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8년 아일랜드 총선은 1918년 12월 14일에 치러졌으며, 당시 영국 의회의 일부였던 아일랜드에서 105명의 의원을 선출했다. 이 선거는 아일랜드 자치를 추구하는 신 페인이 압승을 거두고, 아일랜드 의회당이 참패하면서 아일랜드 정치 지형을 크게 변화시켰다. 선거 결과는 아일랜드 독립 전쟁의 발발과 아일랜드 자유국 수립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으며, 이후 아일랜드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아일랜드의 선거 - 1921년 아일랜드 총선 1921년 아일랜드 총선은 아일랜드 독립 전쟁 시기에 아일랜드 정부법 1920에 따라 남아일랜드와 북아일랜드의 자치 의회를 구성하기 위해 실시되었으며, 남아일랜드에서는 신페인이 압승하고 북아일랜드에서는 유니오니스트가 다수를 점했다.
1918년 총선 당시 아일랜드는 그레이트 브리튼 아일랜드 연합 왕국의 일부였으며, 영국 의회에 105명의 대표를 보내고 있었다. 당시 아일랜드 정치는 자치 정부를 추진하던 아일랜드 의회당과 영국과의 연합 유지를 주장하는 연합주의자들 사이의 대립이 중심이었다. 자치 정부는 가톨릭 신자가 다수인 아일랜드인들의 폭넓은 지지를 받았으나, 얼스터 지역을 중심으로 한 개신교 신자들은 연합 유지를 선호하며 이에 반대했다.
1914년 자치법 통과로 자치 정부 수립이 가시화되는 듯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 발발과 얼스터 연합주의자들의 강한 반발로 법 시행이 연기되었다. 전쟁이 장기화되고 자치 문제 해결이 지연되면서, 기존의 의회당보다 더 급진적인 독립을 추구하는 신 페인이 아일랜드 민족주의 운동의 새로운 중심으로 부상하기 시작했다.
2. 1. 아일랜드 자치 운동과 연합주의
1918년 당시 아일랜드는 그레이트 브리튼 아일랜드 연합 왕국의 일부였고, 105명의 의원(MP)이 영국 의회에서 아일랜드를 대표했다. 그레이트 브리튼에서는 대부분 자유당 또는 보수당 소속 정치인이 선출되었지만, 아일랜드에서는 1880년대 초부터 대부분의 의원이 아일랜드 민족주의자였으며, 이들은 아일랜드 의회당으로 활동하며 영국 하원에서 아일랜드의 목소리를 냈다.
아일랜드 의회당의 주요 목표는 자치 정부(Home Rule)를 실현하는 것이었다. 이는 아일랜드가 영국 내에서 일정 수준의 자치권을 갖는 것을 의미했으며, 대다수 아일랜드인, 특히 가톨릭교를 믿는 다수 주민의 지지를 받았다. 그러나 이러한 자치 운동은 아일랜드 내 개신교 신자들의 강한 반대에 부딪혔다. 특히 북부 얼스터 지역에서 다수를 차지했던 개신교도들은 영국과의 연합 유지를 강력히 원했으며, 이 때문에 연합주의자(Unionist)로 불렸다.
연합주의자들은 영국 보수당의 지지를 등에 업고 활동했으며, 아일랜드 연합당과 이후 얼스터 연합당을 결성하여 자치 운동에 조직적으로 맞섰다. 반면, 영국 자유당은 1885년부터 어떤 형태로든 아일랜드 자치 정부를 수립하는 데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오랜 노력 끝에 1914년 자치법이 통과되면서 자치 정부 수립이 눈앞에 다가온 듯했다. 하지만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고, 얼스터 연합주의자들의 거센 반발이 이어지면서 자치법 시행은 결국 연기되었다. 전쟁이 장기화되고 자치 문제에 대한 해결이 지지부진해지자, 아일랜드 내에서는 기존의 의회당보다 더 급진적인 민족주의를 내세운 신 페인이 점차 세력을 얻기 시작했다.
2. 2. 신 페인의 부상
신 페인은 1905년 아서 그리피스에 의해 창설되었다. 그리피스는 19세기에 헝가리 민족주의자들이 페렌츠 데아크의 지도 아래 빈의 제국 의회를 거부하고 부다페스트에 독자적인 의회를 세웠던 Ausgleich|아우스글라이히de 사례를 아일랜드 민족주의자들이 따라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는 영국과의 '이중 군주제'를 통한 평화적 해결을 선호했다. 이는 하나의 국가 원수를 두되, 공동 관심사만 관리하는 제한적인 중앙 정부를 가진 두 개의 독립된 국가를 의미했다.
그러나 1918년, 에몬 데 발레라를 새로운 지도자로 맞이한 신 페인은 노선을 바꾸어, 필요하다면 무력 봉기를 통해서라도 영국으로부터 완전한 독립을 이루고 독립 공화국을 세우는 것을 목표로 삼게 되었다.
1916년 부활절 봉기 이후, 신 페인의 규모는 영국 감옥과 수용 캠프에서 풀려난 봉기 참여자들과 지지자들이 합류하면서 크게 늘어났다. 1917년 아르드 페이스(연례 당 대회)에서는 데 발레라가 지도자로 선출되었고, 더욱 급진적인 새로운 정책들이 채택되었다.
1916년 이전까지 신 페인은 윌리엄 오브라이언의 올-포-아일랜드 리그와 제한적으로 협력하며 선거에서 거의 성과를 내지 못하는 소규모 정치 운동에 불과했다. 하지만 부활절 봉기와 1918년 총선 사이 기간 동안 당의 인기는 극적으로 상승했다. 이러한 변화에는 여러 요인이 작용했다. 우선, 아일랜드 의회당(IPP)이 1914년, 1916년, 1917년에 얼스터 연합주의자들이 요구한 아일랜드 분할에 제대로 저항하지 못하면서 자치법안 시행이 미뤄진 것에 대한 실망감이 있었다. 또한, 영국 당국이 1916년 봉기 지도자 대부분을 처형하고, 아일랜드 협약 논의가 마무리될 무렵 아일랜드인에 대한 징병을 도입하려다 실패한 사건(1918년 징병 위기 참조) 등은 영국에 대한 대중의 반감을 크게 키웠다.
신 페인은 1917년에 치러진 네 차례의 보궐 선거에서 플럼켓 백작, 조셉 맥기니스, 데 발레라, W. T. 코스그레이브를 당선시키며 새로운 선거 경쟁력을 보여주었다. 비록 1918년 초 세 번의 보궐 선거에서는 패배했지만, 이후 패트릭 맥카탄과 아서 그리피스가 승리하며 다시 두 번의 승리를 거두었다. 이 중 한 선거에서는 입증되지는 않았지만 선거 부정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2] 신 페인은 인구 통계 변화와 여러 정치적 요인들 덕분에 1918년 선거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할 수 있었다.
3. 1918년 총선
1918년 12월 14일 토요일, 대부분의 아일랜드 선거구에서 투표가 진행되었다. 당시 영국 본토에서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의 현안을 중심으로 소위 '카키 선거'가 치러지고 있었지만, 아일랜드에서는 민족 문제와 관련된 네 개의 주요 정당이 전국적인 지지를 받으며 선거를 치렀다. 이들은 아일랜드 의회당(IPP), 신 페인, 아일랜드 연합당, 아일랜드 노동당이었다.
그러나 아일랜드 노동당은 아일랜드 의회당과 신 페인 간의 격렬한 정치적 대결에 휘말릴 것을 우려하여 선거에 참여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노동당은 아일랜드 민족이 자치 정부를 추구하는 IPP와 완전한 공화국 수립을 목표로 하는 신 페인 사이에서 명확한 선택을 내리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판단했다. 아일랜드 연합당은 영국과의 연합 유지를 주장했으며, 산하 조직인 얼스터 연합 노동 협회도 노동 연합당으로서 같은 입장을 취했다. 이 외에도 여러 소규모 민족주의 정당들이 선거에 참여했다.
3. 1. 선거권 변화
1918년 아일랜드 선거의 유권자들은 이전 총선 이후 두 가지 주요 방식으로 변화했다.
첫째,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세대" 변화가 있었다. 1915년에 예정되었던 영국 총선이 열리지 않으면서 1910년부터 1918년까지 선거가 열리지 않았고, 이는 당시 영국 및 아일랜드 헌정 역사상 가장 긴 선거 공백기였다. 이로 인해 1918년 선거에서는 다음과 같은 특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21세에서 29세 사이의 모든 유권자는 생애 처음으로 총선 투표권을 행사하게 되었다. 이들은 아일랜드 의회당(IPP)에 대한 과거의 유권자 충성도에 얽매이지 않았으며, 격렬했던 제1차 세계 대전, 아일랜드 자치 논쟁, 부활절 봉기와 그 여파를 겪은 8년 동안 정치적 인식을 형성했다.
기존 아일랜드 의회당(IPP) 지지 기반의 상당 부분을 차지했던 기성 유권자들 중 다수가 8년의 공백기 동안 사망했다.
전쟁 중에는 위험한 해상 항로 때문에 (영국 외 지역으로의) 이민이 거의 불가능해졌고, 이는 평소라면 해외로 이주했을 수만 명의 젊은이들이 아일랜드에 남아있게 되었음을 의미했다.
아일랜드에는 징병제가 실시되지 않았기 때문에, 전쟁 기간 동안 주로 연합주의자와 온건 민족주의자들이 자원하여 입대했다. 결과적으로, 자원 입대하지 않은 공화주의 성향의 젊은이들과 달리, 젊은 연합주의자와 온건 민족주의자 연령층에서 인명 손실이 컸다.
둘째, 선거권이 1918년 인민 대표법 통과로 크게 확대되었다. 이 법은 처음으로 영국 여성 참정권을 통해 30세 이상 여성에게 투표권을 부여했으며, 재산 자격 조건 없이 21세 이상의 모든 남성과 19세 이상의 군인에게 의회 선거 투표권을 부여했다. 이로 인해 아일랜드의 전체 유권자 수는 약 70만 명에서 약 200만 명으로 크게 증가했다.[3]
결론적으로, 새로운 세대의 젊은 유권자와 30세 이상 여성 유권자의 갑작스러운 증가는 아일랜드 유권자 구성에 극적인 변화를 가져왔으며, 특정 정당에 대한 충성도가 불확실한 수많은 새로운 유권자층이 형성되었음을 의미했다.
3. 2. 정치적 요인
1918년 총선 결과는 여러 정치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으며, 특히 아일랜드 의회당(IPP)의 오랜 지배력이 약화되고 신 페인이 급부상하는 결정적인 전환점이 되었다.
1910년 12월 총선 이후 거의 10년간 아일랜드 정치를 이끌었던 IPP는 점차 시대의 변화에 뒤처지는 모습을 보였다. 당 지도부는 찰스 스튜어트 파넬 시대부터 활동해 온 존 딜론과 같은 고령의 정치인들이 중심이었고, 지역 조직 역시 약화되어 있었다. IPP는 1914년 자치법 통과라는 중요한 성과를 거두었으나, 제1차 세계 대전 발발로 법 시행이 무기한 연기되면서 정치적 추진력을 잃었다. 또한, 얼스터 연합주의자들의 반발을 누그러뜨리기 위해 1914년과 1916년에 아일랜드 분할의 임시적 형태를 수용한 것은 민족주의 진영 내에서 큰 실망과 반발을 불러일으켰다.[4] 영국 체제 내에서 헌법적 절차를 통해 자치를 달성하려던 IPP의 온건 노선은, 전쟁과 1916년 부활절 봉기를 겪으며 급진화된 아일랜드 사회 분위기 속에서 점차 지지를 잃어갔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신 페인은 아일랜드 민족주의의 새로운 대안으로 떠올랐다. 본래 아서 그리피스가 헝가리 민족주의자들의 사례를 참고하여 영국과의 이중 군주제를 통한 평화적 해결을 모색하며 창설했던 신 페인은, 1916년 부활절 봉기를 기점으로 급진적인 공화주의 노선으로 방향을 틀었다. 봉기 자체에 직접 가담하지는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영국 정부가 봉기 지도자 다수를 처형하는 등 가혹하게 대응하면서 아일랜드 내 반영 감정이 극도로 고조되었고, 신 페인은 이러한 대중적 분노를 등에 업고 지지세를 넓혔다. 특히 1918년 징병 위기 당시 아일랜드 청년들에 대한 징병제 도입 시도를 성공적으로 저지시킨 캠페인은 신 페인의 정치적 위상을 크게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1917년 아르드 페이스(연례 회의)에서 에몬 데 발레라가 새로운 지도자로 선출되면서 신 페인은 완전한 독립 공화국 수립을 목표로 내걸고, 이를 위해 필요하다면 무력 사용도 불사하겠다는 강경한 입장을 분명히 했다. 마이클 콜린스(당시 28세)와 데 발레라(당시 36세) 같은 젊고 활동적인 지도자들은 IPP의 노장 정치인들과 뚜렷한 대조를 이루며 젊은 유권자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갔다. 신 페인은 아일랜드 분할에 단호히 반대했으며, 영국 정부와의 협상보다는 전후 평화 회의에 직접 아일랜드 대표를 파견하여 국제 사회로부터 독립을 승인받겠다는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했다.
제1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아일랜드 사회는 전쟁으로 인한 아일랜드 연대의 막대한 인명 피해, 징병 위협, 영국의 강압적인 통치, 급격한 인플레이션과 이에 따른 노동자 파업 및 사회 불안 등으로 인해 전반적으로 급진적인 변화를 겪고 있었다. 이러한 국내 상황은 유럽 전역을 휩쓴 혁명의 분위기와 맞물려 신 페인의 급진적 주장이 힘을 얻는 배경이 되었다. 더불어 1918년 1월 미국 대통령 우드로 윌슨이 발표한 14개조 원칙은 민족 자결주의를 국제적인 규범으로 내세우며 아일랜드 민족주의자들에게 독립에 대한 큰 희망을 안겨주었다.
한편, 얼스터 연합주의자들은 부활절 봉기를 겪으며 아일랜드 자치나 분리 독립에 대한 위기감을 더욱 강하게 느꼈다. 얼스터 언약, 얼스터 자원봉사대(UVF) 창설, 솜 전투에서의 희생 등을 거치면서 연합주의 정체성은 더욱 공고해졌고, 이는 선거에서 연합주의 정당의 지지 기반을 더욱 단단하게 만들었다.
신 페인은 1917년에 치러진 네 차례의 보궐선거에서 플럼켓 백작, 조셉 맥기니스, 데 발레라, W. T. 코스그레이브를 당선시키며 정치적 잠재력을 입증했다. 1918년 초 잠시 주춤하기도 했으나, 이후 패트릭 맥카탄과 아서 그리피스가 다시 승리하면서(한 선거에서는 선거 부정 의혹이 제기되기도 함[2]) 상승세를 이어갔다. 이러한 다양한 정치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1918년 총선은 아일랜드 정치사의 흐름을 바꾸는 중요한 분기점이 되었다.
신 페인은 105석 중 '''73석'''을 획득하는 압승을 거두었다. 다만, 아서 그리피스, 에이먼 데 벌레라, 에오인 막넬, 리암 멜로스 4명이 두 선거구에서 당선되었으므로 실제 당선된 의원 수는 69명이었다.[5] 공화주의자와 연합주의자 양측의 위협과 선거 사기 의혹에도 불구하고[6], 이번 선거는 신 페인의 역사적인 승리로 평가받는다.
신 페인은 아일랜드 섬 전체에서 46.9%의 득표율을 기록했으며, 이는 경쟁이 치러진 48개 선거구만을 계산한 수치이다. 다른 25개 선거구에서는 경쟁 없이 무투표 당선되었는데, 이들 대부분은 신 페인의 강력한 지지 기반이었다. 만약 이 25석에서도 선거가 치러졌다면, 신 페인의 전체 득표율은 최소 53%에 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8] 이는 보수적인 추정치이며 실제 득표율은 더 높았을 가능성이 있다.[8] 또한 아일랜드 의회당(IPP)과의 지역적 합의로 4개 선거구에서는 후보를 내지 않았다. 훗날 아일랜드 자유국이 되는 26개 주에서는 65%의 득표율을 기록하며[7] 75개 선거구 중 70석을 차지하는 압도적인 지지를 확인했다.
아일랜드 연합당은 22석과 섬 전체 득표율 25.3%를 얻어 제2당이 되었다. 얼스터 연합 노동 협회(노동 연합주의) 3석과 무소속 연합주의자 1석을 포함하면 연합주의 진영은 총 '''26석'''[10]을 확보했으며, 득표율은 29.2%에 달했다. 그러나 이들의 성공은 주로 얼스터 지역에 집중되었다. 남부에서는 라스마인과 더블린 대학교 선거구(각각 2명 당선)에서만 의석을 확보하는 데 그쳤다. 미래의 아일랜드 자유국/공화국이 된 26개 주에서 연합당(IUA)은 후보를 낸 선거구에서 37,218표(총 101,839표 중)를 얻었으나, 전체 투표수(606,117표) 대비 득표율은 6.1%에 불과했다. 더블린 대학교의 무소속 연합주의자 1석(793표, 0.1%)을 더해도 26개 주 전체에서 연합주의자는 6.2% 득표율과 3석 확보에 머물렀다.
아일랜드 의회당(IPP)은 존 딜런 대표마저 낙선하는 등 참담한 패배를 겪었다. 아일랜드 전체에서 단 '''6석'''을 얻는 데 그쳤는데, 이는 21.7%의 득표율에 비해 단순 다수 대표제의 영향으로 실제 의석수가 훨씬 적게 나타난 결과이다. 만약 비례대표제였다면 더 많은 의석을 확보했을 수 있다. 확보한 6석 중 워터포드 시(존 레드먼드의 아들 윌리엄 레드먼드 당선)를 제외한 5석은 모두 얼스터 지역 의석이었다. 얼스터에서의 일부 의석은 연합주의자의 당선을 막기 위한 신 페인과의 선거 연대를 통해 얻은 것이었지만, 이는 다른 지역 개신교 유권자들의 지지를 잃는 결과를 초래했을 수도 있다. IPP는 라우스, 웨스퍼드 사우스 등 일부 지역에서 아쉽게 의석을 놓쳤으며, 비교적 섬의 북부와 동부에서 지지세가 강하게 나타났다. T. P. 오코너가 리버풀 스코틀랜드 지역구에서 아일랜드계 이민자들의 표로 당선되어[11], IPP는 웨스트민스터 의회에서 총 7명의 의원을 유지하게 되었다. IPP의 잔여 세력은 이후 조셉 데블린의 지도 아래 북아일랜드 국민당으로 재편되었다. 미래의 아일랜드 자유국이 된 26개 주에서 IPP는 181,320표(총 606,117표 중)를 얻어 26.0%의 득표율을 기록했으며, 무소속 민족주의자(11,162표, 1.8%)를 포함하면 민족주의 진영 전체 득표율은 27.8%였으나, 의석은 단 2석에 불과했다.
얼스터 9개 주 전체(38석)에서는 연합주의자들이 23석, 신 페인이 10석, 아일랜드 의회당(IPP)이 5석을 차지했다. 12월, 로마 가톨릭 추기경 마이클 로그의 중재로 신 페인과 IPP 간에 8개 선거구에서 연합주의 후보에 대항하기 위한 제한적인 선거 연대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 합의는 후보 등록 마감 이후에야 체결되었다.
신 페인은 지지자들에게 연합주의 후보가 없음에도 아르마 남부 (79표), 다운 남부 (에이먼 데 벌레라에 대한 33표), 티론 북동부 (56표), 도네갈 동부 (46표)에서 IPP 후보에게 투표하도록 지시했다. IPP는 지지자들에게 연합주의 후보가 없는 페르마나 남부 (132표), 에오인 막넬이 연합주의자를 근소하게 이긴 런던데리 시 (120표), IPP 후보가 지명되지 않은 티론 북서부에서 신 페인 후보에게 투표하도록 지시했다.
두 민족주의 정당 후보가 경쟁하고 후보 지명 이후에야 연대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유권자들의 단결력은 상당했다. 이 연대는 IPP 후보가 참여를 거부하여 가톨릭 민족주의 표가 분열된 다운 동부에서만 깨졌다.
조셉 데블린(IPP)이 연합주의자가 출마하지 않았음에도 에이먼 데 벌레라(SF)를 상대로 8,488표 대 3,245표로 승리한 벨파스트 폴스에서는 연대가 없었다. 다른 벨파스트 선거구 중 양쪽 민족주의 정당 모두가 경쟁한 곳은 에드워드 카슨과 맞붙은 던케인 뿐이었으며, 신 페인은 7개 선거구에서 단독으로 출마하여 2곳에서 두 자릿수 득표율을 기록했다.
모나한 북부에서는 신 페인의 어니스트 블라이스가 IPP와 연합주의 후보 모두를 상대로 3자 대결에서 승리했다.
모나한 남부와 도네갈 북부, 남부 및 서부 선거구에서는 연합주의자가 출마하지 않았음에도 신 페인이 IPP 후보를 상대로 4곳 모두에서 승리했다.
신 페인은 연합주의자가 출마하지 않은 캐번 주의 2개 선거구를 모두 가져갔고, 아서 그리피스는 캐번 동부에서 두 번째 승리를 거두었으며 티론 북서부에서도 승리했다.
경쟁 선거구 6곳에서는 연합주의자가 출마하지 않았다.
연합주의자들은 벨파스트 9석 중 8석을 포함하여 얼스터 38석에서 과반수를 차지했다. 미래의 북아일랜드를 형성하게 될 얼스터 6개 주에서 연합주의자들은 30석 중 23석을 획득했다. 득표수는 다음과 같다.
1918년 총선은 아일랜드 정치 지형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수십 년간 아일랜드 민족주의를 이끌었던 아일랜드 의회당은 신 페인에게 압도적인 패배를 당하며 사실상 몰락했고, 아일랜드 민중의 지지가 급진적인 공화주의로 이동했음을 보여주었다.
선거에서 승리한 신 페인은 자신들의 선언대로 영국 웨스트민스터 의회에 참석하는 것을 거부하고, 대신 1919년 1월 더블린에서 독자적인 아일랜드 의회인 대일 에이렌(Dáil Éireann)을 수립했다. 이 첫 회의에서 대일 에이렌은 아일랜드 독립 선언을 발표하고 스스로를 아일랜드 공화국의 주권 의회로 선포하며 국제 사회의 인정을 얻고자 했다. 이는 아일랜드 독립을 향한 실질적인 행동의 시작이었다.
공교롭게도 대일 에이렌의 첫 회의가 열린 날 발생한 솔로헤드베그 매복 사건은 이후 아일랜드 독립 전쟁으로 이어지는 도화선이 되었다. 비록 대일 에이렌이 직접 지시한 것은 아니었으나, 이 사건과 뒤이은 아일랜드 의용군의 아일랜드 공화국군(IRA)으로의 개편은 선거를 통해 확인된 민중의 독립 의지가 무력 투쟁으로 분출되는 양상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1918년 총선은 아일랜드 독립 운동의 결정적인 전환점이 되었으며, 아일랜드 독립 전쟁과 영국-아일랜드 조약 체결을 거쳐 1922년 아일랜드 자유국 수립으로 이어지는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또한 이 선거를 통해 정치 무대의 중심에 선 인물들과 신 페인이라는 정치 세력은 이후 분열과 재편을 거치며 현대 아일랜드 공화국의 주요 정당인 피아나 페일과 피네 게일의 모태가 되는 등, 아일랜드 정치 구도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4. 1. 데일 에이렌 수립과 독립 선언
콘스탄스 마르키에비츠는 영국 하원에 선출된 최초의 여성 의원이었다. 그녀는 영국 의회에 참여하는 대신 제1대일에 합류했으며, 1919년 노동부 장관으로 임명되어 민주적 내각 최초의 여성 장관이 되었다.
선거에서 압승한 신 페인은 자신들의 선언문에 따라 웨스트민스터의 영국 의회에 참석하는 것을 거부하고 대신 아일랜드 자체 의회를 구성하기로 결정했다.
1919년 1월 21일, 더블린에서 "아일랜드 의회"를 뜻하는 Dáil Éireann|달 에런gle의 첫 회의가 열렸다. 1918년 12월 14일 선거에서 당선된 101명(남성 100명, 여성 1명)에게 초대장이 발송되었으나, 실제 회의에는 30개 선거구를 대표하는 27명의 의원만이 참석할 수 있었다. 에오인 맥닐은 런던데리 시와 아일랜드 국립대학교 두 곳에서 모두 당선되었다. 당선된 공화주의자 중 33명은 대부분 1918년 5월 17일 이후 재판 없이 영국 당국에 의해 투옥된 상태였고, 감옥에서 사망한 피어스 맥칸(티퍼레리 이스트)까지 포함하면 총 34명이 참석하지 못했다. 당선된 69명의 공화주의자 대다수는 부활절 봉기에 참여했던 인물들이었다.
데일 에이렌은 아일랜드 독립 전쟁 기간 동안 활동한 혁명 정부로서 국제적인 인정을 얻고자 노력했으며[11], 국가 건설 과정을 시작하는 이론적 토대를 마련했다.[12] 그러나 영국 행정부와 연합주의자들은 데일 에이렌을 인정하지 않았다.
첫 회의가 열린 1919년 1월 21일, 27명의 참석 의원들은 아일랜드 독립 선언을 발표하고 새로운 국가인 아일랜드 공화국의 의회임을 선포했다.
공교롭게도 같은 날, 데일 에이렌의 지시와는 무관하게 솔로헤드베그 매복 사건이 발생했다. 아일랜드 의용군 소속 대원들이 젤리그나이트를 운반하던 로열 아일랜드 경찰 2명을 살해한 것이다. 데일 에이렌은 처음에는 이 사건을 지시하지 않았지만, 곧 아일랜드 의용군을 아일랜드 공화국의 군대로 인정하고 이 매복 공격을 영국에 대한 전쟁 행위로 간주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아일랜드 의용군은 같은 해 8월 아일랜드 공화군(IRA)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 속에서 1918년 총선은 결과적으로 아일랜드-영국 전쟁의 발발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었으며, 마치 선거가 전쟁을 승인한 것과 같은 모양새가 되었다.
4. 2. 아일랜드 독립 전쟁
1918년 선거에서 압도적인 승리를 거둔 신 페인 소속 당선자들은 웨스트민스터 의회에 출석하는 대신, 아일랜드 공화국 수립 선언문에 따라 독자적인 의회를 구성하기로 결정했다. 1919년 1월 21일, 더블린에서 아일랜드어로 '아일랜드 의회'를 뜻하는 대일 에이렌Dáil Éireann|달 에런gle의 첫 회의가 열렸다.[11] 이날 회의에는 총 101명의 당선자 중 27명만이 참석할 수 있었는데, 이는 많은 의원들이 영국 당국에 의해 투옥되거나 구금된 상태였기 때문이었다. 대일 에이렌은 이 첫 회의에서 아일랜드 독립 선언을 채택하고 스스로를 주권 국가인 아일랜드 공화국의 정당한 의회임을 선포하며, 국제 사회의 인정을 얻기 위한 노력을 시작했다.[11][12]
공교롭게도 대일 에이렌의 첫 회의가 열린 바로 그날, 티퍼레리 주의 솔로헤드베그에서는 아일랜드 의용군(Irish Volunteers) 소속 대원들이 젤리그나이트 폭발물을 운반하던 로열 아일랜드 경찰(RIC) 소속 경관 두 명을 매복 공격하여 사살하는 사건, 이른바 솔로헤드베그 매복 사건이 발생했다. 비록 대일 에이렌이 이 공격을 사전에 계획하거나 명령하지는 않았지만, 사건 이후 아일랜드 의용군을 신생 공화국의 군대로 공식 인정하고 이 매복 공격을 영국에 대한 정당한 전쟁 행위로 간주하게 되었다. 이러한 결정에 따라 아일랜드 의용군은 1919년 8월, 아일랜드 공화군(IRA)으로 공식 명칭을 변경하며 본격적인 무장 투쟁 조직으로 거듭났다.
더블린 성에 자리 잡은 영국 행정부와 연합주의자들은 대일 에이렌의 합법성을 인정하지 않았다. 솔로헤드베그 매복 사건과 대일 에이렌의 독립 선언은 사실상 아일랜드 독립 전쟁의 시작을 알리는 신호탄이 되었으며, 1918년 총선에서 나타난 아일랜드 민중의 압도적인 지지가 이러한 무력 충돌에 대한 민주적 정당성을 부여한 것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이 전쟁은 결국 1922년 아일랜드 자유국의 수립으로 이어지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4. 3. 아일랜드 자유국 수립과 현대 아일랜드
1919년 1월 21일, 1918년 12월 14일에 선출된 101명의 당선자(남성 100명, 여성 1명) 중 27명이 "아일랜드 의회"를 뜻하는 아일랜드어인 대일 에이렌(Dáil Éireann)의 첫 회의에 참석하여 명부에 응답했다. 에오인 맥닐은 런던데리 시와 아일랜드 국립대학교 두 선거구에서 모두 선출되었다. 선출된 공화주의자 중 33명은 대부분 1918년 5월 17일 이후 재판 없이 수감되어 참석할 수 없었다. 감옥에서 사망한 피어스 맥칸(티퍼레리 이스트)까지 포함하면 총 34명이었다. 선출된 69명의 공화주의자 대다수는 부활절 봉기에 참여했던 인물들이었다.
신 페인의 선언문에 따라, 선출된 의원들은 웨스트민스터의 영국 의회에 출석하는 것을 거부하고 대신 더블린에서 자체적인 아일랜드 의회를 구성했다. 존 패트릭 매카시에 따르면, 대일 에이렌은 아일랜드 독립 전쟁 기간 동안 활동한 혁명 정부였으며, 국제적인 인정을 얻고자 노력했다.[11] 메리앤 지알라넬라 발리울리스는 대일이 그 존재를 정당화한 후, 이론적 틀을 마련하고 국가 건설 과정을 시작했다고 평가한다.[12]
40년 동안 아일랜드 정치를 지배했던 아일랜드 의회당은 이 선거에서의 대패로 인해 사실상 붕괴되었고 선거 직후 해산되었다. 그 잔존 세력은 북아일랜드를 기반으로 한 민족주의 정당으로 명맥을 유지하다가 1969년까지 존속했다.
더블린 성에 기반을 둔 영국 행정부와 연합주의자들은 대일 에이렌의 합법성을 인정하지 않았다. 1919년 1월 21일, 27명의 대의원(나머지는 여전히 수감 중이거나 부상 상태)이 참석한 첫 회의에서 대일은 아일랜드 독립 선언을 발표하고 스스로를 새로운 국가인 아일랜드 공화국의 의회로 선포했다.
같은 날, 티퍼레리주의 솔로헤드베그 매복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은 대일과는 직접적인 관련 없이 아일랜드 의용군 단원들이 젤리그나이트를 운반하던 로열 아일랜드 경찰 소속 경관 두 명을 살해한 사건이었다. 대일은 이 매복 공격을 사전에 지시하지 않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아일랜드 의용군을 아일랜드 공화국의 군대로 공식 인정하고, 이 매복을 영국에 대한 전쟁 행위로 간주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아일랜드 의용군은 1919년 8월에 공식적으로 아일랜드 공화국군으로 개칭되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1918년 선거는 결과적으로 아일랜드 독립 전쟁의 발발로 이어졌고, 선거가 전쟁을 승인한 것처럼 보이게 만들었다.
1918년 선거로 촉발된 사건들은 결국 1922년 영국-아일랜드 조약 체결과 영국 자치령으로서의 아일랜드 자유국 창설로 이어졌다. 아일랜드 자유국은 1931년 웨스트민스터 헌장이 통과되면서 영국 의회가 자유국 및 다른 자치령에 대해 가지고 있던 잔여 권한 대부분이 제거됨에 따라,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독립 아일랜드 국가가 되었다. 자유국은 결국 현대의 아일랜드 공화국으로 발전했다.
1918년 선거에서 당선된 신 페인 후보들의 지도자들, 예를 들어 데 발레라, 마이클 콜린스, W. T. 코스그레이브 등은 이후 수십 년간 아일랜드 정치를 주도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데 발레라는 1917년 클레어 이스트 보궐 선거에서 처음 영국 하원 의원으로 선출된 이후 1973년 아일랜드의 대통령직에서 물러날 때까지 어떤 형태로든 선출직을 유지했다. 오늘날 아일랜드 공화국의 주요 양대 정당인 피아나 페일과 피네 게일은 모두 1918년 선거에서 압도적인 성공을 거두었던 신 페인에서 분화되어 나온 정당들이다.
5. 주요 인물
1918년 총선은 아일랜드 정치 지형을 근본적으로 바꾼 선거였으며, 여러 주요 인물들의 정치적 명운을 갈랐다.
신 페인은 이 선거에서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며 아일랜드 독립 운동의 주도권을 확고히 했다. 이먼 데 발레라 등 핵심 지도자들이 대거 당선되었고, 콘스탄스 마르키에비치는 영국 하원에 당선된 최초의 여성이 되었다. 이들의 활동은 이후 아일랜드 공화국 선포와 아일랜드 독립 전쟁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동력이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신 페인 섹션 참조)
오랫동안 아일랜드 민족주의 운동을 이끌었던 아일랜드 의회당은 신 페인의 급부상으로 인해 큰 타격을 입고 소수 정당으로 전락했다. 당수 존 딜런의 낙선은 이러한 변화를 상징적으로 보여주었으며, 조셉 데블린 등 일부 의원이 당선되었으나 당의 영향력은 크게 줄었다. 이는 아일랜드 민중의 정치적 열망이 자치(Home Rule)를 넘어 완전한 독립으로 향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자세한 내용은 #아일랜드 의회당 섹션 참조)
한편, 얼스터 지역을 중심으로 한 아일랜드 연합당은 여전히 건재함을 과시했다. 에드워드 카슨 경, 제임스 크레이그 경 등 주요 지도자들이 당선되어 영국과의 연합 유지를 주장했으며, 이는 이후 북아일랜드 형성의 배경이 되었다.
또한, 노동 연합 소속의 새뮤얼 맥거핀이나 독립 연합 소속의 로버트 우즈와 같은 인물들도 당선되어 당시 아일랜드 정치의 다양한 목소리를 대변했다. 이 선거 결과는 아일랜드 독립을 향한 열망과 함께, 연합 유지 및 분단을 둘러싼 복잡한 정치적 갈등이 심화되는 계기가 되었다.
5. 1. 신 페인
타이론 노스웨스트 (경선)
이먼 데 발레라
신 페인
클레어 이스트 및 메이요 이스트 (경선)
테렌스 맥스위니
신 페인
코크 미드
마이클 콜린스
신 페인
코크 사우스
숀 헤이즈
신 페인
코크 웨스트
리엄 멜로우스
신 페인
골웨이 이스트 및 미스 노스 (경선)
피어라스 베슬라이
신 페인
케리 이스트
오스틴 스택
신 페인
케리 웨스트
W. T. 코스그레이브
신 페인
킬케니 노스
패트릭 맥카탄
신 페인
킹스 카운티[13]
조지 노블 플루켓
신 페인
로스코먼 노스
숀 T. 오켈리
신 페인
더블린 칼리지 그린
데스몬드 피츠제럴드
신 페인
더블린 펨브로크
조셉 맥그래스
신 페인
더블린 세인트 제임스
콘스탄스 마르키에비치
신 페인
더블린 세인트 패트릭
토머스 켈리
신 페인
더블린 세인트 스테판 그린
파드라이그 오 말리
신 페인
골웨이 코네마라
프랭크 패히
신 페인
골웨이 사우스
돔날 우아 부아칼라
신 페인
킬데어 노스
에인 매크네일
신 페인
런던데리 시티 및 아일랜드 국립 대학교
존 J. 오켈리
신 페인
라우스
어니스트 블라이스
신 페인
모너건 노스
숀 맥엔티
신 페인
모너건 사우스
케빈 오히긴스
신 페인
퀸스 카운티[14]
해리 볼랜드
신 페인
로스코먼 사우스
카탈 브루가
신 페인
워터포드 카운티
로렌스 기넬
신 페인
웨스트미스
제임스 라이언
신 페인
웩스퍼드 사우스
로버트 바턴
신 페인
위클로 웨스트
신 페인의 이러한 압도적인 승리는 아일랜드 민중이 영국으로부터의 완전한 독립을 원하고 있음을 명백히 보여주었으며, 이후 아일랜드 독립 전쟁과 아일랜드 자유국 수립으로 이어지는 역사적 과정의 중요한 분기점이 되었다.
[1]
웹사이트
Electoral Law Act (Northern Ireland) 1968
https://www.legislat[...]
The National Archives
1968-11-28
[2]
서적
Michael Collins: A Biography
Hutchinson
[3]
서적
Ireland 1798–1998: War, Peace and Beyond
John Wiley & Sons
[4]
서적
The Indivisible Island
Victor Gollancz Ltd.
1957
[5]
문서
Not counting constituencies where Sinn Féin candidates were elected unopposed.
[6]
문서
Elected independent unionist candidate was [[Robert Henry Woods]].
[7]
서적
Imagining Ireland's Independence: The Debates Over the Anglo-Irish Treaty of 1921
Rowman & Littlefield
[8]
웹사이트
The Irish Election of 1918
https://www.ark.ac.u[...]
2006-03-25
[9]
문서
The Resurrection of Ireland: The Sinn Féin Party, 1916–1923
[10]
문서
The Resurrection of Ireland: The Sinn Féin Party, 1916–1923
[11]
서적
Ireland: A Reference Guide from the Renaissance to the Present
Infobase Publishing
[12]
서적
Portrait of a revolutionary: General Richard Mulcahy and the founding of the Irish Free Stat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13]
문서
King's County is now known as [[County Offaly]].
[14]
문서
Queen's County is now known as [[County Laois]] (old spelling, 'Leix').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