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6년 11월 프랑스 총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46년 11월 프랑스 총선은 프랑스에서 1946년 11월에 치러진 총선이다. 프랑스 공산당이 28.26%의 득표율로 182석을 얻어 원내 제1당을 유지했고, 대중공화운동, 노동자 인터내셔널 프랑스 지부와 연합하여 과반수를 확보했다. 자유공화당은 12.94%의 득표율로 약진했으며, 샤를 드 골을 지지하는 드골연합은 의석을 얻지 못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6년 11월 - 1946년 영등포역 열차 충돌 사고
- 1946년 11월 - 1946년 캘리포니아 제12선거구 선거
1946년 캘리포니아 제12선거구 선거는 리처드 닉슨이 제리 보어히스를 꺾고 승리하여 정계에 입문한 선거이며, 닉슨의 반공산주의적 공세가 주요했던 선거로 평가받는다. - 1946년 선거 - 제2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1946년 일본에서 최초로 여성 참정권이 인정된 중의원 의원 총선거로, 일본자유당이 제1당이 되었으나 요시다 시게루가 총리가 되었고 39명의 여성 의원이 당선되었다. - 1946년 선거 - 1946년 오스트레일리아 의회 선거
1946년 오스트레일리아 의회 선거는 전후 시대의 정치적 분수령으로, 벤 치플리 총리의 노동당이 승리하여 정권을 유지했으나 하원 의석은 줄고 자유당-국민당 연립은 의석을 늘렸으며, 상원에서는 노동당이 다수 의석을 차지했다. - 1946년 프랑스 - 1946년 5월 프랑스 국민투표
1946년 5월 프랑스 국민투표는 프랑스 제4공화국 헌법 제정을 위해 실시되었으나, 반대가 찬성보다 많아 헌법안이 부결되었고, 이는 공산당 주도 단원제 도입에 대한 우파 세력의 반발이 반영된 결과였다. - 1946년 프랑스 - 1946년 10월 프랑스 국민투표
1946년 10월 프랑스 국민투표는 의원내각제를 골자로 하는 새 헌법 제안에 대해 53.2%의 찬성으로 통과되었다.
1946년 11월 프랑스 총선 | |
---|---|
선거 정보 | |
선거 이름 | 1946년 11월 프랑스 총선 |
국가 | 프랑스 |
선거 유형 | 의회 |
진행 여부 | 아니요 |
이전 선거 | 1946년 6월 프랑스 총선 |
이전 선거 연도 | 1946년 (6월) |
다음 선거 | 1951년 프랑스 총선 |
다음 선거 연도 | 1951년 |
선출 의석 수 | 프랑스 국민의회의 전체 627석 |
과반수 의석 수 | 과반수를 위한 314석 필요 |
선거일 | 1946년 11월 10일 |
투표율 | 78.05% (%p 3.8 %p 감소) |
주요 정당 및 지도자 | |
![]() | |
지도자 | 모리스 토레즈 |
정당 | 프랑스 공산당 |
지도자 선거구 | 센 |
이전 선거 결과 | 153석 |
획득 의석 | 182석 |
의석 변동 | 29 |
득표수 | 5,430,593 |
득표율 | 28.26% |
![]() | |
지도자 | 조르주 비도 |
정당 | 대중공화운동 |
지도자 선거구 | 루아르 |
이전 선거 결과 | 166석 |
획득 의석 | 173석 |
의석 변동 | 7 |
득표수 | 4,988,609 |
득표율 | 25.96% |
![]() | |
지도자 | 기 몰레 |
정당 | 노동자 인터내셔널 프랑스 지부 |
지도자 선거구 | 파드칼레주 |
이전 선거 결과 | 128석 |
획득 의석 | 102석 |
의석 변동 | 26 |
득표수 | 3,433,901 |
득표율 | 17.87% |
![]() | |
지도자 | 미셸 클레망소 |
정당 | 자유 공화당 |
지도자 선거구 | 센에마른주 |
이전 선거 결과 | 67석* |
획득 의석 | 72석* |
의석 변동 | 5 |
득표수 | 2,487,313 |
득표율 | 12.94% |
지도자 | 장폴 다비드 |
정당 | 공화주의 좌파 연합 |
지도자 선거구 | 센에우아즈주 |
이전 선거 결과 | 52석 |
획득 의석 | 69석 |
의석 변동 | 17 |
득표수 | 2,136,152 |
득표율 | 11.12% |
지도 | |
![]() | |
수상 | |
선거 전 수상 | 조르주 비도 |
선거 전 정당 | 대중공화운동 |
선거 후 수상 | 조르주 비도 |
선거 후 정당 | 대중공화운동 |
2. 선거 결과
이번 선거에서도 프랑스 공산당(PCF), 대중공화운동(MRP), 노동자 인터내셔널 프랑스 지부(SFIO)의 삼당 체제가 유지되어 프랑스 제4공화국의 정치적 기반을 형성했다.[1]
2. 1. 정당별 득표 및 의석
wikitext정당 | 득표수 | % | 의석수 | |
---|---|---|---|---|
프랑스 공산당 Parti communiste français프랑스어 | 5,430,593 | 28.26 | 182 | |
대중공화운동 Mouvement républicain populaire프랑스어 | 4,988,609 | 25.96 | 173 | |
노동자 인터내셔널 프랑스 지부 Section française de l'Internationale ouvrière프랑스어 | 3,433,901 | 17.87 | 102 | |
삼당 연합 | 13,853,103 | 72.09 | 457 | |
자유공화당 Parti républicain de la liberté프랑스어 | 2,487,313 | 12.94 | 72 | |
공화좌파연합 Rassemblement des gauches républicaines프랑스어 | 2,136,152 | 11.12 | 69 | |
드골연합 Union gaulliste프랑스어 | 585,430 | 3.05 | 0 | |
기타 | 154,377 | 0.80 | 29 | |
합계 | 19,216,375 | 100 | 627 [1] |
2. 2. 분석
선거 결과, 프랑스 공산당(PCF)은 약 549만 표(득표율 약 28.6%)를 얻어 166석을 확보하며 제1당 지위를 유지했다.[1] 인민 공화 운동(MRP)은 약 506만 표(득표율 약 26.3%)로 158석을 얻어 제2당이 되었으며, 이는 이전 선거 대비 의석수가 증가한 결과이다.[1] 반면, 노동자 인터내셔널 프랑스 지부(SFIO)는 약 343만 표(득표율 약 17.9%)를 얻어 90석에 그쳐 의석수가 감소했다.[1] 이들 세 주요 정당이 계속해서 연립 정부(삼당 체제)를 이끌어갈 기반을 마련했다.보수 진영에서는 민주 공화 동맹(AD), 자유 공화당(PRL) 등을 포함한 정당 연합이 약 247만 표(득표율 약 12.8%)를 얻어 70석을 확보했다.[1] 급진당(RS), 좌익 공화 연합(RGR) 등을 포함한 급진파 연합은 약 238만 표(득표율 약 12.4%)로 55석을 얻었다.[1] 한편, 드골을 따르는 골리스트는 약 31만 표(득표율 약 1.6%)를 얻어 5석을 확보하는 데 그쳤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