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7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807년은 청나라 가경 12년, 일본 분카 4년, 조선 순조 7년 등에 해당하며, 주요 사건, 탄생, 사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해였다.
주요 사건으로는 나폴레옹의 러시아 공격, 영국 의회의 노예 무역 금지법 통과, 프리틀란트 전투에서의 프랑스군의 승리, 틸지트 조약 체결, 코펜하겐 전투 발발 등이 있었다. 또한 로버트 풀턴의 증기선 클레몬트 호 시운전 성공, 소행성 베스타 발견 등 과학 기술 분야의 발전도 있었다.
이 해에는 미국의 군인 로버트 E. 리, 시인 헨리 워즈워스 롱펠로, 이탈리아의 군인 주세페 가리발디 등이 태어났으며, 실학자 유득공, 화가 앙젤리카 카우프만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07년 - 아일라우 전투
아일라우 전투는 1807년 2월 7일부터 8일까지 현재의 러시아 칼리닌그라드주 아일라우 인근에서 나폴레옹 1세의 프랑스군과 레온티 레온티예비치 베니히센 장군의 러시아-프로이센 연합군 간에 벌어진 전투로, 양측 모두 막대한 피해를 입었으나 어느 쪽도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지 못해 전쟁을 장기화시키고 이후 문학과 예술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1807년 | |
---|---|
지도 | |
연도 정보 | |
1807년 | 19세기 7번째 해 |
주요 사건 | |
정치 및 전쟁 | 2월 7일: 아일라우 전투 6월 14일: 프리틀란트 전투 7월 7일: 틸지트 조약 8월 2일 ~ 9월 7일: 코펜하겐 전투 (1807년) |
문화 및 예술 | 3월 11일: 존 트럼불의 "벙커힐 전투" 그림이 공개됨 |
과학 및 기술 | 험프리 데이비가 전기 분해를 통해 칼륨과 나트륨을 분리 알렉산더 윌슨의 "미국 조류학"이 출판 |
종교 | 미국에서 예수 그리스도 후기 성도 교회가 창설됨 |
출생 | |
날짜 미상 | 조르주 르루 (프랑스 화가) 조지프 메리언 (미국 법률가) 앤서니 패튼 (미국 육군 장교) 앙리 드 르비 (프랑스 작가) |
1월 | 1월 1일: 데이비드 라이스 아치슨 (미국 정치인) 1월 12일: 에두아르트 폰 뫼렐 (독일 식물학자) 1월 19일: 로버트 E. 리 (미국 연합군 장군) |
2월 | 2월 8일: 게오르크 폰 쇤너러 (오스트리아 군인) 2월 11일: 나폴레옹 오르다 (폴란드 화가) |
3월 | 3월 1일: 빌헬름 로빈슨 (독일 오르간 연주자) 3월 5일: 호레이스 톰슨 (미국 변호사) 3월 11일: 마르틴 하우그 (독일 역사가) 3월 22일: 에두아르드 폰 바우어른펠트 (오스트리아 작가) |
4월 | 4월 1일: 프랜시스 클락 (미국 정치인) 4월 2일: 클레멘스 그라프 (독일 법률가) 4월 20일: 알로이스 루터 (오스트리아 작가) 4월 28일: 찰스 로버트 다윈 (영국 박물학자) |
5월 | 5월 2일: 이바르 오로비우스 (스웨덴 군인) 5월 7일: 프랜시스 매기런 (미국 언론인) 5월 13일: 안톤 헬러 (독일 법률가) 5월 18일: 찰스 코르티나 (미국 변호사) |
6월 | 6월 1일: 윌리엄 필립스 (영국 지리학자) 6월 20일: 아돌프 호엔슈타인 (독일 법률가) 6월 28일: 프레데릭 포스켓 (프랑스 외교관) |
7월 | 7월 4일: 주세페 가리발디 (이탈리아 장군) 7월 23일: 오귀스트 파비에 (프랑스 화학자) 7월 26일: 요한 루트비히 에른스트 (독일 식물학자) |
8월 | 8월 2일: 테오필 고티에 (프랑스 작가) |
9월 | 9월 1일: 아델베르트 폰 샤미소 (프랑스 작가) 9월 7일: 나폴레옹 4세 (프랑스 황제) 9월 13일: 세바스티앙 뒤프레스 (프랑스 외교관) 9월 21일: 미카엘 멜렌데스 (멕시코 군인) |
10월 | 10월 7일: 프랜시스 해밀턴 (미국 정치인) 10월 24일: 존 데이비스 (미국 정치인) 10월 29일: 알베르트 고트샬크 (독일 법률가) 10월 31일: 레오폴드 폰 슈뢰더 (독일 법률가) |
11월 | 11월 10일: 엘리자베스 그레트레이 (미국 소설가) 11월 15일: 빌헬름 카일 (독일 이민자) 11월 24일: 제임스 앤더슨 (미국 군인) |
12월 | 12월 5일: 존 프라이스 (미국 사업가) 12월 11일: 알베르트 구스타프 폰 루드 (독일 군인) 12월 20일: 프랑크 라파예 (미국 정치인) 12월 24일: 마르크 사뮈엘 (프랑스 상인) |
사망 | |
날짜 미상 | 아바스 미르자 (페르시아 왕자) 토마스 조던 (미국 군인) |
1월 | 1월 1일: 제임스 리턴 (미국 군인) |
2월 | 2월 12일: 조셉 파커 (미국 군인) 2월 21일: 프랑스 국왕의 부인 (프랑스 왕족) |
3월 | 3월 12일: 마티외 마트렌 (프랑스 군인) |
4월 | 4월 4일: 제롬 라란드 (프랑스 천문학자) 4월 11일: 존 잉리스 (스코틀랜드 성직자) 4월 28일: 제이콥 아담 (미국 군인) |
5월 | 5월 12일: 장 프랑수아 드 트로이 (프랑스 화가) |
6월 | 6월 26일: 마크 드 카우프만 (러시아 군인) 6월 28일: 찰스 다실바 (프랑스 군인) |
7월 | 7월 20일: 헨리 베넷 (미국 군인) 7월 21일: 찰스 그린 (영국 화가) |
8월 | 8월 3일: 피에르 파르퓌리에 (프랑스 군인) 8월 17일: 벤자민 보위 (미국 군인) 8월 20일: 마우에르트 프레데릭 (독일 음악가) |
9월 | 9월 2일: 제롬 카를로스 (프랑스 군인) 9월 11일: 아우렐리오 파스코알 (포르투갈 군인) |
10월 | 10월 6일: 다니엘 엠스버리 (미국 군인) |
11월 | 11월 17일: 제임스 윌킨슨 (미국 군인) 11월 24일: 조지 버클리 (영국 화가) |
12월 | 12월 24일: 크리스토프 빌헬름 (독일 조각가) |
설립 | |
교육 기관 | 미국의 미시간 대학교 설립 |
문화 기관 | 런던의 런던 지질학회 설립 |
해체 | |
조직 | 스페인의 스페인 왕립 해군 해체 |
2. 연호
3. 기년
- 류큐 쇼코왕尚灝王|상호왕일본어 4년
- 청 인종 가경제(仁宗 嘉慶帝) 12년
- 조선 순조 7년
- 베트남 가륭제(嘉隆帝) 6년
- 간지 : 정묘
- 일본 (관정력)
- * 분화 4년
- * 황기 2467년
- 중국
- * 청 : 가경 12년
- 조선
- * 이씨조선 : 순조 7년
- * 단기 4140년
- 베트남
- * 응우옌 왕조 : 가륭 6년
- 불멸기원 : 2349년 - 2350년
- 이슬람력 : 1221년 10월 21일 - 1222년 11월 1일
- 유대력 : 5567년 4월 21일 - 5568년 3월 30일
- 율리우스력 : 1806년 12월 20일 - 1807년 12월 19일
- 개정율리우스일(MJD) : -18948 - -18584
- 리리우스일(LD) : 81893 - 82257
4. 사건
- 1월 7일 -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이 프랑스 또는 그 동맹국과의 무역을 금지하는 국왕 칙령을 발표했다.[1]
- 1월 20일 - 영국 식민지에서의 노예 무역 금지로 인해 파산 위기에 처한 시에라리온 회사가 영국 정부에 재산 매각 및 왕실 이전을 청원했다. 의회는 7월 29일에 이전을 승인하고, 1808년 1월 1일에 효력이 발생했다.[2]
- 2월 10일 - 해안 측량(1836년 미국 해안 측량으로, 1878년 미국 해안 및 지오데틱 측량으로 개명)이 설립되었다. 1816년 8월 3일에 작업이 시작되었다.
- 2월 17일 - 앙리 크리스토프가 아이티 북부를 통치하는 최초의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 2월 23일 - 노예 무역법이 영국 하원에서 압도적인 다수결로 통과되었다.[4]
- 3월 25일
- * 영국의 노예 무역법이 영국 제국 대부분에서 노예 무역을 금지하는 법률로 제정되었다.[5] (5월 1일부터 효력 발생, 노예 제도 자체는 1833년 영국 식민지에서 폐지됨).
- * 남웨일스의 스완지 앤 멈블스 철도(당시 오이스터머스 철도로 알려짐)가 세계 최초의 여객 철도가 되었다.
- 4월 4일~12일 - 프로베르그 반란: 영국군이 몰타의 리카솔리 요새에서 불규칙적으로 모집된 프로베르그 연대 병사들의 반란을 진압했다.
- 4월 14일 - 아프리카 기관이 런던에서 첫 회의를 개최했다. 시에라리온의 사회적 조건 개선을 목표로 했다.
- 5월 31일 - 원시 감리교가 잉글랜드 북부 미들랜즈의 모우 콥에서 열린 종일 기도회에서 시작되었다.[6]
- 7월 13일 - 마지막 영국 왕위 계승 주장자였던 헨리 베네딕트 스튜어트의 죽음으로, 스튜어트 왕조의 영국 왕위 계승 주장은 사실상 종식되었다. 자코비즘도 끝을 고했다.
- 9월 13일 - 에스터하지 궁정의 니콜라우스 1세 에스터하지의 의뢰로 만들어진 베토벤의 C장조 미사 작품번호 86이 초연되었으나, 의뢰인은 이에 만족하지 못했다.[8]
- 9월 27일 - 나폴레옹이 안티노우스 몬드라곤을 포함한 보르게세 미술품 소장품을 구입하여 파리로 가져왔다.[9]
- 10월 30일 - 에스코리알 음모: 아스투리아스 왕자 페르디난드가 아버지 스페인의 카를로스 4세에 대한 음모를 꾸민 혐의로 체포되었다.
- 12월 5일~11일 - 그리시 습격: 영국 왕립 해군 함대가 네덜란드령 동인도 자바의 그리시 항구를 공격하여 태평양에 남아있던 마지막 네덜란드 해군을 제압하고 1806-1807년 자바 원정을 종결했다.[10]
- 12월 22일 - 미국 의회가 금수 조치를 통과시켰다.
- 3월 - 베토벤의 교향곡 제4번이 로브코비츠 저택에서 초연되었다.
- 게오르크 헤겔, 『정신현상학』 출판.
4. 1. 국제 관계
- 2월 - 나폴레옹이 러시아를 공격했다.[3]
- 2월 7일 - 나폴레옹 전쟁: 프리틀란트 전투가 시작되었다.[3]
- 2월 8일 - 프리틀란트 전투: 나폴레옹이 베니히젠 지휘하의 러시아군과 격렬했지만 결정적이지 않은 전투를 벌였다.
- 5월 24일 - 단치히 공성전이 6주 만에 프러시아와 러시아 수비군의 항복으로 프랑스군의 승리로 끝났다.
- 6월 14일 - 프리틀란트 전투: 나폴레옹이 벤니크젠의 러시아군을 결정적으로 격파했다.
- 6월 22일 - 체서피크-레오파드 사건: 영국 왕립 해군의 4등함이 탈영병을 찾기 위해 버지니아주 노퍽 앞바다에서 미국 해군 프리깃 USS ''체서피크''을 공격하고 탑승했다. 이 영국군의 공격 행위는 1812년 전쟁의 발발에 영향을 미쳤다.
- 7월 7일~9일 – 프랑스, 프로이센, 러시아 간에 틸지트 조약이 체결되었다. 나폴레옹과 러시아 황제 알렉산더 1세는 영국에 대항하는 동맹을 맺었다. 프로이센은 영토의 절반 이상을 빼앗겼고, 그 영토는 이전 폴란드 지역에 바르샤바 공국으로, 서독 지역에는 베스트팔렌 왕국으로 편입되었다. 단치히 자유 도시도 설립되었다(나폴레옹에 의해 9월 9일 설립).
- 9월 2일~7일 – 코펜하겐 전투: 영국 왕립 해군이 나폴레옹에게 항복하는 것을 막기 위해 코펜하겐에 소이탄과 인화성 로켓을 발사했다. 도시의 30%가 파괴되었고 2,000명의 시민이 사망했다.
- 12월 17일 – 나폴레옹 전쟁: 프랑스가 밀라노 칙령을 발표하여 대륙 시스템(즉, 유럽 국가는 영국과 무역할 수 없음)을 확정함.
4. 2. 아메리카 대륙
- 2월 3일 – 나폴레옹 전쟁 및 영국-스페인 전쟁 – 몬테비데오 전투: 리오데라플라타 영국 침략의 일환으로 영국군이 스페인 제국으로부터 몬테비데오를 점령하다.[3]
- 2월 19일 – 앨라배마주에서 미국의 전 부통령 아론 버가 음모 혐의로 재판을 받지만 무죄 판결을 받았다.
- 3월 2일 – 미국 의회가 "...미국의 관할권 내 어떤 항구나 장소로...어떤 외국 왕국, 장소 또는 국가로부터" 노예 수입을 금지하는 노예 수입 금지법을 통과시키다(1808년 1월 1일 발효).
- 5월 22일 – 대배심이 전 미국 부통령 아론 버를 반역죄로 기소하다.
- 6월 22일 – 체서피크-레오파드 사건: 영국 왕립 해군의 4등함 이 탈영병을 찾기 위해 버지니아주 노퍽 앞바다에서 미국 해군 프리깃 USS ''체서피크''을 공격하고 탑승하다. 이 영국군의 공격 행위는 1812년 전쟁의 발발에 영향을 미쳤다.
- 7월 5일 – 라플라타 강 유역을 침공하려던 두 번째 시도 (두 번째 침공) 중, 영국군의 부에노스아이레스 공격이 참패로 끝났다.
- 8월 17일 – 로버트 풀턴의 최초의 미국 증기선인 "노스리버 증기선"이 뉴욕시를 출발하여 허드슨 강을 거쳐 올버니로 향했고, 이는 세계 최초의 상업용 증기선 운항의 시작을 알렸다.
- 9월 1일 – 전 미국 부통령 아론 버가 반역죄 혐의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다. 그는 루이지애나와 멕시코 일부를 독립 공화국의 일부로 합병하려는 음모를 꾸몄다는 혐의를 받았다.
4. 3. 유럽
2월 나폴레옹이 러시아를 공격했다. 2월 7일 프리틀란트 전투가 시작되어,[3] 2월 8일 나폴레옹은 베니히젠이 지휘하는 러시아군과 격렬하지만 결정적이지 않은 전투를 벌였다. 6월 14일 프리틀란트 전투에서 나폴레옹은 베니히젠의 러시아군을 결정적으로 격파했다.[3]5월 24일 단치히 공성전이 6주 만에 프러시아와 러시아 수비군의 항복으로 프랑스군의 승리로 끝났다.[3]
7월 7일–9일 프랑스, 프로이센, 러시아 간에 틸지트 조약이 체결되었다.[3] 나폴레옹과 러시아 황제 알렉산더 1세는 영국에 대항하는 동맹을 맺었다. 프로이센은 영토의 절반 이상을 빼앗겼고, 그 영토는 이전 폴란드 지역에 바르샤바 공국으로, 서독 지역에는 베스트팔렌 왕국으로 편입되었다. 단치히 자유 도시도 설립되었다(나폴레옹에 의해 9월 9일 설립).
9월 2일–7일 코펜하겐 전투에서 영국 왕립 해군이 나폴레옹에게 항복하는 것을 막기 위해 코펜하겐에 소이탄과 인화성 로켓을 발사했다. 도시의 30%가 파괴되었고 2,000명의 시민이 사망했다.[3]
10월 9일 프로이센 개혁 운동으로 10월 칙령에 따라 농노제가 폐지되었다.
11월 24일 포르투갈 아브란테스 전투에서 장-앙도슈 쥐노 휘하 프랑스군이 도시를 점령했다. 11월 29일 포르투갈의 마리아 1세 여왕과 궁정이 리스본에서 브라질로 향해 출항했다. 리우데자네이루가 포르투갈의 수도가 되었다.
12월 17일 나폴레옹 전쟁에서 프랑스가 밀라노 칙령을 발표하여 대륙 시스템(즉, 유럽 국가는 영국과 무역할 수 없음)을 확정했다.
4. 4. 아시아
- 4월 28일 (문화 4년 3월 21일): 에도 막부, 마쓰마에 번주 마쓰마에 아키히로를 무쓰 국료가와 번으로 전봉하였다.
- 9월 20일 (문화 4년 8월 19일): 도미오카 하치만구의 제례에 몰린 인파로 인해 에이다이바시가 붕괴되는 에이다이바시 붕괴 사고가 발생하였다.
- 9월 7일 - 로버트 모리슨이 청나라 광저우에 도착했다.[7]
- 에도 막부가 서에조 지방을 막부 직할화, 전 에조 지방이 직할화됨. 하코다테 부교를 폐지하고 마쓰마에 부교를 두었다.
4. 5. 과학 및 기술
3월 29일 하인리히 올베르스가 소행성 베스타를 발견했다.[2] 8월 17일 미국 발명가 로버트 풀턴이 허드슨강에서 최초의 증기선 클레몬트 호 시운전에 성공하여, 세계 최초의 상업용 증기선 운항이 시작되었다.[7] 7월 20일 니세포르 니엡스가 프랑스 사오네 강에서 배를 상류로 성공적으로 운항시킨 세계 최초의 내연 기관인 피레올로포르에 대한 특허를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로부터 받았다. 10월 13일 런던 지질학회가 설립되었다.5. 탄생
- 1월 19일 - 로버트 E. 리, 미국의 군인. (1870년 사망)
- 2월 3일 - 조지프 E. 존스턴, 미국의 군인. (1891년 사망)
- 2월 27일 - 헨리 워즈워스 롱펠로, 미국의 시인. (1882년 사망)[11]
- 3월 14일 - 로이히텐베르크의 요세피나, 스웨덴의 왕비. (1876년 사망)
- 7월 4일 - 주세페 가리발디, 이탈리아의 군인 겸 정치가. (1882년 사망)
- 8월 8일 - 단화, 청나라의 황족 겸 정치가. (1861년 사망)
- 10월 27일 - 박규수, 조선의 개화파 문신. (1877년 사망)
5. 1. 조선
5. 2. 유럽
- 1월 19일 - 로버트 E. 리, 미국의 군인. (1870년 사망)
- 2월 27일 - 헨리 워즈워스 롱펠로, 미국의 시인. (1882년 사망)[11]
- 3월 14일 - 로이히텐베르크의 요세피나, 스웨덴의 왕비. (1876년 사망)
- 7월 4일 - 주세페 가리발디, 이탈리아의 군인 겸 정치가. (1882년 사망)
- 8월 15일 - 쥘 그레비, 프랑스의 정치가. (1891년 사망)
5. 3. 아메리카

- 2월 3일 - 조지프 E. 존스턴, 미국의 군인. (~ 1891년)
- 2월 27일 - 헨리 워즈워스 롱펠로, 미국의 시인. (~ 1882년)[11]
- 7월 4일 - 주세페 가리발디, 이탈리아의 군인 겸 정치가. (~ 1882년)

6. 사망

- 2월 27일 - 루이즈 뒤 피에리, 프랑스 천문학자 (출생 1746년)
- 3월 10일 - 장 튀렐, 프랑스 군인 (출생 1698년)
- 3월 13일 - 니콜라이 레자노프, 러시아 제국 외교관 (출생 1764년)
- 4월 4일 - 제롬 랄랑드, 프랑스 천문학자 (출생 1732년)
- 4월 10일 - 안나 아말리아 브라운슈바이크 공작부인, 바이마르와 아이제나흐의 섭정 (출생 1739년)
- 5월 10일 - 로샹보 백작 장바티스트 도나티앵 드 비뫼르, 프랑스 군인 (출생 1725년)
- 5월 13일 - 엘리파렛 다이어, 미국 정치가, 판사 (출생 1721년)
- 5월 17일 - 존 건비, 미국 독립 전쟁 당시 메릴랜드 출신 군인 (출생 1745년)
- 5월 18일 - 존 더글라스, 스코틀랜드 성공회 주교, 문필가 (출생 1721년)
- 6월 9일 - 앤드류 스테렛, 미국 해군 장교 (출생 1778년)
- 6월 21일 - 가이가와 키엔, 교토의 유학자 (출생 1735년)
- 7월 13일 - 헨리 베네딕트 스튜어트, 이탈리아 출생 추기경, 영국 왕위 계승 야코바이트 청구인 (출생 1725년)
- 9월 14일 - 조지 타운젠드, 1대 타운젠드 후작, 영국 원수 (출생 1724년)
- 10월 1일 - 유득공, 조선 후기의 실학자 (출생 1748년)
- 10월 22일 - 장-프랑수아 우비강, 프랑스 향수 제조업자 (출생 1752년)
- 11월 2일 - 루이 오귀스트 르 토넬리에 드 브르퇴유, 루이 16세 국왕의 총리 (출생 1730년)
- 11월 5일 - 앙겔리카 카우프만, 스위스 화가 (출생 1741년)

- 11월 8일 - 다레잔 다디아니, 조지아 왕비 (출생 1738년)
- 11월 8일 - 피에르-알렉상드르-로랑 포르페, 프랑스 기술자, 수로측량사, 정치인, 해군장관(1799-1801) (출생 1752년)
- 11월 23일 - 장-프랑수아 르벨, 프랑스 정치인 (출생 1747년)
- 11월 26일 - 올리버 엘스워스, 미국 대법원장 (출생 1745년)
- 12월 19일 - 프리드리히 멜히오어, 그림 남작, 독일 작가 (출생 1723년)
- 12월 21일 - 존 뉴턴, 영국 성공회 성직자, 찬송가 작곡가 (출생 1725년)
- 12월 29일 - 디오구 드 카르발류 이 삼파이우, 포르투갈 외교관, 과학자 (출생 1750년)
6. 1. 조선
6. 2. 유럽
- 2월 1일 – 토머스 트러브리지 제1대 남작 (Sir Thomas Troubridge, 1st Baronet), 영국 해군 제독 (b. 미상)
- 2월 5일 – 파스쿠알레 파올리 (Pasquale Paoli), 코르시카의 애국자이자 군 지도자 (b. 1725년)
- 2월 27일 – 루이즈 뒤 피에리 (Louise du Pierry), 프랑스 천문학자 (b. 1746년)
- 3월 10일 – 장 튀렐 (Jean Thurel), 프랑스 군인 (b. 1698년)
- 3월 13일 - 니콜라이 레자노프(Николай Резанов), 러시아 제국(로마노프 왕조) 외교관 (* 1764년)
- 4월 4일 – 제롬 랄랑드 (Jérôme Lalande), 프랑스 천문학자 (b. 1732년)
- 4월 10일 – 안나 아말리아 브라운슈바이크 공작부인 (Duchess Anna Amalia of Brunswick-Wolfenbüttel), 바이마르와 아이제나흐의 섭정 (b. 1739년)
- 5월 10일 – 장바티스트 도나시앵 드 비메르 드 로샹보 백작 (Jean-Baptiste Donatien de Vimeur, comte de Rochambeau), 프랑스 군인 (b. 1725년)
- 5월 18일 – 존 더글라스 (John Douglas (bishop of Salisbury)), 스코틀랜드 성공회 주교, 문필가 (b. 1721년)
- 6월 21일 - 가이가와 키엔(皆川淇園), 교토의 유학자 (* 1735년)
- 7월 13일 – 헨리 베네딕트 스튜어트(Henry Benedict Stuart), 이탈리아 출생 추기경, 영국 왕위 계승 야코바이트 청구인 (b. 1725년)
- 9월 14일 – 조지 타운젠드(George Townshend), 1대 타운젠드 후작, 영국 원수 (b. 1724년)
- 10월 22일 – 장-프랑수아 우비강(Jean-François Houbigant), 프랑스 향수 제조업자 (b. 1752년)
- 11월 2일 – 루이 오귀스트 르 토넬리에 드 브르퇴유(Louis Auguste Le Tonnelier de Breteuil), 루이 16세 국왕의 총리 (b. 1730년)
- 11월 5일 – 앙겔리카 카우프만(Angelica Kauffman), 스위스 화가 (b. 1741년)
- 11월 8일
- * 다레잔 다디아니(Darejan Dadiani), 조지아 왕비 (b. 1738년)
- * 피에르-알렉상드르-로랑 포르페(Pierre-Alexandre-Laurent Forfait), 프랑스 기술자, 수로측량사, 정치인, 해군장관(1799-1801) (b. 1752년)
- 11월 23일 – 장-프랑수아 르벨(Jean-François Rewbell), 프랑스 정치인 (b. 1747년)
- 12월 19일 – 프리드리히 멜히오어, 그림 남작(Friedrich Melchior, Baron von Grimm), 독일 작가 (b. 1723년)
- 12월 21일 – 존 뉴턴(John Newton), 영국 성공회 성직자, 찬송가 작곡가 (b. 1725년)
- 12월 29일 – 디오구 드 카르발류 이 삼파이우(Diogo de Carvalho e Sampayo), 포르투갈 외교관, 과학자 (b. 1750년)
참조
[1]
서적
The Naval War of 1812: A Documentary History
Naval Historical Center
[2]
서적
The Clapham Sect: How Wilberforce's Circle Transformed Britain
Lion Books
[3]
서적
The Life of Napoleon Bonaparte, Once Emperor of the French, who Died in Exile, at St. Helena, After a Captivity of Six Years' Duration
Orlando Hodgson
[4]
웹사이트
William Wilberforce (1759–1833)
http://www.brycchanc[...]
2021-01-18
[5]
웹사이트
Abolition of the Slave Trade 1807
https://www.bbc.co.u[...]
BBC
2007-09-11
[6]
서적
The Secret of Mow Cop: a new appraisal of the origins of Primitive Methodism
Epworth Press
[7]
간행물
Sketch of the Canton Protestant Mission
American Presbyterian Mission Press
[8]
CD
Beethoven: Mass in C major, Op. 86
http://www.hyperion-[...]
Hyperion Records
2006-05-15
[9]
서적
Taste and the Antique: The Lure of Classical Sculpture, 1500-1900
Yale University Press
[10]
서적
The Royal Navy: A History from the Earliest Times to 1900
Chatham Publishing
[11]
서적
Longfellow: A Rediscovered Life
https://archive.org/[...]
Beacon Press
[12]
웹사이트
Fredrika Runeberg
https://archive.toda[...]
Svenska Littaratursällskapet i Finland
2014-05-14
[13]
ODNB
Mill [née Hardy; other married name Taylor], Harriet
[14]
웹사이트
Henry Wadsworth Longfellow American poet
https://www.britann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