부 | 1793년 | 현직 은퇴. 민주공화당 승리. | |
5구 | 테오도루스 베일리 | 반행정부 | 1793년 | 현직 민주공화당으로 재선. | |
6구 | 에제키엘 길버트 | 친행정부 | 1793년 | 현직 연방주의자 재선. | |
7구 | 존 E. 반 알렌 | 친행정부 | 1793년 | 현직 연방주의자 재선. | rowspan=2 | |
토머스 트레드웰 | 반행정부 | 1791년 (특별 선거) | 현직 재선 실패. 민주공화당 패배. |
8구 | 헨리 글렌 | 친행정부 | 1793년 | 현직 연방주의자 재선. | |
9구 | 제임스 고든 | 친행정부 | 1790년 | 현직 의원 은퇴. 연방당 유지. | |
10구 | 공석 | | 1793년 | 현직 사이러스 탤벗 (친행정부)는 해군 임명을 받아 사임. 연방주의자 승리. | |
7. 9. 펜실베이니아
펜실베이니아주는 제3대 의회 때처럼 다시 광역 선거구 대신 선거구를 나누어 대표를 선출했다. 주는 12개 선거구로 나뉘었고, 그 중 하나(제4 선거구)는 2명의 의석을 가졌다. 펜실베이니아주는 1842년까지 하나 이상의 복수 선거구를 계속 사용할 것이다.[11]
선거구 | 후보자 | 정당 | 1차 투표 | 결과 |
---|
제1선거구 | 존 스완윅 | 민주공화당 | 51.2% | 민주공화당 획득. |
제1선거구 | 토머스 피츠시몬스 | 연방주의자 | 48.8% | |
제2선거구 | 프레데릭 멀렌버그 | 민주공화당 | 56.3% | 현직 의원이 민주공화당으로 재선. |
제2선거구 | 새뮤얼 마일스 | 연방주의자 | 43.7% | |
제3선거구 | 리처드 토머스 | 연방주의자 | 68.2% | 연방주의자 획득. |
제3선거구 | 토머스 로스 | 민주공화당 | 31.8% | |
제4선거구 2석 복수 선거구영어 | 새뮤얼 시트그레이브스 | 연방주의자 | 36.2% | 연방주의자 획득. |
존 리처드 | 민주공화당 | 20.0% | |
제4선거구 2석 복수 선거구영어 | 제임스 모리스 | 민주공화당 | 20.2% | |
로버트 롤라 | 민주공화당 | 13.1% | |
피터 멀렌버그 | 민주공화당 | 8.1% | 현직 의원이 재선에 실패. |
제임스 바클레이 | 미상 | 2.4% | |
제5선거구 | 다니엘 하이스터 | 민주공화당 | | 현직 의원이 민주공화당으로 재선. |
제6선거구 | 새뮤얼 맥클레이 | 민주공화당 | 46.0% | 민주공화당 획득. |
제6선거구 | 존 A. 한나 | 민주공화당 | 43.3% | |
제6선거구 | 존 카슨 | 연방주의자 | 10.7% | |
제7선거구 | 존 W. 키테라 | 연방주의자 | | 현직 연방주의자 재선. |
제8선거구 | 토머스 하틀리 | 연방주의자 | | 현직 연방주의자 재선. |
제9선거구 | 앤드루 그레그 | 민주공화당 | | 현직 민주공화당원 재선. |
윌리엄 어바인 | 민주공화당 | | |
제9선거구 | 제임스 월리스 | 연방주의자 | | |
제10선거구 | 데이비드 바드 | 민주공화당 | 52.9% | 민주공화당 획득. |
제10선거구 | 제임스 맥레인 | 민주공화당 | 31.9% | |
제10선거구 | 제임스 챔버스 | 연방주의자 | 15.2% | |
제11선거구 | 윌리엄 핀들리 | 민주공화당 | | 현직 민주공화당원 재선. |
제12선거구 | 앨버트 갤러틴 | 민주공화당 | 33.1% | 민주공화당 획득. |
토마스 스콧 | 연방주의자 | 27.7% | |
다니엘 해밀턴 | 민주공화당 | 16.2% | |
제12선거구 | 아이작 티체노어 | 연방주의자 | 11.0% | |
휴 H. 브래큰리지 | 불명 | 6.0% | |
존 우즈 | 연방주의자 | 5.9% | |
제4선거구의 제임스 모리스는 선거에 이의를 제기했지만 실패했다. 원래 결과에서는 모리스가 2위, 리처드가 근소한 차이로 3위를 차지했지만, 리처드는 이에 이의를 제기했다. 모리스는 1795년 7월 10일 하원이 조치를 취하기 전에 사망했다. 선거 위원회는 1796년 1월 18일 리처드의 손을 들어주었다.
7. 10. 로드아일랜드
선거구 | 당선인 | 정당 | 득표율 |
---|
로드아일랜드 A | 벤자민 본 | 연방주의자 | 62.3% |
로드아일랜드 B | 프랜시스 맬본 | 연방주의자 | 61.9% |
1790년 8월에 처음 당선된 벤자민 본은 재선에 성공하여 연방주의자당 의석을 유지했다. 1792년에 처음 당선된 프랜시스 맬본 역시 재선에 성공했다.[1]
7. 11. 사우스캐롤라이나
결과로 발생한 공석을 채우기 위해 특별 선거가 실시됨. | 제3선거구 | 레뮤얼 벤턴 | 민주공화당 | 1793년 | 현직 민주공화당 재선. | |
---|
제4선거구 | 리처드 윈 | 민주공화당 | 1793년 | 현직 민주공화당 재선. | |
---|
제5선거구 | 알렉산더 길론 | 민주공화당 | 1793년 | 현직 의원 1794년 10월 6일 사망. 연방주의자 획득. 후임자도 임기를 채우기 위해 선출됨. | rowspan=2 | |
---|
존 헌터 | 민주공화당 | 1793년 | 현직 의원 재선 실패. 민주공화당 손실. |
제6선거구 | 앤드루 픽켄스 | 민주공화당 | 1793년 | 현직 의원이 은퇴했는지 재선에 실패했는지 불분명함. | |
---|
1794년 선거에서 민주공화당은 4석, 연방주의자당은 2석을 얻었다. 제2선거구에서 당선된 로버트 반웰은 의정 활동을 거부하여 특별 선거가 실시되었고, 웨이드 햄프턴 (민주공화당)이 당선되었다.
7. 12. 버몬트
버몬트 주 법에 따르면 의회 선거는 과반수 득표를 해야 하며, 첫 번째 선거에서 과반수 득표자가 나오지 않을 경우 두 번째 선거를 실시해야 했다. 두 지역구 모두 결선 투표가 필요했다.[12]
선거구 | 현직 의원 | 이번 선거 결과 |
---|
위치 | 의원 | 정당 | 최초 당선 | 결과 | 후보자 |
---|
제1선거구 (서부 지역구) | 이스라엘 스미스 | 민주공화당 | 1791 | 현직 재선. 선거는 이의가 제기되었지만 결국 유지되었다.[12] | |
---|
제2선거구 (동부 지역구) | 나다니엘 나일스 | 민주공화당 | 1791 | 현직 재선 실패. 연방주의자당 획득. | |
---|
7. 13. 노스캐롤라이나
1794년 노스캐롤라이나주 하원의원 선거 결과선거구 | 현직 의원 | 정당 | 첫 선출 | 결과 | 후보 |
---|
1 | 조셉 맥도웰 | 민주공화당 | 1793년 | 재선 실패 | |
2 | 매튜 로크 | 민주공화당 | 1793년 | 민주공화당으로 재선 | |
3 | 조셉 윈스턴 | 민주공화당 | 1793년 | 재선 실패 | |
4 | 알렉산더 메베인 | 민주공화당 | 1793년 | 민주공화당으로 재선 | |
5 | 너새니얼 메이컨 | 민주공화당 | 1791년 | 민주공화당으로 재선 | |
6 | 제임스 길레스피 | 민주공화당 | 1793년 | 민주공화당으로 재선 | |
7 | 윌리엄 B. 그로브 | 연방주의자 | 1791년 | 연방주의자 재선 | |
8 | 윌리엄 J. 도슨 | 민주공화당 | 1793년 | 재선 실패 | |
9 | 토머스 블런트 | 민주공화당 | 1793년 | 민주공화당 재선 | |
10 | 벤자민 윌리엄스 | 민주공화당 | 1793년 | 재선 실패 | |
7. 14. 버지니아
선거구 | 후보자 | 정당 | 첫 당선 년도 | 결과 |
---|
버지니아 1구 | 로버트 러더퍼드 | 민주공화당 | 1793년 | 재선 |
버지니아 2구 | 앤드루 무어 | 민주공화당 | 1789년 | 재선 |
버지니아 3구 | 조지 잭슨 | 민주공화당 | 1793년 | 당선 |
버지니아 4구 | 프랜시스 프레스턴 | 민주공화당 | 1793년 | 재선 |
버지니아 5구 | 조지 핸콕 | 연방주의자당 | 1793년 | 재선 |
버지니아 6구 | 아이작 콜스 | 민주공화당 | 1793년 | 재선 |
버지니아 7구 | 아브라함 B. 베너블 | 민주공화당 | 1790년 | 재선 |
버지니아 8구 | 토머스 클레이본 | 민주공화당 | 1793년 | 재선 |
버지니아 9구 | 윌리엄 B. 자일스 | 민주공화당 | 1790년 | 재선 |
버지니아 10구 | 카터 B. 해리슨 | 민주공화당 | 1793년 | 재선 |
버지니아 11구 | 조시아 파커 | 연방주의자당[13] | 1789년 | 재선 |
버지니아주에서는 민주공화당 후보 17명, 연방주의자당 후보 2명이 당선되었다.[13]
7. 15. 켄터키
선거구 | 현직 의원 | 현직 정당 | 현직 처음 선출 | 선거 결과 | 후보 |
---|
켄터키주 제1선거구 | 크리스토퍼 그린업 | 반행정부 | 1792년 | 현직 의원이 민주공화당 후보로 재선. | 크리스토퍼 그린업 (민주공화당) |
켄터키주 제2선거구 | 알렉산더 D. 오어 | 반행정부 | 1792년 | 현직 의원이 민주공화당 후보로 재선. | 알렉산더 D. 오어 (민주공화당) |
7. 16. 테네시
테네시에서는 민주공화당 후보 1명이 당선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