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28년 하계 올림픽 오스트레일리아 선수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28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오스트레일리아 선수단은 조정, 수영, 사이클, 다이빙, 육상, 레슬링 종목에 출전하여 금메달 1개, 은메달 2개, 동메달 1개를 획득했다. 바비 피어스는 조정 남자 싱글 스컬에서 금메달을, 앤드루 찰턴은 수영 남자 400m 자유형과 1500m 자유형에서 은메달을, 덩크 그레이는 사이클 남자 1000m 타임 트라이얼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28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 - 1928년 하계 올림픽 인도 선수단
    1928년 하계 올림픽 인도 선수단은 암스테르담 하계 올림픽에 참가하여 남자 필드하키 종목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육상과 수영 종목에도 선수들이 참가했다.
  • 1928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 - 1928년 하계 올림픽 루마니아 선수단
    1928년 하계 올림픽에서 루마니아는 육상과 펜싱 종목에 선수단을 파견하여 육상에서는 남자 11명과 여자 2명이, 펜싱에서는 남자 8명이 출전했지만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
  • 1928년 하계 올림픽에 관한 - 1928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1928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은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3m 스프링보드와 10m 플랫폼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남자부와 여자부 경기에 총 17개국 61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미국이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하였다.
  • 1928년 하계 올림픽에 관한 - 1928년 하계 올림픽 육상
    1928년 하계 올림픽 육상은 1928년 7월 29일부터 8월 5일까지 40개국 706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9개의 세계 기록과 16개의 올림픽 기록이 수립되었으며, 미국이 메달 집계 1위를 차지했다.
1928년 하계 올림픽 오스트레일리아 선수단
기본 정보
NOCAUS
NOC 명칭오스트레일리아 올림픽 위원회
대회하계 올림픽
연도1928
개최지암스테르담
참가 선수18 (남자: 14, 여자: 4)
종목6
기수바비 피어스
순위19
금메달1
은메달2
동메달1
참가 횟수자동
웹사이트www.olympics.com.au
관련 정보
관련 대회1906 중간 올림픽
과거 참가(1908–1912)

2. 메달리스트

wikitext

메달이름종목세부 종목날짜
바비 피어스조정남자 싱글 스컬8월 10일
앤드루 찰턴수영남자 400m 자유형8월 9일
남자 1500m 자유형8월 6일
덩크 그레이사이클남자 트랙 타임 트라이얼8월 5일


2. 1. 금메달

바비 피어스는 조정 남자 싱글 스컬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2. 2. 은메달

앤드루 찰턴은 1928년 하계 올림픽 수영에서 은메달 2개를 획득했다. 찰턴은 남자 400m 자유형과 1500m 자유형에서 은메달을 땄다.

메달선수 이름종목세부 종목날짜
 은메달앤드루 찰턴수영남자 400m 자유형8월 9일
 은메달앤드루 찰턴수영남자 1500m 자유형8월 6일


2. 3. 동메달

덩크 그레이는 사이클 남자 1000m 타임 트라이얼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3. 종목별 성적

다이빙 종목에서 오스트레일리아 선수 해리 모리스는 남자 3m 스프링보드와 10m 플랫폼에 출전하였다. 3m 스프링보드에서는 예선에서 94.96점으로 8위를 기록하여 결선 진출에 실패했다. 10m 플랫폼에서는 53.42점으로 예선 7위를 기록, 결선 진출에 실패했다.

선수종목준결승결승
점수점수순위점수점수순위
해리 모리스3m 스프링보드4094.968진출 실패
10m 플랫폼3453.427진출 실패



1928년, 두 명의 남자 사이클 선수가 오스트레일리아를 대표하여 참가했다.

;사이클 트랙

''순위는 각 예선 내에서의 순위이다.''

사이클 선수종목1라운드8강준결승결승
결과순위결과순위결과순위결과순위
잭 스탠든스프린트미상1 진출미상2진출 실패5T
덩크 그레이타임 트라이얼해당 사항 없음1:15.3



바비 피어스는 싱글 스컬 종목에 출전하였다. 피어스는 1라운드에서 7분 55.8초로 1위를 기록, 2라운드에서 7분 28.0초로 1위를 기록했다. 8강에서 7분 42.8초로 1위, 준결승에서 7분 01.8초로 1위를 기록하며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 7분 11.0초를 기록하며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선수종목1라운드2라운드8강준결승결승
결과순위결과순위결과순위결과순위결과순위
바비 피어스싱글 스컬7:55.81 Q7:28.01 Q7:42.81 Q7:01.81 Q7:11.0



;남자

''순위는 예선에서의 순위입니다.''

선수종목예선준결선결선
결과순위결과순위결과순위
보이 찰턴400m 자유형5:23.02 Q5:13.62 Q5:03.6
1500m 자유형20:17.42 Q20:57.02 Q20:02.6
톰 보스트100m 배영1:17.01 Q4진출 실패



;여자

''순위는 예선에서의 순위입니다.''

선수종목예선준결선결선
결과순위결과순위결과순위
보니 밀링100m 배영4해당 없음진출 실패
100m 자유형1:20.63진출 실패
에드나 데이비4진출 실패
400m 자유형6:12.03진출 실패
도리스 톰슨200m 평영3:33.63 Q5진출 실패



'''참고'''–트랙 경기의 경우, 순위는 선수 출전 조 내에서만 주어진다.


  • '''Q''' = 다음 라운드 진출
  • '''q''' = 가장 빠른 기록으로 또는 필드 경기에서, 예선 통과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고 순위로 다음 라운드 진출
  • '''NR''' = 자국 신기록
  • N/A = 해당 경기에 적용되지 않는 라운드
  • 부전승 = 해당 라운드에서 경기를 치를 필요 없음
  • NP = 미진출


'''남자'''

'''트랙 & 도로 경기'''

선수종목예선준준결선준결선결선
기록순위기록순위기록순위기록순위
제임스 칼튼100 m11.12 Q11.05진출 실패
200 m22.82 Q22.04진출 실패
찰스 스튜어트400 m4진출 실패
800 m6진출 실패
윌리엄 화이트5진출 실패
1500 m3:59.92 Q4:00.49
조지 하이드6colspan=2|진출 실패
5000 mcolspan=2|기권진출 실패
알프 왓슨110 m 허들3colspan=4|진출 실패
400 m 허들57.84colspan=4|진출 실패



'''필드 경기'''

선수종목예선결선
기록순위기록순위
닉 윈터세단뛰기14.1512진출 실패



'''여자'''

'''트랙 & 도로 경기'''

선수종목예선준결선결선
기록순위기록순위기록순위
에디스 로빈슨100 m2 Q3진출 실패
800 m5진출 실패



오스트레일리아는 레슬링 자유형 종목에 3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아서 포드는 남자 자유형 밴텀급 경기에 출전하여 1라운드에서 스위스의 아메데 피게에게 패했다. 해리 모리스는 남자 자유형 웰터급 경기에 출전, 2라운드에서 핀란드의 아르보 하비스토에게 패하고 8강에서 미국의 로이드 애플턴에게 패했다. 이후 준결승 진출에 실패하여 최종 5위를 기록했다. 토마스 볼거는 남자 자유형 미들급 경기에 출전하여 1라운드에서 스위스의 에른스트 키부르츠에게 패하고, 2라운드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안톤 프레그에게 패하여 탈락했다.

선수종목1라운드2라운드8강준결승결승순위
아서 포드남자 자유형 밴텀급아메데 피게/Amedée Piguet프랑스어 (스위스) 해당 없음진출 실패7T
해리 모리스남자 자유형 웰터급해당 없음아르보 하비스토/Arvo Haavistofi (핀란드) 로이드 애플턴/Lloyd Appleton영어 (미국) 장 주르랭/Jean Jourlin프랑스어 (프랑스) 진출 실패5
토마스 볼거남자 자유형 미들급에른스트 키부르츠/Ernst Kyburzde (스위스) 안톤 프레그/Anton Praeg영어 (남아프리카 공화국) 진출 실패6


3. 1. 다이빙

다이빙 종목에서 오스트레일리아 선수 해리 모리스는 남자 3m 스프링보드와 10m 플랫폼에 출전하였다. 3m 스프링보드에서는 예선에서 94.96점으로 8위를 기록하여 결선 진출에 실패했다. 10m 플랫폼에서는 53.42점으로 예선 7위를 기록, 결선 진출에 실패했다.

선수종목준결승결승
점수점수순위점수점수순위
해리 모리스3m 스프링보드4094.968진출 실패
10m 플랫폼3453.427진출 실패


3. 2. 사이클

;사이클 트랙

''순위는 각 예선 내에서의 순위이다.''

사이클 선수종목1라운드8강준결승결승
결과순위결과순위결과순위결과순위
잭 스탠든스프린트미상1 진출미상2진출 실패5T
덩크 그레이타임 트라이얼해당 사항 없음1:15.3



;도로 경기

선수세부 종목기록순위


3. 2. 1. 도로 경기

wikitable

선수세부 종목기록순위


3. 3. 조정

바비 피어스는 싱글 스컬 종목에 출전하였다. 피어스는 1라운드에서 7분 55.8초로 1위를 기록, 2라운드에서 7분 28.0초로 1위를 기록했다. 8강에서 7분 42.8초로 1위, 준결승에서 7분 01.8초로 1위를 기록하며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에서 7분 11.0초를 기록하며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선수종목1라운드2라운드8강준결승결승
결과순위결과순위결과순위결과순위결과순위
바비 피어스싱글 스컬7:55.81 Q7:28.01 Q7:42.81 Q7:01.81 Q7:11.0


3. 4. 수영

보이 찰턴은 400m 자유형에서 5:23.0의 기록으로 예선 2위를 차지하여 준결선에 진출했고, 준결선에서 5:13.6으로 2위를 기록하며 결선에 진출, 5:03.6으로 은메달을 획득했다. 보이 찰턴은 1500m 자유형에도 출전하여 예선에서 20:17.4, 준결선에서 20:57.0을 기록하며 결선에 진출, 20:02.6으로 은메달을 차지했다. 톰 보스트는 100m 배영에서 예선 1위를 기록했으나 준결선에서 4위를 기록하며 결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여자부 경기에서는 보니 밀링이 100m 배영 예선에서 4위를 기록하며 탈락했고, 100m 자유형에서는 1:20.6으로 예선 3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에드나 데이비는 100m 자유형 예선에서 4위를 기록하며 탈락했고, 400m 자유형에서는 6:12.0으로 예선 3위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도리스 톰슨은 200m 평영 예선에서 3:33.6으로 3위를 기록하여 준결선에 진출했으나, 준결선에서 5위를 기록하며 결선 진출에 실패했다.

3. 5. 육상

'''참고'''–트랙 경기의 경우, 순위는 선수 출전 조 내에서만 주어진다.

  • '''Q''' = 다음 라운드 진출
  • '''q''' = 가장 빠른 기록으로 또는 필드 경기에서, 예선 통과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고 순위로 다음 라운드 진출
  • '''NR''' = 자국 신기록
  • N/A = 해당 경기에 적용되지 않는 라운드
  • 부전승 = 해당 라운드에서 경기를 치를 필요 없음
  • NP = 미진출


'''남자'''

'''트랙 & 도로 경기'''

선수종목예선준준결선준결선결선
기록순위기록순위기록순위기록순위
제임스 칼튼100 m11.12 Q11.05진출 실패
200 m22.82 Q22.04진출 실패
찰스 스튜어트400 m4진출 실패
800 m6진출 실패
윌리엄 화이트5진출 실패
1500 m3:59.92 Q4:00.49
조지 하이드6colspan=2|진출 실패
5000 mcolspan=2|기권진출 실패
알프 왓슨110 m 허들3colspan=4|진출 실패
400 m 허들57.84colspan=4|진출 실패



'''필드 경기'''

선수종목예선결선
기록순위기록순위
닉 윈터세단뛰기14.1512진출 실패



'''여자'''

'''트랙 & 도로 경기'''

선수종목예선준결선결선
기록순위기록순위기록순위
에디스 로빈슨100 m2 Q3진출 실패
800 m5진출 실패


3. 6. 레슬링

오스트레일리아는 레슬링 자유형 종목에 3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아서 포드는 남자 자유형 밴텀급 경기에 출전하여 1라운드에서 스위스의 아메데 피게에게 패했다. 해리 모리스는 남자 자유형 웰터급 경기에 출전, 2라운드에서 핀란드의 아르보 하비스토에게 패하고 8강에서 미국의 로이드 애플턴에게 패했다. 이후 준결승 진출에 실패하여 최종 5위를 기록했다. 토마스 볼거는 남자 자유형 미들급 경기에 출전하여 1라운드에서 스위스의 에른스트 키부르츠에게 패하고, 2라운드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안톤 프레그에게 패하여 탈락했다.

선수종목1라운드2라운드8강준결승결승순위
아서 포드남자 자유형 밴텀급아메데 피게/Amedée Piguet프랑스어 (스위스) 해당 없음진출 실패7T
해리 모리스남자 자유형 웰터급해당 없음아르보 하비스토/Arvo Haavistofi (핀란드) 로이드 애플턴/Lloyd Appleton영어 (미국) 장 주르랭/Jean Jourlin프랑스어 (프랑스) 진출 실패5
토마스 볼거남자 자유형 미들급에른스트 키부르츠/Ernst Kyburzde (스위스) 안톤 프레그/Anton Praeg영어 (남아프리카 공화국) 진출 실패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