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0년 FIFA 월드컵 결선 토너먼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30년 FIFA 월드컵 결선 토너먼트는 1930년 우루과이에서 개최된 제1회 FIFA 월드컵의 결선 토너먼트 경기들을 의미한다. 13개 참가국이 4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진행한 후, 각 조 1위 팀이 준결승에 진출했다. 준결승전에서는 아르헨티나가 미국을 6-1로, 우루과이가 유고슬라비아를 6-1로 각각 이겼다. 결승전에서는 우루과이가 아르헨티나를 4-2로 꺾고 초대 월드컵 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0년 FIFA 월드컵 - 1930년 FIFA 월드컵 선수 명단
1930년 FIFA 월드컵 선수 명단은 아르헨티나, 칠레, 프랑스, 멕시코, 유고슬라비아, 브라질, 볼리비아를 포함한 여러 국가 대표팀의 선수 정보, 감독 정보, 포지션, 생년월일, 출전 횟수, 소속 클럽 등을 상세히 기록한 것이다. - 1930년 FIFA 월드컵 - 1930년 FIFA 월드컵 1조
1930년 FIFA 월드컵 1조는 아르헨티나, 칠레, 프랑스, 멕시코로 구성되어 아르헨티나가 3전 전승으로 조 1위를 차지하며 준결승에 진출했고, 뤼시앵 로랑의 월드컵 첫 골과 마누엘 로사스의 최초 자책골 및 페널티킥 득점 등 다양한 기록이 나왔다.
1930년 FIFA 월드컵 결선 토너먼트 | |
---|---|
4강전 | |
7월 26일 - 몬테비데오 | '아르헨티나' '6'' '미국' '1' |
7월 27일 - 몬테비데오 | '우루과이' '6'' '유고슬라비아' '1' |
결승전 | |
7월 30일 - 몬테비데오 | '아르헨티나' '2' '우루과이' '4'' |
2. 대회 형식
13개 참가국은 4개의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진행, 각 조 1위 팀이 준결승에 진출했다.[1] 7월 23일에 추첨을 통해 준결승전 대진이 결정되었으며,[2] 개최국 우루과이는 유고슬라비아와, 아르헨티나와 미국이 맞붙게 되었다. 별도의 3, 4위전은 없었다.
각 조의 1위 팀이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3. 참가팀
아르헨티나는 1조에서 1위를 차지하여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2조에서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이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우루과이는 3조에서 1위를 차지하여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미국은 1930년 FIFA 월드컵 4조에서 1위를 차지하여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3. 1. 1조
아르헨티나는 1조에서 1위를 차지하여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3. 2. 2조
2조에서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이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3. 3. 3조
우루과이는 3조에서 1위를 차지하여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3. 4. 4조
미국은 1930년 FIFA 월드컵 4조에서 1위를 차지하여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4. 경기 결과
1930년 7월 26일, 몬테비데오 센테나리오 경기장에서 열린 첫 준결승전에서 아르헨티나는 미국을 6-1로 크게 이기고 결승에 진출했다.[3] 경기 초반 라파엘 트레이시가 부상당하기 전까지는 팽팽했으나, 루이스 몬티의 선제골을 시작으로 아르헨티나가 주도권을 잡았다.[3] 당시 선수 교체가 허용되지 않아 미국은 10명으로 경기를 치렀고, 지미 더글러스 골키퍼마저 부상당하는 악재를 겪었다.[3] 알레산드로 스코펠리, 기예르모 스타빌레, 카를로스 페우세예가 득점하며 아르헨티나가 5골을 추가했고, 미국의 짐 브라운이 한 골을 만회했다.[3]
1930년 7월 27일, 몬테비데오 센테나리오 경기장에서 열린 두 번째 준결승전에서는 우루과이가 유고슬라비아를 6-1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4] 페드로 세아는 해트트릭을 기록했고, 페레그리노 안셀모와 산투스 이리아르테도 득점했다.[4] 유고슬라비아에서는 브라니슬라프 세큘리치가 득점했다.[4]
조르제 부야디노비치의 선제골로 유고슬라비아가 앞서갔으나, 페드로 세아의 동점골을 시작으로 우루과이가 전반에만 3골을 몰아넣으며 경기를 주도했다. 후반전에도 우루과이는 3골을 추가하며 페드로 세아는 해트트릭을 완성했다.[4] 유고슬라비아는 우루과이의 세 번째, 네 번째 골에 대해 심판 판정에 강하게 항의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당시 심판은 알메이다 레구 (브라질) 이었다. 결국 우루과이는 홈에서 결승 진출을 확정지었다.
=== 결승 ===
1930년 7월 30일, 몬테비데오 센테나리오 경기장에서 결승전이 개최되었다. 우루과이가 아르헨티나를 4-2로 꺾고 초대 월드컵 우승을 차지했다. 우루과이는 파블로 도라도, 페드로 세아, 산투스 이리아르테, 엑토르 카스트로가 득점하였고, 아르헨티나는 카를로스 페우세예, 기예르모 스타빌레가 득점하였다.
4. 1. 준결승
1930년 7월 26일, 몬테비데오 센테나리오 경기장에서 경기가 개최되었다.[3] 아르헨티나는 미국을 6-1로 크게 이기고 결승에 진출했다.[3]경기는 미국의 센터 하프인 라파엘 트레이시가 19분에 부상을 입기 전까지는 팽팽하게 진행되었다.[3] 얼마 지나지 않아 아르헨티나는 루이스 몬티의 골로 선제골을 넣었다.[3] 트레이시는 하프타임에 경기를 떠났고, 당시에는 교체가 허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미국은 10명이서 후반전을 치러야 했다.[3] 또한 골키퍼인 지미 더글러스는 후반 15분에 어깨 부상을 입었다.[3]
아르헨티나는 알레산드로 스코펠리, 기예르모 스타빌레, 카를로스 페우세예가 득점하며 5골을 더 추가하여, 월드컵 결승전에 진출한 첫 번째 팀이 되었다.[3] 미국의 짐 브라운이 한 골을 만회하였다.[3]
1930년 7월 27일, 몬테비데오 센테나리오 경기장에서 개최된 이 경기는 우루과이가 유고슬라비아를 6-1로 꺾고 결승에 진출한 경기이다.[4]
우루과이의 페드로 세아는 해트트릭을 기록했고, 페레그리노 안셀모와 산투스 이리아르테도 득점에 성공했다.[4] 유고슬라비아에서는 브라니슬라프 세큘리치가 득점했다.[4]
경기 초반 조르제 부야디노비치의 골로 유고슬라비아가 앞서갔으나, 페드로 세아의 동점골을 시작으로 우루과이가 전반에만 3골을 몰아넣으며 경기를 주도했다. 후반전에도 우루과이는 3골을 추가하며 페드로 세아는 해트트릭을 완성했다.[4]
유고슬라비아는 우루과이의 세 번째, 네 번째 골에 대해 심판 판정에 강하게 항의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당시 심판은 알메이다 레구 (브라질) 이었다. 결국 우루과이는 홈에서 결승 진출을 확정지었다.
4. 1. 1. 아르헨티나 vs 미국
1930년 7월 26일, 몬테비데오 센테나리오 경기장에서 경기가 개최되었다.[3] 아르헨티나는 미국을 6-1로 크게 이기고 결승에 진출했다.[3]경기는 미국의 센터 하프인 라파엘 트레이시가 19분에 부상을 입기 전까지는 팽팽하게 진행되었다.[3] 얼마 지나지 않아 아르헨티나는 루이스 몬티의 골로 선제골을 넣었다.[3] 트레이시는 하프타임에 경기를 떠났고, 당시에는 교체가 허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미국은 10명이서 후반전을 치러야 했다.[3] 또한 골키퍼인 지미 더글러스는 후반 15분에 어깨 부상을 입었다.[3]
아르헨티나는 알레산드로 스코펠리, 기예르모 스타빌레, 카를로스 페우세예가 득점하며 5골을 더 추가하여, 월드컵 결승전에 진출한 첫 번째 팀이 되었다.[3] 미국의 짐 브라운이 한 골을 만회하였다.[3]
4. 1. 2. 우루과이 vs 유고슬라비아
1930년 7월 27일, 몬테비데오 센테나리오 경기장에서 개최된 이 경기는 우루과이가 유고슬라비아를 6-1로 꺾고 결승에 진출한 경기이다.[4]우루과이의 페드로 세아는 해트트릭을 기록했고, 페레그리노 안셀모와 산투스 이리아르테도 득점에 성공했다.[4] 유고슬라비아에서는 브라니슬라프 세큘리치가 득점했다.[4]
경기 초반 조르제 부야디노비치의 골로 유고슬라비아가 앞서갔으나, 페드로 세아의 동점골을 시작으로 우루과이가 전반에만 3골을 몰아넣으며 경기를 주도했다. 후반전에도 우루과이는 3골을 추가하며 페드로 세아는 해트트릭을 완성했다.[4]
유고슬라비아는 우루과이의 세 번째, 네 번째 골에 대해 심판 판정에 강하게 항의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당시 심판은 알메이다 레구 (브라질) 이었다. 결국 우루과이는 홈에서 결승 진출을 확정지었다.
4. 2. 결승
1930년 7월 30일, 몬테비데오 센테나리오 경기장에서 결승전이 개최되었다. 우루과이가 아르헨티나를 4-2로 꺾고 초대 월드컵 우승을 차지했다. 우루과이는 파블로 도라도, 페드로 세아, 산투스 이리아르테, 엑토르 카스트로가 득점하였고, 아르헨티나는 카를로스 페우세예, 기예르모 스타빌레가 득점하였다.5. 논란
5. 1. 준결승전 판정 논란
6. 영향
6. 1. 대한민국 축구에의 영향
참조
[1]
웹사이트
Formats of the FIFA World Cup final competitions
https://web.archive.[...]
2008-02-27
[2]
서적
O mundo das Copas
[3]
서적
O mundo das Copas
[4]
웹사이트
World Cup 1930 finals
https://www.rsssf.or[...]
2010-08-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