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0년 하계 올림픽 육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00년 하계 올림픽 육상은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대회로, 23개의 세부 종목에서 남자 선수들만 참가했다. 트랙, 도로, 필드 종목으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미국이 금메달 16개, 은메달 13개, 동메달 10개로 압도적인 성적을 거두었다. 주요 우승 선수로는 앨빈 크렌즐린, 존 툭스버리, 찰스 베넷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에서 개최된 육상 대회 - 200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
2003년 세계 육상 선수권 대회는 2003년 8월 프랑스 파리 근교 생드니의 스타드 드 프랑스에서 203개국 1,679명의 선수들이 참가한 국제 육상 대회로, 킴 콜린스 남자 100m 우승과 히샴 엘 게루주의 1500m 4회 연속 우승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 1900년 7월 - 1900년 하계 올림픽 체조
1900년 파리 올림픽 체조는 8개국 135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16개 종목(육상, 역도 포함)에서 기량을 겨룬 대회로, 종합 개인전이 처음 도입되었으며 프랑스의 귀스타브 상드라가 금메달을 획득하여 메달 순위 1위를 차지했다. - 1900년 7월 - 1900년 만국 박람회
1900년 만국 박람회는 프랑스 파리에서 새로운 세기를 기념하고 국가 자부심을 고취하기 위해 개최되었으며, 56개국이 참여하여 다양한 문화와 기술을 선보였으나 재정적인 어려움도 겪었다.
1900년 하계 올림픽 육상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개요 | |
종목 | 육상 |
대회 | 1900년 하계 올림픽 |
![]() | |
경기장 | 크루아카텔랑 경기장 |
날짜 | 1900년 7월 14일 – 7월 22일 |
참가 선수 | 117명 |
참가 국가 | 16개국 |
이전 대회 | 1896년 |
다음 대회 | 1904년 |
세부 종목 | |
트랙 종목 | 60m 100m 200m 400m 800m 1500m 110m 허들 200m 허들 400m 허들 2500m 장애물 4000m 장애물 5000m 단체전 |
도로 종목 | 마라톤 |
필드 종목 | 멀리뛰기 세단뛰기 높이뛰기 장대높이뛰기 제자리 멀리뛰기 제자리 세단뛰기 제자리 높이뛰기 포환던지기 원반던지기 해머던지기 |
2. 경기장
육상 경기는 파리에 있는 크루아카텔랑 경기장에서 진행되었다.
1900년 하계 올림픽 육상 경기는 모두 남자 경기만 23개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다. 세부 종목은 다음과 같다.
3. 세부 종목
트랙 종목 도로 종목 필드 종목 valign="top"| valign="top"| valign="top"|
3. 1. 트랙 종목
1900년 하계 올림픽 육상 트랙 종목은 남자 경기만 진행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세부 종목들이 있었다.
100m와 110m 허들 경기는 모든 라운드와 결승전이 치러졌다. 미국은 100m에서 스탠 로울리가 획득한 동메달을 제외한 5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프랭크 자비스가 100m에서, 앨빈 크렌즐라인이 110m 허들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400m 예선에서는 미국이 결승 진출 티켓 5장을 확보했고, 덴마크가 마지막 한 자리를 차지했다. 800m는 미국 3명, 프랑스, 영국, 헝가리에서 각각 한 명의 선수가 결승에 진출했다. 400m 허들 준결승에서는 단 한 명의 선수만 탈락하고 나머지 4명이 결승에 진출했다.
앨빈 크렌즐라인은 60m 달리기와 멀리뛰기에서 1위를 차지했다. 특히 멀리뛰기 우승과 관련하여, 결승전이 일요일에 열려 참가를 못 한 마이어 프린스타인에게 주먹질을 당했다는 설이 있다. 크렌즐라인은 이 대회에서 금메달 3개를 획득했다.
찰스 베넷은 1500m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여 영국에 첫 금메달을 안겨주었다. 캐나다의 조지 오턴은 2500m 장애물 경주에서 우승하며 금메달과 동메달을 각각 1개씩 획득했다.
월요일에 열린 결승전에서 크렌즐라인은 200m 허들에서 우승하며 개인 종목 4관왕의 기록을 세웠다. 영국은 800m와 4000m 장애물 경주에서 금메달 2개를 추가했다.
노먼 프릿차드는 200m 허들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인도의 첫 올림픽 출전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마지막 날, 월터 튜크스베리는 200m 경기에서 우승하며 금메달 2개를 포함해 총 5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5000m 단체 경기는 영국 팀이 우승했으며, 오스트레일리아의 스탠 로울리가 포함되어 있었다. 로울리는 이 경기를 완주하지 못하고 기권하여 최하위를 기록했다.
종목 | 금 | 은 | 동 |
---|---|---|---|
60m | |||
100m | |||
200m | |||
400m | |||
800m | |||
1500m | |||
110m 허들 | |||
200m 허들 | |||
400m 허들 | |||
2500m 장애물 | |||
4000m 장애물 | |||
5000m 단체전 | 찰스 베넷 존 리머 시드니 로빈슨 알프레드 타이소 스탠리 로리 | 앙리 드로주 가스통 라그노 자크 샤스타니에 앙드레 카스타네 알베르 샴푸드리 | 해당 팀 없음 |
3. 2. 도로 종목
마라톤은 1900년 하계 올림픽 육상에서 진행된 유일한 도로 종목이었다.[5] 미셸 테아토는 프랑스 국적의 룩셈부르크 시민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스웨덴은 마라톤 동메달로 육상 첫 메달을 획득했다.종목 | 금 | 은 | 동 |
---|---|---|---|
마라톤[5] |
3. 3. 필드 종목
멀리뛰기, 세단뛰기, 높이뛰기, 장대높이뛰기, 제자리멀리뛰기, 제자리세단뛰기, 제자리높이뛰기, 포환던지기, 원반던지기, 해머던지기 경기가 진행되었다.
4. 참가국 및 선수
1900년 하계 올림픽 육상에는 15개국에서 117명의 선수가 참가하였다. 이 대회에서는 남자 종목만 23개가 실시되었다.
5. 메달 집계
순위 | 국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
1 | 미국 | 16 | 13 | 10 | 39 |
2 | 영국 | 3 | 3 | 2 | 8 |
3 | 프랑스 | 1 | 4 | 2 | 7 |
4 | 캐나다 | 1 | 0 | 1 | 2 |
헝가리 | 1 | 0 | 1 | 2 | |
6 | 혼성팀 | 1 | 0 | 0 | 1 |
7 | 인도 | 0 | 2 | 0 | 2 |
8 | 보헤미아 | 0 | 1 | 0 | 1 |
9 | 오스트레일리아 | 0 | 0 | 3 | 3 |
10 | 덴마크 | 0 | 0 | 1 | 1 |
노르웨이 | 0 | 0 | 1 | 1 | |
스웨덴 | 0 | 0 | 1 | 1 |
이 메달들은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에 의해 소급 적용되었으며, 당시 우승자에게는 은메달이 수여되었다.
5. 1. 국가별 메달 순위
순위 | 국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
1 | 미국 | 16 | 13 | 10 | 39 |
2 | 영국 | 3 | 3 | 2 | 8 |
3 | 프랑스 | 1 | 4 | 2 | 7 |
4 | 캐나다 | 1 | 0 | 1 | 2 |
헝가리 | 1 | 0 | 1 | 2 | |
6 | 혼성 | 1 | 0 | 0 | 1 |
7 | 인도 | 0 | 2 | 0 | 2 |
8 | 보헤미아 | 0 | 1 | 0 | 1 |
9 | 오스트레일리아 | 0 | 0 | 3 | 3 |
10 | 덴마크 | 0 | 0 | 1 | 1 |
노르웨이 | 0 | 0 | 1 | 1 | |
스웨덴 | 0 | 0 | 1 | 1 |
이 메달들은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에 의해 소급적으로 할당되었으며, 당시 우승자들은 은메달을 받았다.
5. 2. 메달리스트
종목 | 금 | 은 | 동 |
---|---|---|---|
60m | 알빈 크랜즐린|Alvin Kraenzlein영어 (미국) | 존 툭스버리|John Tewksbury영어 (미국) | 스탠리 롤리|Stanley Rowley영어 (오스트레일리아) |
100m | 프랭크 자비스|Frank Jarvis영어 (미국) | 존 툭스버리|John Tewksbury영어 (미국) | 스탠리 롤리|Stanley Rowley영어 (오스트레일리아) |
200m | 존 툭스버리|John Tewksbury영어 (미국) | 노먼 프리차드|Norman Pritchard영어 (인도) | 스탠리 롤리|Stanley Rowley영어 (오스트레일리아) |
400m | 맥시 롱|Maxie Long영어 (미국) | 윌리엄 홀랜드|William Holland영어 (미국) | 에른스트 슐트|Ernst Schultzda (덴마크) |
800m | 알프레드 타이소|Alfred Tysoe영어 (영국) | 존 크리갠|John Cregan영어 (미국) | 데이비드 홀|David Hall영어 (미국) |
1500m | 찰스 베넷|Charles Bennett영어 (영국) | 앙리 델로주|Henri Deloge프랑스어 (프랑스) | 존 브레이|John Bray영어 (미국) |
마라톤 | 미셸 테아토|Michel Théato프랑스어 (프랑스)[5] | 에밀 샴피옹|Émile Champion프랑스어 (프랑스) | 에른스트 파스트|Ernst Fastsv (스웨덴) |
110m 허들 | 알빈 크랜즐린|Alvin Kraenzlein영어 (미국) | 존 맥린|John McLean영어 (미국) | 프레드릭 몰로니|Frederick Moloney영어 (미국) |
200m 허들 | 알빈 크랜즐린|Alvin Kraenzlein영어 (미국) | 노먼 프리차드|Norman Pritchard영어 (인도) | 존 툭스버리|John Tewksbury영어 (미국) |
400m 허들 | 존 툭스버리|John Tewksbury영어 (미국) | 앙리 토쟁|Henri Tauzin프랑스어 (프랑스) | 조지 오튼|George Orton영어 (캐나다) |
2500m 장애물 | 조지 오튼|George Orton영어 (캐나다) | 시드니 로빈슨|Sidney Robinson영어 (영국) | 자크 샤스타니에|Jacques Chastanié프랑스어 (프랑스) |
4000m 장애물 | 존 리머|John Rimmer영어 (영국) | 찰스 베넷|Charles Bennett영어 (영국) | 시드니 로빈슨|Sidney Robinson영어 (영국) |
5000m 단체전 | 찰스 베넷|Charles Bennett영어 (영국), 존 리머|John Rimmer영어 (영국), 시드니 로빈슨|Sidney Robinson영어 (영국), 알프레드 타이소|Alfred Tysoe영어 (영국), 스탠리 롤리|Stanley Rowley영어 (오스트레일리아)[6] | 앙리 델로주|Henri Deloge프랑스어 (프랑스), 가스통 라그뇨|Gaston Ragueneau프랑스어 (프랑스), 자크 샤스타니에|Jacques Chastanié프랑스어 (프랑스), 앙드레 카스타네|André Castanet프랑스어 (프랑스), 알베르 샴푸드리|Albert Champoudry프랑스어 (프랑스) | 없음 |
멀리뛰기 | 알빈 크랜즐린|Alvin Kraenzlein영어 (미국) | 마이어 프린슈타인|Myer Prinstein영어 (미국) | 패트릭 리하이|Patrick Leahy영어 (영국) |
세단뛰기 | 마이어 프린슈타인|Myer Prinstein영어 (미국) | 제임스 코널리|James Connolly영어 (미국) | 루이스 셸던|Lewis Sheldon영어 (미국) |
높이뛰기 | 어빙 백스터|Irving Baxter영어 (미국) | 패트릭 리하이|Patrick Leahy영어 (영국) | 괸츠지 라요스|Lajos Gönczyhu (헝가리) |
장대높이뛰기 | 어빙 백스터|Irving Baxter영어 (미국) | 메러디스 콜킷|Meredith Colket영어 (미국) | 카를 알베르트 안데르센|Carl Albert Andersenno (노르웨이) |
제자리멀리뛰기 | 레이 유리|Ray Ewry영어 (미국) | 어빙 백스터|Irving Baxter영어 (미국) | 에밀 토르셰보외프|Émile Torchebœuf프랑스어 (프랑스) |
제자리세단뛰기 | 레이 유리|Ray Ewry영어 (미국) | 어빙 백스터|Irving Baxter영어 (미국) | 로버트 개릿|Robert Garrett영어 (미국) |
제자리높이뛰기 | 레이 유리|Ray Ewry영어 (미국) | 어빙 백스터|Irving Baxter영어 (미국) | 루이스 셸던|Lewis Sheldon영어 (미국) |
포환던지기 | 리차드 셸던|Richard Sheldon영어 (미국) | 조사이어 매크라켄|Josiah McCracken영어 (미국) | 로버트 개릿|Robert Garrett영어 (미국) |
원반던지기 | 바우에르 루돌프|Rudolf Bauerhu (헝가리) | 프란티셱 얀다 숙|František Janda-Sukcs (보헤미아) | 리차드 셸던|Richard Sheldon영어 (미국) |
해머던지기 | 존 제서스 플래니건|John Flanagan영어 (미국) | 트럭스턴 헤어|Truxtun Hare영어 (미국) | 조사이어 매크라켄|Josiah McCracken영어 (미국) |
참조
[1]
서적
Olympische Spiele 1900 in Paris
Agon-Sportverlag
[2]
문서
An additional gold medal was won by a mixed team composed of four athletes from Great Britain and one from Australia.
[3]
웹사이트
Paris 1900 Medal Table
https://olympics.com[...]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2023-07-17
[4]
웹사이트
Michel Théato IOC webpage
https://olympics.com[...]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5]
문서
距離は40.260km
[6]
문서
イギリスとオーストラリアの混成チー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