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샹보 백작 장바티스트 도나티앵 드 비뫼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샹보 백작 장바티스트 도나티앵 드 비뫼르(1725-1807)는 프랑스의 귀족이자 군인으로, 미국 독립 전쟁에 프랑스 원정군 사령관으로 참전하여 조지 워싱턴과 함께 요크타운 전투에서 승리하는 데 기여했다. 그는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과 7년 전쟁에 참전했으며, 프랑스 혁명 시기에는 프랑스 원수로 임명되었으나 공포 정치 기간 중 투옥되기도 했다. 로샹보는 미국 독립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미국과 프랑스에서 기념되었으며, 그의 이름을 딴 지명과 시설들이 존재한다. 그는 회고록을 남기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781년 미국 - 연합규약
연합규약은 미국 독립 혁명 중 채택되어 1781년부터 1789년까지 미국의 헌법 역할을 한 최초의 연방 규약이었으나, 중앙 정부의 권한이 약해 1787년 새로운 미국 헌법으로 대체되었다. - 1781년 미국 - 요크타운 전투
미국 독립 전쟁 중 조지 워싱턴 지휘하의 미국-프랑스 연합군이 찰스 콘월리스의 영국군을 버지니아주 요크타운에서 포위하여 항복을 받아낸 요크타운 전투는 전쟁의 종결로 이어진 결정적인 전환점이다. - 1807년 사망 - 유득공
조선 후기 북학파 학자이자 문신인 유득공은 박지원의 문하에서 학문을 닦았고, 《경도잡지》, 《발해고》 등의 저술을 통해 조선의 역사와 문화를 연구했으며, 규장각 검서관을 지내며 한국사 연구에 기여했다. - 1807년 사망 - 제롬 랄랑드
제롬 랄랑드는 프랑스의 천문학자로서, 달의 시차 측정과 핼리 혜성 계산에 기여했으며, 랄랑드 상을 제정하여 천문학 발전에 공헌했다.
로샹보 백작 장바티스트 도나티앵 드 비뫼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725년 7월 1일 |
출생지 | 프랑스 왕국 오를레아네 방돔 |
사망일 | 1807년 5월 10일 |
사망지 | 프랑스 제1제국 토레라로셰트 |
![]() | |
군사 경력 | |
소속 | 프랑스 왕국군 |
복무 기간 | 1742년–1792년 |
최종 계급 | 프랑스 원수 |
참전 |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7년 전쟁 미국 독립 전쟁 프랑스 혁명 전쟁 |
주요 전투 | |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 마스트리흐트 공방전 |
7년 전쟁 | 미노르카 해전 크레펠트 전투 코르바흐 전투 클로스터 캄펜 전투 |
미국 독립 전쟁 | 요크타운 전역 워싱턴-로샹보 혁명로 체서피크 만 해전 요크타운 공방전 |
프랑스 혁명 전쟁 | 제1차 대프랑스 동맹 전쟁 |
훈장 | |
![]() | |
![]() | |
기타 | 신시내티 협회 |
2. 어린 시절과 군 경력
로샹보는 1725년 7월 1일 프랑스 왕국 루아르에셰르주 방돔에서 태어났다.[11] 블루아의 예수회 대학에서 공부했다.[11] 형이 사망하자, 기병 연대에 입대하여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동안 보헤미아 왕국, 바이에른 선제후국, 라인강 지역에서 복무했다.[11] 1747년 대령으로 승진했고,[11] 1748년 마스트리흐트 공방전에 참전했다.[11]
1780년, 로샹보는 Expédition Particulière[12] 계획에 따라 중장으로 승진하여 프랑스 원정군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악셀 폰 페르젠 백작이 로샹보의 참모이자 통역관으로 복무했다.[13] 그는 7,000명의 프랑스군을 이끌고 미국으로 건너가 조지 워싱턴 장군이 지휘하는 대륙군과 합류하여 미국 독립 전쟁에 참전했다.
1749년 방돔의 지사가 되었다.[11] 7년 전쟁의 시초가 된 1756년 메노르카섬 해전에서 두각을 나타내 보병 준장으로 승진했다.[11] 이후 독일 각지를 전전하며, 1758년 크레펠트 전투, 1760년 클로스터 캄펜 전투에 참전했으며, 클로스터 캄펜 전투에서는 부상을 입었다.[11] 1761년 야전 사령관(소장)으로 승진하여 기병 감사관으로도 임명되었다.[11] 로샹보는 기병 감사관으로 재직하면서 기술적인 문제에 대해 대신들의 상담을 받았다.[11]
3. 미국 독립 전쟁
1780년 7월 10일, 로샹보는 로드아일랜드 뉴포트에 상륙했으나, 내러갠섯 만에서 영국 해군에게 봉쇄된 프랑스 함대를 버릴 수 없어 1년 동안 그곳에 머물렀다. 브라운 대학교의 유니버시티 홀은 로샹보 군대의 주둔지 및 육군 병원으로 사용되었다. 1781년 7월, 로샹보의 부대는 로드아일랜드를 떠나 코네티컷을 횡단하여 허드슨강 연안의 뉴욕 답스 페리에서 워싱턴과 합류했다. 이들은 워싱턴-로샹보 혁명의 루트를 따라 남쪽으로 진격하여 체서피크 전투와 요크타운 공방전을 치렀다.
1781년 9월 22일, 라파예트 후작이 이끄는 부대가 합류했고, 10월 19일 영국군 지휘관 콘월리스 경에게 항복을 받아냈다. 연합 회의는 로샹보의 공헌을 인정하여 그와 그의 부대에 감사를 표하고, 영국군으로부터 노획한 대포 2문을 선물했다. 로샹보는 신시네티 협회의 초기 회원이었다.
3. 1. 요크타운 전투에서의 역할
1780년, 로샹보는 미국 독립 전쟁에서 조지 워싱턴 장군이 지휘하는 대륙군과 합류하기 위해 6,000명의 프랑스 장병을 이끌고 미국으로 건너왔다.[11] 그는 7월 10일 로드아일랜드의 뉴포트에 상륙했지만, 영국 해군에 의해 함대가 봉쇄되어 1년 동안 그곳에 머물러야 했다.[11]
1781년 7월, 로샹보의 부대는 로드아일랜드를 떠나 코네티컷을 거쳐 허드슨강에서 워싱턴과 합류했다.[11] 미-프랑스 연합군은 남쪽으로 진격하여 요크타운을 포위했다.[11] 9월 22일에는 라파예트가 이끄는 부대도 합류했고, 10월 19일 영국군 찰스 콘월리스 장군은 항복했다.[11]
로샹보는 워싱턴의 지휘를 전적으로 존중하고 자신의 부대를 대륙군의 일부로 간주하며 긴밀하게 협조했다.[11] 이러한 협력은 요크타운 전투 승리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연합회의는 로샹보의 공헌을 인정하여 영국군에게서 노획한 대포 2문을 선물했다.[11]
4. 프랑스 귀환 이후
로샹보는 프랑스로 귀환한 뒤 프랑스 국왕 루이 16세에게 찬사를 받고 피카르디 지사로 임명되었다.[9] 그는 1789년 프랑스 혁명을 지지했으며, 1791년 12월 28일 니콜라 룩네르와 함께 루이 16세에 의해 마지막으로 프랑스 원수로 임명된 두 명의 장군이 되었다.[9]
프랑스 혁명 전쟁이 발발했을 때, 1792년에 잠시 동안 ''아르메 뒤 노르''(북부군)를 지휘했지만, 오스트리아에 여러 차례 패배한 후 사임했다.[9] 그는 1793~1794년 공포 정치 기간 동안 체포되어 콩시에르주리에 수감되었다. 그는 테르미도르 반동이 일어나 공포 정치가 끝나기 며칠 전에 처형이 예정되어 있었지만, 가까스로 기요틴 처형은 면했다.[9][5]
그가 투옥되었다가 풀려난 후 로샹보는 1801년 나폴레옹을 만난 후 연금을 받았으며, 나폴레옹이 황제가 된 후 1804년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았다. 로샹보는 프랑스 제1제정 시대인 1807년 토레라로셰트에서 사망했다.[9][5]
5. 유산
로샹보의 군사적 업적과 미국 독립 전쟁에서의 역할은 미국과 프랑스 양국에서 높이 평가받고 있다. 그의 이름은 미국과 프랑스의 여러 장소와 시설에 남아있다.
- 코네티컷 주사우스버리에 있는 로샹보 중등학교는 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 주간 고속도로 84호선 및 미국 국도 6호선으로 사우스버리와 뉴턴을 잇는 로샹보 다리 또한 로샹보 군대가 행군했던 곳으로, 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 메릴랜드 주베세즈다의 프랑스어 국제 학교도 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 워싱턴 D.C. 포토맥 강에 가설된 "로샹보 다리"는 1982년 에어 플로리다 90편 추락 사고 이후 다른 부상자를 구한 승객을 기려 "아를랜드 D. 윌리엄스 주니어 기념 다리"로 개칭되었다.
- 버지니아 주요크타운 전장터와 가까운 윌리엄스버그에는 로샹보 거리가 있다.
- 로드아일랜드 주프로비던스, 매사추세츠 주뉴베드퍼드 및 뉴욕 시 브롱크스 구에는 로샹보 대로가 있다.
-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 해군 수송선 USS ''로샹보'' (AP-63)는 로샹보 백작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5. 1. 명예
1902년 5월 24일, 워싱턴 D.C. 라파예트 광장에 페르디낭 하마르가 제작한 로샹보 동상이 제막되었다. 이 동상은 프랑스가 미국에 선물한 것이다.[11] 제막식에는 시어도어 루스벨트 당시 미국 대통령을 비롯하여, 프랑스의 주르 기본 대사, 프루니에 제독, 앙리 부세르 장군, 전함 ''골루아''에서 파견된 수병과 해병대, 그리고 로샹보와 라파예트의 자손들이 참석하여 양국의 우호 관계를 널리 알렸다.[11] 파리에서도 로샹보를 기념하는 축제가 동시에 개최되었다.[11]1934년, A. 킹즐리 매콤버는 로드아일랜드 뉴포트에 로샹보 장군의 동상을 기증했다. 이 동상은 파리에 있는 동상을 복제한 것이다.[6]
프랑스 해군은 그의 이름을 딴 철갑 프리깃함 로샹보를 운용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 해군에서 활약한 수송함 USS 로샹보도 그의 이름에서 명명되었다.
2009년 5월 30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워싱턴-로샹보 혁명의 루트를 국가 사적길로 지정하는 법안에 서명했다. 워싱턴 D.C. 포토맥 강에 건설된 로샹보 다리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5. 2. 로샹보의 이름을 딴 장소 및 시설
- 코네티컷주 사우스베리의 로샹보 중등학교는 로샹보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으며, 주간고속도로 84호선 및 미합중국 고속도로 6호선으로 사우스베리와 뉴타운을 연결하는 로샹보 다리도 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이곳은 미국 독립 전쟁 기간 로샹보 군이 행군한 장소이기도 하다.
- 메릴랜드주 베데스다의 프랑스 국제학교도 로샹보 백작에게서 연유되어 명명되었다.
- 버지니아주 윌리엄스버그에는 로샹보 드라이브가 있다.
- 로드아일랜드주 프로비던스에는 로샹보 에비뉴가 있고, 매사추세츠주 뉴 베드퍼드와 뉴욕 탑스 페리에는 로샹보 스트리트가 있다.
- 뉴욕 브롱크스에도 로샹보 에비뉴가 있다.
- 버지니아 스프링필드에 로샹보 플레이스가 있다.
-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 리치먼드 지역에는 로샹보 운동장이 있다.[14]
6. 회고록
장 샤를 주리앙 르스 드 랑시바르가 1809년에 로샹보의 회고록 ''로샹보의 군사, 경력, 정치 회고록''(Mémoires militaires, historiques et politiques, de Rochambeau)을 출판했다. 이 책은 1838년 M.W.E 라이트에 의해 ''원수로써 백작 R.의 회고록, 미합중국의 독립전쟁에 관해서''(Memoirs of the Marshal Count de R. relative to the War of Independence in the United States)라는 제목으로 영어로 번역되어 출판되었다.[7][11]
H. 드니오르는 1892년 파리에서 미국 전역 중에 로샹보가 교환한 편지를 모아 ''미합중국의 독립에서 프랑스 참가의 역사''(Histoire de la participation de la France en l'établissement des Etats Unis d'Amérique)라는 제목으로 출판했다.[8][9][11]
참조
[1]
서적
The French Forces in America, 1780–1783
Greenwood Press, Inc.
1977
[2]
웹사이트
Jean-Baptiste-Donatien de Vimeur, Count de Rochambeau
[3]
웹사이트
05-137 (March to Yorktown)
https://www.brown.ed[...]
[4]
웹사이트
National Register of Historic Places Registration: Odell House
http://www.oprhp.sta[...]
New York State Office of Parks, Recreation and Historic Preservation
1973-02-01
[5]
웹사이트
General Jean Baptiste Donatien de Vimeur, comte de Rochambeau
https://www.nps.gov/[...]
National Park Service
2024-03-21
[6]
웹사이트
Rochambeau, (sculpture)
http://siris-artinve[...]
[7]
논문
What France Did for America: Memoirs of Rochambeau.
1917
[8]
서적
Histoire de la participation de la France en l'établissement des Etats Unis d'Amérique, Vol. V.
unknown
1892
[9]
웹사이트
Rochambeau, Jean Baptiste Donatien de Vimeur
[10]
서적
Armorial général : contenant la description des armoiries des familles nobles et patriciennes de l'Europe : précédé d'un dictionnaire des termes du blason
G.B. van Goor
1861
[11]
웹사이트
Rochambeau, Jean Baptiste Donatien de Vimeur
[12]
서적
The French Forces in America, 1780-1783
Greenwood Press, Inc.
1977
[13]
웹사이트
Jean-Baptiste-Donatien de Vimeur, Count de Rochambeau
[14]
웹인용
Rochambeau Playground
http://www.ci.sf.ca.[...]
2010-09-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