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4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874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1874년과 1875년에 치러졌으며, 민주당이 1860년 이후 처음으로 하원에서 다수당을 차지했다. 선거 결과 민주당은 178석, 공화당은 106석, 무소속은 8석을 얻었다. 남부 지역에서 민주당의 압승이 두드러졌고, 이는 재건 시대의 종말을 예고하는 신호로 해석되었다. 공화당은 경제 불황과 스캔들로 인해 북부 지역에서도 많은 의석을 잃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74년 미국 - 1874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
1874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는 1874년과 1875년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민주당이 의석 수를 늘리고 공화당이 의석을 잃었으며, 남부 주에서 민주당의 강세가 나타났다. - 1874년 선거 - 1874년 영국 총선
1874년 영국 총선은 1874년에 실시되었으며, 보수당이 350석, 자유당이 242석, 자치당이 60석을 얻었다. - 1874년 선거 - 1874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
1874년 미국 상원의원 선거는 1874년과 1875년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민주당이 의석 수를 늘리고 공화당이 의석을 잃었으며, 남부 주에서 민주당의 강세가 나타났다. - 미국의 하원의원 선거 - 1850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1850년-1851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민주당이 127석으로 가장 많은 의석을 확보했으며, 휘그당, 입헌통일당, 자유토지당, 주권당, 무소속 의원들이 선출되었다. - 미국의 하원의원 선거 - 184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1846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위스콘신 준주의 주 승격으로 하원 의석이 증가한 첫 선거로, 휘그당이 근소하게 승리했으며, 텍사스와 아이오와 주의 신설로 의석이 증가하는 등 의회의 정치적 역학 관계에 변화를 가져왔다.
1874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 |
---|---|
선거 정보 | |
선거 이름 | 1874–75년 미국 하원 의원 선거 |
국가 | 미국 |
국기 년도 | 1867년 |
유형 | 입법 |
진행 여부 | 아니오 |
이전 선거 | 1872–73년 미국 하원 의원 선거 |
이전 선거 년도 | 1872년 & 1873년 |
다음 선거 | 1876–77년 미국 하원 의원 선거 |
다음 선거 년도 | 1876년 & 1877년 |
선출 의석 | 전체 292석 (미국 하원) |
과반 의석 | 147석 |
선거일 | 1874년 11월 3일 |
![]() " | |
정당별 현황 | |
![]() | |
지도자 | 마이클 크로퍼드 커 |
지도자 선거구 | 인디애나 제3선거구 |
이전 선거 의석 | 88석 |
의석수 | 180 |
의석 변동 | [[파일:Increase2.svg|}|alt=}|link=|}]] 92 |
득표수 | 3,061,888 |
득표율 | 49.12% |
득표율 변동 | [[파일:Increase2.svg|}|alt=}|link=|}]] 7.12% |
![]() | |
지도자 | 제임스 G. 블레인 |
지도자 선거구 | 메인주 제3선거구 |
이전 선거 의석 | 195석 |
의석수 | 103석 |
의석 변동 | [[파일:Decrease2.svg|}|alt=}|link=|}]] 92 |
득표수 | 2,766,257 |
득표율 | 44.38% |
득표율 변동 | [[파일:Decrease2.svg|}|alt=}|link=|}]] 8.47% |
이전 선거 의석 | 0석 |
의석수 | 1석 |
의석 변동 | [[파일:Increase2.svg|}|alt=}|link=|}]] 1 |
득표수 | 79,816 |
득표율 | 1.28% |
득표율 변동 | 신규 |
이전 선거 의석 | 0석 |
의석수 | 1석 |
의석 변동 | [[파일:Increase2.svg|}|alt=}|link=|}]] 1 |
득표수 | 9,546 |
득표율 | 0.15% |
득표율 변동 | 신규 |
이전 선거 의석 | 1석 |
의석수 | 4석 |
의석 변동 | [[파일:Increase2.svg|}|alt=}|link=|}]] 3 |
득표수 | 276,554 |
득표율 | 4.44% |
득표율 변동 | [[파일:Increase2.svg|}|alt=}|link=|}]] 2.19% |
하원 의장 | |
선거 전 의장 | 제임스 G. 블레인 |
선거 전 정당 | 공화당 |
선거 후 의장 | 마이클 크로퍼드 커 |
선거 후 정당 | 민주당 |
2. 선거 배경
1845년, 미국 의회는 대통령 선거인단을 선출하기 위한 전국 통일 선거일을 규정하는 법을 통과시켰다.[4] 이 법은 주의 관할 하에 있던 의회 선거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각 주 또한 의회 선거일을 이 날짜로 옮겨갔다.
남북 전쟁 이후 재건 시대의 혼란 속에서, 남부 지역의 정치 지형 변화와 1873년 공황으로 인한 경제 불황은 이번 선거의 주요 배경이었다.[4]
1874~75년에는 여전히 10개 주가 이른 선거일을, 3개 주가 늦은 선거일을 가지고 있었다.
조기 선거 (1874년) | |
---|---|
6월 1일 | 오리건 |
8월 6일 | 노스캐롤라이나 |
9월 1일 | 버몬트 |
9월 14일 | 메인 |
10월 7일 | 조지아 |
10월 13일 | 인디애나, 아이오와, 네브래스카, 오하이오, 웨스트버지니아 |
후기 선거 (1875년) | |
3월 9일 | 뉴햄프셔 |
4월 5일 | 코네티컷 |
9월 7일 | 캘리포니아 |
2. 1. 재건 시대와 남부의 정치 변화
남북 전쟁 이후 재건 시대의 혼란 속에서, 남부 지역의 정치 지형 변화는 이번 선거의 주요 배경이었다. 해방된 노예에게 투표권이 주어지면서 공화당이 남부에서 잠시 우세를 보였으나, 백인 민주당원들의 저항과 폭력, 쿠 클럭스 클랜 등의 백인 우월주의 단체의 활동으로 인해 민주당의 세력이 점차 회복되었다.[4]2. 2. 경제 불황과 공화당 스캔들
1873년 공황으로 인한 경제 불황은 집권 공화당에 대한 불만을 높였다.[4] 그랜트 행정부 시기의 크레디 모빌리에 스캔들 등 여러 스캔들은 공화당의 도덕성에 대한 불신을 증폭시켰다.3. 주요 정당 및 후보
1874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는 민주당과 공화당이 주요 정당으로 참여했다. 각 정당별 후보와 결과는 하위 섹션을 참고하라.[5]
3. 1. 민주당 (Democratic Party)
민주당은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세력을 확장했으며, 경제 불황과 공화당 스캔들로 인해 반사이익을 얻었다. 북부 지역에서도 노동자 계층과 이민자들의 지지를 받으며 영향력을 확대했다.[5]선거구 | 후보 | 정당 | 초선 연도 | 결과 |
---|---|---|---|---|
아칸소주 1구역 | 루시엔 C. 고스 | 민주당 | 1872년 | 민주당 획득 |
아칸소주 2구역 | 윌리엄 F. 슬레몬스 | 민주당 | 1870년 | 민주당 획득 |
아칸소주 3구역 | 윌리엄 W. 윌셔 | 민주당 | 1872년 | 민주당 획득 |
아칸소주 4구역 | 토머스 M. 건터 | 민주당 | 1872년 | 현직 재선 |
3. 2. 공화당 (Republican Party)
남북전쟁 이후 공화당은 북부와 남부의 일부 흑인 유권자들의 지지를 받았으나, 경제 불황과 스캔들로 인해 지지세가 약화되었다.[5] 재건 정책을 둘러싼 당내 분열도 공화당의 약세 요인 중 하나였다.선거구 | 현직 의원 | 정당 | 첫 당선 | 결과 | 후보 |
---|---|---|---|---|---|
아칸소 1 | 에이서 호지스 | 공화당 | 1872년 | 현직 은퇴. 민주당 획득. | |
아칸소 2 | 올리버 P. 스나이더 | 공화당 | 1870년 | 현직 은퇴. 민주당 획득. | |
아칸소 3 | 윌리엄 J. 하인스 | 공화당 | 1872년 | 현직 재선 실패. 민주당 획득. | |
캘리포니아 1 | 찰스 클레이턴 | 공화당 | 1872 | 현직 은퇴. 민주당 승리. | |
캘리포니아 2 | 호러스 F. 페이지 | 공화당 | 1872 | 현직 재선. | |
캘리포니아 4 | 셔먼 O. 호튼 | 공화당 | 1871 | 현직 재선 실패. 민주당 승리. |
3. 3. 무소속 (Independents)
무소속 후보들은 특정 지역구나 이슈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일부 선거에서 영향력을 발휘했다. 이들은 주로 기존 정당에 대한 불만을 가진 유권자들의 지지를 받았다.[5] 그러나 1874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 아칸소 주에서는 무소속 후보가 출마하거나 당선되지 않았다.4. 선거 결과
1874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 결과, 민주당이 178석, 공화당이 106석, 무소속이 8석을 차지하여 총 293석으로 구성되었다.[6] 민주당은 1860년 이후 처음으로 하원 다수당을 차지하게 되었다.
각 주별 정당별 의석수는 다음과 같다.
주 | 총 의석 | 민주당 | 공화당 | 무소속 |
---|---|---|---|---|
앨라배마 | 8 | 6 | 2 | 0 |
아칸소 | 4 | 4 | 0 | 0 |
캘리포니아 | 4 | 3 | 1 | 0 |
코네티컷 | 4 | 3 | 1 | 0 |
델라웨어 | 1 | 1 | 0 | 0 |
플로리다 | 2 | 1 | 1 | 0 |
조지아 | 9 | 9 | 0 | 0 |
일리노이 | 19 | 11 | 6 | 2 |
인디애나 | 13 | 8 | 5 | 0 |
아이오와 | 9 | 1 | 8 | 0 |
캔자스 | 3 | 1 | 2 | 0 |
켄터키 | 10 | 9 | 1 | 0 |
루이지애나 | 6 | 4 | 2 | 0 |
메인 | 5 | 0 | 5 | 0 |
메릴랜드 | 6 | 6 | 0 | 0 |
매사추세츠 | 11 | 5 | 4 | 2 |
미시간 | 9 | 3 | 6 | 0 |
미네소타 | 3 | 0 | 3 | 0 |
미시시피 | 6 | 4 | 2 | 0 |
미주리 | 13 | 13 | 0 | 0 |
네브래스카 | 1 | 0 | 1 | 0 |
네바다 | 1 | 0 | 1 | 0 |
뉴햄프셔 | 3 | 2 | 1 | 0 |
뉴저지 | 7 | 5 | 2 | 0 |
뉴욕 | 33 | 17 | 16 | 0 |
노스캐롤라이나 | 8 | 7 | 1 | 0 |
오하이오 | 20 | 13 | 7 | 0 |
민주당은 남부에서 재건 시대 이후 처음으로 광범위한 승리를 거두었다.
4. 1. 하원 의석 분포
4. 2. 주요 변화
1874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 민주당은 1860년 이후 처음으로 하원 다수당이 되었다. 특히 남부 지역에서 민주당의 압승이 두드러졌는데, 이는 재건 시대의 종말을 예고하는 신호로 해석되었다. 반면, 공화당은 경제 불황과 스캔들의 여파로 큰 타격을 입었으며, 북부 지역에서도 많은 의석을 잃었다.
5. 선거의 영향 및 역사적 의의
1874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미국의 재건 시대 종식을 가속화하고, 민주당과 공화당의 양당 체제를 공고히 한 중요한 선거였다. 남부에서 민주당의 세력 확장은 흑인들의 정치적 권리 축소로 이어졌다.[4] 비록 이 선거가 한국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았지만, 미국의 정치 지형 변화는 한국의 외교 및 경제 정책에 간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5. 1. 재건 시대의 종말
1874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에서 민주당이 하원을 장악하면서 재건 시대가 끝나가는 속도가 빨라졌다. 남부에서 민주당의 힘이 커지면서, 흑인들의 정치적 권리는 점차 줄어들기 시작했다.[4]5. 2. 정치 지형 변화
1874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미국 정치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받는다. 이 선거를 통해 민주당과 공화당의 양당 체제가 더욱 공고해졌다. 특히, 민주당은 남부를 기반으로, 공화당은 북부를 기반으로 하는 지역적 구도가 형성되는 계기가 되었다.[4]5. 3. 한국에 미친 영향
1874년 미국 하원의원 선거는 한국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았다. 그러나, 미국의 정치 지형 변화는 한국의 외교 및 경제 정책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민주당과의 관계 강화를 통해 한미 동맹을 발전시키고 경제 협력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본다.6. 각 주별 선거 결과
선거구 | 현직 | 이번 선거 | |||
---|---|---|---|---|---|
의원 | 정당 | 당선 연도 | 결과 | 후보 | |
1 | 제임스 버피턴 | 공화당 | 1868년 | 재선 | |
2 | 벤자민 W. 해리스 | 공화당 | 1872년 | 재선 | |
3 | 윌리엄 휘팅 2세 | 공화당 | 1872년 | 은퇴, 공화당 유지 | |
4 | 새뮤얼 후퍼 | 공화당 | 1861년 (특별) | 은퇴, 민주당 획득, 초기 결과 번복 후 재선거 | |
5 | 대니얼 W. 구치 | 공화당 | 1872년 | 낙선, 무소속 획득 | |
6 | 벤자민 버틀러 | 공화당 | 1866년 | 낙선, 민주당 획득 | |
7 | 에비니저 R. 호어 | 공화당 | 1872년 | 은퇴, 민주당 획득 | |
8 | 존 M. S. 윌리엄스 | 공화당 | 1872년 | 낙선, 민주당 획득 | |
9 | 조지 F. 호어 | 공화당 | 1868년 | 재선 | |
10 | 앨버 크로커 | 공화당 | 1872년 (특별) | 은퇴, 무소속 획득 | |
11 | 헨리 L. 도스 | 공화당 | 1856년 | 상원 출마로 은퇴, 민주당 획득 |
선거구 | 현직 | 이번 선거 | |||
---|---|---|---|---|---|
의원 | 정당 | 당선 연도 | 결과 | 후보 | |
1 | 루시우스 Q. C. 라마 | 민주당 | 1872년 | 재선 | |
2 | 앨버트 R. 호우 | 공화당 | 1872년 | 낙선, 무소속 공화당 승리 | |
3 | 헨리 W. 배리 | 공화당 | 1869년 | 은퇴, 민주당 승리 | |
4 | 제이슨 나일스 | 공화당 | 1872년 | 낙선, 민주당 승리 | |
5 | 조지 C. 맥키 | 공화당 | 1869년 | 은퇴, 민주당 승리 | |
6 | 존 R. 린치 | 공화당 | 1872년 | 재선 |
선거구 | 현직 | 이번 선거 | |||
---|---|---|---|---|---|
의원 | 정당 | 당선 연도 | 결과 | 후보 | |
AL | 로렌조 크론스 | 공화당 | 1872년 | 재선 |
선거구 | 현직 | 이번 선거 | |||
---|---|---|---|---|---|
의원 | 정당 | 당선 연도 | 결과 | 후보 | |
1 | 조셉 레이니 | 공화당 | 1870년 (특별) | 재선 | |
2 | 알론조 J. 랜시어 | 공화당 | 1872년 | 은퇴, 무소속 공화당 획득, 이후 이의 제기로 공석, 특별 선거 실시 | |
3 | 로버트 B. 엘리엇 | 공화당 | 1870년 | 1874년 11월 1일 사임, 공화당 유지 | |
4 | 알렉산더 S. 월리스 | 공화당 | 1868년 | 재선 | |
5 | 리처드 H. 케인 | 공화당 | 1872년 | 은퇴, 공화당 유지 |
선거구 | 현직 | 이번 선거 | |||
---|---|---|---|---|---|
의원 | 정당 | 당선 연도 | 결과 | 후보 | |
1 | 로데릭 R. 버틀러 | 공화당 | 1867 | 재선 실패, 민주당 획득 | |
2 | 제이콥 몽고메리 손버그 | 공화당 | 1872 | 재선 | |
3 | 윌리엄 크러치필드 | 공화당 | 1872 | 은퇴, 민주당 획득 | |
4 | 없음 (새 선거구) | 새 선거구, 민주당 획득 | |||
5 | 존 M. 브라이트 | 민주당 | 1870 | 재선 | |
6 | 호레이스 해리슨 | 공화당 | 1872 | 재선 실패, 민주당 획득 | |
7 | 워싱턴 C. 휘트손 | 민주당 | 1870 | 재선 | |
8 | 존 D. C. 앳킨스 | 민주당 | 1872 | 재선 | |
9 | 데이비드 A. 넌 | 공화당 | 1872 | 재선 실패, 민주당 획득 | |
10 | 바버 루이스 | 공화당 | 1872 | 재선 실패, 민주당 획득 |
선거구 | 현직 | 이번 선거 | |||
---|---|---|---|---|---|
의원 | 정당 | 당선 연도 | 결과 | 후보 | |
1 | 찰스 W. 윌라드 | 공화당 | 1868 | 재선 실패, 공화당 유지 | nowrap | |
2 | 루크 P. 폴란드 | 공화당 | 1866 | 재선 실패, 무소속 공화당 획득 | |
3 | 조지 헨디 | 공화당 | 1872 | 재선 |
선거구 | 현직 | 이번 선거 | |||
---|---|---|---|---|---|
의원 | 정당 | 당선 연도 | 결과 | 후보 | |
1 | 제임스 버벌리 세너 | 공화당 | 1872 | 재선 실패, 민주당 획득 | |
2 | 제임스 H. 플랫 주니어 | 공화당 | 1869 | 재선 실패, 민주당 획득 | |
3 | 찰스 H. 포터 | 공화당 | 1869 | 은퇴, 민주당 획득 | |
4 | 윌리엄 H. H. 스토웰 | 공화당 | 1870 | 재선 | |
5 | 크리스토퍼 토마스 | 공화당 | 1872 | 재선 실패, 민주당 획득 | |
6 | 토마스 화이트헤드 | 민주당 | 1872 | 은퇴, 민주당 유지 | |
7 | 존 T. 해리스 | 민주당 | 1870 | 재선 | |
8 | 에파 헌턴 | 민주당 | 1872 | 재선 | |
9 | 리스 보웬 | 민주당 | 1872 | 은퇴, 민주당 유지 |
참조
[1]
간행물
The Politics of Economic Crises: The Panic of 1873, the End of Reconstruction, and the realignment of American Politics
[2]
간행물
Party Systems and Realignments in the United States, 1868-2004
2006-09-01
[3]
서적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from the Compromise of 1850: 1872-1877
https://books.google[...]
The Macmillan company
[4]
문서
Statutes at Large, 28th Congress, 2nd Session, p. 721.
[5]
서적
Guide to U.S. Elections
CQ Press
[6]
웹사이트
State of Connecticut Elections Database » Search Past Election Results
https://electionhist[...]
2024-10-09
[7]
웹사이트
MS - District 01
https://www.ourcampa[...]
2021-03-11
[8]
웹사이트
MS - District 02
https://www.ourcampa[...]
2021-03-11
[9]
웹사이트
MS - District 03
https://www.ourcampa[...]
2021-03-11
[10]
웹사이트
MS - District 04
https://www.ourcampa[...]
2021-03-11
[11]
웹사이트
MS - District 05
https://www.ourcampa[...]
2021-03-11
[12]
웹사이트
MS - District 06
https://www.ourcampa[...]
2021-03-11
[13]
웹사이트
Our Campaigns - NE - District 01 Race - Oct 13, 1874
https://www.ourcampa[...]
2021-09-19
[14]
웹사이트
TN - District 01
https://www.ourcampa[...]
2021-02-21
[15]
웹사이트
TN - District 02
https://www.ourcampa[...]
2021-02-21
[16]
웹사이트
TN - District 03
https://www.ourcampa[...]
2021-02-21
[17]
웹사이트
TN - District 04
https://www.ourcampa[...]
2021-02-21
[18]
웹사이트
TN - District 05
https://www.ourcampa[...]
2021-02-21
[19]
웹사이트
TN - District 06
https://www.ourcampa[...]
2021-02-21
[20]
웹사이트
TN - District 07
https://www.ourcampa[...]
2021-02-21
[21]
웹사이트
TN - District 08
https://www.ourcampa[...]
2021-02-21
[22]
웹사이트
TN - District 09
https://www.ourcampa[...]
2021-02-21
[23]
웹사이트
TN - District 10
https://www.ourcampa[...]
2021-02-21
[24]
웹사이트
VT Elections Database » Vermont Election Results and Statistics
https://electionarch[...]
2024-08-29
[25]
웹사이트
Virginia Elections Database » Virginia Election Results and Statistics
https://historical.e[...]
2024-09-02
[26]
웹사이트
WV District 01
https://www.ourcampa[...]
2021-04-16
[27]
웹사이트
WV District 02
https://www.ourcampa[...]
2021-04-16
[28]
웹사이트
WV District 03
https://www.ourcampa[...]
2021-04-16
[29]
웹사이트
DK Territorial Delegate
https://www.ourcampa[...]
2021-04-06
[30]
웹사이트
Our Campaigns - CO Territorial Delegate - Final Election Race - Nov 03, 1874
https://www.ourcampa[...]
[31]
웹사이트
ID Territorial Delegate
https://www.ourcampa[...]
2021-04-03
[32]
웹사이트
MT Territorial Delegate
https://www.ourcampa[...]
2021-04-04
[33]
웹사이트
WY Territorial Delegate
https://www.ourcampa[...]
2021-04-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