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0년 브리티시 엠파이어 게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30년 브리티시 엠파이어 게임은 1930년 캐나다 해밀턴에서 개최된 제1회 브리티시 엠파이어 게임이다. 이 대회는 캐나다 육상팀 감독이었던 보비 로빈슨의 제안으로 시작되었으며, 육상, 권투, 론볼, 조정, 수영, 레슬링 종목으로 진행되었다. 11개 국가 및 지역이 참가했으며, 잉글랜드가 메달 순위 1위를 차지했다. 개막식은 윌링던 경에 의해 선언되었고, 캐나다의 고든 스몰러컴이 첫 금메달을 획득했다. 또한, 이 대회에서 우승자에게 시상하는 방식이 도입되었고, 이는 1932년 동계 올림픽부터 포디엄 시상식으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0년 종합 스포츠 경기 대회 - 1930년 극동 선수권 대회
1930년 극동 선수권 대회는 중화민국, 영국령 인도, 일본, 필리핀이 참가한 스포츠 대회로, 일본 제국이 아시아 영향력 확대와 대동아공영권 구상 기반을 다지기 위해 개최했으며 권투, 농구, 배구, 수영, 야구, 육상, 정구, 체조, 축구, 하키 등 다양한 종목이 진행되었다. - 1930년 종합 스포츠 경기 대회 - 1930년 전국동계체육대회
1930년 전국동계체육대회는 스피드 스케이팅 종목으로 열렸으며, 박응근, 함명순, 최재은, 이혜석 등이 우승하고 남자 및 여자 경기에서 신기록이 수립되었다.
1930년 브리티시 엠파이어 게임 | |
---|---|
대회 개요 | |
정식 명칭 | 제1회 대영 제국 게임 |
영어 명칭 | 1st British Empire Games |
![]() | |
개최 도시 | 캐나다 온타리오주 해밀턴 |
참가국 | 11개국 |
참가 선수 | 400명 |
종목 수 | 6경기 59종목 |
개막일 | 1930년 8월 16일 |
폐막일 | 1930년 8월 23일 |
개회 선언 | 윌링던 경 |
선수 선서 | 퍼시 윌리엄스 |
성화 봉송 | 해당 사항 없음 |
주 경기장 | 시립 경기장 |
다음 대회 | 제2회 |
2. 개최 배경
1928년 하계 올림픽에서 캐나다 육상팀 감독으로 출전했던 해밀턴 스펙테이터의 스포츠 기자 보비 로빈슨은 대영제국 국가들을 위한 올림픽 행사를 열자는 아이디어를 제안했다.[11] 올림픽에서 만난 사람들과 대회 개최를 논의한 로빈슨은 해밀턴에서 초대 대영제국 대회 조직을 맡아 달라는 요청을 수락했다.[11]
개최 종목으로는 육상, 권투, 론볼, 조정, 수영, 레슬링이 선정되었다. 여자 선수는 수영 경기에만 출전했다. 개막식을 비롯한 여러 부대행사는 해밀턴시 동부의 시립경기장 (지금의 아이버 와인 스타디움)에서 열렸다.[12]
1930년 8월 16일, 캐나다 총독이었던 윌링던 경이 개막을 선언하며 대회가 공식적으로 시작되었다. 몇 시간 뒤, 캐나다 삼단뛰기 선수 고든 스몰러컴이 대회 첫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보비 로빈슨은 우승자에게 고위 인사가 메달을 수여할 수 있는 시상대를 사용하자는 아이디어를 냈는데, 이는 올림픽 대회에서도 1932년 동계 올림픽부터 메달 시상식을 진행하는 계기가 되었다.[13][14]
3. 경기 종목
여자 선수는 수영에만 출전했다. 조정 더블 스컬은 캐나다 1개 조만 참가했기 때문에 주최 측은 특별히 미국에서 선수를 초청했다.[1]
4. 참가국
제1회 1930년 브리티시 엠파이어 게임에는 총 11개 국가 및 지역이 참가했다.
5. 메달 순위
순위 | 국가·지역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총 메달 수 |
---|---|---|---|---|---|
1 | 잉글랜드 | 25 | 23 | 13 | 61 |
2 | 캐나다 | 20 | 15 | 19 | 54 |
3 | 남아프리카 연방 | 6 | 4 | 7 | 17 |
4 | 뉴질랜드 | 3 | 4 | 2 | 9 |
5 | 오스트레일리아 | 3 | 4 | 1 | 8 |
6 | 스코틀랜드 | 2 | 3 | 5 | 10 |
7 | 웨일스 | 0 | 2 | 1 | 3 |
8 | 영국령 기아나 | 0 | 1 | 1 | 2 |
9 | 북아일랜드 | 0 | 1 | 0 | 1 |
합계 | 59 | 57 | 49 | 165 |
6. 경기장
개막식을 비롯한 여러 부대행사는 해밀턴시 동부의 시립경기장 (지금의 아이버 와인 스타디움)에서 열렸다.[12]
이밖에도 선수들의 숙소로 사용된 장소는 다음과 같다.
숙소 | 구분 |
---|---|
프린스 오브 웨일즈 공립학교 | 남자 |
로열 코노트 호텔 | 여자 |
참조
[1]
웹사이트
The British Empire Games of 1930
http://torontoist.co[...]
Torontoist.com
2017-08-30
[2]
웹사이트
Hamilton 1930
https://web.archive.[...]
2019-12-22
[3]
웹사이트
"Empire Games In Canada." Times, 4 Feb. 1930, p. 7
http://www.countyrug[...]
Times Digital Archives
[4]
뉴스
'Just give us' the Commonwealth Games in 2030, Canada plans to tell counterpart countries
https://nationalpost[...]
NationalPost
2018-04-15
[5]
간행물
Tigertown Triumphs
The Hamilton Spectator-Memory Project (Souvenir Edition) page MP56
2006-06-10
[6]
뉴스
Olympic Torch Relay, Commercial to Begin With, Has Become More So, Historian Says
https://www.newspape[...]
2002-01-22
[7]
뉴스
Prof says Olympic podiums have Canadian connection
https://www.newspape[...]
2006-10-18
[8]
웹인용
The British Empire Games of 1930
http://torontoist.co[...]
Torontoist.com
2017-08-30
[9]
웹인용
Hamilton 1930
https://web.archive.[...]
2019-12-22
[10]
웹인용
"Empire Games In Canada." Times, 4 Feb. 1930, p. 7
http://www.countyrug[...]
Times Digital Archives
2024-02-23
[11]
뉴스
'Just give us' the Commonwealth Games in 2030, Canada plans to tell counterpart countries
https://nationalpost[...]
NationalPost
2018-04-15
[12]
보도자료
The Hamilton Spectator-Memory Project (Souvenir Edition) page MP56
[13]
뉴스
Olympic Torch Relay, Commercial to Begin With, Has Become More So, Historian Says
https://www.newspape[...]
2002-01-22
[14]
뉴스
Prof says Olympic podiums have Canadian connection
https://www.newspape[...]
2006-10-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