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4년 전국체육대회 개막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24년 전국체육대회 개막식은 야구, 육상, 정구, 축구 종목별로 진행되었다. 야구는 5월 16일 천도교당에서 시가 행진 후 배재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개막, 최린의 시구식이 있었다. 육상은 6월 14일 배재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시작, 휘문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선수단 입장식과 최린의 개회사가 진행되었다. 정구는 9월 22일 휘문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우승기 반환식으로 개막, 박창하의 개회사와 함께 전년도 우승팀의 우승기 반환이 이루어졌다. 축구는 10월 30일 보성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시작, 경신악대의 군악을 선두로 시가 행진 후 배재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박창하의 개회사와 우승기 반환식 후 경기가 개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4년 예술 - 1924년 전국체육대회 폐막식
1924년 전국체육대회 폐막식은 야구, 육상, 정구, 축구 종목별로 진행되었으며, 각 종목의 우승기 수여, 축사, 만세 삼창 등으로 마무리되었다. - 1924년 전국체육대회 - 1924년 전국체육대회 메달 집계
1924년 전국체육대회 메달 집계는 제5회 전조선체육경기대회의 종목별, 부별, 지역별 메달 획득 결과를 정리한 문서로, 청년부, 중학부, 소학부 메달 집계와 최종 종합 순위, 주요 종목 메달 수상자 정보를 담고 있으며, 특히 중학부 축구 우승팀인 배재고등보통학교의 이영민 선수에 대한 정보도 포함한다. - 1924년 전국체육대회 - 1924년 전국체육대회 폐막식
1924년 전국체육대회 폐막식은 야구, 육상, 정구, 축구 종목별로 진행되었으며, 각 종목의 우승기 수여, 축사, 만세 삼창 등으로 마무리되었다. - 전국체육대회 개막식 - 1923년 전국체육대회 개막식
1923년 전국체육대회 개막식은 야구, 정구, 축구 종목별로 1923년 5월 17일, 10월 15일, 11월 21일에 각각 진행되었으며, 종목별로 선수단 시가 행진, 개회사, 시구식, 입장식, 우승기 반환식 등이 거행되었다. - 전국체육대회 개막식 - 1920년 전국체육대회 개막식
1920년 전국체육대회 개막식은 5월 20일 배재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개최되어 선수단의 이동, 고원훈 이사장의 개회사, 경기 안내, 기념 촬영, 종목별 대진 추첨, 시구·시타 순으로 진행되었으며, 민족의 단결과 국제 스포츠 무대에서의 활약을 기원했다.
1924년 전국체육대회 개막식 | |
---|---|
개폐막식 정보 | |
개폐막식 | 1924년 전국체육대회 개막식 |
명칭 | 제5회 전국체육대회 개막식 |
개최국 | 일제강점기 조선 |
개최지 | 경성 |
장소 | 배재고등보통학교 운동장 휘문고등보통학교 운동장 |
날짜 | 1924년 5월 16일 1924년 6월 14일 1924년 9월 22일 1924년 10월 30일 |
주최 | 조선체육회 |
개회사 | 최린동아일보 1924-06-15 박창하조선일보 1924-09-23동아일보 1924-10-31 |
이전 | 1923 |
다음 | 1925 |
2. 개막식
제5회 전조선경기대회는 각 종목별로 개막식을 진행했다. 야구 종목은 1924년 5월 16일에, 육상 종목은 6월 14일에, 정구 종목은 9월 22일에, 축구 종목은 10월 30일에 각각 개막식이 열렸다.
2. 1. 야구

1924년 5월 16일 8시, 야구 종목 참가 선수단은 천도교당에 모여 배재악대를 선두로 종로 일대 시가행진을 진행했다. 이후 배재고등보통학교 운동장으로 입장하여 입장식을 진행했으며, 조선체육회 회장 최린의 시구식이 거행되었다.[4]
2. 2. 육상
육상 종목에 참가하는 선수 약 400여 명은 1924년 6월 14일 8시 30분에 배재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 모여 군악에 맞춰 종로 거리를 지나 휘문고등보통학교 운동장으로 행렬을 지어 이동하며 개막식이 시작되었다.[5][1][6] 11시 4분에 휘문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선수단 입장식을 진행하고, 조선체육회 회장인 최린의 개회사가 진행되었다.[1][6]2. 3. 정구
정구 종목 개막식은 시가 행진과 입장식은 진행하지 않고 우승기 반환식을 진행했다.[7] 1924년 9월 22일에 휘문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조선체육회장 박창하의 개회사가 진행된 후, 전년도 대회에서 우승한 소학부의 선천공립보통학교 정구단과 중학부의 휘문고등보통학교 정구단의 우승기 반환이 진행되었다.[2][8] 전년도 대회 청년부에서 우승한 금강구락부 정구단은 3회 연속 우승을 차지하여 우승기 반환 없이 소장하게 되었다.[8]2. 4. 축구
1924년 10월 30일 8시에 보성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축구 종목에 참가하는 선수 286명이 모였다. 경신악대의 군악을 선두로 종로 거리를 행렬로 이동하여 배재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 도착했다.[9][3][10] 이후 조선체육회 회장 박창하의 개회사와 지난 대회 우승팀의 우승기 반환식이 진행되면서 개막식이 마무리되고 축구 경기가 개최되었다.[9][3]참조
[1]
뉴스
陸上競技開幕(육상경기개막)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24-06-15
[2]
뉴스
全朝鮮(전조선) 庭球初日(정구초일)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924-09-23
[3]
뉴스
五回全朝鮮(오회전조선) 蹴球大會(축구대회) 天馬騰空(천마등공)의氣勢(기세)로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24-10-31
[4]
뉴스
血戰(혈전)의幕(막)이열리는 壯嚴(장엄)한野球大會(야구대회)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24-05-16
[5]
뉴스
掀天動地(흔천동지)할陸上競技(육상경기)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24-06-14
[6]
뉴스
體育會王催(체육회왕최)의 陸上競技大會初日(육상경기대회초일)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924-06-15
[7]
뉴스
戰線(전선)에선南北健兒(남북건아) 四回全朝鮮(사회전조선) 庭球大會(정구대회)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24-09-22
[8]
뉴스
四回全朝鮮(사회전조선) 爭覇戰局(쟁패전국)이漸入佳境(점입가경) 庭球大會(정구대회)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1924-09-23
[9]
서적
대한민국 체육 100년 Ⅱ 민족의 구심체, 조선체육회(1920~1945)
https://portal.sport[...]
대한체육회
[10]
뉴스
第五囘蹴球(제오회축구)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1924-10-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