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1년 몽골 혁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11년 몽골 혁명은 20세기 초 청나라의 지배 하에 있던 몽골에서 일어난 독립 운동이다. 경제적 어려움과 청나라의 한족화 정책에 대한 반발이 주요 원인이 되었으며, 러시아의 지원을 받아 외몽골이 독립을 선언하고 복드 칸이 즉위하면서 몽골(1911–1924) 시대를 열었다. 혁명 과정에서 러시아의 역할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툽신 남난수렌, 젭춘담바 후툭투, 만라이바타르 담딘수렌 등 많은 몽골인들이 혁명에 참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1년 분쟁 - 신해혁명
신해혁명은 1911년 청나라의 쇠퇴와 서구 열강의 침략 등 여러 요인으로 발생하여 중화민국을 수립하고 아시아 최초의 공화국을 세운 혁명이다. - 1911년 분쟁 - 이란 입헌 혁명
이란 입헌 혁명은 1905년부터 1911년까지 카자르 왕조에 대한 불만, 외세의 간섭, 서구 문물 유입 등으로 이란에서 발생한 정치적, 사회적 변혁 운동으로, 입헌 군주제 수립을 목표로 1906년 헌법 제정과 의회 설립을 이루었으나 왕정 복고 시도와 외세 개입으로 좌절된 후 이란 정치와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 20세기 몽골 - 로만 폰 웅게른슈테른베르크 남작
로만 폰 웅게른슈테른베르크 남작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출신의 군인으로, 제1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내전에 참전하여 백군으로 활동하며 군주제 복고를 시도했으나 붉은 군대에 패배하여 처형되었다. - 20세기 몽골 - 몽골 인민공화국
몽골 인민 공화국은 1924년 수립되어 소련의 지원을 받아 사회주의 체제를 구축하고 산업화와 도시화를 추진하다가 1990년 민주화 혁명으로 몽골국으로 전환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1911년 몽골 혁명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날짜 | 1911년 11월 - 1912년 8월 |
장소 | 외몽골 및 내몽골, 청나라 |
좌표 | 47°55′13″N 106°55′02″E |
원인 | 청나라 후기의 개혁 몽골의 문화 동화 및 식민화 |
목표 | 몽골의 독립 |
결과 | 복드 칸국이 외몽골에 수립됨 내몽골은 중국의 지배하에 남음 |
관련 분쟁 | 신해혁명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몽골 민족주의자 |
교전국 1 지휘관 | 퇴그스오치린 남난쉬렌 다 람 체렌치메드 제8대 제브춘담바 후툭투 소드노민 담딘바자르 미지드도르지인 칸드도르지 만라이바타르 담딘쉬렌 카탄바타르 막사르자브 바얀퇴뫼린 카이샨 토그토흐 타이즈 수미야 베이스 우다이 반 바부자브 후를레그 베이스 |
교전국 2 지휘관 | 산도 |
교전국 3 지휘관 | 그리고리 세묘노프 |
사상자 및 피해 | |
몽골 민족주의자 | 45명 사망 |
청나라 | 200명 사망, 1,200명 포로 |
2. 역사적 배경
20세기 초, 몽골은 가난에 시달리고 있었다. 이러한 경제적 악화의 주요 원인은 태평천국의 난(1850–1864)의 여파였다.[2] 난으로 인해 남중국에서 세수입이 감소하고, 진압 비용이 발생하면서 청나라 국고가 고갈되었다. 몽골의 관습과는 달리, 가축 대신 은이 세금 납부의 주요 수단이 되었다. 몽골인들이 은을 얻는 주요 출처는 한 상인에게서 빌린 대출이었다. 이러한 대출은 엄청난 이자율로 거래되었으며, 가축으로 상환되었고, 이는 다시 중국 본토로 수출되었다. 그 결과 몽골인들의 생계를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가축 떼의 규모가 급격히 감소했다.[3]
경제 붕괴, 증가하는 부채, 그리고 늘어나는 세금 요구는 몽골 사회와 정치적 불안의 요인이 되었다. 그러나 반란의 계기를 마련한 것은 외몽골의 변혁을 위한 청나라의 계획이었다.
2. 1. 경제적 어려움
20세기 초, 몽골은 가난에 시달리고 있었다. 이러한 경제적 악화의 주요 원인은 태평천국의 난 (1850–1864)의 여파였다.[2] 난으로 인해 남중국에서 세수입이 감소하고, 진압 비용이 발생하면서 청나라 국고가 고갈되었다. 몽골의 관습과는 달리, 가축 대신 은이 세금 납부의 주요 수단이 되었다. 몽골인들이 은을 얻는 주요 출처는 한 상인에게서 빌린 대출이었다. 이러한 대출은 엄청난 이자율로 거래되었으며, 가축으로 상환되었고, 이는 다시 중국 본토로 수출되었다. 그 결과 몽골인들의 생계를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가축 떼의 규모가 급격히 감소했다.[3]경제 붕괴, 증가하는 부채, 그리고 늘어나는 세금 요구는 몽골 사회와 정치적 불안의 요인이 되었다.
2. 2. 청나라의 신정(新政) 정책
19세기 말, 청일 전쟁에서 청나라가 패배하고 서구 열강의 침략이 가속화되자, 청나라는 신정(新政)이라는 광범위한 개혁 정책을 추진하였다.[5] 그러나 외몽골에서 신정은 단순한 근대화가 아닌 문화 동화, 즉 한족화를 목표로 추진되었다.[5]19세기 후반 중국의 서구 제국주의는 중국의 정치적 우선순위를 바꾸었다. 특히 러일 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하면서 청나라는 국가의 존속을 위해 국경 지역 주민들을 중국화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1910년 청나라는 몽골에 대한 한족 이주, 중국어 사용 강요, 한족과의 결혼 장려 등의 정책을 담은 칙령을 발표했다.[5] 이는 몽골인들의 오랜 고립을 해체하는 마지막 단계였다.[5]
1910년 초, 청나라는 산도를 외몽골의 수도인 우르가(현대 울란바토르)의 총독으로 임명하여 신정을 시행하게 했다.[6] 산도는 군사, 세금, 경찰, 정부 및 상업 등 여러 분야를 감독하기 위해 사무실을 조직하고, 몽골을 중국 농부로 식민지화할 계획을 세웠다.[6] 1911년 1월에는 탕자이리 중령이 몽골 군대 조직을 위해 파견되었고, 우르가 근처에 병영이 세워졌다.[6] 이러한 일련의 조치에 몽골인들은 생존의 위협을 느꼈고, 청나라 정부에 옛 방식대로 살 수 있도록 허용해 달라는 청원을 올리기도 했다.[6]
3. 몽골의 독립 운동
3. 1. 산도(珊多)의 실정(失政)
산도(珊多)는 외몽골에 부임하여 신정을 강압적으로 추진하고, 몽골인들의 불만을 무시하면서 독립 운동의 불씨를 키웠다.[8][9]산도가 도착한 지 한 달도 채 되지 않아, 취한 라마 (불교 승려) 몇 명과 중국인들이 우르가의 한 중국 목공소에서 싸움을 벌였다. 산도가 체포하기 위해 도시의 주요 사원인 간단 사원에 도착했을 때, 라마들은 그와 그의 군인들에게 돌을 던져 철수하게 만들었다. 산도는 제브춘담바 후툭투에게 이 사건의 주모자로 여겨지는 특정 라마를 넘길 것을 요구했으나, 후툭투는 이를 거부했고 산도는 그에게 벌금을 부과했다. 몽골인들은 청 정부에 산도의 해임을 청원했지만 실패했다.[8]
이후 작은 귀족인 토그토흐 타이지(Togtokh Taij)는 소규모 무리와 함께 현지 몽골 관료들의 묵인 하에 몽골 동부의 여러 중국 상점들을 약탈했다. 산도는 토그토흐를 체포하기 위해 군대를 파견했지만, 그들은 몽골인 안내자에 의해 함정에 빠졌고, 대부분이 죽임을 당했다. 몽골의 왕자들은 산도의 군대에 병력을 제공하는 것을 거부했다. 그리고 토그토흐가 약탈한 코슈운의 왕자는 약탈당한 중국 상인들에게 배상금을 지불하라는 산도의 요구를 거부했다.[9]
3. 2. 독립을 위한 결의
1911년 봄, 툽신 남난수렌 공을 비롯한 몽골 귀족들은 젭춘담바 후툭투에게 독립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회의를 소집하도록 설득했다.[10] 후툭투는 종교 축제를 명분으로 7월 10일에 회의를 소집했고, 회의에서 몽골인들은 청나라에 대한 저항 여부를 논의했지만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10]
몽골의 독립을 선언하는 외교부에 보내는 편지.
상트페테르부르크로 파견된 사절단은 후툭투와 할하의 네 칸 명의로 된 서한을 통해 중국에 대한 무기 지원과 몽골로 진군하는 중국군에 대항할 러시아 군대의 필요성을 요청했다.[11] 몽골은 그 대가로 경제적 양보를 약속했다.[11] 러시아는 외몽골을 자국의 세력권에 포함시키고 중국과 일본으로부터 보호하는 완충국으로 삼고자 했지만, 제국의 일부로 만들 계획은 없었다.[11] 러시아 정부는 몽골의 완전한 독립 대신 청 제국 내 자치를 지원하기로 결정하고, 대표단 보호를 위해 우르가 영사 경비를 강화했다.[12] 이후 베이징 주재 러시아 공사는 청 정부에 몽골 사절단 파견 사실을 알리고, 할하와 국경을 공유하는 러시아의 우려를 전달하며, 경고를 무시하면 중국이 그 결과를 감수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13]
3. 3. 러시아의 지원
러시아 제국 정부는 외몽골을 시베리아의 러시아 국경에 대한 중국과 일본의 영향에 맞서는 완충 국가, 즉 중국의 종속 국가 또는 자치주로 보는 것을 선호했다.[23] 이 혁명은 몽골족의 민족주의가 커져가는 것을 반영했으며, 당시 중국에서도 작용하고 있던 정치적, 사회적 세력인 민족 국가를 형성하려는 그들의 열망을 반영했다.[24]
4. 외몽골의 독립 선언
1911년 10월 10일, 우창 봉기를 시작으로 신해혁명이 발발하여 청나라 전역으로 확산되었다.[16] 몽골 사절단의 러시아 방문 소식을 접한 청 정부는 산도에게 조사를 지시했고, 산도는 흐투흐트에게 러시아 군대 요청을 철회하라고 요구했다. 흐투흐트는 산도가 신 행정부를 해체한다는 조건으로 동의했다.[14] 산도는 몽골 제후들에게 러시아에 호소한 것은 소수의 개인일 뿐이라는 성명을 발표하도록 지시했지만, 제후들은 구두로만 그러한 선언을 했다.[15]
이러한 상황에서 흐투흐트의 지원과 청 왕조의 붕괴가 임박해지자, 할하 귀족들이 주도하는 할하 임시 정부가 구성되었다. 11월 28일, 정부는 할하의 네 개 성(''아이마그'')에 각각 1,000명의 군인을 동원하라고 명령했고, 곧 500명의 병력이 우르가에 집결했다.[17]
이틀 후, 산도는 할하 귀족과 라마들로부터 중국의 분리주의 운동과 혁명군의 내몽골 진격 준비에 대한 편지를 받았다. 그들은 흐투흐트가 황제를 보호하기 위해 4,000명의 병력을 동원하라는 명령을 받았다고 주장하며 산도에게 식량과 무기를 제공하도록 요청했다. 대표단은 산도를 방문하여 독립을 선언하고 흐투흐트를 황제로 옹립하겠다는 결정을 통보했다. 산도는 몽골의 완전 자치를 권고하겠다고 약속했지만, 독립은 안 된다고 간청했다. 그러나 대표단은 이미 결정된 사항을 전달하기 위해 왔다고 답하며, 산도에게 24시간 이내에 몽골을 떠나라고 명령했다.[17]
산도는 150명의 병력만으로는 상황을 타개할 수 없었다. 다음날, 그의 병사들은 몽골 민병대와 그리고리 세묘노프가 지휘하는 러시아 코사크에 의해 무장 해제되었다. 산도와 그의 참모들은 러시아 영사관으로 피신했고, 1911년 12월 5일 러시아 호위를 받으며 몽골을 떠났다.[18]
1911년 12월 1일, 할하 임시 정부는 청의 통치를 종식하고 젭춘담바 흐투흐트 아래 신정 국가를 수립하는 일반 선언문을 발표했다. 12월 29일, 흐투흐트는 복드 칸으로 즉위하여 복드 칸 시대가 시작되었다.[21]
5. 독립 이후 상황
외몽골의 독립 이후, 내몽골에서는 친청 세력과 독립 운동 세력 간의 갈등이 벌어졌다.[21] 친청 왕당파는 내몽골의 독립을 반대했지만, 일부는 만주, 외몽골, 내몽골을 통합하는 군주제 국가를 주장하기도 했다. 특히 내몽골 하르친 기의 지도자 겅상노르부는 1911년 12월 일본과 긴밀한 관계를 맺고 차관을 빌려 일본에 광업권을 약속하고 대규모 무기를 수송받았다.[21]
몽골 사절단의 러시아 방문 소식을 접한 청 정부는 산도에게 조사를 지시했고, 산도는 흐투흐트에게 러시아 군대 요청을 철회하라고 요구했다.[14] 흐투흐트는 산도가 신 행정부를 해체한다는 조건으로 동의했다.[14] 산도는 우르가에 있는 제후들에게 러시아에 호소한 것은 소수의 개인일 뿐이라는 성명을 발표하도록 지시했고, 제후들은 구두로만 선언했다.[15] 산도는 몽골인들에게 러시아 영사관과의 추가 접촉을 금지하고, 불복종할 경우 우르가에 병력을 추가로 투입하고 도시의 중국인들을 무장시키겠다고 위협했다.[15]
1911년 10월 10일 우창 봉기가 일어나면서, 청나라의 여러 성(省)들이 독립을 선언했다.[16] 산도는 자신의 입장이 유지될 수 없다고 판단하여 사임을 요청했지만 거부되었다.[16] 흐투흐트의 지원과 청 왕조의 붕괴에 힘입어 할하 임시 정부가 구성되었고, 11월 28일 할하의 네 개 성(''아이마그'')에 군사를 동원하라는 명령이 내려졌다.[17] 11월 30일 몽골인들은 할하 임시 정부를 수립했다.[18] 12월 1일, 할하 임시 정부는 청의 통치를 종식하고 젭춘담바 흐투흐트 아래 신정 국가를 수립하는 일반 선언문을 발표했다.[21] 12월 29일, 흐투흐트는 공식적으로 새로운 몽골 국가의 ''복드 칸''으로 즉위했다.[21]
몽골 혁명은 비교적 평화롭게 진행되었는데, 이는 몽골의 청 당국이 현실적이었고 러시아 군대가 주둔했기 때문이다.[22] 그러나 호브드의 부군정 장관은 저항했고, 1912년 8월 몽골군에 의해 거점이 함락되었다.[19] 이 전투에서 청나라 군 200명과 몽골군 45명이 사망했다.[20] 바르가, 다리가, 호브드, 후브스굴 지역, 일리 지역의 26개 기(준가르 오이라트족), 내몽골 49개의 호순에서 35개의 호순과 상 몽골족 29개의 호순에서 24개의 호순이 복드 칸의 몽골 재통일을 지지하는 성명을 보냈지만, 현실적으로는 그들 대부분은 복드 칸 정권에 가담하는 것을 시도하기에는 너무 신중하거나 결단력이 부족했다.[21]
6. 러시아의 역할에 대한 평가
1911년 혁명과 1921년 혁명에서 러시아의 역할은 논란의 대상이었다.[23] 특히 중국 역사학계는 1911년 사건을 "차르의 도발과 조작"의 산물로 묘사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관점은 러시아와 몽골의 기록 보관 자료와 모순된다.[23]
외몽골의 독립 운동은 한족에 의한 몽골족 동화를 목표로 하는 청나라의 새로운 정책에 대한 반작용의 성격이 컸다. 러시아 제국 정부는 외몽골을 시베리아의 러시아 국경에 대한 중국과 일본의 영향에 맞서는 완충 국가, 즉 중국의 종속 국가 또는 자치주로 보는 것을 선호했다.[23] 이 혁명은 몽골족의 민족주의가 커져가는 것을 반영했으며, 당시 중국에서도 작용하고 있던 정치적, 사회적 세력인 민족 국가를 형성하려는 그들의 열망을 반영했다.[24]
7. 혁명의 주요 인물
외몽골에서는 턱스-오치린 남난수렌, 다람 체렌치메드, 제8대 젭춘담바 후툭투, 잘칸자 후툭트 소드놈담딘바자르, 미지도르지인 칸도르지, 카탄바타르 막사르자브 등이 혁명에 참여했다. 군사 지도자로는 바르가 몽골 출신의 만라이바타르 담딘수렌과 외몽골 출신의 카탄바타르 막사르자브가 있었다.
바얀토메린 하이산, 톡토흐 타이즈, 수미야 베이즈, 후르레그 베이즈, 우다이 반, 바부자브 등은 내몽골 출신이다. 톡토흐 타이즈는 내몽골 골로스 족 추장으로 중국에 대항하여 싸웠다. 수미야 베이즈는 차하르족으로 일리 지역(준가르 지역)의 추장이었으며, 271명의 사람들과 함께 몽골에 왔다. 우다이 반은 1913년 동몽골 독립 선언을 작성했다. 바부자브는 내몽골 하르친 족 추장으로 1915년까지 중국에 대항하여 싸웠다.
7. 1. 외몽골
외몽골에서는 턱스-오치린 남난수렌, 다람 체렌치메드, 제8대 젭춘담바 후툭투, 잘칸자 후툭트 소드놈담딘바자르, 미지도르지인 칸도르지, 카탄바타르 막사르자브 등이 혁명에 참여했다. 군사 지도자로는 바르가 몽골 출신의 만라이바타르 담딘수렌과 외몽골 출신의 카탄바타르 막사르자브가 있었다.7. 2. 내몽골
바얀토메린 하이산, 톡토흐 타이즈, 수미야 베이즈, 후르레그 베이즈, 우다이 반, 바부자브 등은 내몽골 출신이다. 톡토흐 타이즈는 내몽골 골로스 족 추장으로 중국에 대항하여 싸웠다. 수미야 베이즈는 차하르족으로 일리 지역(준가르 지역)의 추장이었으며, 271명의 사람들과 함께 몽골에 왔다. 우다이 반은 1913년 동몽골 독립 선언을 작성했다. 바부자브는 내몽골 하르친 족 추장으로 1915년까지 중국에 대항하여 싸웠다.참조
[1]
웹사이트
Mongolia's National Revolution of 1911 and the last emperor of Mongolia – VIII Bogdo Jetsundamba Khutukhtu
http://sarr.emory.ed[...]
[2]
서적
Manjiin erkhsheeld baisan üyeiin Khalkhyn khurangui tüükh (1691–1911) [The history of Khalka under the Manchus]
Ulan Bator
1963
[3]
서적
Neskol'ko dannykh o sovremmenoi Mongolii [Some information on modern Mongolia]
St. Petersburg
1912
[4]
웹사이트
Willow Palisade | wall, China
https://www.britanni[...]
[5]
논문
Revolution on the Chinese Frontier: Outer Mongolia in 1911
1978
[6]
서적
Wai menggu jinshi shi [The modern history of Outer Mongolia]
Shanghai
1926
[7]
문서
Natsagdorj
[8]
문서
Ewing
[9]
서적
Jrshi biji [Reminiscences]
Shanghai
1919
[10]
서적
Monglyn tovch tüükh [Short history of Mongolia]
Ulan Bator
1934
[11]
서적
Mongolyn tusgaar togtnol ba Khyatad, Oros Mongol gurvan ulsyn 1915 ony Khiagtyn geree (1911–1916)
Mongol Ulsyn Shinjlekh Ukhaany Acad. Publ.
[12]
서적
Die Internationalen Beziehungen im Zeitalter des Imperialismus [International Relations in the Age of Imperialism]
Berlin
1931-40
[13]
문서
Die Internationalen Beziehungen
[14]
문서
Chen Lu
[15]
문서
Internationalen Beziehungen
[16]
문서
Dendev
[17]
문서
Chen Lu
[18]
서적
Waimenggu jinshi shi [The recent history of Mongolia]
Shanghai
1926
[19]
서적
V staroi i novoi Mongolii. Vospominaniya, pis'ma [In old and new Mongolia. Reminiscences, letters]
Moscow
1969
[20]
웹사이트
Ховдыг чөлөөлөх байлдаан
https://www.tolgoilo[...]
2021-06-20
[21]
간행물
Proceedings of the Fifth East Asian Altaistic Conference, December 26, 1979 – January 2, 1980, Taipei, China
[22]
문서
Some shops in Urga were looted and burned, but for the most part the Chinese were left unmolested. The departure of the Uliastai Military Governor was also peaceful. The storming of Khovd and the loss of life and property several months later were the exception.
[23]
문서
On the establishment of the Jebtsundamba Khutuktu, letters were sent to the Inner Mongols, the Barguts, the Oirats of western Mongolia, the Tannu Uriankhai inviting them to join in the all-Mongolian state.
[24]
문서
Ew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