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민족주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족주의는 민족 집단의 자결권을 핵심으로 하는 정치적 이념으로, 1차 및 2차 세계 대전 사이의 시기에 연구가 시작되어 냉전 이후 더욱 발전했다. 민족주의는 시민 민족주의와 민족적 민족주의로 구분되며, 자치 행정 기구 요구, 자치 단체 요구, 연방제 수립, 주권 국가 수립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민족주의는 혈통이나 유전에 기반하여 배타적일 수 있으며, 차별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현대 사회에서 민족주의는 이민 정책, 특정 국가의 헌법, 그리고 정체성 정치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한국,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 국가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치와 민족 - 조국
    조국은 개인의 혈통, 역사, 국적, 성장 배경, 조상의 삶과 관련된 국가를 의미하며, 가족적 유대감과 애국심을 불러일으키는 민족주의적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 정치와 민족 - 다민족 국가
    다민족 국가는 두 개 이상의 민족 집단이 상당한 규모로 공존하는 국가를 의미하며, 각국의 역사적 배경과 사회·정치적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 민족 간 통합 및 갈등, 소수 민족 권리, 국가 정체성 확립 등의 과제를 안고 있다.
  • 민족주의 - 민족 종교
    민족 종교는 특정 민족 집단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문화, 언어, 관습을 규정하는 종교로, 민족의 정체성 유지 수단으로 기능하며, 대종교, 신토, 도교, 조로아스터교, 힌두교, 유대교 등이 대표적이다.
  • 민족주의 - 화이트 내셔널리즘
    화이트 내셔널리즘은 백인 인종과 문화의 우월성 및 생존을 옹호하며, 백인이 주류인 국가에서 정치적, 경제적 영향력을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이데올로기이자 사회운동으로, 혼혈, 다문화주의, 비백인 이민 등을 백인 인종에 대한 위협으로 간주한다.
  • 내셔널리즘 - 국수주의
    국수주의는 외국인 혐오를 기반으로 하며 과거의 영광을 신화화하는 이데올로기이며, 정치적 폭력, 인종차별, 사회적 분열을 야기하며 테러리즘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대중문화에서의 묘사 역시 비판적인 시각을 유지해야 한다.
  • 내셔널리즘 - 백호주의
    백호주의는 1901년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비유럽계 이민을 제한하기 위해 공식 정책으로 채택되었으며, 인종 갈등, 노동 운동의 영향, 그리고 인종차별적 정책 시행과 맞물려 시행되다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완화되어 1975년 완전히 불법화되었으나 현대 호주 사회에 여전히 영향을 미치고 있다.
민족주의
민족주의
전 세계 민족주의 지지 정도
전 세계의 민족주의 지지 정도 (2019년)
정의민족을 정치적 정체성의 핵심으로 강조하는 민족주의의 한 형태
특징민족의 문화적 동질성 및 공유된 조상을 강조
혈통, 민족성, 종교 등을 민족 구성원의 기준으로 사용
민족적 단결과 민족 국가 형성을 목표
관련 이념민족주의
인종주의
국가주의
문화 민족주의
유형
민족 중심주의자기 민족을 다른 민족보다 우월하게 여기는 태도
팽창주의적 민족주의민족적 영토 확장 또는 통일을 추구하는 민족주의
분리주의적 민족주의민족적 자결권을 주장하며 독립을 추구하는 민족주의
인종 민족주의인종을 기반으로 민족을 정의하는 민족주의
문화 민족주의민족 문화를 강조하고 민족적 정체성을 강화하는 민족주의
종교 민족주의종교를 민족 정체성의 핵심 요소로 삼는 민족주의
좌익 민족주의사회적 평등과 민족 해방을 결합한 민족주의
역사 및 발전
기원19세기 유럽에서 민족 국가 형성 과정과 함께 등장
전개20세기 초반 제국주의와 민족 해방 운동에 영향
냉전 시기 민족 분쟁 및 독립 운동의 원인
현대 사회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남
비판 및 논란
배타성 및 차별다른 민족에 대한 차별과 혐오를 유발할 수 있음
폭력 및 분쟁민족 갈등 및 폭력적 분쟁의 원인이 될 수 있음
민족 정체성의 강요개인의 정체성 다양성을 무시하고 단일 민족 정체성을 강요할 수 있음
관련 학문 분야
정치학민족주의 정치 운동, 국가 형성, 민족 분쟁 연구
사회학민족 정체성, 민족 관계, 사회 통합 연구
역사학민족주의의 역사적 기원 및 전개 과정 연구
인류학민족 문화, 민족 정체성, 민족 집단 연구
주요 개념
민족공유된 문화, 언어, 역사, 혈통 등을 가진 집단
민족 정체성특정 민족에 대한 소속감과 정체성
민족 국가민족을 기반으로 형성된 국가
민족 자결민족 스스로 정치적 운명을 결정할 권리
주요 인물
대표적인 사상가요한 고트프리트 헤르더
주세페 마치니
한스 콘
에른스트 겔너
베네딕트 앤더슨
주요 사례
사례20세기 유럽의 민족 국가 형성 과정
식민지 해방 운동과 민족 독립
발칸 반도의 민족 분쟁
르완다 대학살
현대 사회의 민족 분쟁 및 갈등
관련 용어
관련된 용어국가주의
애국주의
민족주의
문화 민족주의
인종주의
파시즘
나치즘
시오니즘
보수주의
급진주의
포퓰리즘
민족주의
세계의 민족주의
세계의 민족주의
정의민족을 국가의 기초로 간주하고 민족적 정체성을 강조하는 정치 이념
민족의 번영과 발전을 추구하는 이념
특징민족의 문화, 역사, 전통을 중시
민족의 단결과 통합을 추구
자민족 중심주의 성향을 가질 수 있음
관련 이념애국주의
국가주의
인종주의
국수주의
유형
정치적 민족주의국가 건설과 국가 권력 강화를 목표로 하는 민족주의
문화적 민족주의민족 문화와 정체성을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데 초점을 맞춘 민족주의
경제적 민족주의자국 경제를 보호하고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민족주의
인종적 민족주의인종적 유대감을 강조하고 인종을 기반으로 민족을 정의하는 민족주의
시민적 민족주의시민 의식과 국가에 대한 충성심을 강조하는 민족주의
역사적 전개
발생 배경유럽의 봉건제 해체와 근대 국가 형성 과정에서 등장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전쟁을 거치며 확산
전개 과정19세기 유럽의 민족 국가 형성 운동
제국주의 시대 식민지 민족 해방 운동
20세기 양차 세계 대전과 냉전 체제
현대 사회의 민족 갈등과 분쟁
긍정적 측면
민족 자결권민족 스스로 정치적 운명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함
민족 통합분열된 민족을 통합하고 민족적 연대감을 강화
독립 운동제국주의 세력에 맞서 민족 독립을 쟁취
문화 발전민족 문화를 보존하고 발전시키는 데 기여
부정적 측면
배타적 태도자민족 중심주의와 외국인 혐오를 초래할 수 있음
인종 차별인종을 기반으로 한 차별과 억압을 정당화할 수 있음
전쟁 및 분쟁민족 간 갈등과 전쟁을 유발할 수 있음
극단적 이념파시즘, 나치즘과 같은 극단적인 이념으로 변질될 수 있음
비판적 시각
민족 개념 비판민족은 인위적으로 구성된 사회적 산물이라는 주장
보편주의적 가치민족주의는 보편적 가치와 인류애에 반한다는 주장
세계화 시대세계화 시대에 민족주의는 시대착오적이라는 주장
주요 인물
사상가요한 고트프리트 헤르더
주세페 마치니
베네딕트 앤더슨
에른스트 겔너
에릭 홉스봄
관련 조직
목록국민당
국민전선
독립당
애국당
유신당
인민당
조국당
바트당
국가와 자유의 유럽
관련 주제
관련 주제민족주의
국가주의
애국주의
인종주의
파시즘
나치즘
시오니즘
문화 민족주의
경제 민족주의
종교 민족주의
참고 자료
참고 자료루이 스나이더
앤서니 스미스
존 브레일리
베네딕트 앤더슨
어니스트 겔너
에릭 홉스봄

민족주의
세계 지도 국기
세계 지도 국기
정의민족을 국가의 기본 단위로 여기고 민족의 이익과 발전을 우선시하는 사상
핵심 요소경제 주권
국민 국가
국민 정체성
국민적 연대
단일 민족 국가
민족 독립
민족 신화
민족 자결
반세계화
애국주의
자문화중심주의
자주권
포퓰리즘
역사세계의 독립운동
상징 및 표어각 나라의 국가
각 나라의 국경일
각 나라의 국기
각 나라의 상징
국교
횃불
영향
영향국가주의
레닌주의
반제국주의
보수주의
민족분리주의
실지회복주의
윌슨주의
팽창주의
폐쇄주의
관련 조직
관련 조직국민당[목록]
국민전선[목록]
독립당[목록]
애국당[목록]
유신당[목록]
인민당[목록]
조국당[목록]
아랍 사회주의 부흥당 (ABP, 1926년 ~ )
국가와 자유의 유럽 (ENF, 2015년 ~ )
분파
분파경제민족주의
국민보수주의
국수주의
대안우익
민족주의
삼균주의
삼민주의
시민국민주의
신국민주의
아랍 민족주의
인종국민주의
제국주의
종교국민주의
좌익 내셔널리즘
퀴어 내셔널리즘
파시즘
주요 인물(동양)
주요 인물(동양)요시다 (1830년 ~ 1859년)
리살 (1861년 ~ 1896년)
쑨원 (1866년 ~ 1925년)
판보이쩌우 (1867년 ~ 1940년)
린썬 (1868년 ~ 1943년)
간디 (1869년 ~ 1948년)
우치다 (1874년 ~ 1937년)
김구 (1876년 ~ 1949년)
아타튀르크 (1881년 ~ 1938년)
모사데그 (1882년 ~ 1967년)
조소앙 (1887년 ~ 1958년)
장제스 (1887년 ~ 1975년)
네루 (1889년 ~ 1964년)
수카르노 (1901년 ~ 1970년)
아플라크 (1910년 ~ 1989년)
네 윈 (1911년 ~ 2002년)
라만 (1920년 ~ 1975년)
폴 포트 (1925년 ~ 1998년)
H. 알아사드 (1930년 ~ 2000년)
이시하라 (1932년 ~ 2022년)
후세인 (1937년 ~ 2006년)
주요 인물(서양)
주요 인물(서양)마키아벨리 (1469년 ~ 1527년)
산마르틴 (1778년 ~ 1850년)
오이긴스 (1778년 ~ 1842년)
볼리바르 (1783년 ~ 1830년)
입실란티스 (1792년 ~ 1828년)
산타 안나 (1794년 ~ 1876년)
마치니 (1805년 ~ 1872년)
가리발디 (1807년 ~ 1882년)
헤르츨 (1860년 ~ 1904년)
피우수트스키 (1867년 ~ 1935년)
피어스 (1879년 ~ 1916년)
산디노 (1885년 ~ 1934년)
가비 (1887년 ~ 1940년)
콜린스 (1890년 ~ 1922년)
티토 (1892년 ~ 1980년)
H. 페론 (1895년 ~ 1974년)
뒤발리에 (1907년 ~ 1971년)
맬컴 엑스 (1925년 ~ 1965년)
F. 카스트로 (1926년 ~ 2016년)
차베스 (1954년 ~ 2013년)
J. M. 르 펜 (1928년 ~ )
주요 인물(아프리카)
주요 인물(아프리카)무크타르 (1862년 ~ 1931년)
케냐타 (1889년 ~ 1978년)
셀라시에 1세 (1892년 ~ 1975년)
우푸에부아니 (1905년 ~ 1993년)
은크루마 (1909년 ~ 1972년)
A. B. 벨라 (1916년 ~ 2012년)
나세르 (1918년 ~ 1970년)
A. S. 투레 (1922년 ~ 1984년)
니에레레 (1922년 ~ 1999년)
무가베 (1924년 ~ 2019년)
카브랄 (1924년 ~ 1973년)
I. 아민 (1925년 ~ 2003년)
루뭄바 (1925년 ~ 1961년)
카다피 (1942년 ~ 2011년)

2. 개념 발전

민족주의 연구는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사이의 전간기에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 시기에는 "자결권"에 따라 민족 및 국가 경계를 기준으로 유럽의 정치 지도가 재편되고, 파시즘 민족 중심 이데올로기(나치즘 포함)가 부상했다.[5] 한스 코헨은 1944년 저서 ''국민주의의 개념: 기원과 배경에 대한 연구''에서 시민 민족주의와 민족적 민족주의를 구분한 초기 학자 중 한 명이다.[5]

냉전 시기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옛 유럽 식민지에서 독립 운동이 시작되면서 민족, 부족, 국가 정체성과 영토 국가 간의 상호 작용에서 비롯되는 "정치적 어려움"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었다.[5] 1980년대와 1990년대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와 그 여파로 "민족 및 국가적 주장과 갈등의 재부상"은 20세기 후반 민족국가주의 연구를 더욱 자극했다.[5]

현대 세계화로 인해 국제 이주가 증가하면서 배타적인 정체성 정치에 초점을 맞춘 반동적인 "토착주의(Nativism)" 집단을 포함한 "민족국가주의" 운동이 촉발되었다. 선진국에서는 이러한 경향이 때때로 외국인 혐오적이고 인종차별적인 성격을 띠기도 한다.[5]

2. 1. 민족주의의 특징

민족주의는 민족 집단이 자결권을 가진다는 핵심 원칙에 기반한다.[5] 이는 자치, 분리 독립, 민족 연방제, 이레덴티즘, 민족 중심주의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5]

민족주의는 시민주의와 대조되며, 혈통, 혈연을 강조하여 배타적인 경향을 보인다. 반면 시민주의는 시민적 이상, 문화적 전통에 대한 충성을 강조하여 포괄적인 경향을 보인다. 미국, 캐나다,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같이 민족적으로 다양하거나, 개인의 자유를 중시하는 국가에서는 시민국민주의내셔널리즘으로 사용한다.

극단적인 민족주의는 집단 학살과 민족 청소 사건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미얀마 정부의 로힝야족 박해는 극단적인 민족주의의 사례로 볼 수 있다.

2. 2. 민족주의와 차별

민족주의는 종종 차별의 원인이 된다. 유엔 인종차별 문제 특별 보고관 텐다이 아치우메는 민족주의가 시민권 박탈의 주요 원인이라고 지적했다.[6] 로힝야족 무슬림 차별 사례는 1982년 미얀마 시민법이 민족성을 기준으로 차별하여 많은 로힝야족을 무국적자로 만든 "섬뜩한 예"이다.[6] 윈드러시 세대의 아프로-카리브해 영국 시민들의 권리 침해 또한 선진국에서의 유사한 편견을 보여주는 사례이다.[6]

19세기와 20세기에 유럽의 식민지 열강은 민족주의를 이용하여 식민지 주민의 시민권을 박탈했으며, 유럽에서는 유대인로마 사람들이 같은 이유로 시민권에서 배제되었다.[6] 오늘날 이민자들은 "민족적 순수성과 종교적, 문화적 또는 언어적 보존"과 관련된 민족주의적 수사의 빈번한 표적이 되고 있다.[6]

미얀마와 정부의 로힝야족 박해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극단적인 민족주의는 여러 집단 학살과 민족 청소 사건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3. 현대 사회의 민족주의

민족주의는 많은 국가의 이민 정책에서 본국 송환법의 형태로 나타난다. 아르메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불가리아, 크로아티아, 핀란드, 독일, 헝가리, 아일랜드, 이스라엘, 세르비아, 튀르키예 등은 주요 민족 집단의 디아스포라 구성원이 원할 경우, 자동 또는 신속하게 시민권을 부여한다.[7]

현대 세계화로 인해 국제 이주가 증가하면서, 선진국에서는 배타적인 정체성 정치에 초점을 맞춘 "토착주의(Nativism)" 집단을 포함한 "민족국가주의" 운동이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때때로 외국인 혐오 및 인종차별적인 성격을 띠기도 한다.[7]

3. 1. 이스라엘

이스라엘 국가는 테오도르 헤르츨의 저서 『유대인 국가』(Der Judenstaat)의 개념과 원칙에서 비롯되었는데, 이 책은 유럽에서 제기된 유대인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팔레스타인에 유대인 국가를 건설하는 것을 구상했다. 그의 후기 저서 『새로운 옛 땅』(The Old New Land)에서 헤르츨은 유대인이 몇몇 도시에서만 다수를 차지하고 모두 독일어를 사용하는 다민족 국가를 구상했다.[8][9][10]

이스라엘의 민족주의에 대한 우려는 네타냐후 정부 하에 이스라엘을 유대인 민족 국가로서를 이스라엘 기본법의 일부로 채택한 이후부터 제기되었다. 이 법은 이스라엘 국내[11][12] 및 유대인 디아스포라의 다양한 유대인 단체들 사이에서[13] 유대인이면서 민주적인 국가라는 이스라엘의 공식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논란이 되었다.[14][15][16][17] 이 법은 특히 이 법안이 이스라엘 민주주의를 훼손한다고 본 많은 좌파 시온주의자들에게 논란이 되었다.

3. 2.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에서는 부미푸트라 원칙에 따라 말레이시아 헌법 제153조에 명시된 말레이인의 "특별한 지위"가 인정된다.[18] 헌법에서는 "말레이인"과 "원주민"(제160조(2))[18], 사라왁의 "토착민"(161A(6)(a))[19], 사바의 "토착민"(제161A(6)(b))[19]만을 정의한다. 부미푸트라 우대 정책은 말레이시아 신경제정책이 빈곤이 아닌 인종에 기반을 두었기 때문에 부미푸트라를 위한 차별적 우대 조치로 존재한다. 예를 들어, 모든 부미푸트라들은 재정 상태에 관계없이 고급 주택을 포함한 주택 또는 부동산에 대해 7% 할인을 받을 자격이 있지만, 저소득 비부미푸트라는 그러한 재정 지원을 받지 못한다.

다른 우대 정책으로는 정부 교육 기관 입학 할당제, 공공 장학금 자격, 대학교 시험 답안 채점, 대학교 학기말 시험 전 특별 수업, 정부 직책 및 기업 소유권 등이 있다. 대부분의 정책은 1970년대에 수립되었다. 많은 정책은 기업 자본의 부미푸트라 지분을 총액의 최소 30%로 달성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3. 3. 미국

미국 민족주의는 일반적으로 시민 민족주의의 전형적인 사례로 여겨지지만, 정치학자 잭 톰슨은 2016년 미국 대통령 선거 이후 도널드 트럼프의 정체성 정치가 "진정한" 미국인이라는 의미를 둘러싸고 민족 민족주의를 미국 정치 의식의 최전선으로 밀어붙였다고 주장했다.[20] 이는 민족 중심적인 이상이 백인 미국인들 사이에서 "트럼프에 대한 투표 선택의 강력한 예측 변수"가 되는 결과를 초래했다. 톰슨은 2016년 미국 국가 선거 연구(ANES) 데이터를 통해 백인 미국인들 사이에서 민족 민족주의와 반이민 정서 사이의 긍정적 연관성을 밝혀냈는데, 이들의 이민 반대는 "진정한" 미국인의 특성에 대한 신념 체계에 따라 형성된 미국의 국가 정체성 강화에 대한 이민의 위협에 대한 두려움에 종종 기반을 두고 있다.

4. 각국의 민족주의

내셔널리즘은 일정한 정체성을 가진 사람들의 집단인 국민과 그 국민에 대해 가지는 소속감이나 애착심, 그리고 그것을 강조하려는 생각이나 정치적 운동을 말한다. 국민의 기준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크게 영국, 프랑스, 미국 등지에서 주로 주창한 같은 신념을 가진 사람들의 모임으로 생각하는 것과, 독일에서 주창한 언어, 문화, 역사, 종교, 혈통 등의 전통을 공유하는 모임인 민족(ethnic group)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민족주의는 국민을 후자(ethnicity)로 생각하는 내셔널리즘을 말하며, 전자로 생각하는 내셔널리즘은 시민국민주의라고 한다. 민족주의는 자결권을 강조하며, 이는 자율적인 권한, 자치정부, 독립된 주권국가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국제 관계에서 자결권은 민족에 기초한 공통의 국가를 요구하는 정책과 운동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민족주의는 혈통이나 혈연관계를 중시하여 국적이나 시민권을 혈통주의의 관점에서 규정하는 경향이 있어 배타적인 경향이 있다. 반면 시민 내셔널리즘은 시민적 이상에 대한 충성을 강조하여 상대적으로 포용적인 경향이 있다. 미국, 캐나다,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같이 민족적으로 다양하거나, 개인의 자유를 중시하는 국가에서는 시민 국민주의를 내셔널리즘으로 사용한다.

세계 각국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민족주의가 존재한다.

4. 1. 동아시아

동아시아의 민족주의는 복잡한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에도 정치, 사회적으로 중요한 쟁점이 되고 있다.

4. 1. 1. 한국

한국의 민족주의

4. 1. 2. 일본

일본에서는 에도 시대 말기에 미토가쿠·고쿠가쿠의 영향을 받은 존왕양이 운동으로 민족주의가 나타나 메이지 유신의 원동력이 되었다. 그러나 근대 일본에서는 민족주의와 국가주의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일본의 민족주의와 아시아 여러 민족의 민족주의와의 연계를 모색하는 아시아주의와 같은 움직임이 있었지만, 제국주의 시대에 일본의 민족주의는 국가주의에 흡수되었다. 청일 전쟁·러일 전쟁 이후의 대일본제국은 조선·타이완 등을 영토에 추가하여 다민족 제국을 지향했고, 일본의 국가주의는 “팔홍일우”를 내걸고 대동아공영권 건설을 목표로 한 대동아 전쟁(태평양 전쟁)에서 절정에 달했다.

대동아 전쟁 패전 후에는, 그 반성으로 전쟁 전 우익적·국가주의적인 민족주의에 대한 저항감이 강해진 반면, 반미를 내거는 좌익적인 민족주의가 고양되었다. 좌익적인 입장에서의 민족주의는 오키나와 반환의 원동력이 되었고,[27] 열강으로부터의 자립을 목표로 하는 아시아·아프리카의 민족주의에는 감정적인 공감이 표시되었고, 베트남 전쟁 반대 등의 반전 운동과도 결부되는 동시에, 공산주의와 결부되는 세력의 개입에 의해 국가와 민족의 분리를 이용하는 측면도 가지고 있었다.[27]

1960년대에는 좌익계 학생 운동에 대한 대항으로 민족파 학생 조직의 운동이 활성화되었다. 참가자들은 친미·반공에 기울어 민족주의를 소홀히 한 전후 우익 단체에 대한 반발로부터 민족주의로의 회귀를 지향하여, 신우익(민족파)의 원류가 되었다.

총리 아소 다로는 일본을 “하나의 민족” 국가라고 불렀다.[28]

4. 1. 3. 중국

중화 민족주의는 중국 공산당의 통치 이념의 중요한 부분이며, 소수 민족 문제, 대만 문제 등과 관련하여 복잡한 양상을 띤다.

4. 2. 아시아 (동아시아 외)

국가정당/정치 단체민족
일본일본혁신당 신풍(維新政党・新風)[29], 일본제일당(日本第一党)[29]일본인
이라크, 시리아바스당(バアス党)아랍인
이스라엘타알당(タール)
이스라엘 우리 집(イスラエル我が家)유대인
쿠르디스탄쿠르드 노동자당(クルディスタン労働者党)쿠르드인
터키민족주의자 행동당(民族主義者行動党)터키인
말레이시아통일 말레이 국민조직(統一マレー国民組織)말레이인
인도시브세나(シヴ・セーナー)
드라비다 진보당(ドラーヴィダ進歩党)드라비다인


4. 3. 유럽

국가/지역정당/단체민족
러시아러시아 제국 운동러시아인
러시아바그너 그룹러시아인
러시아루시치러시아인
우크라이나 도네츠크 인민 공화국스팔타 대대러시아인
러시아러시아 자유민주당러시아인
독일독일 국가민주당독일인
독일 바이에른주바이에른 민족당바이에른인
오스트리아오스트리아 자유당독일인
프랑스국민연합켈트인
덴마크덴마크 국민당덴마크인
아일랜드북아일랜드신 페인당아일랜드인
스코틀랜드스코틀랜드 국민당스코틀랜드인
스페인 (바스크 지방)바스크 민족주의당바스크인
스페인 카탈루냐 지방집중과 통합카탈루냐인
스페인 갈리시아 지방갈리시아 민족주의 블록갈리시아인
스페인 안달루시아 지방안달루시아 인민당안달루시아인
이탈리아국민동맹이탈리아인
헝가리요빅헝가리인
루마니아헝가리 민주동맹헝가리인
노르웨이진보당 (노르웨이)노르웨이인
핀란드진정한 핀란드인핀란드인
핀란드스웨덴 인민당스웨덴계 핀란드인


4. 4. 북아메리카

블록 퀘벡, 퀘벡당캐나다 퀘벡주에 거주하는 퀘벡인에 의한 프랑스어·가톨릭 정당이다.[1]

5. 민족주의의 유형

민족주의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데, 크게 민족적 민족주의와 시민적 민족주의로 나눌 수 있다.[26] 민족적 민족주의는 국민을 혈통, 언어, 문화, 역사, 종교 등 전통을 공유하는 민족(ethnic group)으로 보는 반면(예: 독일), 시민적 민족주의는 같은 신념을 가진 사람들의 모임으로 본다(예: 영국, 프랑스, 미국).

최근의 이론과 경험적 자료에 따르면 사람들은 국적에 대해 이중적인 속신념을 유지하여, 출생 시 생물학적으로 유전될 수도 있고 삶에서 문화적으로 획득될 수도 있다고 한다.

5. 1. 이념

내셔널리즘은 일정한 정체성을 가지는 사람들의 집단인 국민에 대한 소속감, 애착심, 그리고 그것을 강조하려는 생각이나 정치적 운동을 말한다. 국민의 기준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영국, 프랑스, 미국 등에서 주로 주장하는 같은 신념을 가진 사람들의 모임으로 생각하는 것과, 독일에서 주장한 언어, 문화, 역사, 종교, 혈통 등의 전통을 공유하는 모임인 민족(ethnic group)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민족주의(ethnic nationalism)는 국민을 후자(ethnicity)로 생각하는 내셔널리즘을 말한다. 국민의 개념을 전자로 생각하는 내셔널리즘은 시민국민주의라고 한다. 민족주의는 시민 내셔널리즘이 시민적 이상에 대한 충성을 강조하는 것과는 달리 공통된 유산과 혈통에 대한 서사를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미국, 캐나다,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같이 민족적으로 다양하거나, 개인의 자유를 중시하는 국가에서는 시민국민주의를 내셔널리즘으로 사용한다.

민족주의의 핵심적 정치 교리는 민족집단이 분명하게 식별될 수 있으며, 각 집단은 자결권을 가진다는 것이다. 이 자결권에 대한 믿음은 여러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는데, 현 사회 안에서 자율적인 권한을 얻거나, 기존 사회에서 분리된 자치정부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독립된 주권국가라는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다. 국제 관계에서 자결권은 민족에 기초한 공통의 국가를 요구하는 정책과 운동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학술적 차원에서 민족주의는 시민국민주의와는 대조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민족주의는 국민(nation)이 혈통이나 혈연관계의 관점에서 명확히 식별되는 것이라고 간주한다. 따라서 민족주의의 전통이 강한 국민국가에서는 국적이나 시민권을 혈통주의의 관점에서 규정하는 경향이 있지만, 시민 내셔널리즘의 전통이 강한 나라에서는 국적이나 시민권을 출생지주의의 관점에서 규정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그러므로 민족주의는 배타적인 경향이 있으며, 시민 내셔널리즘은 상대적으로 포용적인 경향이 있다.

민족주의의 중심적인 정치적 원리는 민족 집단이 자결권을 가진다는 것이다. 이 자결권의 결과는 이미 존재하는 사회 내에서 자치 행정 기구를 요구하는 것부터, 그 사회로부터 분리된 자치 단체를 요구하는 것, 다민족 사회 내에서 민족 연방제를 수립하는 것, 그리고 그 사회로부터 분리된 독립적인 주권 국가를 수립하는 것까지 다양하다. 국제 관계에서 이는 민족을 기반으로 공통된 국가를 주장하는 이레덴티즘 정책 및 운동, 또는 민족 중심주의적(단일 민족 중심주의 또는 다중 민족 중심주의) 정치 구조를 수립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어떤 유형의 민족주의는 유전된 특성으로서의 민족의 개념에 깊이 뿌리를 두고 있다. 예를 들어 흑인 민족주의 또는 백인 민족주의와 같이, 민족주의는 종종 소수 민족 집단의 주류 집단에 대한 동화로 나타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이탈리아화와 같다. 극단적인 형태는 인종 민족주의이다.

민족주의를 분류하는 방법으로는, 민족적 민족주의(ethnic nationalism)와 시민적 민족주의(civic nationalism)로 유형화하는 방법이 있으며, 전자가 일반적으로 민족주의에 해당한다.[26] 민족적 민족주의는 nation을 혈통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보는 반면, 시민적 민족주의(Civic nationalism)는 nation을 민주적 가치와 평등성에 기반한 공동체로 인식한다. 다만 민족주의는 종교 등 문화적 가치에 의한 결속도 포함하는 개념이며, 유형화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민족주의와 관련된 이념들은 다음과 같다:

이념해당 국가
나치즘독일인(대독일 제국)[30]
보수혁명독일
시온주의유대인[31]
민족파일본
사회주의로 가는 버마의 길미얀마
대한민국의 민족주의한국
에스토니아 민족주의에스토니아


5. 2. 주권 국가 창설 지향

5. 3. 민족 통일주의

민족 통일주의관련 민족/지역
범게르만주의중앙유럽, 북유럽의 게르만 민족
범슬라브주의동유럽의 슬라브 민족
범스칸디나비아주의북유럽
대소말리아주의동아프리카의 소말리아인
범튀르크주의터키, 중앙아시아의 튀르크계 민족
이베리스모스페인, 포르투갈의 이베리아인
범아랍주의아랍인
범아프리카주의아프리카인


5. 4. 기타

이 외에도 경제민족주의, 언어민족주의, 좌익 민족주의, 민족 아나키즘, 민족 볼셰비즘 등 다양한 형태의 민족주의가 존재한다.

참조

[1] 서적 Macro-nationalisms: A History of the Pan-movement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ress 2022-12-02
[2] 학술지 The myth of the civic nation https://www.tandfonl[...] 1996
[3] 서적 Contemporary Debates on Nationalism: A Critical Introduction Palgrave Macmillan
[4] 서적 Historia, arraza, nazioa Elkar
[5] 학술지 Not So Civic: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Ethnic and Civic Nationalism? 2019-05-11
[6] 웹사이트 Ethno-nationalism denies millions their citizenship rights https://www.ohchr.or[...] Human Rights Council 2018-07-05
[7] 웹사이트 "La lucha mapuche es nacionalista, anticapitalista y revolucionaria" https://www.nodo50.o[...] 2002-04-01
[8] 웹사이트 Altneuland (Tel Aviv) by Theodor Herzl https://archive.org/[...] 1902-01-01
[9] 웹사이트 Altneuland (Theodor Herzl) https://www.jewishvi[...]
[10] 웹사이트 Old New Land https://bahai-librar[...] Markus Wiener Publications Princeton
[11] 논문 The Origins of Racism and the new Basic Law: Jewish Nation-State https://verfassungsb[...] 2018-11-11
[12] 논문 Reconsidering the Druze Narrative in the Wake of the Basic Law: Israel as the Nation-State of the Jewish People https://www.jstor.or[...] 2020
[13] 웹사이트 Israel's hugely controversial "nation-state" law, explained https://www.vox.com/[...] 2018-07-31
[14] 웹사이트 Opposition party petitions Israel's High Court against nation-state law https://www.i24news.[...] 2018-07-31
[15] 웹사이트 180 artists, authors, intellectuals call for cancellation of nation-state law https://www.timesofi[...]
[16] 웹사이트 Arab lawmaker resigns in protest of Israel's new nation-state law https://www.jta.org/[...] 2018-07-29
[17] 웹사이트 Former Shin Bet chief pleads with president to not sign nation-state law https://www.timesofi[...]
[18] 웹사이트 Part XII: General and Miscellaneous, Constitution of Malaysia (Articles 152–160) http://www.helplinel[...] 2007-05-30
[19] 웹사이트 Part XIIA: Additional Protections for States of Sabah and Sarawak, Constitution of Malaysia (Articles 161 – 161h) http://www.helplinel[...] 2007-05-30
[20] 간행물 Research on American Nationalism: Review of Literature, Annotated Bibliography, and Directory of Publicly Available Data Sets https://www.russells[...] Russell Sage Foundation 2008
[21] 서적 Nationalism and the Rule of Law: Lessons from the Balkans and Beyo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
[22] 학술지 The Rise of Ethnic Nationalism, Intra-State Conflicts and Conflict Resolution 2018
[23] 웹사이트 ICTY: Conflict between Bosnia and Herzegovina and the Federal Republic of Yugoslavia http://hrw.org/repor[...] 2022-06-27
[24] 서적 世界の右翼
[25] 위키 日鮮同祖論
[26] 웹사이트 アイルランドとケベックの ナショナリズム比較 https://dept.sophia.[...]
[27] 논문 文化防衛論――戦後民族主義の四段階 新潮社 1968-07
[28] 웹사이트 Aso calls Japan a 'one-race' nation https://www.japantim[...] Japan Times 2005-10-18
[29] 위키 政党助成法
[30] 위키 北方人種
[31] tex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