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6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페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36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페어는 1936년 독일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에서 열린 동계 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페어 종목의 결과이다. 막시 헤르버와 에른스트 바이어가 금메달, 일제 파우신과 에리크 파우신이 은메달, 에밀리에 로테르와 라슬로 솔라스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6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 1936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남자 싱글
1936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남자 싱글은 독일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에서 개최되었으며, 오스트리아의 카를 셰퍼가 금메달을, 에른스트 바이어가 은메달을, 펠릭스 카스파르가 동메달을 획득했고, 카를 셰퍼는 2연패를 달성했다. - 1936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 1936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여자 싱글
1936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여자 싱글은 독일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에서 개최되었으며, 소냐 헤니(노르웨이), 세실리아 콜레지(프랑스), 비비안 오스본(영국)이 각각 금, 은, 동메달을 획득하고 25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쇼트 프로그램과 프리 스케이팅 점수를 합산하여 순위를 결정지었다. - 1936년 피겨스케이팅 - 1936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남자 싱글
1936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남자 싱글은 독일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에서 개최되었으며, 오스트리아의 카를 셰퍼가 금메달을, 에른스트 바이어가 은메달을, 펠릭스 카스파르가 동메달을 획득했고, 카를 셰퍼는 2연패를 달성했다. - 1936년 피겨스케이팅 - 1936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1936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여자 싱글에서 소냐 헤니가 금메달을 획득하며 3회 연속 올림픽 우승을 차지했고, 릴리안느 베네트와 비비안 오스본이 각각 은메달과 동메달을 획득했다.
1936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페어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종목 | 피겨 스케이팅 페어 |
대회 | 1936년 동계 올림픽 |
참가 선수 | 36명 |
참가 국가 | 12개국 |
경기장 | 올림피아-쿤스트아이스슈타디온 |
날짜 | 2월 13일 |
이전 대회 | 1932년 |
다음 대회 | 1948년 |
메달리스트 | |
금메달 | 막시 헤르버 / 에른스트 바이어 |
금메달 국가 | GER |
은메달 | 일세 파우신 / 에릭 파우신 |
은메달 국가 | AUT |
동메달 | 에밀리에 로테르 / 라슬로 솔라스 |
동메달 국가 | HUN |
2. 결과
순위 | 선수 | 국가 | 포인트 | 점수 |
---|---|---|---|---|
1 | 막시 헤르버 & 에른스트 바이어 | 나치 독일 | 11 | 11.5 |
2 | 일세 파우신 & 에릭 파우신 | 오스트리아 | 19.5 | 11.4 |
3 | 에밀리에 로테르 & 라슬로 솔라스 | 헝가리 | 32.5 | 10.8 |
4 | 피로스카 세크레녜시 & 아틸라 세크레녜시 | 헝가리 | 38.5 | 10.6 |
5 | 메리벨 빈손 & 조지 힐 | 미국 | 46.5 | 10.4 |
6 | 루이즈 베르트럼 & 스튜어트 리번 | 캐나다 | 68.5 | 9.8 |
7 | 바이올렛 클리프 & 레슬리 클리프 | 영국 | 56.5 | 10.1 |
8 | 에바 프라비츠 & 오토 바이스 | 나치 독일 | 74.5 | 9.5 |
9 | 안나 카타네오 & 에르콜 카타네오 | 이탈리아 | 93 | 9.1 |
10 | 로즈마리 스튜어트 & 에른스트 예이츠 | 영국 | 102.5 | 9.0 |
11 | 그레이스 메든 & J. 레스터 메든 | 미국 | 95 | 9.1 |
12 | 오드리 갈랜드 & 프레이저 스위트맨 | 캐나다 | 105 | 8.7 |
13 | 이리나 팀치크 & 알프레드 아이젠베이저-페라루 | 루마니아 | 102 | 9.0 |
14 | 엘레아노레 보이멜 & 프리츠 베츠틀러 | 오스트리아 | 113 | 8.8 |
15 | 란디 바케 & 크리스텐 크리스텐센 | 노르웨이 | 132.5 | 8.2 |
16 | 루이즈 콘타미네 & 로베르트 베르둔 | 벨기에 | 138.5 | 8.2 |
17 | 힐데가르데 슈바르체 & 에두아르드 게쉘스 | 라트비아 | 149 | 7.5 |
18 | 헬레네 미켈슨 & 에두아르드 히오프 | 에스토니아 | 161 | 6.8 |
점수와 순위는 공식 올림픽 보고서에 따른 것이다.
'''심판'''
- 헤르만 벤트 (나치 독일)
- 찰스 M. 로치 (미국)
- 쿠르트 다넨베르크 (나치 독일)
- 오거스트 앤더버그 (스웨덴)
- 아놀드 후버 (스위스)
- 한스 그뤼나우어 (오스트리아)
- 앙드레 포플리몽 (벨기에)
- 오스카 콜데럽 (노르웨이)
- 제뇌 미니히 (헝가리)
- 루도비카 야콥손 (핀란드)
2. 1. 메달리스트
에른스트 바이어에릭 파우신
라슬로 솔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