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54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854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는 휘그당의 붕괴와 공화당의 부상으로 정당 체제가 재편된 중요한 선거였다. 1854년 10월 버몬트주 특별 선거 이후, 민주당은 다수당 지위를 유지했지만, 공화당과 야당의 의석 증가로 정치적 긴장감이 고조되었다. 선거 결과, 민주당은 39석, 야당은 21석, 미국당과 공화당은 각각 1석을 차지했다.
미국의 선거 제도는 연방, 주, 지방 정부의 다양한 공직자를 선출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미국의 선거는 크게 대통령 선거, 상원의원 선거, 하원의원 선거로 나뉜다.
2. 미국의 선거 제도
2. 1. 대통령 선거
Presidential elections영어는 4년마다 실시되며, 대통령을 간접 선거 방식을 통해 선출한다. 선거인단 제도는 각 주에 인구 비례로 선거인단을 배정하고, 승자독식 방식으로 해당 주의 선거인단 표를 모두 가져가는 방식이다.
2. 2. 의회 선거
1854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는 미국 상원과 미국 하원 의원을 선출하기 위해 치러졌다. 상원 의원은 각 주에서 2명씩 선출되며, 임기는 6년이다. 하원 의원은 각 주의 인구 비례로 선출되며, 임기는 2년이다. 각 정당별 의석수는 다음과 같다.
2. 2. 1. 상원 선거
1854년 미국 상원 선거는 미국 상원 의원들을 선출하기 위해 치러졌다. 이 선거에서는 민주당이 39석, 야당이 21석, 미국당이 1석, 공화당이 1석을 획득하였다.
2. 2. 2. 하원 선거
1854년에 치러진 미국 하원의원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854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를 전후로, 미국의 주요 정당들은 큰 변화를 겪었다.
3. 미국의 주요 정당
민주당은 당시 미국 정치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으나, 1854년 선거에서 일부 의석을 잃었다.
주 | 기존 의원 (정당) | 결과 |
---|---|---|
앨라배마 | 벤자민 피츠패트릭 (민주당) | 재선 실패, 1855년까지 공석 |
캘리포니아 | 윌리엄 M. 귄 (민주당) | 재선 실패, 1857년까지 공석 |
일리노이 | 제임스 실즈 (민주당) | 재선 실패, 라먼 트럼불 당선 |
인디애나 | 존 페티트 (민주당) | 재선 실패, 1857년까지 공석 |
아이오와 | 어거스터스 C. 도지 (민주당) | 재선 실패, 제임스 할란 (자유토지당) 당선 |
미주리 | 데이비드 라이스 앳치슨 (민주당) | 재선 실패, 1857년까지 공석 |
뉴햄프셔 | 존 S. 웰스 (민주당) | 재선 실패, 1855년까지 공석 |
위스콘신 | 아이작 P. 워커 (민주당) | 은퇴, 찰스 더키 (공화당) 당선 |
공화당은 1854년에 새롭게 떠오르는 정당이었다. 코네티컷주, 버몬트주, 위스콘신주에서 상원 의석을 확보하며, 기존의 자유토지당과 민주당을 대체했다. 특히, 뉴햄프셔주에서는 공석이었던 2개의 의석을 모두 차지했다.
- '''공화당 주요 의원 변화'''
주 | 기존 정당 | 당선자 |
---|---|---|
코네티컷 | 자유 토지 | 라파예트 S. 포스터 |
버몬트 | 자유 토지 | 제이콥 콜라머 |
위스콘신 | 민주당 | 찰스 더키 |
뉴햄프셔 (2급) | 공석 | 존 P. 헤일 |
뉴햄프셔 (3급) | 공석 | 제임스 벨 |
- '''기타 정당 주요 의원 변화'''
주 | 기존 의원 (정당) | 결과 |
---|---|---|
코네티컷 | 프란시스 질레트 (자유 토지) | 라파예트 S. 포스터 (공화당) 당선[4] |
아이오와 | 어거스터스 C. 도지 (민주당) | 제임스 할란 (자유 토지) 당선[5] |
오하이오 | 새먼 P. 체이스 (자유 토지) | 조지 E. 푸 (민주당) 당선[6] |
펜실베이니아 | 제임스 쿠퍼 (휘그) | 1856년까지 공석 (선출 실패) |
버몬트 | 로렌스 브레이너드 (자유 토지) | 제이콥 콜라머 (공화당) 당선[7] |
펜실베이니아주에서는 노우 나싱당의 사이먼 캐머런과 민주당 찰스 R. 버컬루가 후보로 나왔지만, 의회에서 선출에 실패했다.
3. 1. 민주당
주 | 상원의원 | 정당 | 선거 이력 | 결과 | 후보 |
---|---|---|---|---|---|
앨라배마 | 벤자민 피츠패트릭 | 민주당 | 1848년 임명, 1849년 후임 선출, 1853년 임명, 1853년 특별 선거 | 현직자 은퇴 또는 재선 실패, 입법부 선출 실패, 민주당 손실, 1855년 11월 26일까지 공석 | |
아칸소 | 로버트 워드 존슨 | 민주당 | 1853년 임명, 1854년 특별 선거 | 1855년 재선 | 로버트 워드 존슨 (민주당) |
캘리포니아 | 윌리엄 M. 귄 | 민주당 | 1850년 | 입법부 선출 실패, 민주당 손실, 1857년까지 공석 | 윌리엄 M. 귄 (민주당) |
플로리다 | 잭슨 모턴 | 휘그 | 1848년 | 현직자 은퇴, 1854년 새 상원의원 선출, 민주당 획득 | 데이비드 레비 율리 (민주당) |
조지아 | 윌리엄 크로스비 도슨 | 휘그 | 1847년[4] | 현직자 은퇴 또는 재선 실패, 1854년 또는 1855년 새 상원의원 선출, 민주당 획득 | 앨프레드 아이버슨 시니어 (민주당) |
일리노이 | 제임스 실즈 | 민주당 | 1849년 | 재선 실패, 1855년 2월 8일 새 상원의원 선출,[5] 민주당 유지 | 라먼 트럼불 (민주당) 51, 조엘 올드리치 매티슨 (민주당) 47, 아치볼드 윌리엄스 (휘그) 1 |
인디애나 | 존 페티트 | 민주당 | 1853년 특별 선거 | 재선 실패, 입법부 선출 실패, 민주당 손실, 1857년까지 공석 | 존 페티트 (민주당) |
아이오와 | 어거스터스 C. 도지 | 민주당 | 1848년, 1849년 | 재선 실패, 1855년 2월 22일 스페인 주재 미국 대사 사임, 1855년 후임자 선출, 자유 토지 획득 | 제임스 할란 (자유 토지), 어거스터스 C. 도지 (민주당) |
루이지애나 | 존 슬라이델 | 민주당 | 1853년 특별 선거 | 1854년 또는 1855년 재선 | 존 슬라이델 (민주당) |
미주리 | 데이비드 라이스 앳치슨 | 민주당 | 1843년 임명, 1843년 특별 선거, 1849년 | 재선 실패, 입법부 선출 실패, 민주당 손실, 1857년까지 공석 | 데이비드 라이스 앳치슨 (민주당), 토머스 하트 벤턴 (민주당) |
뉴햄프셔 | 존 S. 웰스 | 민주당 | 1855년 임명 | 현직자 은퇴 또는 재선 실패, 입법부 선출 실패, 민주당 손실, 1855년 7월 30일까지 공석 | |
뉴욕 | 윌리엄 H. 시워드 | 휘그 | 1849년 | 1855년 2월 6일 재선, 승자는 곧 공화당원 | 윌리엄 H. 시워드 (휘그), 다니엘 S. 디킨슨 (민주당/하드), 호라티오 세이모어 (민주당/소프트), 워싱턴 헌트 (휘그), 존 아담스 딕스 (민주당/소프트), 밀러드 필모어 (휘그), 윌리엄 F. 앨런 (민주당) |
노스캐롤라이나 | 조지 배저 | 휘그 | 1846년 특별 선거, 1849년 | 현직자 은퇴, 1855년 새 상원의원 선출, 민주당 획득 | 아사 빅스 (민주당) |
오하이오 | 새먼 P. 체이스 | 자유 토지 | 1849년 | 현직자 은퇴, 1854년 3월 4일 후임자 선출,[5] 민주당 획득 | 조지 E. 푸 (민주당) 80표, 에프라임 R. 에클리 (휘그) 15표, 새먼 P. 체이스 (휘그) 10표, 로버트 C. 쉔크 (휘그) 1표[5] |
사우스캐롤라이나 | 앤드루 버틀러 | 민주당 | 1852년 임명, ? 특별 선거, 1848년 | 1854년 재선 | 앤드루 버틀러 (민주당) |
위스콘신 | 아이작 P. 워커 | 민주당 | 1848년, 1849년 | 현직자 은퇴, 1855년 2월 1일 새 상원의원 선출, 공화당 획득 | 찰스 더키 (공화당) 50.47%, 바이런 킬본 (민주당) 36.45%, 찰스 던 (민주당) 4.67%, 제임스 듀안 도티 (공화당) 3.74%, 해리슨 캐롤 호바트 (민주당) 1.87%, 데이비드 에그리 (민주당) 1.87%, 제임스 맥밀란 셰프터 (공화당) 0.93% |
앨라배마 (3급) | colspan=3 | 공석 | 벤자민 피츠패트릭 (민주당) 임기 1855년 3월 3일 만료, 주의회 선출 실패, 1855년 11월 26일 늦게 선출, 민주당 획득 | 벤자민 피츠패트릭 (민주당) |
3. 2. 공화당
Republican Party영어은 1854년 코네티컷주, 버몬트주, 위스콘신주에서 상원 의석을 확보하며, 기존의 자유토지당과 민주당을 대체했다. 또한, 뉴햄프셔주에서는 공석이었던 2개의 의석을 모두 공화당이 차지했다.주 | 기존 정당 | 당선자 |
---|---|---|
코네티컷 | 자유 토지 | 라파예트 S. 포스터 |
버몬트 | 자유 토지 | 제이콥 콜라머 |
위스콘신 | 민주당 | 찰스 더키 |
뉴햄프셔 (2급) | 공석 | 존 P. 헤일 |
뉴햄프셔 (3급) | 공석 | 제임스 벨 |
3. 3. 기타 정당
1854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에서는 몇몇 주에서 민주당이나 공화당 외 다른 정당 소속 의원들이 활동하거나, 새로운 의원이 선출되었다.주 | 정당 및 결과 |
---|---|
코네티컷주 | 프란시스 질레트 (자유 토지당) → 라파예트 S. 포스터 (공화당)[4] |
아이오와주 | 어거스터스 C. 도지 (민주당) → 제임스 할란 (자유 토지당)[5] |
오하이오주 | 새먼 P. 체이스 (자유 토지당) → 조지 E. 푸 (민주당)[6] |
펜실베이니아주 | 제임스 쿠퍼 (휘그당) → 1856년까지 공석 (선출 실패) |
버몬트주 | 로렌스 브레이너드 (자유 토지당) → 제이콥 콜라머 (공화당)[7] |
펜실베이니아주에서는 노우 나싱당의 사이먼 캐머런과 민주당 찰스 R. 버컬루가 후보로 나왔지만, 의회에서 선출에 실패했다. 이러한 결과는 당시 미국 정치 지형의 다양성을 보여준다.
4. 특정 선거 사례 분석
1854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는 미국 정치사의 중요한 분기점이었다. 특히 노예제 문제를 둘러싼 갈등이 격화되면서 기존의 양당 체제가 붕괴되고 새로운 정치 세력이 부상하는 격변의 시기였다.
주요 정당 변화:
- 휘그당의 몰락: 휘그당은 캔자스-네브래스카 법을 둘러싼 내부 갈등으로 인해 사실상 붕괴 직전에 이르렀다.
- 민주당의 분열: 민주당 역시 노예제 문제로 인해 심각한 분열을 겪으며, 여러 주에서 의석을 잃거나 상원의원 선출에 실패하는 상황에 직면했다.
- 새로운 정치 세력 부상: 노예제 반대를 기치로 내건 공화당과 자유 토지당이 급부상하여, 노예제 확장에 반대하는 유권자들의 지지를 얻어 여러 주에서 상원 의석을 확보했다.
선거 결과의 불확실성:캘리포니아, 인디애나, 미주리, 펜실베이니아 등 일부 주에서는 주 의회 내의 갈등으로 인해 상원의원 선출이 지연되거나 무산되었다. 이는 당시 미국 정치의 불안정성을 보여준다.
이처럼 1854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는 단순한 의석 변동을 넘어, 미국 정치의 근본적인 변화를 예고하는 사건이었다. 노예제를 둘러싼 갈등이 심화되면서 기존 정당 체제가 붕괴되고 새로운 정치 세력이 부상하는 과정에서, 미국 사회는 분열과 갈등의 소용돌이 속으로 빠져들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