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0년 전국동계체육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30년 전국동계체육대회는 스피드 스케이팅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남자 500m, 1500m, 5000m, 10000m, 500m 배진, 2000m 계주와 여자 500m, 1500m 경기가 열렸다. 남자 500m에서는 박응근이, 1500m에서는 함명순이, 5000m와 10000m에서는 최재은이 우승했으며, 여자 500m와 1500m에서는 이혜석이 우승했다. 이 대회에서 남자 500m, 1500m, 5000m, 10000m, 2000m 계주, 여자 500m, 1500m에서 신기록이 수립되었으며, 모든 경기는 한강 인도교 밑에서 진행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0년 종합 스포츠 경기 대회 - 1930년 브리티시 엠파이어 게임
1930년 브리티시 엠파이어 게임은 캐나다 해밀턴에서 개최된 제1회 대회로, 육상, 권투 등 6개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잉글랜드가 메달 순위 1위를 기록했고, 우승자 시상 방식이 도입되었다. - 1930년 종합 스포츠 경기 대회 - 1930년 극동 선수권 대회
1930년 극동 선수권 대회는 중화민국, 영국령 인도, 일본, 필리핀이 참가한 스포츠 대회로, 일본 제국이 아시아 영향력 확대와 대동아공영권 구상 기반을 다지기 위해 개최했으며 권투, 농구, 배구, 수영, 야구, 육상, 정구, 체조, 축구, 하키 등 다양한 종목이 진행되었다. - 1930년 스포츠 - 1930년 극동 선수권 대회
1930년 극동 선수권 대회는 중화민국, 영국령 인도, 일본, 필리핀이 참가한 스포츠 대회로, 일본 제국이 아시아 영향력 확대와 대동아공영권 구상 기반을 다지기 위해 개최했으며 권투, 농구, 배구, 수영, 야구, 육상, 정구, 체조, 축구, 하키 등 다양한 종목이 진행되었다. - 1930년 스포츠 - 1930년 전국체육대회
1930년 전국체육대회는 수영, 씨름, 야구, 역도, 육상, 정구, 축구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씨름, 야구, 역도, 정구, 축구 등에서 각 학교 및 선수들이 우승을 차지했다.
1930년 전국동계체육대회 | |
---|---|
대회 정보 | |
연도 | 1930년 |
종류 | 동계 |
대회 | 제11회 전국동계체육대회 |
개최국 | 일제강점기 조선 |
개최도시 | 경기도 경성부 |
종목 | 1 |
세부 종목 | 8 |
개막식 | 1930년 1월 25일 |
폐막식 | 1930년 1월 25일 |
주경기장 | 한강 인도교 빙상 경기장 |
2. 대회 진행
1930년 전국동계체육대회는 스피드스케이팅 종목만 개최되었다. 1930년 1월 23일까지 대회 참가신청 접수가 진행되었고,[3] 경기는 한강 인도교 부근에서 진행되었다.[1] 이번 대회부터 처음으로 여자 종목이 신설되었다.
2. 1. 종목
남자 종목은 500m, 1500m, 5000m, 10000m, 500m 배진, 20000m 계주 등 6개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고, 여자 종목은 500m, 1500m 등 2개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다.[4]3. 경기 결과
1930년 전국동계체육대회에서는 남자부와 여자부 경기가 여러 종목에 걸쳐 진행되었다.
남자부 경기에서는 박응근이 500m에서, 함명순과 최희원이 1500m에서, 최재은이 5000m와 10000m에서 각각 대회 신기록을 세우며 우승했다. 정진원은 500m 배진에서, 평양팀은 2000m 계주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여자부 경기에서는 이혜석이 500m와 1500m 모두에서 대회 신기록을 세우며 우승했다.
3. 1. 남자 500m
예선 경기는 2명씩 11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고, 전체 선수 중 기록 상위 4위까지 결선에 진출했다.[4]순위 | 선수 | 소속 | 기록 | 비고 |
---|---|---|---|---|
1 | 박응근 | 의전 | 53.2 | 대회 신기록 |
2 | 고봉오 | 강계 | 54.1 | |
3 | 최희원 | 백구 | 54.4 | |
4 | 최재은 | 백구 | 54.7 |
3. 2. 남자 1500m
예선 경기는 2~3명씩 10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고, 전체 선수 중 기록 상위 4명까지 결선에 진출했다.[4]순위 | 선수 | 소속 | 기록 | 비고 |
---|---|---|---|---|
1 | 함명순 | 평양 | 2분 55.6초 | 대회 신기록 |
2 | 최희원 | 백구 | 2분 55.6초 | |
3 | 고봉오 | 강계 | 3분 02.6초 | |
4 | 공명재 | 신의주고등보통학교 | 3분 09.2초 |
3. 3. 남자 5000m
예선 경기는 3~4명씩 3개 조로 진행되었고, 전체 선수 중 기록 상위 5명까지 결선에 진출했다.[4]
3. 4. 남자 10000m
남자 10000m 종목은 결선 경기만 진행되었다.[4]순위 | 선수 | 소속 | 기록 | 비고 |
---|---|---|---|---|
1 | 최재은 | 백구 | 22:04.8 | 대회 신기록 |
2 | 함명순 | 평양 | 22:05.7 | |
3 | 이성덕 | 의주 | 22:21.0 |
3. 5. 남자 500m 배진
남자 500m 배진 종목은 결선 경기만 진행되었다.[4]
3. 6. 남자 2000m 계주
남자 2000m 계주 종목은 결선 경기만 진행되었다.[4]순위 | 선수 | 소속 | 기록 | 비고 |
---|---|---|---|---|
이삼지, 문병기, 고봉오, 박응근 | 평양 | 3분 34.4초 | ||
김용구, 조점용, 최재은, 최희원 | 백구 | 3분 38.0초 |
3. 7. 여자 500m
여자 500m 경기는 결선 경기만 진행되었다.[4]순위 | 선수 | 소속 | 기록 | 비고 |
---|---|---|---|---|
1 | 이혜석 | 경성 | 1분 32.0초 | 대회 신기록 |
3. 8. 여자 1500m
여자 1500m 경기는 결선 경기만 진행되었다.[4]순위 | 선수 | 소속 | 기록 | 비고 |
---|---|---|---|---|
1 | 이혜석 | 경성 | 4:38.0 | 대회 신기록 |
4. 신기록
참조
[1]
뉴스
第三回全朝鮮氷上競技大會(제삼회전조선빙상경기대회) 氷上(빙상)의勇者(용자),猛躍(맹약) 種目全部新記錄(종목전부신기록)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30-01-27
[2]
서적
대한체육회 90년사 I
http://photo3.sports[...]
[3]
뉴스
全朝鮮氷上競技(전조선빙상경기) 參加申請今日限(참가신청금일한)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30-01-24
[4]
뉴스
빙상경기 경과 예선 타임레이스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30-01-27
[5]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