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4년 전국체육대회 정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24년 전국체육대회 정구는 9월 22일부터 25일까지 휘문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개최되었다. 소학부, 중학부, 청년부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소학부에서는 선천공립보통학교, 중학부에서는 송도고등보통학교, 청년부에서는 태양구락부가 우승을 차지했다. 대회 후에는 전경선과 전지방 간의 모범 경기가 열렸으며, 전경선이 승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국소년체육대회 12세이하부 정구단에 관한 - 1923년 전국체육대회 정구
1923년 전국체육대회 정구는 제4회 전국체육대회에서 청년부, 중학부, 소학부로 나뉘어 진행된 정구 종목으로, 각 부별로 경신학교, 휘문고등보통학교, 연희전문학교 등이 참가하여 휘문고보, 연희전문, 금강구락부, 평양사범학교가 각각 우승을 차지했다. - 1924년 정구 - 1924년 동아일보기 전국소프트테니스대회
1924년 6월, 경성에서 열린 여자 중학부 소프트테니스 대회인 1924년 동아일보기 전국소프트테니스대회는 여러 학교가 참가한 가운데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가 우승을 차지했고, 경기 진행에 일부 논란이 있었다. - 1924년 정구 - 1924년 전조선전문학교연합정구대회
1924년 전조선전문학교연합정구대회는 경성운동장과 휘문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개최되어 경성고등상업학교, 경성법학전문학교, 경성의학전문학교, 보성전문학교, 수원고등농림학교 등 여러 학교가 참가한 가운데 보성전문학교가 우승을 차지한 정구 대회이다. - 1924년 정구에 관한 - 1924년 동아일보기 전국소프트테니스대회
1924년 6월, 경성에서 열린 여자 중학부 소프트테니스 대회인 1924년 동아일보기 전국소프트테니스대회는 여러 학교가 참가한 가운데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가 우승을 차지했고, 경기 진행에 일부 논란이 있었다. - 1924년 정구에 관한 - 1924년 전조선전문학교연합정구대회
1924년 전조선전문학교연합정구대회는 경성운동장과 휘문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개최되어 경성고등상업학교, 경성법학전문학교, 경성의학전문학교, 보성전문학교, 수원고등농림학교 등 여러 학교가 참가한 가운데 보성전문학교가 우승을 차지한 정구 대회이다.
1924년 전국체육대회 정구 | |
---|---|
전국체육대회 종목 정보 | |
연도 | 1924 |
종류 | 하계 |
종목 | 정구 |
영어 종목 | Soft Tennis |
![]() | |
개최국 | 일제강점기 조선 |
개최 도시 | 경성 |
개최 기간 | 1924년 9월 22일~9월 25일 |
경기장 | 휘문고등보통학교 운동장 |
선수단 | 6 |
참가 선수 | 192 |
남자 선수 | 192 |
종목 수 | 3 |
남자 종목 | 3 |
부별 정보 | |
일반부 종목 수 | 1 |
일반부 남자 종목 | 1 |
18세 이하부 종목 수 | 1 |
18세 이하부 남자 종목 | 1 |
12세 이하부 종목 수 | 1 |
12세 이하부 남자 종목 | 1 |
대회 정보 | |
이전 대회 | 1923 |
다음 대회 | 1925 |
2. 대회 진행
제4회 전조선정구대회는 1924년 9월 22일부터 9월 25일까지 휘문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개최되었다.[2] 소학부, 중학부, 청년부 종목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2]
2. 1. 참가 선수단
구분 | 참가 선수단 |
---|---|
소학부 | 매동공립보통학교, 선천공립보통학교, 송도제2교, 인천공립보통학교 |
중학부 | 광성고등보통학교, 남대문상업, 배재고등보통학교, 보성고등보통학교, 송도고등보통학교, 양정고등보통학교, 평양고등보통학교, 함흥고등보통학교, 휘문고등보통학교 |
청년부 | 강화구락부, 경성전우회, 광주정구단, 군산금강단, 금강단, 목포체육회, 보성전문, 여수정구단, 원산청년회, 제물포구락부, 태양구락부 |
2. 2. 경기 결과
소학부 종목에서는 선천공립보통학교가 결승에서 매동공립보통학교를 4:0으로 이기며 작년 대회에 이어 2연패를 달성했다. 중학부 종목에서는 송도고등보통학교가 보성고등보통학교를 결승에서 3:1로 이기며 우승했으며, 청년부 종목에서는 태양구락부가 금강단을 결승에서 3:0으로 이기며 우승을 차지했다.[2][5]결승 경기가 종료된 후, 이번 대회에서 좋은 활약을 보인 우수 선수를 선발하여 '모범경기'라는 명칭으로 올스타전을 진행했다.[6] 경성부를 연고로 하는 정구단 소속 선수로 구성된 "전경선"과 경성부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을 연고로 하는 정구단 소속 선수로 구성된 "전지방" 간의 모범 경기는 전경선이 3:0으로 이겼다.[6][4]
2. 3. 올스타전
결승 경기가 끝난 후, 이번 대회에서 좋은 활약을 보인 우수 선수를 선발하여 '모범경기'라는 이름으로 올스타전을 진행했다.[6] 경성부를 연고로 하는 정구단 소속 선수로 구성된 "전경선"과 경성부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을 연고로 하는 정구단 소속 선수로 구성된 "전지방" 간의 모범 경기는 전경선이 3:0으로 이겼다.[6][4]3. 경기장
1924년 전국체육대회의 모든 정구 경기는 휘문고등보통학교 운동장에서 개최되었다.
4. 참가 정구단
1924년 전국체육대회 정구 종목에는 소학부, 중학부, 청년부 경기가 진행되었다.[1]
부문 | 참가 정구단 수 |
---|---|
청년부 | 11 |
중학부 | 9 |
소학부 | 4 |
중학부에는 광성고등보통학교, 남대문상업학교, 배재고등보통학교, 보성고등보통학교, 송도고등보통학교, 양정고등보통학교, 평양관립고등보통학교, 함흥관립고등보통학교, 휘문고등보통학교 정구단이 참가했다.[1]
소학부에는 매동공립보통학교, 선천공립보통학교, 송도제이보통학교, 인현공립보통학교 정구단이 참가했다.[1]
4. 1. 청년부
1924년 전국체육대회 정구 청년부 종목에는 강화구락부 정구단, 광주 정구단, 금강 정구단, 금강구락부 정구단, 목포체육회 정구단, 보성전문학교 정구단, 여수 정구단, 원산청년회 정구단, 전우운동단 정구단, 제물포청년회 정구단, 태양구락부 정구단이 참가했다.[1]정구단 | 도시 | 첫 참가 | 횟수 | 선수 | 비고 |
---|---|---|---|---|---|
강화구락부 정구단 | 강화 | 1924 | 1 | 김희준, 송은경, 이학승, 이학신, 이학연, 조용암 | |
광주 정구단 | 광주 | 1924 | 1 | 김종수, 김한국, 이봉우, 조덕환, 주지환, 최석편 | |
금강 정구단 | 군산 | 1924 | 1 | 김석조, 김영건, 박대준, 박로식, 신현주, 한윤경 | |
금강구락부 정구단 | 경성 | 1921 | 4 | 김성환, 김치순, 김필응, 박피득, 양승택, 연학년 | |
목포체육회 정구단 | 목포 | 1924 | 1 | 김영환, 김태성, 박근영, 박상진, 박용희, 지재풍 | |
보성전문학교 정구단 | 경성 | 1923 | 2 | 김기준, 박성희, 이수경, 이한준, 최신용, 허양균 | |
여수 정구단 | 여수 | 1924 | 1 | 강재주, 김주봉, 김계봉, 김행준, 김행협, 이방헌, 이상기, 장재후 | |
원산청년회 정구단 | 원산 | 1921 | 3 | 김기봉, 김명환, 김복산, 김영제, 김인수, 최광래 | |
전우운동단 정구단 | 경성 | 1924 | 1 | 강선형, 김응소, 박두호, 박성희, 유경익, 이종철 | |
제물포청년회 정구단 | 인천 | 1924 | 1 | ||
태양구락부 정구단 | 경성 | 1924 | 1 | 구종태, 김안식, 심윤중, 안달석, 안정원, 임병칠 |
5. 경기 일정
1924년 | 9월 | ||||
---|---|---|---|---|---|
22일 | 23일 | 24일 | 25일 | ||
청년부 | 남자 단체 | ||||
중학부 | 남자 단체 | ||||
소학부 | 남자 단체 | ||||
일일 합계 | 0 | 0 | 0 | 3 | |
누적 합계 | 0 | 0 | 0 | 3 |
6. 경기 결과 (세부)
1924년 전국체육대회 정구 경기는 청년부, 중학부, 소학부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 청년부: 태양구락부 정구단이 우승했다.[6][4]
- 중학부: 송도고등보통학교 정구단이 우승했다.[11][4]
- 소학부: 선천공립보통학교 정구단이 우승했다.[11][4]
6. 1. 청년부
청년부 남자 단체 종목에는 강화구락부 정구단, 광주 정구단, 금강 정구단, 금강구락부 정구단, 목포체육회 정구단, 보성전문학교 정구단, 여수 정구단, 원산청년회 정구단, 전우운동단 정구단, 제물포청년회 정구단, 태양구락부 정구단 등 11개 정구단이 참가했다.[2][3][4][7][1]1라운드 경기는 1924년 9월 22일에 진행되었다. 보성전문학교 정구단과 여수 정구단의 경기에서는 여수 정구단이 3:2로 승리했고, 광주 정구단과 태양구락부 정구단의 경기에서는 태양구락부 정구단이 3:2로 승리했다.[8][9] 원산청년회 정구단과 제물포청년회 정구단의 경기에서는 제물포청년회 정구단이 선수 부상으로 기권하여 원산청년회 정구단이 부전승으로 8강에 진출했다.[8][9]
8강 경기는 1924년 9월 23일에 진행되었다. 전우운동단 정구단과 금강구락부 정구단의 경기에서는 금강구락부 정구단이 3:0으로 승리했고, 강화구락부 정구단과 여수 정구단의 경기에서는 여수 정구단이 3:2로 승리했다.[10] 목포체육회 정구단과 금강 정구단의 경기에서는 목포체육회 정구단이 3:1로 승리했고, 태양구락부 정구단과 원산청년회 정구단의 경기에서는 태양구락부 정구단이 3:1로 승리했다.[10]
4강 경기는 1924년 9월 25일에 진행되었다. 금강구락부 정구단과 여수 정구단의 경기에서는 금강구락부 정구단이 3:2로 승리했고, 목포체육회 정구단과 태양구락부 정구단의 경기에서는 태양구락부 정구단이 3:1로 승리했다.[11]
결승 경기는 1924년 9월 25일 오후에 진행되었다. 금강구락부 정구단과 태양구락부 정구단의 경기에서 태양구락부 정구단이 3:0으로 승리하며 우승을 차지했다.[6][4]
경기 | 날짜 | 시간 | 팀 1 | 팀 2 | 결과 |
---|---|---|---|---|---|
1라운드 | 1924년 9월 22일 | 13:30 | 보성전문학교 정구단 | 여수 정구단 | 2:3 |
1라운드 | 1924년 9월 22일 | 광주 정구단 | 태양구락부 정구단 | 2:3 | |
1라운드 | 1924년 9월 22일 | 원산청년회 정구단 | 제물포청년회 정구단 | 승:기권 | |
8강 | 1924년 9월 23일 | 전우운동단 정구단 | 금강구락부 정구단 | 0:3 | |
8강 | 1924년 9월 23일 | 강화구락부 정구단 | 여수 정구단 | 2:3 | |
8강 | 1924년 9월 23일 | 목포체육회 정구단 | 금강 정구단 | 3:1 | |
8강 | 1924년 9월 23일 | 태양구락부 정구단 | 원산청년회 정구단 | 3:1 | |
4강 | 1924년 9월 25일 | 금강구락부 정구단 | 여수 정구단 | 3:2 | |
4강 | 1924년 9월 25일 | 목포체육회 정구단 | 태양구락부 정구단 | 1:3 | |
결승 | 1924년 9월 25일 | 금강구락부 정구단 | 태양구락부 정구단 | 0:3 |
6. 2. 중학부
중학부 남자 단체 종목에서는 광성고등보통학교 정구단, 남대문상업학교 정구단, 배재고등보통학교 정구단, 보성고등보통학교 정구단, 송도고등보통학교 정구단, 양정고등보통학교 정구단, 평양관립고등보통학교 정구단, 함흥관립고등보통학교 정구단, 휘문고등보통학교 정구단 등 9개 정구단이 참가했다.[2][3][4][7][1]경기일 | 대진 | 경기 결과 | 비고 |
---|---|---|---|
9월 22일 | 광성고등보통학교 정구단 (평남) : 배재고등보통학교 정구단 (경기) | 1 : 3 | 1라운드 |
9월 22일 | 휘문고등보통학교 정구단 (경기) : 양정고등보통학교 정구단 (경기) | 3 : 1 | 8강 |
9월 22일 | 평양관립고등보통학교 정구단 (평남) : 보성고등보통학교 정구단 (경기) | 2 : 3 | 8강 |
9월 23일 | 송도고등보통학교 정구단 (경기) : 함흥관립고등보통학교 정구단 (함남) | 3 : 0 | 8강 |
9월 23일 | 남대문상업학교 정구단 (경기) : 배재고등보통학교 정구단 (경기) | 1 : 3 | 8강 |
9월 23일 | 배재고등보통학교 정구단 (경기) : 보성고등보통학교 정구단 (경기) | 1 : 3 | 4강 |
9월 24일 | 휘문고등보통학교 정구단 (경기) : 송도고등보통학교 정구단 (경기) | 1 : 3 | 4강 |
9월 25일 | 보성고등보통학교 정구단 (경기) : 송도고등보통학교 정구단 (경기) | 1 : 3 | 결승 |
1924년 9월 22일 12시에 시작된 광성고등보통학교 정구단과 배재고등보통학교 정구단 간의 1라운드 경기는 배재고등보통학교 정구단이 3:1로 이기며 8강에 진출했다.[8]
8강 경기는 9월 22일과 23일에 걸쳐 진행되었다. 9월 22일 휘문고등보통학교 정구단이 양정고등보통학교 정구단을 3:1로, 보성고등보통학교 정구단이 평양관립고등보통학교 정구단을 3:2로 이겼다.[9] 9월 23일에는 송도고등보통학교 정구단이 함흥관립고등보통학교 정구단을 3:0으로, 배재고등보통학교 정구단이 남대문상업학교 정구단을 3:1로 이기며 4강에 진출했다.[9]
4강 경기는 9월 23일과 24일에 걸쳐 진행되었다. 9월 23일 보성고등보통학교 정구단이 배재고등보통학교 정구단을 3:1로 이겼고,[10] 9월 24일 송도고등보통학교 정구단이 휘문고등보통학교 정구단을 3:1로 이기며 결승에 진출했다.[10]
9월 25일 결승 경기에서 송도고등보통학교 정구단이 보성고등보통학교 정구단을 3:1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11][4]
6. 3. 소학부
매동공립보통학교 정구단, 선천공립보통학교 정구단, 송도제이보통학교 정구단, 인현공립보통학교 정구단 등 4개 정구단이 소학부 남자 단체 종목에 참가했다.[2][3][4][7][1]1924년 9월 22일 9시에 시작된 선천공립보통학교 정구단과 송도제이보통학교 정구단 간의 4강 첫 번째 경기는 선천공립보통학교 정구단이 3:1로 이기며 결승에 진출했다. 인현공립보통학교 정구단과 매동공립보통학교 정구단 간의 4강 두 번째 경기는 매동공립보통학교 정구단이 3:1로 이기며 결승에 진출했다.[8]
1924년 9월 25일에 진행된 선천공립보통학교 정구단과 매동공립보통학교 정구단 간의 결승 경기에서 선천공립보통학교 정구단이 3:0으로 이기며 우승을 차지했다.[11][4]
구분 | 선천공립보통학교 정구단 | 송도제이보통학교 정구단 | 인현공립보통학교 정구단 | 매동공립보통학교 정구단 |
---|---|---|---|---|
준결승 | 3 | 1 | ||
준결승 | 1 | 3 | ||
결승 | 3 | 0 |
7. 메달 집계
1924년 전국체육대회 정구의 메달 집계는 다음과 같다.
1924년 전국체육대회 정구는 청년부, 중학부, 소학부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부문별 메달 집계는 다음과 같다.
부문 | 금 | 은 | 동 | 합계 |
---|---|---|---|---|
청년부 | 1 | 1 | 2 | 4 |
중학부 | 1 | 1 | 2 | 4 |
소학부 | 1 | 1 | 2 | 4 |
합계 | 3 | 3 | 6 | 12 |
7. 1. 최종 순위
7. 2. 부문별 메달 집계
부문 | 금 | 은 | 동 | 합계 |
---|---|---|---|---|
청년부 | 1 | 1 | 2 | 4 |
중학부 | 1 | 1 | 2 | 4 |
소학부 | 1 | 1 | 2 | 4 |
합계 | 3 | 3 | 6 | 12 |
7. 3. 메달 수상자
구종태김안식
심윤중
안달석
안정원
임병칠
김성환
김치순
김필응
박피득
양승택
연학년
김영환
김태성
박근영
박상진
박용희
지재풍
여수 정구단 (전남)
강재주
김주봉
김계봉
김행준
김행협
이방헌
이상기
장재후
손창성
유개동
유은상
이련업
이우번
한진영
강필구
김용영
김우영
박훈환
정춘희
조세룡
조세행
황정수
김자환
박경□
박호진
방영섭
방태섭
이윤선
이윤호
장영생
차철순
휘문고보 (경기)
김원량
남궁호
손흥윤
이하영
장원진
조택원
강경행
문창렬
박덕현
박정희
정신명
정인수
유월성
이묘손
이영수
이옥동
이혁
장수득
고정룡
김광덕
동명순
오광식
임준성
최진용
인현공보 (경기)
윤득일
윤이봉
이광우
이종탁
정문택
정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