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은메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은메달은 스포츠 경기, 군사 및 정부 포상, 기타 시상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상징물이다. 올림픽에서는 1896년 은메달을 승자에게 수여했으며, 1904년부터 금, 은, 동 메달을 순위별로 수여하는 관행이 시작되었다. 올림픽 메달 디자인은 시대에 따라 변화해 왔으며, 한국인 최초의 은메달 획득자는 송순천이다. 오픈 챔피언십 골프 토너먼트에서는 아마추어 선수에게, 일부 국가에서는 군사 및 민간 훈장으로 은메달을 수여하기도 한다. 또한, 2인자를 상징하는 "무관의 제왕", "만년 2위", "실버 컬렉터" 등의 표현과도 관련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메달 - 금메달
    금메달은 경쟁 활동에서 1위에게 수여되는 승리와 우승의 상징으로, 올림픽에서는 은에 금을 도금한 형태로 수여되며, 금메달을 깨무는 행위는 미디어 요구와 관련된 문화적 현상으로 분석된다.
  • 메달 - 동메달
    올림픽을 비롯한 스포츠 경기에서 3위 입상자에게 수여되는 동메달은 청동을 주 재료로 하며, 1904년 하계 올림픽부터 수여되었고, 디자인은 개최 도시에서 담당하며, 일부 종목에서는 공동 3위에게 수여되며, 심리학 연구에서 동메달리스트가 은메달리스트보다 더 기뻐하는 경향이 나타나기도 한다.
  • 은 - 스털링 실버
    스털링 실버는 은 함량 92.5% 이상의 은 합금으로, 광택과 가공성이 뛰어나 장신구, 식기류, 예술품 등에 널리 사용되며, 변색 방지를 위한 관리와 보관이 필요하다.
  • 은 - 은피증
    은피증은 은 화합물 축적으로 피부와 장기가 변색되는 질환이며, 만성적인 은 섭취가 주요 원인이고 미용상 문제를 유발하지만 생명을 위협하지 않으며 햇빛 노출을 피하는 것이 관리 방법이다.
  • 올림픽 메달 - 금메달
    금메달은 경쟁 활동에서 1위에게 수여되는 승리와 우승의 상징으로, 올림픽에서는 은에 금을 도금한 형태로 수여되며, 금메달을 깨무는 행위는 미디어 요구와 관련된 문화적 현상으로 분석된다.
  • 올림픽 메달 - 동메달
    올림픽을 비롯한 스포츠 경기에서 3위 입상자에게 수여되는 동메달은 청동을 주 재료로 하며, 1904년 하계 올림픽부터 수여되었고, 디자인은 개최 도시에서 담당하며, 일부 종목에서는 공동 3위에게 수여되며, 심리학 연구에서 동메달리스트가 은메달리스트보다 더 기뻐하는 경향이 나타나기도 한다.
은메달
은메달
올림픽 시상대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획득한 선수들을 위한 연단.
세부 정보
종류메달
사용 목적2위 수상자에게 수여
구성 재료
다른 재료 (대회마다 다름)
관련금메달
동메달

2. 스포츠

스포츠에서 은메달은 일반적으로 2위 선수나 팀에게 수여되는 메달이다.

1896년 첫 올림픽 행사에서는 1위 수상자에게 은메달을 수여했다. 1위부터 3위까지 -- 메달을 수여하는 관례는 1904년 대회부터 시작되었으며, 이후 많은 다른 스포츠 행사에서도 이 관례를 따르고 있다.[5]

오픈 챔피언십 골프 토너먼트에서는 가장 낮은 점수를 받은 아마추어 선수에게 은메달을 수여한다.[1]

많은 토너먼트 방식의 스포츠 경기(예: 올림픽 아이스하키, 올림픽 축구, FIFA 월드컵)에서 은메달은 결승전에서 패한 팀에게만 주어지는 유일한 메달이며, 금메달과 동메달은 최종 경기에서 승리한 팀이 획득한다.[1] 조슬린 라로크와 같은 유명 선수들은 시상 직후 준우승/은메달을 벗어버리기도 했는데, 라로크는 나중에 국제 아이스하키 연맹 관계자로부터 은메달을 다시 착용하라는 지시를 받았다.[2][3][4]

2. 1. 올림픽

1896년 첫 올림픽 행사에서 1위 수상자에게 은메달을 수여했다.[5] 1위부터 3위까지 -은- 메달을 수여하는 관례는 1904년 대회부터 시작되었으며, 이후 많은 다른 스포츠 행사에서도 이 관례를 따르고 있다.

2. 1. 1. 메달 디자인

올림픽에서 은메달은 순은으로만 만들 것을 규정으로 하고 있다. 1896년에는 승자에게 은으로 된 메달을 주었다. 1위부터 3위까지의 승자에게 금, 은, 메달을 연달아 수여하는 관행은 1904년 경기에서부터 시작되었고, 다른 스포츠 경기에서도 이것을 채용하였다.[5] 메달의 주조는 개최 도시에서 담당한다. 1928년부터 1968년까지의 메달 디자인은 모두 동일한데, 앞면은 플로렌스 예술가 주세페 카시올리의 포괄적인 디자인과 함께 개최 도시의 이름이 새겨져 있으며, 뒷면은 올림픽 우승자를 새긴 포괄적인 디자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1972년부터 2000년까지는 카시올리의 디자인 (또는 약간의 변형)을 앞면에 남겨두고 뒷면에 개최 도시가 자유롭게 디자인을 새겼다. 카시올리의 디자인은 로마의 원형 경기장을 담고 있었는데, 아테네에서 개최한 2004년부터는 그리스가 본래의 올림픽 발상지였음을 나타내기 위해 엘레나 보스티가 제작한 새로운 앞면 디자인을 선정하였다.[6] 새롭게 디자인된 앞면에는 날개 달린 승리의 여신 니케가 월계관을 건네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으며, 최초의 근대 올림픽이 개최된 파나티나이코 경기장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7]

동계 올림픽 메달은 하계 올림픽에 비해 매우 다양한 재료와 디자인으로 만들어진다.

한국인 중에서는 송순천이 최초로 은메달을 획득했다.

2. 1. 2. 한국의 은메달

송순천이 한국인 최초로 은메달을 획득했다.

2. 2. 오픈 챔피언십

오픈 챔피언십 골프 토너먼트에서는 토너먼트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받은 아마추어 선수에게 은메달을 수여한다.[1]

2. 3. 은메달 거부

많은 토너먼트 방식의 스포츠 경기, 예를 들어 3·4위전이 있는 스포츠(올림픽 아이스하키, 올림픽 축구, FIFA 월드컵)에서, 은메달은 결승전에서 패한 팀에게만 주어지는 유일한 메달이며, 금메달과 동메달은 최종 경기에서 승리한 팀이 획득한다.[1] 조슬린 라로크와 같은 유명 선수들은 시상 직후 준우승/은메달을 벗어버리기도 했다.[2] 라로크는 나중에 국제 아이스하키 연맹 관계자로부터 은메달을 다시 착용하라는 지시를 받았다.[3][4]

3. 군사 및 정부

일부 국가에서는 군사 및 민간 훈장으로 은메달을 수여한다. 다음은 그 예시이다.

4. 기타 시상

런던 동물학회는 "동물학의 이해와 감상에 기여한 공로, 자연사 대중 교육, 야생 동물 보호 등의 활동을 한 학회 회원 또는 기타 인물"에게 은메달을 수여한다.

영국 왕립 공학원은 "영국 공학에 탁월하고 입증된 개인적 기여를 하여 성공적인 시장 개척을 이룬, 정규직 또는 이에 준하는 경력이 22년 미만인 엔지니어"에게 은메달을 수여한다.

5. 2인자의 상징

많은 토너먼트 방식의 스포츠 경기에서 은메달은 결승전에서 패한 팀에게만 주어지는 유일한 메달이다. 금메달과 동메달은 최종 경기에서 승리한 팀이 획득한다.[1] 조슬린 라로크와 같은 몇몇 선수들은 시상 직후 준우승을 하여 받은 은메달을 벗어버리기도 했다.[2] 라로크는 나중에 국제 아이스하키 연맹 관계자로부터 은메달을 다시 착용하라는 지시를 받았다.[3][4]

5. 1. 무관의 제왕

최고 성적인 1등상이나 우승을 한 번도 차지하지 못했지만, 2등상이나 준우승과 같은 좋은 성적을 여러 번 기록하는 사람이 있다.

평소 실력과 잠재력이 우승자 이상으로 평가받음에도 불구하고, 매우 중요한 경기 대회에 한해서는 1등상이나 우승을 차지하지 못하는 그러한 사람을 가리켜, 월계관과 같은 승리자에게 수여되는 "관"을 쓴 적이 없는 최고 실력자라는 의미로, 스포츠 분야 등에서는 일본어로 "'''무관의 제왕'''(무칸노테이오)"이라고 한다. 같은 한자 문화권에서도 중국어로는 "무면지왕"(())이라고 한다. 영어로는 "'''uncrowned king'''"이라고 한다.

5. 2. 만년 2위

'''만년 2위'''라는 표현도 있지만, 최고 실력자로 인정받고서야 불리는 "무관의 제왕"과는 달리, 이쪽은 "최고 실력자를 이길 수 없는, 2인자의 실력자"라는 뉘앙스가 있어, 즉, 야유하는 표현이다.

5. 3. 실버 컬렉터

''''실버 컬렉터''''(silver collector, シルバーコレクター|시루바 코레쿠타일본어)는 귀금속의 사회적 가치에 준하는 , , 으로 상징되는 순위 매김에서, "은"만 수집하는 사람을 의미하는 표현이다. 이 표현으로 불리는 사람은, "무관의 제왕"과는 달리 그 분야의 최고 실력자라고는 할 수 없는 반면, "만년 2위"라고 불리는 사람처럼 완전히 2위에 머무르는 것도 아니다. 우승할 만한 능력을 갖추고 있으면서도 이 따르지 않는 경우도 있고, 저력을 발휘하면 우승할 수 있는데 중요한 순간에 정신적인 취약함을 드러내는 경우도 있다.

참조

[1] 뉴스 Jocelyne Larocque removed her silver medal after losing to USA, and it's understandable https://web.archive.[...] SB Nation 2018-02-22
[2] 뉴스 Rules are rules: After shunning silver, Jocelyne Larocque ordered to wear medal https://www.theglobe[...] 2018-02-22
[3] 간행물 Canadian Jocelyn Larocque Takes off Silver Hockey Medal https://time.com/517[...] 2018-02-22
[4] 뉴스 Jocelyne Larocque removed her silver medal after losing to USA, and it's understandable https://web.archive.[...] SB Nation 2018-02-22
[5] 뉴스 금메달 가치는 얼마? http://www.hani.co.k[...] 한겨레 2008-07-31
[6] 뉴스 " 올림픽 메달, 새로 디자인"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3-07-01
[7] 뉴스 "<2004아테네올림픽-달라진 메달>‘승리의 여신’ 월계관 건네는 모습 형상화" https://news.naver.c[...] 파이낸셜뉴스 2004-08-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