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0년 FIFA 월드컵 선수 명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30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한 선수 명단은 각 국가별로 선수, 감독, 포지션 정보를 담고 있다. 아르헨티나, 칠레, 프랑스, 멕시코, 유고슬라비아, 브라질, 볼리비아, 우루과이, 루마니아, 페루, 미국, 파라과이, 벨기에 등 13개국의 선수 명단이 수록되어 있다. 감독의 국적 정보도 함께 제공되며, 아르헨티나가 3명의 감독을 배출하여 가장 많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볼리비아 FIFA 월드컵 축구 국가대표팀 - 라파엘 멘데스
라파엘 멘데스는 1930년 FIFA 월드컵에 볼리비아 국가대표팀 선수로 참가하여 두 경기에 출전하였다. - 볼리비아 FIFA 월드컵 축구 국가대표팀 - 1950년 FIFA 월드컵 선수 명단
1950년 FIFA 월드컵 선수 명단은 브라질, 유고슬라비아 등 13개국 선수들의 포지션, 이름, 생년월일, 소속 클럽 정보를 담고 있다. - 1930년 FIFA 월드컵 - 1930년 FIFA 월드컵 1조
1930년 FIFA 월드컵 1조는 아르헨티나, 칠레, 프랑스, 멕시코로 구성되어 아르헨티나가 3전 전승으로 조 1위를 차지하며 준결승에 진출했고, 뤼시앵 로랑의 월드컵 첫 골과 마누엘 로사스의 최초 자책골 및 페널티킥 득점 등 다양한 기록이 나왔다. - 1930년 FIFA 월드컵 - 1930년 FIFA 월드컵 결선 토너먼트
1930년 FIFA 월드컵 결선 토너먼트는 우루과이에서 열린 제1회 FIFA 월드컵의 결선 경기로, 조별 리그를 거쳐 준결승에서 우루과이와 아르헨티나가 승리하여 결승에서 우루과이가 우승을 차지했다. - 우루과이 FIFA 월드컵 축구 국가대표팀 - 호세 루이스 로드리게스 (1997년)
호세 루이스 로드리게스는 우루과이의 축구 선수로, 다누비오 FC에서 데뷔하여 라싱 클럽, 페닉스, 나시오날을 거쳐 CR 바스쿠 다 가마에서 뛰고 있으며, 우루과이 청소년 국가대표를 거쳐 2023년부터 우루과이 국가대표로 A매치에 출전하고 2022년 FIFA 월드컵 우루과이 대표팀 최종 명단에 발탁되었으나 출전하지는 못했다. - 우루과이 FIFA 월드컵 축구 국가대표팀 - 알시데스 기지아
알시데스 기지아는 우루과이와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하며 페냐롤, 다누비오, AS 로마, AC 밀란 등 명문 클럽에서 선수 생활을 했고, 특히 1950년 FIFA 월드컵 결승전에서 결승골을 넣어 우루과이의 우승을 이끌어 '마라카낭의 비극'으로 불리는 경기를 장식한 축구 선수이다.
1930년 FIFA 월드컵 선수 명단 | |
---|---|
대회 정보 | |
대회 | FIFA 월드컵 |
연도 | 1930년 |
개최국 | 우루과이 |
기간 | 1930년 7월 13일 ~ 7월 30일 |
참가팀 수 | 13개국 |
경기장 | 3개 |
총 경기 수 | 18경기 |
결과 | |
우승 | 우루과이 |
준우승 | 아르헨티나 |
3위 | 미국 |
4위 | 유고슬라비아 |
통계 | |
총 득점 | 70골 |
경기당 득점 | 3.89골 |
최다 득점자 | 기예르모 스타빌레 (8골) |
기타 정보 | |
← 1934 → | 1934년 FIFA 월드컵 |
2. 1930년 FIFA 월드컵 개관
2. 1. 대회 이전 상황
2. 2. 대회 진행 과정
2. 3. 대회 이후 영향
3. 참가국 명단
3. 1. 1조
3. 1. 1. 아르헨티나
1930년 FIFA 월드컵에서 준우승을 차지한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의 선수 명단이다.감독: 프란시스코 올라사르 & 후안 호세 트라무톨라
- GK 보시오
- GK 보타소
- DF 무티스
- DF 토레
- DF 파테라노스테
- DF 피아히오
- MF 몬티
- MF 수멜수
- MF 수아레스
- MF J. 에바리스토
- MF 오를란디니
- MF 치비디니
- FW 데마리아
- FW 바라요
- FW 스코페지
- FW 스타빌레
- FW 스파다로
- FW M. 에바리스토
- FW 체로
- FW 페레이라 (주장)
- FW 페리네티
- FW 페우세예
3. 1. 2. 칠레
- GK 로베르토 코르테스
- GK 세사르 에스피노사
- DF 기예르모 리베로스
- DF 빅토르 모랄레스
- DF 에르네스토 차파로
- DF 울리세스 포리에
- MF 오라시오 무뇨스
- MF 기예르모 사베드라
- MF 움베르토 엘게타
- MF 아르투로 코드두
- MF 아르투로 토레스
- MF 카시미로 토레스
- FW 카를로스 비달
- FW 에베라도 비야로보스
- FW 기예르모 수비아브레
- FW 카를로스 슈네베르거 (주장)
- FW 후안 아길레라
- FW 기예르모 아레야노
- FW 토마스 오헤다
- 감독 외르지 오르트
3. 1. 3. 프랑스
- GK 타생
- GK 테포
- DF 앙두아르
- DF 카페유
- DF 마틀레
- MF 샹트렐
- MF 델메르
- MF J. 로랑
- MF 피넬
- MF 빌라플랑 (주장)
- FW 델푸르
- FW 랑지예르
- FW L. 로랑
- FW 리베라티
- FW 마시노
- FW 베낭트
- 감독 코드롱
3. 1. 4. 멕시코
- 감독: 후안 루케 데 세라욘가
- 골키퍼(GK)
- * 본피글리오
- * 소타
- 수비수(DF)
- * F. 가르사 구티에레스
- * R. 가르사 구티에레스 (주장)
- * 마누엘 로사스
- 미드필더(MF)
- * 로드리게스
- * F. 로사스
- * 산체스
- * 아메스쿠아
- 공격수(FW)
- * 가욘
- * 로페스
- * 루이스
- * 메히아
- * 올리바레스
- * 카레뇨
- * 카스트로
- * 페레스
3. 2. 2조
3. 2. 1. 유고슬라비아
감독: 보슈코 시모노비치- GK 스토야노비치
- GK 야크시치
- DF 미하일로비치
- DF 이브코비치 (주장)
- DF 토시치
- MF 스테바노비치
- MF 스파소예비치
- MF 아르세니예비치
- MF 조키치
- MF 흐르니체크
- FW 나이다노비치
- FW 마르야노비치
- FW 마르코비치
- FW 베크
- FW 부야디노비치
- FW 세쿨리치
- FW 티르나니치
3. 2. 2. 브라질
감독은 핀다루이다.- 골키퍼(GK)
- * 벨로수
- * 조엘
- 수비수(DF)
- * 브릴량치
- * 오스카리누
- * 이탈리아
- * 제 루이스
- 미드필더(MF)
- * 이반 마리스
- * 파우스투
- * 팜플로나
- * 페르난두
- * 포르치스
- * 폰세카
- 공격수(FW)
- * 닐루
- * 마노엘지뉴
- * 모데라투
- * 베네딕투
- * 아라켄
- * 카르발류 레이치
- * 테오필루
- * 폴리
- * 프레기뉴 (주장)
- * 후시뉴
도카(상 크리스토방)와 베네벤투 (플라멩구)는 팀과 동행했지만, 대회 규정에 따라 선수단은 22명만 등록할 수 있었기 때문에 등록되지 않았다.[1]
아라켄은 플라멩구에서 뛴 적이 없다. 그는 단순히 형식적인 문제로 클럽 선수로 등록되었는데, 그 이유는 상파울루의 APEA가 CBD와 브라질 축구 지휘권을 놓고 권력 투쟁을 벌였기 때문이다. CBD는 리우데자네이루에 위치해 있었다.[1]
3. 2. 3. 볼리비아
감독: 울리세스 사우세도- GK 베르무데스
- GK 무리요
- DF 두란달
- DF 레예스 페냐란다
- DF 차바라
- MF 노야
- MF 라라
- MF 발데라마
- MF 브리토
- MF 사인스
- MF 아르고테
- FW 고메스
- FW 레예스 오르티스
- FW 멘데스 (주장)
- FW 부스타만테
- FW 알보르타
- FW 페르난데스
3. 3. 3조
3. 3. 1. 우루과이
- GK 바예스트레로
- GK 카푸시니
- DF 나사시 (주장)
- DF 레코바
- DF 마스체로니
- DF 테헤라
- DF 페르난데스
- MF 리욜포
- MF 멜로그노
- MF 안드라데
- MF 피리스
- MF 헤스티도
- FW 도라도
- FW 살도비데
- FW 세아
- FW 스카로네
- FW 안셀모
- FW 우르디나란
- FW 이리아르테
- FW 카스트로
- FW 칼보
- FW 페트로네
감독: 수피시
3. 3. 2. 루마니아
- GK 러프슈네아우
- GK 자우베르
- DF 뷔르거
- DF 슈타이너
- DF 차코
- MF 라핀스키
- MF 로베
- MF 보글 (주장)
- MF 보르벨리
- MF 스테인바
- MF 에젠베이저
- FW 글란즈만
- FW 데슈
- FW 바르부
- FW 베처
- FW 수버셰아누
- FW 스탄시우
- FW 코바치
- FW 코치슈
- 감독 러둘레스쿠
3. 3. 3. 페루
- GK 발디비에소
- GK 파르돈
- DF 데 라스 카사스
- DF 마킬론
- DF 소리아
- DF 페르난데스
- MF 가르시아
- MF 갈린도 (주장)
- MF 데네그리
- MF 바예
- MF 아스텡고
- MF 킨타나
- FW 공고라
- FW 네이라
- FW 라바예
- FW 로드리게스 누에
- FW 로레스
- FW 비야누에바
- FW 사르미엔토
- FW 소우사 페레이라
- FW 시요니스
- FW 파체코
- 감독 브루
3. 4. 4조
3. 4. 1. 미국
- GK 지미 더글라스
- DF 갤러거
- DF 무어하우스
- DF 바운
- DF 우드
- DF 젠틀
- DF 트레이시
- MF 곤살베스
- MF 짐 브라운
- MF 슬론
- MF 아울드
- MF 올리버
- FW 맥기
- FW 부키
- FW 파트나우드
- FW 플로리 (주장)
- 감독 로버트 밀라
3. 4. 2. 파라과이
- '''감독:''' 라구나
- '''GK:''' 데니스
- '''GK:''' P. 베니테스
- '''DF:''' 미라카
- '''DF:''' 올메도
- '''DF:''' 차모로
- '''DF:''' 플로레스
- '''MF:''' 가르세테
- '''MF:''' 디아스
- '''MF:''' S. 베니테스
- '''MF:''' 아기레
- '''MF:''' 에트체베리
- '''MF:''' 플로렌틴
- '''FW:''' 곤살레스
- '''FW:''' 네시
- '''FW:''' 도밍게스
- '''FW:''' 로메로
- '''FW:''' 리베라
- '''FW:''' 바르가스 페냐 (주장)
- '''FW:''' 베니테스 카세레스
- '''FW:''' 비얄바
- '''FW:''' 오르테가
- '''FW:''' 카레라스
3. 4. 3. 벨기에
- 감독: 후팅크
- 드 비 GK
- 바주 GK
- 나우벤스 DF
- 드 드켄 DF
- 호이동스 DF
- 드 클레 MF
- 브라이네 (주장) MF
- 샹트레 MF
- 헬레만스 MF
- 델베케 FW
- 디덴스 FW
- 무샬 FW
- 버십 FW
- 부르후프 FW
- 사이스 FW
- 아담스 FW
4. 감독 국적
1930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한 감독들의 국적은 다음과 같다. 아르헨티나가 3명으로 가장 많은 감독을 배출했다.
No. | 국가 | 감독 |
---|---|---|
3 | 아르헨티나 | 호세 듀란 라구나(파라과이), 프란시스코 올라자르, 후안 호세 트라무톨라 |
2 | 스페인 | 프란시스코 브루(페루), 후안 루케 데 세라롱가(멕시코) |
1 | 벨기에 | 엑토르 괴팅크 |
볼리비아 | 울리세스 사우세도 | |
브라질 | 핀다로 | |
프랑스 | 라울 코드롱 | |
헝가리 | 죄르지 오르트(칠레) | |
루마니아 | 코스텔 래둘레스쿠 | |
스코틀랜드 | 로버트 밀러(미국) | |
우루과이 | 알베르토 수피치 | |
유고슬라비아 왕국 | 보슈코 시모노비치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