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86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86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미국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시기에 치러졌다. 이 선거는 노예제 문제로 심화된 정치적, 사회적 분열을 배경으로 진행되었으며, 공화당의 부상과 민주당의 분열을 초래했다. 공화당은 노예제 확장에 반대하며 북부의 지지를 얻어 하원을 장악했고, 이는 에이브러햄 링컨의 대통령 당선으로 이어져 남북 전쟁의 주요 원인이 되었다. 선거 결과, 공화당은 108석, 민주당은 44석, 연합당은 30석, 무소속 1석을 차지했다. 뉴잉글랜드 지역에서는 공화당이 강세를 보였으며, 남부 여러 주는 연방 탈퇴를 선언하며 의회에서 공석이 발생했다. 1860년 하원 선거는 미국의 정치적, 사회적 분열을 심화시키고 남북 전쟁의 도화선이 된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60년 선거 - 1860년 미국 대통령 선거
    1860년 미국 대통령 선거는 노예제 문제로 민주당이 분열된 가운데 에이브러햄 링컨이 당선되었으나, 노예주에서는 승리하지 못해 남북 전쟁의 주요 원인이 되었으며, 높은 투표율을 기록했다.
  • 1860년 선거 - 1860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
    1860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는 에이브러햄 링컨의 대통령 당선 이후 공화당이 의석 수를 늘리고 민주당은 의석 수가 감소했으며, 링컨 대통령 취임과 함께 공화당이 행정부와 상원 다수당을 장악하게 되었다.
  • 1860년 미국 - 1860년 미국 대통령 선거
    1860년 미국 대통령 선거는 노예제 문제로 민주당이 분열된 가운데 에이브러햄 링컨이 당선되었으나, 노예주에서는 승리하지 못해 남북 전쟁의 주요 원인이 되었으며, 높은 투표율을 기록했다.
  • 1860년 미국 - 조랑말 속달 우편
    조랑말 속달 우편은 1860년 4월부터 1861년 10월까지 미주리주에서 캘리포니아주까지 말을 이용하여 우편물을 전달한 미국의 속달 우편 서비스로, 캘리포니아 골드 러시 이후 동부와의 빠른 통신 수요 증가로 설립되었으며, 혁신적인 시스템과 서부 개척 시대의 상징으로 남아 국립 역사 트레일로 지정되었다.
  • 미국의 하원의원 선거 - 185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1850년-1851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민주당이 127석으로 가장 많은 의석을 확보했으며, 휘그당, 입헌통일당, 자유토지당, 주권당, 무소속 의원들이 선출되었다.
  • 미국의 하원의원 선거 - 184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184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위스콘신 준주의 주 승격으로 하원 의석이 증가한 첫 선거로, 휘그당이 근소하게 승리했으며, 텍사스와 아이오와 주의 신설로 의석이 증가하는 등 의회의 정치적 역학 관계에 변화를 가져왔다.
186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선거 정보
선거 이름1860–61년 미국 하원 의원 선거
국가미국
국기 연도1859년
유형입법부
진행 여부아니오
이전 선거1858–59년 미국 하원 의원 선거
이전 선거 연도1858년 & 1859년
다음 선거1862–63년 미국 하원 의원 선거
다음 선거 연도1862년 & 1863년
선출 의석미국 미국 하원의 모든 183석
과반 의석92석
선거일1860년 8월 6일 – 1861년 10월 24일
결과
결과
정당별 결과
정당 1미국 공화당
지도자 1윌리엄 페닝턴
지도자 의석 1뉴저지 제5선거구 (재선 실패)
이전 선거 1116석
의석 1106
의석 변화 1[[파일:Decrease2.svg|11px|alt=감소|link=]] 10
득표수 11,793,876
득표율 146.91%
변동 1[[파일:Increase2.svg|11px|alt=증가|link=]] 10.32%
정당 2미국 민주당
지도자 2새뮤얼 설리번 콕스
지도자 의석 2오하이오 제12선거구
이전 선거 283석
의석 244석
의석 변화 2[[파일:Decrease2.svg|11px|alt=감소|link=]] 54
득표수 21,520,785
득표율 239.77%
변동 2[[파일:Decrease2.svg|11px|alt=감소|link=]] 8.29%
정당 4미국 남북 전쟁 시대의 연합주의 정치인
이전 선거 40석
의석 431
의석 변화 4[[파일:Increase2.svg|11px|alt=증가|link=]] 31
득표수 4324,992
득표율 48.50%
변동 4신규
정당 5미국 남부 권리당
이전 선거 50석
의석 51석
의석 변화 5[[파일:Increase2.svg|11px|alt=증가|link=]] 1
득표수 552,501
득표율 51.37%
변동 5신규
정당 7미국 독립
이전 선거 715석
의석 71석
의석 변화 7[[파일:Decrease2.svg|11px|alt=감소|link=]] 14
득표수 7105,210
득표율 72.75%
변동 7[[파일:Decrease2.svg|11px|alt=감소|link=]] 4.16%
하원 의장
이전 의장윌리엄 페닝턴
이후 의장갈루샤 에런 그로우
이전 정당미국 공화당
이후 정당미국 공화당

2. 선거 배경

186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남북 전쟁 직전의 격동적인 정치 상황 속에서 치러졌다. 노예제를 둘러싼 갈등이 심화되면서, 미국 사회는 극심한 분열을 겪고 있었다. 캘리포니아 주가 연방 하원에 한 석을 추가로 배분받아, 전체 의석수는 239석으로 늘어났다.[2]

2. 1. 남북 전쟁 직전의 미국 사회

186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남북 전쟁 발발 직전, 미국 사회의 극심한 분열상을 반영했다. 분리주의 주 출신 하원 의원들은 대부분 민주당 소속이었으며, 이들의 사퇴는 공화당의 하원 장악력을 강화시켰다.[2] 일부 분리주의 주에서는 연방 선거를 실시했지만, 선출된 하원 의원들이 임기를 시작하기 전에 분리되거나, 아예 연방 선거를 실시하지 않은 주도 있었다.[2]

이는 당시 미국 사회가 노예제도와 연방 탈퇴 문제를 둘러싸고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2. 2. 주요 정치 세력의 입장

186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 주요 정당들의 입장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 공화당: 노예제 확장에 반대하는 입장을 견지했다. 남부 주들의 연방 탈퇴로 인해 하원에서 다수당이 되었다.
  • 민주당: 노예제 문제에 대해 분열되어 있었다. 분리주의 주 출신 하원의원들은 대부분 민주당 소속이었으며, 이들의 사퇴는 공화당의 하원 장악에 기여했다.
  • 연합당: 주로 남부 경계 주 출신으로 구성되었으며, 연방 유지를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


각 정당의 의석수는 다음과 같다.

186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정당별 의석수
정당의석수
공화당108석
민주당44석
연합당30석
기타1석


3. 선거 결과

186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결과, 공화당은 108석을 차지하여 원내 다수당 지위를 유지하였다. 민주당은 44석, 입헌통일당은 30석, 무소속은 1석을 차지하였다.

정당의석수
공화당108석
민주당44석
입헌통일당30석
무소속1석
합계183석



이는 이전 선거에 비해 공화당의 의석수가 감소한 결과이다.

3. 1. 전국 단위 선거 결과 분석

정당총 의석변동비율
공화당108–859.0%
민주당44–3924.0%
무소속 민주당10.5%
합헌 연합당30+3016.3%
합계183–56100.0%



186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는 공화당이 108석을 얻어 다수당 지위를 유지했지만, 이전 선거에 비해 8석이 감소했다. 민주당은 44석으로 39석이 감소했고, 합헌 연합당은 30석을 얻어 새롭게 의회에 진출했다. 무소속 민주당 의원은 1명이 있었다.

당시 남부 주들의 연방 탈퇴 움직임으로 인해, 탈퇴 주 출신 하원 의원들은 대부분 민주당 소속이었다. 이들의 사퇴는 공화당의 하원 장악력을 강화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일부 탈퇴 주에서는 연방 선거를 실시했지만, 당선된 하원 의원들이 임기를 시작하기 전에 주가 연방을 탈퇴했다. 다른 탈퇴 주에서는 연방 선거를 실시하지 않았다.

3. 2. 주별 선거 결과

의석민주당공화당연합기타의석변동의석변동의석변동의석변동캔자스전 주1859년 12월 1일10
유지
1
증가
100오리건전 주1860년 6월 4일11000아칸소선거구1860년 8월 6일22000미주리선거구1860년 8월 6일75
감소
11 11 10 1[2]버몬트선거구1860년 9월 4일30300메인선거구1860년 9월 10일60600플로리다전 주1860년 10월 1일11000사우스캐롤라이나선거구1860년 10월 8–9일66000인디애나선거구1860년 10월 9일114700아이오와선거구1860년 10월 9일20200오하이오선거구1860년 10월 9일218 213 200펜실베이니아선거구1860년 10월 9일256 119 100델라웨어전 주1860년 11월 6일
(선거일)10 101 10일리노이선거구95400매사추세츠선거구11010 11 10미시간선거구40 14 100미네소타전 주20200뉴저지선거구53 12 100뉴욕선거구3310 323 300위스콘신선거구30 13 100후기 선거 (1861년 3월 4일 임기 시작 이후)뉴햄프셔선거구1861년 3월 12일30300코네티컷선거구1861년 4월 1일42 22 200켄터키선거구1861년 6월 20일101 509 50메릴랜드선거구1861년 6월 13일63 303 30테네시선거구1861년 8월 1일103 303 34버지니아선거구1861년 10월 24일136 606 61루이지애나선거구1862년 12월 3일44 400 20캘리포니아전 주1861년 9월 4일22 20 300



각 주별 상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뉴잉글랜드 지역

뉴잉글랜드 지역에서는 공화당이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뉴잉글랜드 지역
총 의석공화당민주당연합기타
코네티컷42200
메인66000
매사추세츠1110010
뉴햄프셔33000
로드아일랜드20020
버몬트33000
총계2924230



; 북중부 지역

북중부 지역에서는 뉴욕주에서 민주당이 약진했으나, 뉴저지주에서는 공화당이 의석을 유지했다.

북중부 지역
총 의석공화당민주당기타
뉴저지5230
뉴욕3323100
총계3825130



; 국경 북부 지역

국경 북부 지역에서는 오하이오주와 펜실베이니아주에서 민주당이 의석을 늘렸으나, 공화당이 여전히 다수를 차지했다.

국경 북부 지역
총 의석공화당민주당기타
인디애나11740
미시간4400
오하이오211380
펜실베이니아251960
위스콘신3300
총계6446180



; 국경 남부 및 중부 남부 지역

국경 남부 및 중부 남부 지역에서는 연방 탈퇴와 남북 전쟁의 영향으로 선거 결과가 복잡하게 나타났다.

국경 남부 및 중부 남부 지역
총 의석민주당공화당연합기타
델라웨어10010
켄터키100091
메릴랜드60060
미주리75110
테네시100037
버지니아130067
총계47512615



; 미시시피강 서부 지역

미시시피강 서부 지역에서는 공화당이 캘리포니아와 미네소타에서 승리했다.

미시시피강 서부 지역
총 의석공화당민주당기타
캘리포니아3300
미네소타2200
오리건1010
총계6510



; 의원 공석 주

앨라배마, 조지아, 루이지애나, 미시시피, 노스캐롤라이나, 사우스캐롤라이나, 텍사스는 연방 탈퇴로 인해 하원 의원을 선출하지 않았다.

3. 2. 1. 뉴잉글랜드 지역

186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의 뉴잉글랜드 지역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코네티컷주코네티컷주는 1861년 4월 1일에 하원의원을 선출했다.

선거구후보자정당득표율
제1선거구드와이트 루미스공화당50.3%
제2선거구제임스 E. 잉글리시민주당52.3%
제3선거구알프레드 A. 번햄공화당57.2%
제4선거구조지 C. 우드러프민주당50.2%

[13]
메인주메인주는 1860년 9월 10일에 하원의원을 선출했다.

선거구후보자정당득표율
제1선거구존 N. 굿윈공화당53.00%
제2선거구찰스 W. 월턴공화당55.68%
제3선거구새뮤얼 C. 페센덴공화당52.54%
제4선거구앤슨 모릴공화당61.59%
제5선거구존 H. 라이스공화당59.76%
제6선거구프레더릭 A. 파이크공화당54.27%


매사추세츠주매사추세츠주는 1860년 11월 6일에 하원의원을 선출했다.

선거구후보자정당득표율
제1선거구토머스 D. 엘리엇공화당72.52%
제2선거구제임스 버피턴공화당68.40%
제3선거구찰스 프랜시스 애덤스 시니어공화당58.57%
제4선거구알렉산더 H. 라이스공화당52.32%
제5선거구윌리엄 애플턴입헌연합당50.82%
제6선거구존 B. 앨리공화당63.07%
제7선거구대니얼 W. 구치공화당60.48%
제8선거구찰스 R. 트레인공화당64.88%
제9선거구골드스미스 베일리공화당54.74%
제10선거구찰스 델라노공화당75.39%
제11선거구헨리 L. 도스공화당67.71%


뉴햄프셔주뉴햄프셔주는 1861년 3월 12일에 하원의원을 선출했다.

선거구후보자정당득표율
제1선거구길먼 마스턴공화당52.86%
제2선거구에드워드 H. 롤린스공화당52.36%
제3선거구토머스 M. 에드워즈공화당54.23%


로드아일랜드주로드아일랜드주는 1861년 4월 3일에 하원의원을 선출했다.

선거구후보자정당득표율
제1선거구윌리엄 P. 셰필드연합당51.25%
제2선거구조지 H. 브라운연합당53.52%


버몬트주버몬트주는 1860년 9월 4일에 하원의원을 선출했다.

선거구후보자정당득표율
제1선거구E. P. 윌턴공화당73.6%
제2선거구저스틴 S. 모릴공화당74.6%
제3선거구포터스 벅스터공화당71.6%

[21]

3. 2. 2. 북중부 지역

186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 뉴저지뉴욕의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뉴저지에서는 1860년 11월 6일 선거일에 하원의원을 선출했다.

뉴저지
선거구현직 의원정당첫 당선결과후보
뉴저지 1존 T. 닉슨공화당1858재선
뉴저지 2존 L. N. 스트래튼공화당1858재선
뉴저지 3가넷 아드레인반-레콤턴 민주당1856은퇴, 민주당 유지
뉴저지 4제터 R. 릭스반-레콤턴 민주당1858은퇴, 민주당 유지
뉴저지 5윌리엄 페닝턴공화당1858낙선, 민주당 획득



뉴욕에서는 1860년 11월 6일 선거일에 하원의원을 선출했다.

뉴욕
선거구현직 의원정당첫 당선결과후보
뉴욕 1루터 C. 카터공화당1858낙선, 민주당 획득
뉴욕 2제임스 험프리공화당1858낙선, 민주당 획득
뉴욕 3다니엘 시클스민주당1856은퇴, 민주당 유지
뉴욕 4토마스 J. 바무소속 민주당1858은퇴, 무소속 민주당 유지
뉴욕 5윌리엄 B. 맥레이민주당1856은퇴, 공화당 획득
뉴욕 6존 코크레인민주당1856재지명 실패, 공화당 획득
뉴욕 7조지 브리그스공화당1858은퇴, 민주당 획득
뉴욕 8호레이스 F. 클라크반 리컴턴 민주당1856은퇴, 민주당 유지
뉴욕 9존 B. 해스킨반 리컴턴 민주당1856은퇴, 민주당 유지
뉴욕 10찰스 반 위크공화당1858재선
뉴욕 11윌리엄 S. 케니언공화당1858은퇴, 민주당 획득
뉴욕 12찰스 루이스 빌공화당1858은퇴, 공화당 유지
뉴욕 13에이브럼 B. 올린공화당1856재선
뉴욕 14존 H. 레이놀즈반 리컴턴 민주당1858은퇴, 민주당 유지
뉴욕 15제임스 B. 맥키언공화당1858재선
뉴욕 16조지 W. 파머공화당1856은퇴, 공화당 유지
뉴욕 17프랜시스 E. 스피너공화당1854은퇴, 공화당 유지
뉴욕 18클라크 B. 코크레인공화당1856은퇴, 민주당 획득
뉴욕 19제임스 H. 그레이엄공화당1858은퇴, 공화당 유지
뉴욕 20로스코 콩클링공화당1858재선
뉴욕 21R. 홀랜드 듀엘공화당1858재선
뉴욕 22M. 린들리 리공화당1858은퇴, 공화당 유지
뉴욕 23찰스 B. 호드공화당1856은퇴, 공화당 유지
뉴욕 24찰스 B. 세지윅공화당1858재선
뉴욕 25마틴 버터필드공화당1858은퇴, 공화당 유지
뉴욕 26에모리 B. 포틀공화당1856은퇴, 공화당 유지
뉴욕 27앨프레드 웰스공화당1858은퇴, 공화당 유지
뉴욕 28윌리엄 어바인공화당1858은퇴, 공화당 유지
뉴욕 29앨프레드 엘리공화당1858재선
뉴욕 30어거스터스 프랭크공화당1858재선
뉴욕 31에드윈 R. 레이놀즈공화당1860은퇴, 공화당 유지
뉴욕 32엘브리지 G. 스폴딩공화당1858재선
뉴욕 33르우벤 펜턴공화당1856재선


3. 2. 3. 국경 북부 지역

인디애나주에서는 1860년 10월 9일에 하원의원 선거를 실시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디애나주 하원의원 선거 결과 (1860년 10월 9일)
선거구현직 의원정당결과당선자
1구윌리엄 E. 니블랙민주당불출마, 민주당 유지존 로 (민주당)
2구윌리엄 H. 잉글리시민주당불출마, 민주당 유지제임스 A. 크레이븐스 (민주당)
3구윌리엄 M. 던공화당재선윌리엄 M. 던 (공화당)
4구윌리엄 S. 홀먼민주당재선윌리엄 S. 홀먼 (민주당)
5구데이비드 킬고어공화당불출마, 공화당 유지조지 W. 줄리안 (공화당)
6구앨버트 G. 포터공화당재선앨버트 G. 포터 (공화당)
7구존 G. 데이비스반(反)레콤프턴 민주당불출마, 민주당 유지다니엘 W. 부어히스 (민주당)
8구제임스 윌슨공화당불출마, 공화당 유지앨버트 S. 화이트 (공화당)
9구스카일러 콜팩스공화당재선스카일러 콜팩스 (공화당)
10구찰스 케이스공화당불출마, 공화당 유지윌리엄 미첼 (공화당)
11구존 U. 페티트공화당불출마, 공화당 유지존 P. C. 섕크스 (공화당)



미시간주에서는 1860년 11월 6일에 하원의원 선거를 실시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시간주 하원의원 선거 결과 (1860년 11월 6일)
선거구현직 의원정당결과당선자
1구윌리엄 A. 하워드공화당은퇴, 공화당 유지브래들리 F. 그레인저 (공화당)
2구헨리 월드론공화당은퇴, 공화당 유지페르난도 C. 비먼 (공화당)
3구프랜시스 W. 켈로그공화당재선프랜시스 W. 켈로그 (공화당)
4구드윗 C. 리치공화당은퇴, 공화당 유지롤랜드 E. 트로브리지 (공화당)



오하이오주에서는 하원의원 선거를 실시했다.[19]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오하이오주 하원의원 선거 결과
선거구현직 의원정당결과당선자
1구조지 H. 펜들턴민주당재선조지 H. 펜들턴 (민주당)
2구존 A. 걸리공화당재선존 A. 걸리 (공화당)
3구클레멘트 밸랜디엄민주당재선클레멘트 밸랜디엄 (민주당)
4구윌리엄 앨런민주당재선윌리엄 앨런 (민주당)
5구제임스 M. 애슐리공화당재선제임스 M. 애슐리 (공화당)
6구윌리엄 하워드민주당은퇴, 민주당 유지칠턴 A. 화이트 (민주당)
7구토머스 코윈공화당재선토머스 코윈 (공화당)
8구벤자민 스탠턴공화당은퇴, 공화당 유지새뮤얼 셸라바거 (공화당)
9구존 케리공화당낙선, 민주당 획득워런 P. 노블 (민주당)
10구캐리 A. 트림블공화당재선캐리 트림블 (공화당)
11구찰스 D. 마틴민주당낙선, 공화당 획득밸런타인 B. 호턴 (공화당)
12구새뮤얼 S. 콕스민주당재선새뮤얼 S. 콕스 (민주당)
13구존 셔먼공화당재선존 셔먼 (공화당)
14구해리슨 G. O. 블레이크공화당재선해리슨 G. O. 블레이크 (공화당)
15구윌리엄 헬믹공화당낙선, 민주당 획득로버트 H. 누겐 (민주당)
16구시드너 B. 톰킨스공화당재지명 실패, 공화당 유지윌리엄 P. 커틀러 (공화당)
17구토머스 C. 시커공화당낙선, 민주당 획득제임스 R. 모리스 (민주당)
18구시드니 에저턴공화당재선시드니 에저턴 (공화당)
19구에드워드 웨이드공화당은퇴, 공화당 유지앨버트 G. 리들 (공화당)
20구존 허친스공화당재선존 허친스 (공화당)
21구존 A. 빙엄공화당재선존 A. 빙엄 (공화당)



펜실베이니아주에서는 1860년 10월 9일에 하원의원 선거를 실시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펜실베이니아주 하원의원 선거 결과 (1860년 10월 9일)
선거구현직 의원정당결과당선자
1구토머스 B. 플로렌스민주당불출마, 민주당 유지윌리엄 E. 리먼 (민주당)
2구에드워드 J. 모리스공화당재선에드워드 J. 모리스 (공화당)
3구존 P. 버리공화당재선존 P. 버리 (공화당)
4구윌리엄 밀워드공화당불출마, 공화당 유지윌리엄 D. 켈리 (공화당)
5구존 우드공화당불출마, 공화당 유지윌리엄 M. 데이비스 (공화당)
6구존 히크먼민주당공화당으로 변경, 재선존 히크먼 (공화당)
7구헨리 클레이 롱네커공화당낙선, 민주당 획득토머스 부케처 쿠퍼 (민주당)
8구제이콥 K. 맥켄티민주당불출마, 민주당 유지시드넘 E. 안코나 (민주당)
9구태디어스 스티븐스공화당재선태디어스 스티븐스 (공화당)
10구존 W. 킬링거공화당재선존 W. 킬링거 (공화당)
11구제임스 H. 캠벨공화당재선제임스 H. 캠벨 (공화당)
12구조지 W. 스크랜턴공화당재선조지 W. 스크랜턴 (공화당)
13구윌리엄 H. 디미크민주당불출마, 민주당 유지필립 존슨 (민주당)
14구갈루샤 A. 그로우공화당재선갈루샤 A. 그로우 (공화당)
15구제임스 T. 헤일공화당재선제임스 T. 헤일 (공화당)
16구벤자민 F. 정킨공화당낙선, 민주당 획득조셉 베일리 (민주당)
17구에드워드 맥퍼슨공화당재선에드워드 맥퍼슨 (공화당)
18구새뮤얼 S. 블레어공화당재선새뮤얼 S. 블레어 (공화당)
19구존 코보드공화당재선존 코보드 (공화당)
20구윌리엄 몽고메리민주당불출마, 민주당 유지제시 라저 (민주당)
21구제임스 K. 무어헤드공화당재선제임스 K. 무어헤드 (공화당)
22구로버트 맥나이트공화당재선로버트 맥나이트 (공화당)
23구윌리엄 스튜어트공화당불출마, 공화당 유지존 W. 윌리스 (공화당)
24구채핀 홀공화당불출마, 공화당 유지존 패튼 (공화당)
25구엘리야 바비트공화당재선엘리야 바비트 (공화당)



위스콘신주에서는 1860년 11월 6일에 하원의원 선거를 실시했다.[22]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위스콘신주 하원의원 선거 결과 (1860년 11월 6일)
선거구현직 의원정당결과당선자
1구존 F. 포터공화당재선존 F. 포터 (공화당)
2구캐드월래더 C. 워시번공화당사퇴, 공화당 유지루터 핸체트 (공화당)
3구찰스 H. 라라비민주당낙선, 공화당 획득A. 스콧 슬론 (공화당)


3. 2. 4. 국경 남부 및 중부 남부 지역

186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국경 남부 및 중부 남부 지역
선거일결과 요약
델라웨어주1860년 11월 6일국민당(연합) 1석 획득.
켄터키주1861년 6월 20일연방당 9석 획득, 남부 권리당 1석 획득.
메릴랜드주1861년 6월 13일연합당 6석 획득.
미주리주1860년 9월 10일민주당 4석, 공화당 1석, 헌법 연합당 1석 획득, 현직 유지 1석.
테네시주1861년 8월 1일연방당 4석 획득, 남부 연합 의회 의원 3명 선출, 3개 선거구는 결과 없음.
버지니아주1861년 10월 24일연합당 6석 획득, 7개 선거구는 결과 없음.



; 델라웨어주

조지 P. 피셔 (국민당)가 48.3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벤자민 T. 빅스 (브레킨리지 민주당)는 46.85%, 일라이어스 리드 (더글라스 민주당)는 4.76%를 득표했다.[14]

; 켄터키주

켄터키주 선거 결과
선거구당선자정당득표율
1헨리 C. 버넷남부 권리59.08%
2제임스 S. 잭슨연방73.4%
3헨리 그리더연방76.95%
4아론 하딩연방80.72%
5찰스 A. 위클리프연방75.14%
6찰스 A. 위클리프연방97.32%
7로버트 몰로리연방79.41%
8존 J. 크리텐덴연방59.18%
9윌리엄 H. 워즈워스연방75.91%
10존 W. 멘지스연방65.18%



1선거구에서는 남부 권리 회의에서 지명된 민주당 하원의원 헨리 C. 버넷이 남부 권리 표로 출마하여 59.08%를 득표하여 당선되었다. 그는 유일하게 분리주의자로 당선되었으며 곧 반역자로 의회에서 추방되었다.[14]

; 메릴랜드주

메릴랜드주 선거 결과
선거구당선자정당득표율
1존 W. 크리스필드연합57.39%
2에드윈 H. 웹스터연합98.63%
3코넬리우스 리어리연합51.95%
4헨리 메이연합과 평화57.55%
5프란시스 토마스연합96.18%
6찰스 B. 캘버트연합50.92%



; 미주리주

미주리주 선거 결과
선거구당선자정당득표율
1프랜시스 프레스턴 블레어 주니어공화당44.11%
2제임스 S. 롤린스헌법 연합50.57%
3존 불록 클라크민주당59.53%
4일라이자 히즈 노턴민주당62.30%
5존 윌리엄 리드민주당52.82%
6존 S. 펠프스민주당48.92%
7존 W. 노엘민주당73.45%



; 테네시주

테네시주는 1861년 8월 1일에 남부 연합 및 연방 의회 의원을 선출했지만, 새로운 의회가 시작된 후에는 테네시주 동부에서만 연방 의원을 선출했다. 1~3 선거구에서는 서로 다른 정부에서 활동하려는 후보자들 간의 경쟁이 있었다. 남부 연합 및 연방 의회 투표는 같은 상자에 넣어 함께 집계되었다. 또한, 같은 선거에서 이들 중 일부 개인에 대한 투표는 미국 의회 후보로서만 실시되었다. 이 투표는 별도로 집계되었다. 각 선거구에서 선두적인 분리주의 후보는 남부 연합 의회에 대한 당선 증서를 받았다.[20]

테네시주 선거 결과 (1~3 선거구)
선거구미 의회 당선자 (득표율)남부 연합 의회 당선자 (득표율)
1토머스 A. R. 넬슨 (연방, 53.86%)조지프 B. 하이셸 (민주당, 39.84%)
토머스 A. R. 넬슨 (연방, 90.66%)(해당 없음)
2호레이스 메이너드 (연방, 59.23%)제임스 T. 실즈 (민주당, 40.77%)
(불완전한 데이터)(불완전한 데이터)
3조지 W. 브리지스 (연방, 52.75%)A. B. 웰커 (민주당, 46.80%)
조지 W. 브리지스 (연방, 100%)(해당 없음)



4선거구에서는 A. J. 클레멘츠가 연방당 후보로 단독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5~10선거구는 결과가 없다.

; 버지니아주

버지니아주 선거 결과
선거구당선자정당비고
1조셉 세가연합당선자는 이후 자격 박탈됨.
7찰스 H. 업턴연합1차 선거(1861년 5월 23일)에서 무투표 당선. 이후 S. 퍼거슨 비치가 2차 선거(1861년 10월 24일)에서 92.62% 득표율로 당선. 두 사람 모두 1862년 2월에 의석을 가질 자격이 없는 것으로 선언됨.
10윌리엄 G. 브라운 시니어연합99.69%
11존 S. 칼라일연합99.28%
12켈리언 왈레이연합자료 불완전



2, 3, 4, 5, 6, 8, 9, 13 선거구는 결과가 없다.

3. 2. 5. 미시시피강 서부 지역

캘리포니아주는 1860년 인구 조사에서 하원 의석 1석을 추가로 얻었다. 캘리포니아는 새 의회가 시작된 후인 1861년 9월 4일에 의원을 선출했다.

최다 득표자 3명이 선출되었지만, 의회 개원 시에는 상위 2명만 자리를 받았다. 이후 의회가 캘리포니아에 3번째 의석을 승인하자, 프레데릭 로가 1862년 6월 3일에 자리에 앉았다.

1860년 캘리포니아주 하원의원 선거 결과
후보정당득표율
티머시 가이 펠프스공화당16%
에런 A. 사전트공화당15.7%
프레데릭 로공화당12.1%
헨리 에저턴연합 민주당11%
조셉 C. 맥키번연합 민주당11%
프랭크 가나흘브레킨리지 민주당9.8%
헨리 P. 바버브레킨리지 민주당9.8%
D. O. 셔터크브레킨리지 민주당7.5%
존 R. 기치엘연합 민주당7%



미네소타는 1860년 11월 6일 선거일에 의원을 선출했다.[1]

1860년 미네소타주 하원의원 선거 결과
후보정당득표율
사이러스 올드리치공화당31.75%
윌리엄 윈덤공화당31.51%
존 M. 길만민주당17.30%
제임스 조지민주당17.24%
알론조 J. 에저턴브레킨리지 민주당1.12%
제임스 W. 테일러브레킨리지 민주당1.09%



오리건주에서는 주 법률이 제대로 정비되지 않아 혼란이 발생했다. 그 결과 1860년에 두 번의 선거가 치러졌다.[2] 6월 4일 선거에서는 조지 K. 쉴이, 11월 6일 선거에서는 앤드루 J. 세이어가 승리했다.[2] 세이어는 1861년 3월 4일에 의석을 차지했지만 쉴은 선거에 이의를 제기했다.[2] 1861년 7월 30일, 하원 선거 위원회는 1863년 3월 3일에 임기가 종료될 때까지 쉴에게 의석을 부여했다.[2] 두 분쟁자는 모두 민주당원이었다.[2]

1860년 오리건주 하원의원 선거 결과
후보정당득표율 (6월 4일)득표율 (11월 6일)
조지 K. 쉴민주당50.29%3.08%
데이비드 로건공화당49.71%-
앤드루 J. 세이어민주당96.44%-
조셉 쇼월터 스미스불명-0.47%


3. 2. 6. 의원 공석 주

앨라배마주는 하원 의원을 선출하지 않았다.

앨라배마주
선거구현직 의원정당처음 선출결과
1제임스 스톨워스민주당18571861년 1월 12일 사퇴. 민주당 패배.
2제임스 L. 푸민주당18591861년 1월 12일 사퇴. 민주당 패배.
3데이비드 클롭턴민주당18591861년 1월 21일 사퇴. 민주당 패배.
4시든햄 무어민주당18571861년 1월 21일 사퇴. 민주당 패배.
5조지 S. 휴스턴민주당18511861년 1월 21일 사퇴. 민주당 패배.
6윌리엄슨 코브민주당18471861년 1월 30일 사퇴. 민주당 패배.
7제이비즈 L. M. 커리민주당18571861년 1월 21일 사퇴. 민주당 패배.



아칸소주는 1860년 8월 6일에 의원을 선출했지만, 선출된 의원들은 주가 이미 탈퇴한 후 소집된 의회에서 자리를 차지할 수 없었다.

아칸소주
선거구현직 의원정당처음 선출결과후보
1토머스 C. 힌드먼민주당1858현직 재선. 이후 공석.
2앨버트 러스트민주당1858현직 은퇴. 무소속 획득. 이후 공석.



플로리다는 1860년 10월 1일에 의원을 선출했다. 힐튼은 주가 이미 탈퇴한 후 소집된 의회에서 의석을 차지하지 못했다.

플로리다주
선거구현직 의원정당처음 선출결과후보
AL조지 S. 호킨스민주당1856현직 은퇴. 민주당 유지. 이후 의석 공석.



조지아는 하원 의원을 선출하지 않았다.

조지아주
선거구현직 의원정당처음 선출결과
1피터 E. 러브민주당18591861년 1월 23일 사임. 민주당 패배.
2마틴 J. 크로포드민주당18551861년 1월 23일 사퇴. 민주당 패배.
3토머스 하데먼 주니어반대18591861년 1월 23일 사퇴. 반대 패배.
4루시우스 J. 가트렐민주당18571861년 1월 23일 사임. 민주당 패배.
5존 W. H. 언더우드민주당18591861년 1월 23일 사퇴. 민주당 패배.
6제임스 잭슨민주당18571861년 1월 23일 사임. 민주당 패배.
7조슈아 힐노우 나싱18571861년 1월 23일 사퇴. 노우 나싱 패배.
8존 J. 존스민주당18571861년 1월 23일 사퇴. 민주당 패배.



루이지애나주는 남북 전쟁 중 연방에서 탈퇴했지만, 연방 정부의 통제를 받는 주의 일부 지역에서 1862년 12월 3일에 1, 2 선거구를 대상으로 선거가 치러졌다.[15] 해당 의석은 제36대 의회 종료 이후 공석이었지만, 플랜더스와 한은 임기 종료 15일 전인 1863년 2월 17일에야 의석을 얻었다.[16][17]

루이지애나주
선거구현직 의원정당처음 선출결과후보
1존 에드워드 불리니무소속1859루이지애나주의 연방 탈퇴로 인해 제36대 의회 말에 의석 만료. 연합 획득.
2마일스 테일러민주당1855루이지애나주의 연방 탈퇴로 인해 제36대 의회 말에 의석 만료. 연합 획득.
3토머스 G. 데이비슨민주당1855의원 미선출. 민주당 손실.없음.
4존 M. 랜드럼민주당1859현직 은퇴. 민주당 손실.없음.



미시시피 주는 1861년 1월 9일에 탈퇴했으며, 제37대 의회 의원을 선출하지 않았다.

미시시피주
선거구현직 의원정당처음 선출결과
1루시우스 Q. C. 라마민주당18571860년 12월 은퇴. 민주당 패배.
2러번 데이비스민주당18571861년 1월 12일 사퇴. 민주당 패배.
3윌리엄 바크스데일민주당18551861년 1월 12일 사퇴. 민주당 패배.
4오토 R. 싱글턴민주당18571861년 1월 12일 사퇴. 민주당 패배.
5존 J. 맥레이민주당18581861년 1월 12일 사퇴. 민주당 패배.



노스캐롤라이나는 1861년 5월 20일에 탈퇴하여 제37대 국회의원을 선출하지 않았다.

노스캐롤라이나주
선거구현직 의원정당처음 선출결과
1윌리엄 N. H. 스미스야당1859현직 불출마. 야당 패배.
2토머스 H. 러핀민주당1853현직 불출마. 민주당 패배.
3워런 윈슬로민주당1855현직 불출마. 민주당 패배.
4로렌스 O'브라이언 브랜치민주당1855현직 불출마. 민주당 패배.
5존 A. 길머야당1857현직 불출마. 야당 패배.
6제임스 M. 리치야당1859현직 불출마. 야당 패배.
7F. 버튼 크레이그민주당1853현직 불출마. 민주당 패배.
8제불론 밴스민주당1858현직 불출마. 민주당 패배.



사우스캐롤라이나는 1860년 10월 8일부터 9일까지 하원 의원을 선출했다.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선거구현직 의원정당처음 선출결과후보
1존 맥퀸민주당1844현직 재선. 이후 공석.
2윌리엄 P. 마일스민주당1856현직 재선. 이후 공석.
3로렌스 M. 키트민주당1853현직 은퇴. 민주당 유지. 이후 공석.
4밀레지 L. 보넘민주당1858현직 재선. 이후 공석.
5존 D. 애슈모어민주당1858현직 재선. 이후 공석.
6윌리엄 W. 보이스민주당1853현직 재선. 이후 공석.



텍사스는 1861년 2월 1일에 탈퇴하여 제37대 의회 의원을 선출하지 않았다.

텍사스주
선거구현직 의원정당처음 선출결과
1존 H. 레이건민주당18591861년 1월 15일 사임. 민주당 패배.
2앤드루 J. 해밀턴무소속 민주당1859현직 의원 은퇴. 무소속 민주당 패배.


4. 주요 선거 결과 상세 분석

186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의 주요 주별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 선거 결과는 남북 전쟁 직전의 복잡한 정치 상황을 반영한다. 공화당은 노예제 반대 여론에 힘입어 북부 주에서 강세를 보였고, 민주당은 노예제 문제로 인해 분열되어 여러 주에서 의석을 잃었다. 특히, 입헌통일당과 같은 제3당의 등장도 주목할 만하다.

뉴욕 주의 경우, 하위 섹션에서 상세히 다루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간략하게 요약만 제시한다.
뉴욕 주: 민주당과 공화당이 의석을 주고받는 접전이 벌어졌다. 민주당은 1, 2, 7, 11, 18 선거구에서 승리했고, 공화당은 5, 6 선거구에서 승리했다.

4. 1. 캘리포니아 주 선거

캘리포니아 주는 1860년 인구 조사 결과에 따라 연방 하원 의석 1석을 추가로 얻게 되었다. 1861년 9월 4일에 치러진 선거에서는 최다 득표자 3명을 선출했지만, 의회 개원 시에는 상위 2명만 자리를 배정받았다. 이후 의회가 캘리포니아에 3번째 의석을 승인하면서, 1862년 6월 3일에 프레데릭 로가 추가로 의석을 확보했다.

현직정당처음 선출결과후보
존 C. 버치민주당1859년현직 은퇴.
공화당 획득.
rowspan=3 |
찰스 L. 스콧민주당1856년현직 은퇴.
공화당 획득.
없음 (새 의석)새 의석.
공화당 획득.



이 선거에서 공화당은 캘리포니아 주의 모든 의석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당시 캘리포니아 주에서 공화당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4. 2. 뉴욕 주 선거

민주당 획득.2제임스 험프리공화당1858현직자 재선 실패.
민주당 획득.3다니엘 시클스민주당1856현직자 은퇴.
민주당 유지.4토마스 J. 바무소속
민주당1858현직자 은퇴.
무소속 민주당 유지.5윌리엄 B. 맥레이민주당1856현직자 은퇴.
공화당 획득.6존 코크레인민주당1856현직자 재지명 실패.
공화당 획득.7조지 브리그스공화당1858현직자 은퇴.
민주당 획득.8호레이스 F. 클라크반 리컴턴
민주당1856현직자 은퇴.
민주당 유지.9존 B. 해스킨반 리컴턴
민주당1856현직자 은퇴.
민주당 유지.10찰스 반 위크공화당1858현직자 재선.11윌리엄 S. 케니언공화당1858현직자 은퇴.
민주당 획득.12찰스 루이스 빌공화당1858현직자 은퇴.
공화당 유지.13에이브럼 B. 올린공화당1856현직자 재선.14존 H. 레이놀즈반 리컴턴
민주당1858현직자 은퇴.
민주당 유지.15제임스 B. 맥키언공화당1858현직자 재선.16조지 W. 파머공화당1856현직자 은퇴.
공화당 유지.17프랜시스 E. 스피너공화당1854현직자 은퇴.
공화당 유지.18클라크 B. 코크레인공화당1856현직자 은퇴.
민주당 획득.19제임스 H. 그레이엄공화당1858현직자 은퇴.
공화당 유지.20로스코 콩클링공화당1858현직자 재선.21R. 홀랜드 듀엘공화당1858현직자 재선.22M. 린들리 리공화당1858현직자 은퇴.
공화당 유지.23찰스 B. 호드공화당1856현직자 은퇴.
공화당 유지.24찰스 B. 세지윅공화당1858현직자 재선.25마틴 버터필드공화당1858현직자 은퇴.
공화당 유지.26에모리 B. 포틀공화당1856현직자 은퇴.
공화당 유지.27앨프레드 웰스공화당1858현직자 은퇴.
공화당 유지.28윌리엄 어바인공화당1858현직자 은퇴.
공화당 유지.29앨프레드 엘리공화당1858현직자 재선.30어거스터스 프랭크공화당1858현직자 재선.31에드윈 R. 레이놀즈공화당1860현직자 은퇴.
공화당 유지.32엘브리지 G. 스폴딩공화당1858현직자 재선.33르우벤 펜턴공화당1856현직자 재선.



이번 선거에서 주목할 만한 점은 민주당의 분열과 공화당의 약진이다. 특히, 뉴욕 1, 2, 7, 11, 18 선거구에서 민주당이 승리하며 의석을 확보했고, 뉴욕 5, 6 선거구에서는 공화당이 승리했다. 이는 당시 전국적인 정치 지형 변화와 맞물려, 민주당의 분열과 공화당의 세력 확장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평가된다.

5. 특별 선거

1860년부터 1861년까지 제36대 미국 연방 의회와 제37대 미국 연방 의회에서 특별 선거가 치러졌다.

캘리포니아는 제37대 의회에 한 자리가 추가로 배분되어 총 의석수가 239석으로 늘어났다.[2]

분리주의 주 출신의 하원 의원들은 압도적으로 민주당원이었다. 이들의 사퇴는 공화당의 하원 장악력을 높였다. 일부 분리주의 주에서는 연방 선거를 실시했지만, 선출된 하원 의원들이 임기를 시작하기 전에 분리되었다. 다른 분리주의 주에서는 연방 선거를 실시하지 않았다.

하위 섹션에 36대 및 37대 의회 특별 선거 결과가 자세히 표로 정리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간략하게 요약만 제시한다.


  • 36대 의회 특별 선거: 현직 의원들의 사망, 사임, 또는 다른 직책으로의 이동으로 인해 발생했다. 미주리 1구, 펜실베이니아 8구, 메인 5구, 뉴욕 31구 등에서 특별 선거가 치러졌다.
  • 37대 의회 특별 선거: 오하이오 7구, 오하이오 13구, 매사추세츠 3구 등에서 특별 선거가 치러졌다.


이러한 특별 선거들은 당시의 정치적 상황과 맞물려, 미국 남북 전쟁 발발 직전의 긴장된 분위기를 반영하고 있다. 특히, 일부 선거에서는 연합당이 승리하는 등, 남북 전쟁 시기 정당 구도의 변화를 엿볼 수 있다.

5. 1. 36대 의회 특별 선거

1858 (낙선)
1860 (이의 제기)프랜시스 프레스턴 블레어 주니어 의원이 1860년 6월 25일 사임.
1860년 10월 3일 특별 선거
민주당 획득.
당선자는 다음 임기 선거에서 낙선.펜실베이니아 8구반-리콤프턴
민주당1858존 슈워츠 의원이 1860년 6월 20일 사망.
1860년 10월 9일 특별 선거.
민주당 유지.
당선자는 다음 임기 선거에 불출마.메인 5구공화당1850이스라엘 워시번 주니어 의원이 1861년 1월 1일 메인 주지사가 되기 위해 사임.
1860년 11월 6일 특별 선거.
공화당 유지.
당선자는 다음 임기 선거에 불출마.뉴욕 31구공화당1856실라스 M. 버로우스 의원이 1860년 6월 3일 사망.
1860년 11월 6일 특별 선거.
공화당 유지.오하이오 7구공화당1858토머스 코윈 의원이 1861년 3월 12일 미국 멕시코 주재 공사가 되기 위해 사임.
1861년 5월 28일 특별 선거
연합당 승리.오하이오 13구공화당1854존 셔먼 의원이 1861년 3월 21일 미국 상원 의원이 되기 위해 사임.
1861년 10월 8일 특별 선거
공화당 유지.매사추세츠 3구공화당1858찰스 F. 아담스 시니어 의원이 1861년 5월 1일 주 영국 대사가 되기 위해 사임.
1861년 11월 5일 특별 선거
연합당 승리.펜실베이니아 12구공화당1858조지 W. 스크랜턴 의원이 1861년 3월 24일 사망.
1861년 6월 21일 특별 선거
민주당 승리.펜실베이니아 2구공화당1856에드워드 조이 모리스 의원이 1861년 6월 8일 오스만 제국 주재 미국 공사가 되기 위해 사임.
1861년 10월 8일 특별 선거
민주당 승리.아이오와 1구공화당1856새뮤얼 커티스 의원이 1861년 8월 4일 제2 아이오와 보병대 대령이 되기 위해 사임.
1861년 10월 8일 특별 선거
공화당 유지.버지니아 11구연합당1859존 S. 칼라일 의원이 1861년 7월 9일 사임하여 버지니아의 친연방 세력에서 미국 상원 의원이 됨.
1861년 10월 24일 특별 선거
연합당 유지.매사추세츠 5구입헌연합당1850
1854 (낙선)
1860윌리엄 애플턴 의원이 1861년 9월 27일 건강 악화로 사임.
1861년 11월 5일 특별 선거
공화당 승리.일리노이 6구민주당1859 (보궐)존 A. 맥클러난드 의원이 1861년 10월 28일 남북 전쟁 참전을 위해 의용군 준장으로 임명되어 사임.
1861년 12월 12일 특별 선거
민주당 유지.



이러한 특별 선거들은 당시의 정치적 상황과 맞물려, 미국 남북 전쟁 발발 직전의 긴장된 분위기를 반영하고 있다. 특히, 일부 선거에서는 연합당이 승리하는 등, 남북 전쟁 시기 정당 구도의 변화를 엿볼 수 있다.

5. 2. 37대 의회 특별 선거

1858년 (낙선)
1860년 (이의 제기)현직자가 1860년 6월 25일 사임.
새로운 의원은 1860년 10월 3일 선출.
민주당 획득.
당선자는 다음 임기 선거에서 낙선.펜실베이니아 8구존 슈워츠반-리콤프턴
민주당1858년현직자가 1860년 6월 20일에 사망.
새로운 의원은 1860년 10월 9일 선출.
민주당 유지.
당선자는 다음 임기 선거에 후보로 출마하지 않았음.메인 5구이스라엘 워시번 주니어공화당1850년현직자가 1861년 1월 1일 메인 주지사가 되기 위해 사임.
새로운 의원은 1860년 11월 6일 선출.
공화당 유지.
당선자는 다음 임기 선거에 후보로 출마하지 않았음.뉴욕 31구실라스 M. 버로우스공화당1856년현직자가 1860년 6월 3일에 사망.
새로운 의원은 1860년 11월 6일 선출.
공화당 유지.오하이오 7구토머스 코윈공화당1858년현직자는 1861년 3월 12일 사임하여 미국 멕시코 주재 공사가 됨.
신임 의원은 1861년 5월 28일 선출되어 1861년 7월 4일 취임.
연합당 승리.오하이오 13구존 셔먼공화당1854년현직자는 1861년 3월 12일 사임하여 미국 상원이 됨.
신임 의원은 1861년 5월 28일 선출되어 1861년 7월 4일 취임.
공화당 유지.매사추세츠 3구찰스 F. 아담스 시니어공화당1858년현직자는 1861년 5월 1일 사임하여 주 영국 대사가 됨.
신임 의원은 1861년 6월 11일 선출.
연합당 승리.펜실베이니아 12구조지 W. 스크랜턴공화당1858년현직자는 1861년 3월 24일 사망.
신임 의원은 1861년 6월 21일 선출되어 1861년 7월 4일 취임.
민주당 승리.펜실베이니아 2구에드워드 조이 모리스공화당1856년현직자는 1861년 6월 8일 사임하여 오스만 제국 주재 미국 공사가 됨.
신임 의원은 1861년 6월 21일 선출되어 1861년 7월 2일 취임.
민주당 승리.아이오와 1구새뮤얼 커티스공화당1856년현직자는 1861년 8월 4일 사임하여 제2 아이오와 보병대 대령이 됨.
신임 의원은 1861년 10월 8일 선출.
공화당 유지.버지니아 11구존 S. 칼라일연합당1859년현직자는 1861년 7월 9일 사임하여 버지니아의 친연방 세력에서 미국 상원의원이 됨.
신임 의원은 1861년 10월 24일 선출되어 1861년 12월 2일 취임.
연합당 유지.매사추세츠 5구윌리엄 애플턴입헌
연합1850년
1854년 (낙선)
1860년현직자는 1861년 9월 27일 건강 악화로 사임.
신임 의원은 1861년 11월 5일 선출되어 1861년 12월 2일 취임.
공화당 승리.일리노이 6구존 A. 맥클러난드민주당1859년 (보궐)현직자는 1861년 10월 28일 남북 전쟁 참전을 위해 의용군 준장으로 임명되어 사임.
신임 의원은 1861년 12월 12일 선출.
민주당 유지.


6. 분리주의 운동의 영향

186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 남부 주들의 연방 탈퇴는 의회 구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민주당 소속이 다수였던 남부 출신 하원 의원들의 사퇴로, 공화당의 하원 장악력이 강화되었다.[2] 일부 남부 주에서는 연방 선거를 실시했지만, 당선된 의원들이 임기를 시작하기 전에 주가 연방에서 탈퇴했다. 다른 남부 주에서는 아예 연방 선거를 실시하지 않았다.

이러한 변화로, 1861년 7월 4일에 소집된 제37대 의회에서 공화당은 하원을 장악하게 되었다.

정당별 의석수
민주당기타공화당연합당
44석1석108석30석


6. 1. 남부 주의 탈퇴와 의회 구성 변화

1860년 12월 20일 사우스캐롤라이나가 연방 탈퇴를 선언한 이후, 대부분 민주당 소속이었던 많은 남부 하원 의원들이 의석을 포기했다.[15] 1872년 이전에는 주마다 선거 시기가 달랐는데, 제37대 의회 선거는 1860년 8월 6일 아칸소와 미주리에서 시작되어 1년 후인 1861년 9월 4일 캘리포니아에서 마지막으로 치러졌다. 아칸소, 플로리다, 사우스캐롤라이나 등 3개 남부 주는 대통령 선거 이전에 대표를 선출하여 7명의 민주당원과 2명의 무소속 의원을 선출했다. 이들은 제37대 의회에서 탈퇴한 주에서 치러진 유일한 하원 선거였다. 사우스캐롤라이나가 연방 탈퇴를 결정하고 미국 남부 연합이 형성된 후, 다른 남부 주들도 탈퇴를 선언하고 미국 의회 대신 남부 연합 의회에 대표를 선출했다.

선거를 치르지 않은 주에는 민주당 지지세가 강한 지역구가 많았기 때문에, 이전 제36대 미국 의회에서 이들 주의 대표는 총 46명의 민주당원, 14명의 반대파, 5명의 무소속, 그리고 1명의 미국당 당원을 포함했다. 그 결과 1861년 7월 4일(당시 평소보다 5개월 빠른 시기) 의회가 소집되었을 때 민주당 하원 의원 수는 급격히 감소했고, 공화당이 압도적인 다수를 차지하게 되었다.

183석 중 공화당이 102석, 민주당이 45석, 연합당이 23석, 기타 정당이 각각 5석을 차지했다. 캘리포니아는 의회가 소집될 때까지 선거를 치르지 않아 여러 석이 공석이었다.
의회 구성 변화 요약

변화비고
아칸소2석 모두 공석기존 민주당 의원 2명 모두 탈퇴
플로리다1석 공석기존 민주당 의원 1명 탈퇴
조지아8석 모두 공석기존 의원 8명 (민주당 6명, 야당 1명, 노우 나싱 1명) 전원 탈퇴
루이지애나4석 중 2석은 연합당, 2석 공석1, 2 선거구는 연방 통제 하에 선거 실시, 3, 4 선거구는 선거 미실시
미시시피5석 모두 공석기존 민주당 의원 5명 전원 탈퇴
노스캐롤라이나8석 모두 공석기존 의원 8명 (민주당 5명, 야당 3명) 전원 탈퇴
사우스캐롤라이나6석 모두 공석기존 민주당 의원 6명 전원 탈퇴
텍사스2석 모두 공석기존 의원 2명 (민주당 1명, 무소속 민주당 1명) 탈퇴
버지니아13석 중 5석 연합당, 8석 공석연방 잔류 지역에서 선거 실시, 나머지 지역은 탈퇴


7. 의회 시대의 종말

1860년, 에이브러햄 링컨의 대통령 당선은 공화당에게 큰 승리를 안겨주었다. 이와 마찬가지로, 의회 선거에서도 주요 정당의 시대가 바뀌는 큰 변화가 나타났다. 불과 6년 만에, 제35대, 제36대, 제37대 의회를 거치면서 민주당은 몰락하고 공화당이 급부상했다.[5]

1856년 선거에서 민주당은 제임스 뷰캐넌 대통령을 당선시키며 하원과 상원에서 거의 3분의 2의 의석을 차지했다. 그러나 중간 선거에서 상원은 지켰지만, 하원은 4개의 야당이 3분의 2를 차지했다. 1860년 의회 선거는 이러한 상황을 완전히 뒤집어, 공화당과 연합당 후보들이 하원과 상원 모두에서 3분의 2 이상의 의석을 확보했다.[8]

1860년 12월 20일 사우스캐롤라이나의 연방 탈퇴 선언 이후, 남부 주 출신 하원 의원들(대부분 민주당원)은 의석을 포기했다. 1872년 이전에는 주마다 선거 시기가 달랐는데, 제37대 의회 선거는 1860년 8월 6일 아칸소와 미주리에서 시작되어 1861년 9월 4일 캘리포니아에서 마지막으로 치러졌다. 아칸소, 플로리다, 사우스캐롤라이나 등 3개 남부 주는 대통령 선거 전에 대표를 선출하여 7명의 민주당원과 2명의 무소속 의원을 선출했다. 이들은 제37대 의회에서 탈퇴한 주에서 치러진 유일한 하원 선거였다. 사우스캐롤라이나가 연방 탈퇴를 결정하고 미국 남부 연합이 형성된 후, 다른 남부 주들도 탈퇴를 선언하고 미국 의회 대신 남부 연합 의회에 대표를 선출했다.[7]

선거를 치르지 않은 주에는 민주당 지지 기반이 강했기 때문에, 1861년 7월 4일 의회가 소집되었을 때 민주당 하원 의원 수는 급격히 감소했고, 공화당이 압도적인 다수를 차지하게 되었다.[7]

분리주의자들의 탈퇴, 사임, 축출 이후, 민주당은 제37대 의회에서 하원 의석의 25% 미만을 차지하게 되었고, 그나마도 친전쟁 파벌(스티븐 더글러스)과 반전쟁 파벌(클레멘트 밸런디검)로 분열되었다.[9]

캘리포니아는 제37대 의회에 한 자리가 추가로 배분되어 총 의석수가 239석으로 늘어났다.[2]

1857–1863년 미국 의회 정당 변동[4]
의회제35대
(1857–59)
제36대
(1859–61)
제37대
(1861–63)
미국 하원
의석 수 (변동)237 (+3)238 (+1)183 (–55)
공화당90%116%108%
연합당0%0%31%
미국인당14%39% (4분열)0%
민주당133%83%44%
미국 상원
의석 수 (변동)66 (+4)68 (+2)50 (–18)
공화당20%26%31%
연합당0%0%3%
미국인당5%2%0%
민주당41%38%15%


8. 지역별 결과

186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각 지역별로 다른 정치적 특징을 보였다.

정당총 의석변동비율
공화당108–859.0%
민주당44–3924.0%
무소속 민주당10.5%
합헌 연합당30+3016.3%
합계183–56100.0%


8. 1. 뉴잉글랜드 지역

186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 뉴잉글랜드 지역은 공화당이 압도적인 강세를 보였다. 이 지역 6개 주(코네티컷, 메인, 매사추세츠, 뉴햄프셔, 로드아일랜드, 버몬트)의 하원 의석 29석 중 공화당이 24석을 차지했다.[13][21]

뉴잉글랜드는 제조업과 문학, 초월주의 운동, 그리고 노예제 폐지 운동의 중심지로, 지적으로 전국적인 중요성을 가진 지역이었다. 이러한 배경은 공화당의 강세에 영향을 미쳤다.

각 주별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코네티컷: 4석 중 공화당 2석, 민주당 2석을 차지했다. 2개 선거구에서 현직 의원이 재선에 실패하고 민주당 후보가 당선되었다.[13]


코네티컷주 선거 결과[13]
선거구후보자정당득표율
1구드와이트 루미스공화당50.3%
앨번 P. 하이드민주당49.6%
2구제임스 E. 잉글리시민주당52.3%
존 우드러프공화당47.7%
3구알프레드 A. 번햄공화당57.2%
루퍼스 L. 베이커민주당42.8%
4구조지 C. 우드러프민주당50.2%
오리스 S. 페리공화당49.8%


  • 메인: 6석 모두 공화당이 차지했다. 모든 현직 의원이 사퇴하고, 공화당 후보가 당선되었다.[13]


메인주 선거 결과[13]
선거구후보자정당득표율
1구존 N. 굿윈공화당53.00%
토머스 M. 헤이즈민주당46.55%
네이선 웹헌법 연합0.45%
2구찰스 W. 월턴공화당55.68%
캘빈 레코드민주당44.32%
3구새뮤얼 C. 페센덴공화당52.54%
알프레드 W. 존슨민주당47.46%
4구앤슨 모릴공화당61.59%
벤자민 A. 풀러민주당35.24%
조지 C. 겟첼무소속1.49%
바이온 브래드버리무소속0.77%
프리먼 H. 모스무소속0.55%
5구존 H. 라이스공화당59.76%
새뮤얼 H. 블레이크민주당38.74%
에버니저 허친슨헌법 연합당1.04%
6구프레더릭 A. 파이크공화당54.27%
바이온 브래드버리민주당44.72%


  • 매사추세츠: 11석 중 공화당 9석, 입헌 연합당 1석, 무소속 1석을 차지했다. 5구에서는 현직 공화당 의원이 재선에 실패하고 입헌 연합당 후보가 당선되었다.[13]


매사추세츠주 선거 결과[13]
선거구후보자정당득표율
1구토머스 D. 엘리엇공화당72.52%
대니얼 피셔입헌 연합10.47%
모지스 베이츠민주당8.67%
F. E. 샌퍼드브레킨리지 민주당8.34%
2구제임스 버피턴공화당68.40%
알렉산더 롱민주당; 입헌 연합29.85%
3구찰스 프랜시스 애덤스 시니어공화당58.57%
레버렛 살턴스톨민주당41.43%
4구알렉산더 H. 라이스공화당52.32%
에라스투스 B. 비글로우민주당; 입헌 연합; 브레킨리지 민주당47.68%
5구윌리엄 애플턴입헌 연합; 민주당; 브레킨리지 민주당50.82%
앤슨 벌링게임공화당49.18%
6구존 B. 앨리공화당63.07%
오티스 P. 로드입헌 연합16.16%
제퍼슨 나이트민주당14.39%
조지 B. 로링브레킨리지 민주당4.72%
7구대니얼 W. 구치공화당60.48%
찰스 A. 웰치민주당; 입헌 연합35.79%
조지 존슨브레킨리지 민주당3.74%
8구찰스 R. 트레인공화당64.88%
알페우스 R. 브라운민주당16.71%
윈throp E. 포크너입헌 연합15.67%
제임스 C. 애보트브레킨리지 민주당2.74%
9구골드스미스 베일리공화당54.74%
엘리 세이어입헌 연합44.65%
S. W. 스티븐스브레킨리지 민주당0.61%
10구찰스 델라노공화당75.39%
조시아 앨리스민주당19.02%
벤닝 레비트브레킨리지 민주당5.6%
11구헨리 L. 도스공화당67.71%
노먼 T. 레너드민주당28.60%
존 M. 콜브레킨리지 민주당3.69%


  • 뉴햄프셔: 3석 모두 공화당이 차지했다. 2구에서는 현직 의원이 은퇴하고, 공화당 후보가 당선되었다.[13]


뉴햄프셔주 선거 결과[13]
선거구후보자정당득표율
1구길먼 마스턴공화당52.86%
다니엘 마시민주당47.14%
2구에드워드 H. 롤린스공화당52.36%
사무엘 N. 벨민주당47.64%
3구토머스 M. 에드워즈공화당54.23%
윌리엄 번스민주당45.77%


  • 로드아일랜드: 2석 모두 연합당이 차지했다. 현직 공화당 의원 2명이 모두 재선에 실패하고 연합당 후보가 당선되었다.[13]


로드아일랜드주 선거 결과[13]
선거구후보자정당득표율
1구윌리엄 P. 셰필드연합51.25%
크리스토퍼 로빈슨공화당48.75%
2구조지 H. 브라운연합53.52%
윌리엄 D. 브레이튼공화당46.48%


  • 버몬트: 3석 모두 공화당이 차지했다. 3구에서는 현직 의원이 은퇴하고, 공화당 후보가 당선되었다.[21]


버몬트주 선거 결과[21]
선거구후보자정당득표율
1구E. P. 윌턴공화당73.6%
사일러스 윌콕스민주당24.5%
U. M. 로빈슨브레킨리지 민주당2.1%
2구저스틴 S. 모릴공화당74.6%
찰스 N. 데이븐포트민주당19.5%
에이사 M. 디키브레킨리지 민주당5.5%
3구포터스 벅스터공화당71.6%
아르조 D. 채피민주당22.2%
윌리스 라이먼브레킨리지 민주당4.9%
카를로스 벅스터미상1.1%


8. 2. 북중부 지역

민주당 유지윌리엄 G. 스틸 (민주당) 55.17%뉴저지 4제터 R. 릭스반-레콤턴 민주당은퇴
민주당 유지조지 T. 콥 (민주당) 52.63%뉴저지 5윌리엄 페닝턴공화당낙선
민주당 획득네헤미아 페리 (민주당) 50.63%



뉴욕에서는 33개 선거구에서 1860년 선거가 치러졌다.

뉴욕 선거 결과
선거구현직 의원정당결과당선자
뉴욕 1루터 C. 카터공화당재선 실패
민주당 획득
에드워드 H. 스미스 (민주당) 52.78%
뉴욕 2제임스 험프리공화당재선 실패
민주당 획득
모세스 F. 오델 (민주당) 55.07%
뉴욕 3다니엘 시클스민주당은퇴
민주당 유지
벤자민 우드 (민주당) 52.83%
뉴욕 4토마스 J. 바무소속 민주당은퇴
무소속 민주당 유지
제임스 케리건 (무소속 민주당) 41.30%
뉴욕 5윌리엄 B. 맥레이민주당은퇴
공화당 획득
윌리엄 월 (공화당) 41.00%
뉴욕 6존 코크레인민주당재지명 실패
공화당 획득
프레데릭 A. 콩클링 (공화당) 35.10%
뉴욕 7조지 브리그스공화당은퇴
민주당 획득
엘리야 워드 (민주당) 56.23%
뉴욕 8호레이스 F. 클라크반 리컴턴 민주당은퇴
민주당 유지
아이작 C. 델라플레인 (민주당) 59.04%
뉴욕 9존 B. 해스킨반 리컴턴 민주당은퇴
민주당 유지
에드워드 헤이트 (민주당) 53.54%
뉴욕 10찰스 반 위크공화당재선찰스 반 위크 (공화당) 50.45%
뉴욕 11윌리엄 S. 케니언공화당은퇴
민주당 획득
존 B. 스틸 (민주당) 50.38%
뉴욕 12찰스 루이스 빌공화당은퇴
공화당 유지
스티븐 베이커 (공화당) 51.99%
뉴욕 13에이브럼 B. 올린공화당재선에이브럼 B. 올린 (공화당) 51.13%
뉴욕 14존 H. 레이놀즈반 리컴턴 민주당은퇴
민주당 유지
에라스투스 코닝 (민주당) 51.85%
뉴욕 15제임스 B. 맥키언공화당재선제임스 B. 맥키언 (공화당) 58.76%
뉴욕 16조지 W. 파머공화당은퇴
공화당 유지
윌리엄 A. 휠러 (공화당) 58.73%
뉴욕 17프랜시스 E. 스피너공화당은퇴
공화당 유지
소크라테스 N. 셔먼 (공화당) 68.39%
뉴욕 18클라크 B. 코크레인공화당은퇴
민주당 획득
챈시 비바드 (민주당) 50.88%
뉴욕 19제임스 H. 그레이엄공화당은퇴
공화당 유지
리차드 프란초트 (공화당) 56.97%
뉴욕 20로스코 콩클링공화당재선로스코 콩클링 (공화당) 58.28%
뉴욕 21R. 홀랜드 듀엘공화당재선R. 홀랜드 듀엘 (공화당) 62.21%
뉴욕 22M. 린들리 리공화당은퇴
공화당 유지
윌리엄 E. 랜싱 (공화당) 63.73%
뉴욕 23찰스 B. 호드공화당은퇴
공화당 유지
엠브로스 W. 클라크 (공화당) 59.90%
뉴욕 24찰스 B. 세지윅공화당재선찰스 B. 세지윅 (공화당) 60.42%
뉴욕 25마틴 버터필드공화당은퇴
공화당 유지
시어도어 M. 포메로이 (공화당) 64.46%
뉴욕 26에모리 B. 포틀공화당은퇴
공화당 유지
제이콥 P. 챔벌린 (공화당) 58.26%
뉴욕 27앨프레드 웰스공화당은퇴
공화당 유지
알렉산더 S. 디벤 (공화당) 57.20%
뉴욕 28윌리엄 어바인공화당은퇴
공화당 유지
로버트 B. 반 발켄버그 (공화당) 60.75%
뉴욕 29앨프레드 엘리공화당재선앨프레드 엘리 (공화당) 59.41%
뉴욕 30어거스터스 프랭크공화당재선어거스터스 프랭크 (공화당) 67.49%
뉴욕 31에드윈 R. 레이놀즈공화당은퇴
공화당 유지
버트 반 혼 (공화당) 58.81%
뉴욕 32엘브리지 G. 스폴딩공화당재선엘브리지 G. 스폴딩 (공화당) 52.82%
뉴욕 33르우벤 펜턴공화당재선르우벤 펜턴 (공화당) 66.79%


8. 3. 국경 북부 지역

이 지역은 메이슨-딕슨 선 북쪽에 위치한 자유 토지 주(free-soil states)로, 노예 제도를 폐지했거나 의회가 노예 제도를 금지한 주들이다.[10] 1860년 선거에서 이 지역의 73석은 공화당 50석, 민주당 23석으로 분배되었다. 일리노이는 공화당보다 민주당 의석이 더 많은 유일한 주였다.

각 주별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리노이주 하원의원 선거 결과 (1860년)
선거구현직 의원정당결과득표율
일리노이 1구엘리휴 B. 워시번공화당재선엘리휴 B. 워시번 (공화당) 70.59%
시어도어 A. C. 비어드 (민주당) 29.41%
일리노이 2구존 F. 판스워스공화당은퇴
공화당 유지
아이작 N. 아놀드 (공화당) 64.53%
어거스터스 N. 해링턴 (민주당) 35.47%
일리노이 3구오웬 러브조이공화당재선오웬 러브조이 (공화당) 61.1%
로버트 N. 머레이 (민주당) 38.9%
일리노이 4구윌리엄 켈로그공화당재선윌리엄 켈로그 (공화당) 54.65%
로버트 G. 잉거솔 (민주당) 45.35%
일리노이 5구아이작 N. 모리스민주당은퇴
민주당 유지
윌리엄 A. 리처드슨 (민주당) 53.58%
벤자민 M. 프렌티스 (공화당) 46.42%
일리노이 6구존 A. 맥클러난드민주당재선존 A. 맥클러난드 (민주당) 56.62%
헨리 케이스 (공화당) 43.38%
일리노이 7구제임스 C. 로빈슨민주당재선제임스 C. 로빈슨 (민주당) 54.07%
제임스 T. 커닝햄 (공화당) 45.93%
일리노이 8구필립 B. 푸크민주당재선필립 B. 푸크 (민주당) 55.48%
조셉 길레스피 (공화당) 44.52%
일리노이 9구존 A. 로건민주당재선존 A. 로건 (민주당) 79.54%
데이비드 T. 리니가 (무소속) 19.85%


인디애나주 하원의원 선거 결과 (1860년)
선거구현직 의원정당결과득표율
인디애나 1구윌리엄 E. 니블랙민주당불출마
민주당 유지
존 로 (민주당) 55.67%
레뮤엘 Q. 드브룰러 (공화당) 44.33%
인디애나 2구윌리엄 H. 잉글리시민주당불출마
민주당 유지
제임스 A. 크레이븐스 (민주당) 51.28%
존 S. 데이비스 (공화당) 48.72%
인디애나 3구윌리엄 M. 던공화당재선윌리엄 M. 던 (공화당) 54.54%
윌리엄 미첼 데일리 (민주당) 45.46%
인디애나 4구윌리엄 S. 홀먼민주당재선윌리엄 S. 홀먼 (민주당) 51.22%
제임스 L. 예이터 (공화당) 48.78%
인디애나 5구데이비드 킬고어공화당불출마
공화당 유지
조지 W. 줄리안 (공화당) 62.00%
윌리엄 A. 비클 (민주당) 38.00%
인디애나 6구앨버트 G. 포터공화당재선앨버트 G. 포터 (공화당) 52.29%
로버트 L. 월폴 (민주당) 47.71%
인디애나 7구존 G. 데이비스반-레콤프턴
민주당
불출마
민주당 유지
다니엘 W. 부어히스 (민주당) 51.46%
토마스 H. 넬슨 (공화당) 47.28%
제임스 A. 스콧 (무소속) 1.26%
인디애나 8구제임스 윌슨공화당불출마
공화당 유지
앨버트 S. 화이트 (공화당) 53.67%
새뮤얼 C. 윌슨 (민주당) 46.33%
인디애나 9구스카일러 콜팩스공화당재선스카일러 콜팩스 (공화당) 55.71%
찰스 W. 캐스카트 (민주당) 44.29%
인디애나 10구찰스 케이스공화당불출마
공화당 유지
윌리엄 미첼 (공화당) 55.62%
필립 M. 헨클 (민주당) 44.38%
인디애나 11구존 U. 페티트공화당불출마
공화당 유지
존 P. C. 섕크스 (공화당) 54.08%
애스버리 스틸 (민주당) 45.92%


미시간주 하원의원 선거 결과 (1860년)
선거구현직 의원정당결과득표율
미시간 1구윌리엄 A. 하워드공화당은퇴
공화당 유지
브래들리 F. 그레인저 (공화당) 52.51%
조지 V. 레스로프 (민주당) 47.03%
존 코넬리 (무소속) 0.45%
미시간 2구헨리 월드론공화당은퇴
공화당 유지
페르난도 C. 비먼 (공화당) 60.16%
샐라티엘 C. 코펜베리 (민주당) 39.84%
미시간 3구프랜시스 W. 켈로그공화당재선프랜시스 W. 켈로그 (공화당) 59.04%
토마스 B. 처치 (민주당) 40.59%
존 벨 (무소속) 0.37%
미시간 4구드윗 C. 리치공화당은퇴
공화당 유지
롤랜드 E. 트로브리지 (공화당) 55.79%
에드워드 톰슨 (민주당) 44.21%


오하이오주 하원의원 선거 결과 (1860년)
선거구현직 의원정당결과득표율
오하이오 1구조지 H. 펜들턴민주당재선조지 H. 펜들턴 (민주당) 48.87%
올리버 M. 스펜서 (공화당) 42.97%
A. E. 존스 (헌법연합) 8.16%
오하이오 2구존 A. 걸리공화당재선존 A. 걸리 (공화당) 48.09%
알렉산더 롱 (민주당) 43.08%
존 스콧 해리슨 (헌법연합) 8.83%
오하이오 3구클레멘트 밸랜디엄민주당재선클레멘트 밸랜디엄 (민주당) 50.16%
새뮤얼 크레이그헤드 (공화당) 49.55%
앤드루 매클래리 (무소속) 0.29%
오하이오 4구윌리엄 앨런민주당재선윌리엄 앨런 (민주당) 51.73%
제임스 하트 (공화당) 48.27%
오하이오 5구제임스 M. 애슐리공화당재선제임스 M. 애슐리 (공화당) 52.29%
제임스 B. 스티드먼 (민주당) 47.71%
오하이오 6구윌리엄 하워드민주당은퇴
민주당 유지
칠턴 A. 화이트 (민주당) 53.23%
데이비드 H. 머피 (공화당) 46.77%
오하이오 7구토머스 코윈공화당재선토머스 코윈 (공화당) 69.95%
윌리엄 B. 텔페어 (민주당) 20.16%
윌리엄 스토크스 (헌법연합) 9.89%
오하이오 8구벤자민 스탠턴공화당은퇴
공화당 유지
새뮤얼 셸라바거 (공화당) 57.55%
제임스 S. 해리슨 (민주당) 41.23%
에드워드 P. 파이프 (헌법연합) 1.22%
오하이오 9구존 케리공화당낙선
민주당 획득
워런 P. 노블 (민주당) 51.12%
존 케리 (공화당) 48.88%
오하이오 10구캐리 A. 트림블공화당재선캐리 트림블 (공화당) 51.26%
웰스 A. 허친스 (민주당) 48.74%
오하이오 11구찰스 D. 마틴민주당낙선
공화당 획득
밸런타인 B. 호턴 (공화당) 51.49%
찰스 D. 마틴 (민주당) 48.52%
오하이오 12구새뮤얼 S. 콕스민주당재선새뮤얼 S. 콕스 (민주당) 51.69%
새뮤얼 갤러웨이 (공화당) 47.54%
토머스 스페로우 (무소속) 0.77%
오하이오 13구존 셔먼공화당재선존 셔먼 (공화당) 57.16%
바너바스 번스 (민주당) 42.84%
오하이오 14구해리슨 G. O. 블레이크공화당재선해리슨 G. O. 블레이크 (공화당) 57.08%
찰스 D. 프렌티스 (민주당) 42.92%
오하이오 15구윌리엄 헬믹공화당낙선
민주당 획득
로버트 H. 누겐 (민주당) 52.13%
윌리엄 헬믹 (공화당) 47.87%
오하이오 16구시드너 B. 톰킨스공화당재지명 실패
공화당 유지
윌리엄 P. 커틀러 (공화당) 50.19%
휴 J. 주엣 (민주당) 49.81%
오하이오 17구토머스 C. 시커공화당낙선
민주당 획득
제임스 R. 모리스 (민주당) 51.00%
토머스 C. 시커 (공화당) 45.17%
M. J. 글로버 (헌법연합) 3.83%
오하이오 18구시드니 에저턴공화당재선시드니 에저턴 (공화당) 58.29%
데이비드 A. 스타크웨더 (민주당) 41.71%
오하이오 19구에드워드 웨이드공화당은퇴
공화당 유지
앨버트 G. 리들 (공화당) 69.06%
앤드루 J. 윌리엄스 (민주당) 30.94%
오하이오 20구존 허친스공화당재선존 허친스 (공화당) 71.97%
데이비드 M. 윌슨 (민주당) 28.03%
오하이오 21구존 A. 빙엄공화당재선존 A. 빙엄 (공화당) 61.17%
조지 웰스 (민주당) 33.71%
J. S. 블레이클리 (무소속) 5.12%


{| class="wikitable"

|+ 펜실베이니아주 하원의원 선거 결과 (1860년)

|-

! 선거구 !! 현직 의원 !! 정당 !! 결과 !! 득표율

|-

| 펜실베이니아 1구 || 토머스 B. 플로렌스 || 민주당 || 불출마
민주당 유지 || 윌리엄 E. 리먼 (민주당) 44.98%
존 M. 버틀러 (공화당) 44.28%
에드워드 킹 (합헌 연합) 10.74%

|-

| 펜실베이니아 2구 || 에드워드 J. 모리스 || 공화당 || 재선 || 에드워드 J. 모리스 (공화당) 46.61%
존 브로드헤드 (민주당) 40.29%
헨리 M. 풀러 (합헌 연합) 13.11%

|-

| 펜실베이니아 3구 || 존 P. 버리 || 공화당 || 재선 || 존 P. 버리 (공화당) 49.07%
존 클라인 (민주당) 48.95%
헨리 M. 해밀턴 (합헌 연합) 1.97%

|-

| 펜실베이니아 4구 || 윌리엄 밀워드 || 공화당 || 불출마
공화당 유지 || 윌리엄 D. 켈리 (공화당) 49.27%
윌리엄 모건 (민주당) 43.42%
존 B. 로빈슨 (합헌 연합) 7.3%

|-

| 펜실베이니아 5구 || 존 우드 || 공화당 || 불출마
공화당 유지 || 윌리엄 M. 데이비스 (공화당) 47.90%
해리 잉거솔 (민주당) 46.48%
제임스 리튼하우스 (합헌 연합) 5.62%

|-

| 펜실베이니아 6구 || 존 히크먼 || 민주당 || 공화당으로
재선
공화당 획득 || 존 히크먼 (공화당) 55.97%
존 H. 브린턴 (민주당) 42.51%
프레이저 스미스 (반-레콤턴 민주당) 1.52%

|-

| 펜실베이니아 7구 || 헨리 클레이 롱네커 || 공화당 || 민주당 획득 || 토머스 부케처 쿠퍼 (민주당) 50.33%
헨리 클레이 롱네커 (공화당) 49.67%

|-

| 펜실베이니아 8구 || 제이콥 K. 맥켄티 || 민주당 || 불출마
민주당 유지 || 시드넘 E. 안코나 (민주당) 58.42%
레비 B. 스미스 (공화당) 41.58%

|-

| 펜실베이니아 9구 || 태디어스 스티븐스 || 공화당 || 재선 || 태디어스 스티븐스 (공화당) 96.5%
기타 3.5%

|-

| 펜실베이니아 10구 || 존 W. 킬링거 || 공화당 || 재선 || 존 W. 킬링거 (공화당) 62.04%
제임스 워렐 (민주당) 37.96%

|-

| 펜실베이니아 11구 || 제임스 H. 캠벨 || 공화당 || 재선 || 제임스 H. 캠벨 (공화당) 50.90%
존 휴즈 (민주당) 49.10%

|-

| 펜실베이니아 12구 || 조지 W. 스크랜턴 || 공화당 || 재선 || 조지 W. 스크랜턴 (공화당) 51.53%
데이비드 R. 랜들 (민주당) 48.47%

|-

| 펜실베이니아 13구 || 윌리엄 H. 디미크 || 민주당 || 불출마
민주당 유지 || 필립 존슨 (민주당) 57.30%
데이비드 K. 슈메이커 (공화당) 42.70%

|-

| 펜실베이니아 14구 || 갈루샤 A. 그로우 || 공화당 || 재선 || 갈루샤 A. 그로우 (공화당) 71.38%
다니엘 L. 세르우드 (민주당) 28.62%

|-

| 펜실베이니아 15구 || 제임스 T. 헤일 || 공화당 || 재선 || 제임스 T. 헤일 (공화당) 53.76%
로버트 플레밍 (민주당) 46.24%

|-

| 펜실베이니아 16구 || 벤자민 F. 정킨 || 공화당 || 낙선
민주당 획득 || 조셉 베일리 (민주당) 50.75%
벤자민 F. 정킨 (공화당) 49.25%

|-

| 펜실베이니아 17구 || 에드워드 맥퍼슨 || 공화당 || 재선 || 에드워드 맥퍼슨 (공화당) 51.23%
윌리엄 P 셸 (민주당) 48.77%

|-

| 펜실베이니아 18구 || 새뮤얼 S. 블레어 || 공화당 || 재선 || 새뮤얼 S. 블레어 (공화당) 57.64%
아치볼드 맥앨리스터 (민주당) 42.36%

|-

| 펜실베이니아 19구 || 존 코보드 || 공화당 || 재선 || 존 코보드 (공화당) 54.66%
다윈 펠프스 (민주당) 45.34%

|-

| 펜실베이니아 20구 || 윌리엄 몽고메리 || 민주당 || 불출마
민주당 유지 || 제시 라저 (민주당) 52.90%
앤드루 스튜어트 (공화당) 47.10%

|-

| 펜실베이니아 21구 || 제임스 K. 무어헤드 || 공화당 || 재선 || 제임스 K. 무어헤드 (공화당) 61.31%
제임스 커 (민주당) 38.69%

|-

| 펜실베이니아 22구 || 로버트 맥나이트 || 공화당 || 재선 || 로버트 맥나이트 (공화당) 66.26%
루이스 Z. 미첼 (무소속 민주) 23.12%
조지 케이스 (민주당) 10.62%

|-

| 펜실베이니아 23구 || 윌리엄 스튜어트 || 공화당 || 불출마
공화당 유지 || 존 W. 윌리스 (공화당) 55.58%
새뮤얼 홀스타인 (민주당) 44.42%

|-

| 펜실베이니아 24구 || 채핀 홀 || 공화당 || 불출마
공화당 유지 || 존 패튼 (공화당) 53.58%
제임스 K. 커 (민주

8. 4. 국경 남부 및 중부 남부 지역

이 지역은 "노예 소유" 주들로, 모두 메이슨-딕슨 선 남쪽에 위치했다. 국경 남부 주는 1860년 인구의 2% 미만에서 19% 이상이 노예였으며, 평균 13%였다. 중부 남부 주는 25%에서 33%가 노예였고, 평균 29%였다. (딥 사우스는 43~57%, 텍사스는 30% 제외)[14]

이 여섯 개 주(델라웨어, 켄터키, 메릴랜드, 미주리, 테네시, 버지니아)에 있는 47명의 하원 의원 중 24명은 연합당, 1명은 헌법 연합, 6명은 민주당 소속이었다. 버지니아와 테네시에는 공석이 발생했다.[14]

버지니아의 8석과 테네시의 7석은 남북 전쟁 동안 미국 정부의 링컨 행정부에 저항하는 많은 시민들을 대표했다. 이들은 제37대 의회 문서에서 공석으로 선언되었다.[14]
주별 선거 결과

델라웨어주는 1860년 11월 6일 선거일에 하원의원 1명을 선출했다.

델라웨어주 하원의원 선거 결과 (1860년 11월 6일)
선거구후보자정당득표율
전체 선거구조지 P. 피셔국민당(연합)48.39%
벤자민 T. 빅스남부 민주당(브레킨리지)46.85%
일라이어스 리드민주당(더글라스)4.76%



켄터키주는 1861년 6월 20일에 하원의원 10명을 선출했다.

켄터키주 하원의원 선거 결과 (1861년 6월 20일)
선거구후보자정당득표율
제1선거구헨리 C. 버넷남부 권리59.08%
로렌스 S. 트림블연방40.92%
제2선거구제임스 S. 잭슨연방73.4%
존 T. 번치남부 권리26.6%
제3선거구헨리 그리더연방76.95%
조셉 호레이스 루이스남부 권리23.05%
제4선거구아론 하딩연방80.72%
앨버트 G. 탈보트남부 권리19.28%
제5선거구찰스 A. 위클리프연방75.14%
H. E. 리드남부 권리24.86%
제6선거구조지 W. 던랩연방97.32%
알프레드 스미스남부 권리1.83%
기타0.85%
제7선거구로버트 몰로리연방79.41%
호라티오 워싱턴 브루스남부 권리20.59%
제8선거구존 J. 크리텐덴연방59.18%
윌리엄 E. 심스남부 권리40.82%
제9선거구윌리엄 H. 워즈워스연방75.91%
존 L. 윌리엄스남부 권리24.09%
제10선거구존 W. 멘지스연방65.18%
오버턴 P. 호건남부 권리29.38%
토마스 L. 존스무소속5.43%



메릴랜드주는 1861년 6월 13일에 하원의원 6명을 선출했다.

메릴랜드주 하원의원 선거 결과 (1861년 6월 13일)
선거구후보자정당득표율
제1선거구존 W. 크리스필드연합57.39%
대니얼 맥헨리주 권리42.61%
제2선거구에드윈 H. 웹스터연합98.63%
기타1.37%
제3선거구코넬리우스 리어리연합51.95%
윌리엄 P. 프레스턴주 권리48.05%
제4선거구헨리 메이연합과 평화57.55%
헨리 윈터 데이비스연합42.45%
제5선거구프란시스 토마스연합96.18%
기타3.82%
제6선거구찰스 베네딕트 캘버트연합50.92%
벤자민 G. 해리스주 권리49.08%



미주리주는 1860년 9월 10일에 하원의원 7명을 선출했다.

미주리주 하원의원 선거 결과 (1860년 9월 10일)
선거구후보자정당득표율
제1선거구프랜시스 프레스턴 블레어 주니어공화당44.11%
존 R. 바렛민주당38.39%
앨버트 토드헌법 연합17.49%
제2선거구제임스 S. 롤린스헌법 연합50.57%
존 B. 헨더슨민주당49.43%
제3선거구존 불록 클라크민주당59.53%
M. C. 호킨스헌법 연합40.47%
제4선거구일라이자 히즈 노턴민주당62.30%
존 스콧헌법 연합37.70%
제5선거구존 윌리엄 리드민주당52.82%
F. T. 미첼헌법 연합47.18%
제6선거구존 S. 펠프스민주당48.92%
제임스 S. 레인스헌법 연합40.19%
윌리엄 C. 프라이스민주당10.89%
제7선거구존 W. 노엘민주당73.45%
데이비드 E. 페리먼헌법 연합26.55%



테네시주는 1861년 8월 1일에 하원의원 10명을 선출했다. 1~3 선거구에서는 미국 의회와 남부 연합 의회 후보자 투표가 함께 집계되었다.

테네시주 하원의원 선거 결과 (1861년 8월 1일)
선거구후보자정당득표율비고
제1선거구토머스 A. R. 넬슨연방53.86%미국 의회 선출
조지프 브라운 하이셸민주당39.84%남부 연합 의회 선출
? 칼드웰민주당4.98%
윌리엄 맥팔랜드연방1.32%
제1선거구토머스 A. R. 넬슨연방90.66%미국 의회 선출
윌리엄 맥팔랜드연방6.67%
프레데릭 하이셸연방2.67%
제2선거구호레이스 메이너드연방59.23%미국 의회 선출
제임스 T. 실즈민주당40.77%남부 연합 의회 선출
제3선거구조지 워싱턴 브리지스연방52.75%미국 의회 선출
A. B. 웰커민주당46.80%남부 연합 의회 선출
새뮤얼 액슬리 스미스0.45%
제3선거구조지 워싱턴 브리지스연방100%미국 의회 선출
제4선거구A. J. 클레멘츠연방
제5선거구없음
제6선거구없음
제7선거구없음
제8선거구없음
제9선거구없음
제10선거구없음



버지니아주는 1861년 10월 24일에 하원의원 13명을 선출했다.

버지니아주 하원의원 선거 결과 (1861년 10월 24일)
선거구후보자정당득표율비고
제1선거구조셉 세가연합당선자는 이후 자격 박탈됨
제2선거구없음
제3선거구없음
제4선거구없음
제5선거구없음
제6선거구없음
제7선거구찰스 H. 업턴연합무투표1차 선거 (1861년 5월 23일)
S. 퍼거슨 비치연합92.62%2차 선거 (1861년 10월 24일)
찰스 B. 셜리7.38%
제8선거구없음
제9선거구없음
제10선거구윌리엄 G. 브라운 시니어연합99.69%
제데키아 키드웰0.31%
제11선거구존 S. 칼라일연합99.28%
앨버트 G. 젠킨스0.72%
제12선거구켈리언 왈레이연합
제13선거구없음


8. 5. 미시시피강 서부 지역

1859년 캔자스주 미국 하원의원 선거 기록에는 37대 의회 선거가 열렸다는 내용이 없다. 컨웨이가 추가 선거 없이 37대 의회에서 활동했을 가능성이 크다.

미시시피강 서부 지역에서는 16명의 하원의원과 9명의 준주 대표가 선출되었다. 이 중 주에서는 공화당원 9명, 민주당원 1명이 선출되었고, 준주에서는 공화당원 4명, 민주당원 1명, 무소속 2명이 선출되었다.[1]

캘리포니아가 연방에 가입하면서 상원에서 자유 주와 노예 주의 균형이 깨졌다. 미네소타와 오리건이 자유 주로 뒤를 이었다. 의회에서 분리주의 민주당원들이 줄어들자, 레임덕 36대 의회는 1861년 1월 캔자스를 자유 주로 편입시켜 3월에 열린 37대 의회에 대표를 파견할 수 있게 했다. 1860년에 선출된 공화당 의회는 1862년 7월에 대륙 횡단 철도 자금 지원을 시작했다. 네바다는 남북 전쟁이 끝나기 전인 다음 38대 의회에서 주로 편입되었다.[2]
캘리포니아캘리포니아주는 주 승격부터 1864년까지 대표자를 전 주에서 선출했으며, 1849년부터 1858년까지는 최다 득표자 2명이 당선되었다. 1860년 인구 조사에서 캘리포니아는 하원 의석 1석을 추가로 얻었다.[3]

캘리포니아는 새 의회가 시작된 후인 1861년 9월 4일에 의원을 선출했다.[4]

최다 득표자 3명이 선출되었지만, 의회 개원 시에는 상위 2명만 자리를 받았다. 이후 의회가 캘리포니아에 3번째 의석을 승인하자, 프레데릭 로가 1862년 6월 3일에 자리에 앉았다.[5]

1860년 캘리포니아주 연방 하원의원 선거 결과[6]
선거구정당후보결과
캘리포니아주 전체 선거구공화당티머시 가이 펠프스, 에런 A. 사전트, 프레데릭 로당선
민주당
(연합 민주당)
헨리 에저턴, 조셉 C. 맥키번, 존 R. 기치엘낙선
민주당
(브레킨리지 민주당)
프랭크 가나흘, 헨리 P. 바버, D. O. 셔터크낙선


아이오와아이오와주는 1860년 10월 9일에 의원을 선출했다.[7]

1860년 아이오와주 연방 하원의원 선거 결과[8]
선거구현직 의원정당결과후보
아이오와 1새뮤얼 R. 커티스공화당재선새뮤얼 라이언 커티스(공화당) 52.88%, C. C. 콜(민주당) 47.12%
아이오와 2윌리엄 밴드버공화당재선윌리엄 밴드버(공화당) 57.50%, 벤 M. 사무엘스(민주당) 42.50%


미네소타미네소타는 1860년 11월 6일 선거일에 의원을 선출했다.[9]

1860년 미네소타주 연방 하원의원 선거 결과[10]
선거구현직 의원정당결과후보
미네소타 전체 선거구사이러스 올드리치공화당재선사이러스 올드리치(공화당) 31.75%, 윌리엄 윈덤(공화당) 31.51%, 존 M. 길만(민주당) 17.30%, 제임스 조지(민주당) 17.24%, 알론조 J. 에저턴(브레킨리지 민주당) 1.12%, 제임스 W. 테일러(브레킨리지 민주당) 1.09%
윌리엄 윈덤공화당재선


오리건오리건에서는 주 법률이 조율되지 않아 혼란이 발생했다. 그 결과 1860년에 두 번의 선거가 치러졌다. 6월 4일 선거에서는 조지 K. 쉴이, 11월 6일 선거에서는 앤드루 J. 세이어가 승리했다. 세이어는 1861년 3월 4일에 의석을 차지했지만 쉴은 선거에 이의를 제기했다. 1861년 7월 30일, 하원 선거 위원회는 1863년 3월 3일에 임기가 종료될 때까지 쉴에게 의석을 부여했다. 두 분쟁자 모두 민주당원이었다.[11]

1860년 오리건주 연방 하원의원 선거 결과[12]
선거일현직 의원정당결과후보
6월 4일랜싱 스토트민주당재지명 실패,
새로운 의원 선출,
민주당 유지
조지 쉴(민주당) 50.29%, 데이비드 로건(공화당) 49.71%
11월 6일재지명 실패,
새로운 의원 선출,
민주당 유지
(이후 선거 소송에서 패배)
앤드루 J. 세이어(민주당) 96.44%, 조지 쉴(민주당) 3.08%, 조셉 쇼월터 스미스(알 수 없음) 0.47%


8. 6. 의원 공석 주

186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 앨라배마, 조지아, 미시시피, 노스캐롤라이나, 텍사스 주는 하원 의원을 선출하지 않았다. 이들 주는 모두 남부 연합에 가입하여 연방에서 탈퇴했기 때문이다.

아칸소주는 1860년 8월 6일에 하원 의원을 선출했지만, 선출된 의원들은 주가 이미 탈퇴한 후 소집된 의회에서 자리를 차지할 수 없었다.

플로리다는 1860년 10월 1일에 하원 의원을 선출했다. 그러나 플로리다주 역시 연방에서 탈퇴하였기 때문에, 당선된 로버트 벤자민 힐튼은 의회에서 의석을 차지하지 못했다.

루이지애나주는 남북 전쟁 중 연방에서 탈퇴했지만, 연방 정부의 통제를 받는 주의 일부 지역에서 1862년 12월 3일에 1, 2 선거구를 대상으로 선거가 치러졌다. 벤자민 플랜더스와 마이클 한이 당선되어 1863년 2월 17일에 의석을 얻었지만, 이는 제36대 의회 임기 종료 15일 전이었다.[15][16][17] 3, 4 선거구는 의원을 선출하지 않았다.

사우스캐롤라이나주는 1860년 10월 8일부터 9일까지 하원 의원을 선출했다. 그러나 이들 역시 곧바로 주의 탈퇴로 인해 공석이 되었다.
앨라배마주

선거구현직 의원정당첫 당선결과
1제임스 스톨워스Democratic Party (US)|민주당영어18571861년 1월 12일 사퇴, 민주당 패배
2제임스 L. 푸Democratic Party (US)|민주당영어18591861년 1월 12일 사퇴, 민주당 패배
3데이비드 클롭턴Democratic Party (US)|민주당영어18591861년 1월 21일 사퇴, 민주당 패배
4시든햄 무어Democratic Party (US)|민주당영어18571861년 1월 21일 사퇴, 민주당 패배
5조지 S. 휴스턴Democratic Party (US)|민주당영어18511861년 1월 21일 사퇴, 민주당 패배
6윌리엄슨 코브Democratic Party (US)|민주당영어18471861년 1월 30일 사퇴, 민주당 패배
7제이비즈 L. M. 커리Democratic Party (US)|민주당영어18571861년 1월 21일 사퇴, 민주당 패배


아칸소주

선거구현직 의원정당첫 당선결과후보
1토머스 C. 힌드먼Democratic Party (US)|민주당영어1858현직 재선, 이후 공석토머스 C. 힌드먼 (민주당) 67.40%
제시 N. 사이퍼트 (무소속) 32.60%
2앨버트 러스트Democratic Party (US)|민주당영어1858현직 은퇴, 무소속 획득, 이후 공석에드워드 W. 간트 (무소속) 54.38%
찰스 B. 미첼 (민주당) 42.69%
제임스 A. 존스 (무소속) 2.92%


플로리다주

선거구현직 의원정당첫 당선결과후보
AL조지 S. 호킨스Democratic Party (US)|민주당영어1856현직 은퇴, 민주당 유지, 이후 의석 공석로버트 벤자민 힐튼 (민주당) 59.89%
B. F. 앨런 (반대) 40.11%


조지아주

선거구현직 의원정당첫 당선결과
1피터 E. 러브Democratic Party (US)|민주당영어18591861년 1월 23일 사임, 민주당 패배
2마틴 J. 크로포드Democratic Party (US)|민주당영어18551861년 1월 23일 사퇴, 민주당 패배
3토마스 하데먼 주니어반대18591861년 1월 23일 사퇴, 반대 패배
4루시우스 J. 가트렐Democratic Party (US)|민주당영어18571861년 1월 23일 사임, 민주당 패배
5존 W. H. 언더우드Democratic Party (US)|민주당영어18591861년 1월 23일 사퇴, 민주당 패배
6제임스 잭슨Democratic Party (US)|민주당영어18571861년 1월 23일 사임, 민주당 패배
7조슈아 힐Know Nothing|노우 나싱영어18571861년 1월 23일 사퇴, 노우 나싱 패배
8존 J. 존스Democratic Party (US)|민주당영어18571861년 1월 23일 사퇴, 민주당 패배


루이지애나주

선거구현직 의원정당첫 당선결과후보
1존 에드워드 불리니무소속1859루이지애나주의 연방 탈퇴로 인해 제36대 의회 말에 의석 만료, 연합 획득벤자민 플랜더스 (연합) 93.08%
존 에드워드 불리니 (연합) 6.27%
기타 0.64
2마일스 테일러Democratic Party (US)|민주당영어1855루이지애나주의 연방 탈퇴로 인해 제36대 의회 말에 의석 만료, 연합 획득마이클 한 (연합) 54.7%
에드워드 헨리 듀렐 (연합) 28.49%
제이콥 바커 (분리주의자) 8.85%
W. R. 그리트하우스 (미상) 6.98%
기타 0.98
3토마스 G. 데이비슨Democratic Party (US)|민주당영어1855의원 미선출, 민주당 손실없음
4존 M. 랜드럼Democratic Party (US)|민주당영어1859현직 은퇴, 민주당 손실없음


미시시피주

선거구현직 의원정당첫 당선결과
1루시우스 Q. C. 라마Democratic Party (US)|민주당영어18571860년 12월 은퇴, 민주당 패배
2러번 데이비스Democratic Party (US)|민주당영어18571861년 1월 12일 사퇴, 민주당 패배
3윌리엄 바크스데일Democratic Party (US)|민주당영어18551861년 1월 12일 사퇴, 민주당 패배
4오토 R. 싱글턴Democratic Party (US)|민주당영어18571861년 1월 12일 사퇴, 민주당 패배
5존 J. 맥레이Democratic Party (US)|민주당영어1858 (보궐)1861년 1월 12일 사퇴, 민주당 패배


노스캐롤라이나주

선거구현직 의원정당첫 당선결과
1윌리엄 N. H. 스미스야당1859현직 불출마, 야당 패배
2토머스 H. 러핀Democratic Party (US)|민주당영어1853현직 불출마, 민주당 패배
3워런 윈슬로Democratic Party (US)|민주당영어1855현직 불출마, 민주당 패배
4로렌스 O'브라이언 브랜치Democratic Party (US)|민주당영어1855현직 불출마, 민주당 패배
5존 A. 길머야당1857현직 불출마, 야당 패배
6제임스 M. 리치야당1859현직 불출마, 야당 패배
7F. 버튼 크레이그Democratic Party (US)|민주당영어1853현직 불출마, 민주당 패배
8제불론 밴스Democratic Party (US)|민주당영어1858 (보궐)현직 불출마, 민주당 패배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선거구현직 의원정당첫 당선결과후보
1존 맥퀸Democratic Party (US)|민주당영어1844현직 재선, 후에 공석존 맥퀸 (민주당) 96.94%
찰스 W. 밀러 (미상) 3.06%
2윌리엄 P. 마일스Democratic Party (US)|민주당영어1856현직 재선, 후에 공석윌리엄 P. 마일스 (민주당)
3로렌스 M. 키트Democratic Party (US)|민주당영어1853현직 은퇴, 민주당 유지, 후에 공석루이스 멜론 에이어 주니어 (민주당) 73.77%
조지 P. 엘리엇 (미상) 26.23%
4밀레지 L. 보넘Democratic Party (US)|민주당영어1858현직 재선, 후에 공석밀레지 L. 보넘 (민주당)
5존 D. 애슈모어Democratic Party (US)|민주당영어1858현직 재선, 후에 공석존 D. 애슈모어 (민주당)
6윌리엄 W. 보이스Democratic Party (US)|민주당영어1853현직 재선, 후에 공석윌리엄 W. 보이스 (민주당)


텍사스주

선거구현직 의원정당첫 당선결과
1존 H. 레이건Democratic Party (US)|민주당영어18591861년 1월 15일 사임, 민주당 패배
2앤드루 J. 해밀턴무소속
Democratic Party (US)|민주당영어
1859현직 의원 은퇴, 무소속 민주당 패배


9. 무투표 대의원

하이럼 P. 베넷다코타 준주신설 준주민주당 획득.
존 블레어 스미스 토드네브래스카 준주사무엘 고든 데일리공화당1860년현직, 1862년 재선.
사무엘 G. 데일리네바다 준주신설 준주무소속 획득.
존 크래들보뉴멕시코 준주미겔 A. 오테로민주당1859년현직 퇴임.
공화당 획득.
존 세브리 와츠유타 준주윌리엄 헨리 후퍼민주당1858년 또는 1859년현직 재선 실패.
무소속 획득.
존 밀턴 번히젤워싱턴 준주아이작 스티븐스민주당1856년 또는 1857년현직 퇴임.
공화당 획득.
윌리엄 H. 왈라스


참조

[1] 서적 Martis (1994)
[2] 간행물 USStat
[3] 웹사이트 Tennessee 4 Me - A Divided State https://web.archive.[...] 2019-02-19
[4] 서적 Martis
[5] 서적 Martis
[6] 서적 Lincoln: President Elect. Abraham Lincoln and the Great Secession Winter 1860-1861 Simon & Schuster
[7] 서적 Martis
[8] 서적 Martis
[9] 서적 Martis
[10] 서적 The Road to Disunion. Vol. II: Secessionists Triumphant: 1854-1861 Oxford University Press
[11] 서적 The Civil War Day By Day: An Almanac, 1861-1865 Da Capo Press
[12] 문서 Biographical Directory of the U.S. Congress, (1774–2005), "Official Annotated Membership Roster by State with Vacancy and Special Election Information for the 37th Congress"
[13] 웹사이트 State of Connecticut Elections Database » Search Past Election Results https://electionhist[...] 2024-10-09
[14] 서적 Unconditional Unionist: The Hazardous Life of Lucian Anderson, Kentucky Congressman McFarland
[15] 뉴스 Important from New-Orleans: Result of the Congressional Elections https://nyti.ms/34Gw[...] 2022-02-07
[16] 뉴스 The Proceedings of Congress: House of Representatives https://timesmachine[...] 2024-07-10
[17] 서적 The Civil War in Louisiana Louisiana State University Press
[18] 웹사이트 CRAIG, James, (1818 - 1888) http://bioguide.cong[...] Biographical Directory of the United States Congress 2015-03-20
[19] 서적 History of the Republican Party in Ohio https://books.google[...] the Lewis Publishing Company
[20] 서적 The American Historical Review: Volume 2 American Historical Association
[21] 웹사이트 VT Elections Database » Vermont Election Results and Statistics https://electionarch[...] 2024-08-29
[22] 웹사이트 Wisconsin U.S. House Election Results https://web.archive.[...] Humphrey Institute of Public Affairs 2022-03-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