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62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862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는 남북 전쟁 발발 이후 치러진 중간 선거로, 전쟁의 향방과 링컨 행정부의 정책에 대한 국민들의 평가를 가늠하는 중요한 선거였다. 남부 주들의 탈퇴로 인해 많은 의석이 공석이 되었으며, 공화당이 다수당을 유지한 가운데 민주당과 연합당이 의석을 확보했다. 1863년 뉴욕 주 선거에서는 에드윈 D. 모건이 상원의원으로 선출되었고, 펜실베이니아주에서는 찰스 R. 버컬루가 당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62년 선거 - 1862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1862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남북 전쟁으로 남부 탈퇴 주들의 불참과 새로운 주의 편입으로 의석 변화가 있었으며, 공화당이 과반수를 유지했으나 민주당과 무조건 연합당이 의석을 늘려 링컨 대통령의 정책 변화와 전후 재건 논쟁에 영향을 주었다. - 1862년 미국 - 1862년 대홍수
1862년 대홍수는 엘니뇨와 대기천의 영향으로 미국 서부 지역을 강타하여 캘리포니아 센트럴밸리 등 광범위한 지역을 침수시키고 경제적 손실과 사회적 혼란을 야기했으며, 미래 재해 예방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여 ARkStorm 개발의 계기가 되었다. - 1862년 미국 - 1862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1862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남북 전쟁으로 남부 탈퇴 주들의 불참과 새로운 주의 편입으로 의석 변화가 있었으며, 공화당이 과반수를 유지했으나 민주당과 무조건 연합당이 의석을 늘려 링컨 대통령의 정책 변화와 전후 재건 논쟁에 영향을 주었다. - 미국의 상원의원 선거 - 1874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
1874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는 1874년과 1875년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민주당이 의석 수를 늘리고 공화당이 의석을 잃었으며, 남부 주에서 민주당의 강세가 나타났다. - 미국의 상원의원 선거 - 2016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
2016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는 34개 주에서 치러졌으며, 공화당이 다수당 지위를 유지하고 민주당이 2석을 추가했으며, 주요 경합 지역에서 치열한 선거 운동이 펼쳐졌고, 공화당 52석, 민주당 46석을 확보했다.
1862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 | |
---|---|
선거 개요 | |
선거 이름 | 1862–63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 |
국가 | 미국 |
국기 연도 | 1861년 |
유형 | 입법부 |
진행 여부 | 아니오 |
이전 선거 | 1860–61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 |
이전 선거 연도 | 1860년 & 1861년 |
다음 선거 | 1864–65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 |
다음 선거 연도 | 1864년 & 1865년 |
선출 의석 | 68석 중 22석 미국 상원 (특별 선거 포함) |
과반 의석 | 25석 |
선거일 | 다양한 날짜 |
![]() | |
정당별 결과 | |
정당 1 | 미국 공화당 |
대표 1 | 존 P. 헤일 (퇴임) |
대표 임기 시작 1 | 1859년 3월 4일 |
대표 지역구 1 | 뉴햄프셔 |
![]() | |
지난 선거 1 | 29석 |
선거 전 의석 1 | '31' |
의석 1 | '32' |
의석 변화 1 | 1 |
정당 2 | 미국 민주당 |
![]() | |
지난 선거 2 | '30석' |
선거 전 의석 2 | 11 |
의석 2 | 10 |
의석 변화 2 | 1 |
정당 3 | 미국 연합주의자당 |
지난 선거 3 | '새로운 정당' |
선거 전 의석 3 | 6 |
의석 3 | 5 |
의석 변화 3 | 1 |
정당 4 | 미국 무조건적 연합주의자당 |
지난 선거 4 | '새로운 정당' |
의석 4 | 1 |
의석 변화 4 | 1 |
다수당 | |
선거 전 정당 | 미국 공화당 |
선거 후 정당 | 미국 공화당 |
2. 주요 정당 및 정치 세력
1862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 당시 주요 정당 및 정치 세력은 다음과 같았다.
- 공화당: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을 중심으로 전쟁 수행을 지지하며, 노예 제도 폐지를 주장했다. 북부와 서부 지역에서 주로 지지를 받았다.
- 민주당: 남북 전쟁에 대한 입장이 분열되어 있었다. 북부 민주당은 전쟁 수행을 지지하면서도 링컨 행정부의 권위주의적 조치에 비판적이었고, 남부 민주당은 남부 연합을 지지했다.
- 연합당: 남북전쟁 기간 동안 링컨 행정부를 지지하기 위해 결성된 정당 연합체였다. 공화당과 전쟁 지지 민주당원들로 구성되었다.
- 무조건적 연합당: 노예 제도 폐지와 남부 재건을 지지한 연합당 내 급진파였다.
3. 선거 결과
1862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 결과, 공화당은 다수당 지위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민주당과 연합주의 정당들도 일부 의석을 확보했다. 당시 남북 전쟁으로 인해 남부 주들의 의석은 대부분 공석이었다.
정당 | 의석 수 |
---|---|
공화당 | 31석 (이후 33석으로 증가) |
민주당 | 10석 |
연합당 | 4석 (이후 3석으로 감소) |
무조건적 연합당 | 3석 (이후 4석으로 증가) |
공석 | 20석 (이후 22석으로 증가, 주로 남부 주) |
총 의석 | 48석 (이후 50석으로 증가) |
3. 1. 37대 의회 (1861-1863)
V4 | V3 | V2 | V1 | colspan=6 | | |||||||||||||||
width=50px | V5 | width=50px | V6 | width=50px | V7 | width=50px | V8 | width=50px | V9 | width=50px | V10 | width=50px | D1 | width=50px | D2 | width=50px | D3 | width=50px | D4 |
U4 | U3 | U2 | U1 | D9 | D9 | D8 | D7 | D6 | D5 | ||||||||||
UU3 | UU2 | UU1 | R31 | R30 | R29 | R28 | R27 | R26 | rowspan=2 | R25 | |||||||||
다수당 → | |||||||||||||||||||
R15 | R16 | R17 | R18 | R19 | R20 | R21 | R22 | R23 | R24 | ||||||||||
R14 | R13 | R12 | R11 | R10 | R9 | R8 | R7 | R6 | R5 | ||||||||||
V16 | V15 | V14 | V13 | V12 | V11 | R1 | R2 | R3 | R4 | ||||||||||
V17 | V18 | V19 | V20 | colspan=6 | |
{|
|- valign=top
! 열쇠:
|
align=center width=35px | D# | 민주당 |
align=center width=35px | R# | 공화당 |
align=center width=35px | UU# | 무조건적 연합 |
align=center width=35px | U# | 연합 |
align=center width=35px | V# | 공석 |
|}
3. 2. 38대 의회 (1863-1865)
1862년 선거 결과, 상원은 공화당이 다수당 지위를 유지했지만, 민주당과 연합주의자들도 의석을 확보했다. 여전히 많은 남부 주들의 의석이 공석이었다.
상원 정당별 의석수는 다음과 같다.
기타 정당은 연합당(4석, 이후 3석으로 감소), 무조건적 연합당(3석, 이후 4석으로 증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