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54년 FIFA 월드컵 선수 명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54년 FIFA 월드컵 선수 명단은 1954년 스위스에서 개최된 FIFA 월드컵에 참가한 각 국가대표팀의 선수 명단을 상세히 정리한 문서이다. 대회 개요, 참가국, 조별 리그, 결선 토너먼트, 우승국 정보와 함께 개인 기록, 주요 사건, 그리고 1954년 FIFA 월드컵과 한국에 대한 내용도 포함하고 있다. 특히 대한민국 대표팀의 선수 명단과 당시 한국전쟁의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과정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4년 FIFA 월드컵 - 1954년 FIFA 월드컵 결승전
    1954년 FIFA 월드컵 결승전은 1954년 7월 4일 스위스 베른에서 서독과 헝가리가 맞붙어 서독이 3-2로 승리하며 이변을 연출, 축구 역사상 중요한 경기로 기록되었다.
  • 1954년 FIFA 월드컵 - 1954년 FIFA 월드컵 예선
    1954년 FIFA 월드컵 예선은 월드컵 본선에 진출할 16개국을 가리기 위해 유럽, 남미, 북중미, 아시아 지역으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대한민국이 사상 최초로 본선에 진출하고 유럽에서는 제비뽑기로 터키가 진출하는 등의 이변이 있었다.
  • 1954년 FIFA 월드컵 선수 명단 - 정남식
    정남식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 감독, 행정가로서, 국가대표팀 첫 A매치 득점과 해트트릭을 기록하고 런던 올림픽 8강, 월드컵 본선 진출, 아시안 게임 은메달 획득에 기여했으며, 은퇴 후 국가대표팀 코치와 감독, OB 축구회 회장, 월드컵 유치위원 및 조직위원으로 활동하며 한국 축구 발전에 공헌했다.
  • 1954년 FIFA 월드컵 선수 명단 - 박규정 (축구인)
    박규정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로, 조선 및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활동하고 보성전문학교 축구부 주장을 지냈으며, 1954년 FIFA 월드컵에서 39세 이상의 나이로 출전한 최초의 선수라는 기록을 세웠다.
  • 스코틀랜드 FIFA 월드컵 축구 국가대표팀 - 1982년 FIFA 월드컵 선수 명단
    1982년 FIFA 월드컵 선수 명단은 1982년 스페인 월드컵에 참가한 각 국가별 선수들의 정보를 담고 있으며, 이탈리아가 우승하고 파올로 로시가 득점왕에 올랐다.
  • 스코틀랜드 FIFA 월드컵 축구 국가대표팀 - 알렉스 퍼거슨
    알렉스 퍼거슨은 스코틀랜드 출신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1986년부터 2013년까지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를 지도하며 프리미어리그 13회 우승 등 수많은 트로피를 획득하고, 1998-99 시즌에는 잉글랜드 클럽 최초로 트레블을 달성했다.
1954년 FIFA 월드컵 선수 명단

2. 대회 개요

2. 1. 개최 배경

2. 2. 대회 방식

2. 3. 주요 사건

3. 참가국

3. 1. 본선 진출국

3. 2. 대한민국 대표팀

1954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감독: 김용식

번호포지션이름생년월일소속팀
1GK홍덕영1921년 5월 5일조선방직 축구단
2DF박규정1915년 4월 21일육군 병참단 축구단
3DF박재승1923년 4월 1일육군 특무부대 축구단
4MF강창기1927년 8월 28일조선방직 축구단
5MF이상의1922년 1월 1일조선방직 축구단
6DF민병대1918년 2월 20일육군 특무부대 축구단
7FW이수남1927년 2월 2일육군 특무부대 축구단
8FW최정민1930년 8월 30일육군 특무부대 축구단
9FW우상권1926년 2월 2일육군 헌병감실 축구단
10FW성낙운1926년 2월 2일육군 병참단 축구단
11MF정남식1917년 2월 16일육군 특무부대 축구단
12GK함흥철1930년 11월 17일육군 헌병감실 축구단
13DF이종갑1920년 3월 18일육군 특무부대 축구단
14DF한창화1922년 11월 3일육군 특무부대 축구단
15MF김지성1924년 11월 7일육군 특무부대 축구단
16MF주영광 (주장)1931년 7월 15일해군 축구단
17FW박일갑1926년 3월 21일육군 특무부대 축구단
18FW최영근1923년 2월 8일해군 축구단
19FW이기주1926년 11월 12일조선방직 축구단
20FW정국진1917년 1월 2일해군 축구단



1954년 FIFA 월드컵 당시 대한민국 대표팀은 20명의 선수로 구성되었으며, 이들은 대부분 군인 신분으로 육군 특무부대, 해군 등에서 차출되었다. 당시 한국전쟁의 상흔이 가시지 않은 상황에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비록 헝가리와 터키에 크게 패하며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지만, 대한민국 축구 역사에 중요한 발자취를 남겼다.

3. 2. 1. 선수 명단

1954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감독: 김용식

번호포지션이름생년월일소속팀
1GK홍덕영1921년 5월 5일조선방직 축구단
2DF박규정1915년 4월 21일육군 병참단 축구단
3DF박재승1923년 4월 1일육군 특무부대 축구단
4MF강창기1927년 8월 28일조선방직 축구단
5MF이상의1922년 1월 1일조선방직 축구단
6DF민병대1918년 2월 20일육군 특무부대 축구단
7FW이수남1927년 2월 2일육군 특무부대 축구단
8FW최정민1930년 8월 30일육군 특무부대 축구단
9FW우상권1926년 2월 2일육군 헌병감실 축구단
10FW성낙운1926년 2월 2일육군 병참단 축구단
11MF정남식1917년 2월 16일육군 특무부대 축구단
12GK함흥철1930년 11월 17일육군 헌병감실 축구단
13DF이종갑1920년 3월 18일육군 특무부대 축구단
14DF한창화1922년 11월 3일육군 특무부대 축구단
15MF김지성1924년 11월 7일육군 특무부대 축구단
16MF주영광 (주장)1931년 7월 15일해군 축구단
17FW박일갑1926년 3월 21일육군 특무부대 축구단
18FW최영근1923년 2월 8일해군 축구단
19FW이기주1926년 11월 12일조선방직 축구단
20FW정국진1917년 1월 2일해군 축구단



1954년 FIFA 월드컵 당시 대한민국 대표팀은 20명의 선수로 구성되었으며, 이들은 대부분 군인 신분으로 육군 특무부대, 해군 등에서 차출되었다. 당시 한국전쟁의 상흔이 가시지 않은 상황에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은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비록 헝가리와 터키에 크게 패하며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지만, 대한민국 축구 역사에 중요한 발자취를 남겼다.

3. 2. 2. 예선 결과

(빈칸 - 원본 소스 및 요약 내용 없음)

3. 2. 3. 본선 경기 결과

wikitext

감독은 김용식이었다.

번호포지션이름생년월일출장 수소속팀
1GK홍덕영1921년 5월 5일2조선방직 축구단
2DF박규정1915년 4월 21일2육군 병참단 축구단
3DF박재승1923년 4월 1일0육군 특무부대 축구단
4MF강창기1927년 8월 28일0조선방직 축구단
5MF이상이1922년 1월 1일?조선방직 축구단
6DF민병대1918년 2월 20일2육군 특무부대 축구단
7FW이수남1927년 2월 2일0육군 특무부대 축구단
8FW최정민1930년 8월 30일0육군 특무부대 축구단
9FW우상권1926년 2월 2일2육군 헌병감실 축구단
10FW성낙운1926년 2월 2일0육군 병참단 축구단
11MF정남식1917년 2월 16일2육군 특무부대 축구단
12GK함흥철1930년 11월 17일3육군 헌병감실 축구단
13DF이종갑1920년 3월 18일0육군 특무부대 축구단
14DF한창화1922년 11월 3일0육군 특무부대 축구단
15MF김지성1924년 11월 7일0육군 특무부대 축구단
16MF주영광 (c)1931년 7월 15일0해군 축구단
17FW박일갑1926년 3월 21일0육군 특무부대 축구단
18FW최영근1923년 2월 8일0해군 축구단
19FW이기주1926년 11월 12일0조선방직 축구단
20FW정국진1917년 1월 2일2해군 축구단


4. 조별 리그

4. 1. 1조

4. 1. 1. {{축구나라|브라질|1889}}

감독: 제제 모레이라

  • 카스티뉴
  • 자우마 산투스
  • 니우통 산투스
  • 브란다웅지뉴
  • 핀헤이류
  • 바우어
  • 주니뉴
  • 지지
  • 발타자르
  • 핑가
  • 호드리게스
  • 파울리뉴
  • 알프레드 하무스
  • 엘리
  • 마우루
  • 데퀴냐
  • 마우리뉴
  • 움베르투
  • 알루시우 프란시스쿠 다 루스
  • 후벤스
  • 벨루두
  • 카베송

4. 1. 2. {{축구나라|유고슬라비아}}

알렉산다르 티르나니치 감독 체제 하의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은 1954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하여, 다음과 같은 선수 명단을 제출했다.

  • '''GK:''' 블라디미르 베아라 (1928년 11월 2일생, 25경기, 하이두크 스플리트)
  • '''GK:''' 브란코 크랄 (1924년 3월 10일생, 0경기, 디나모 자그레브)
  • '''DF:''' 브란코 스탄코비치 (1921년 10월 31일생, 50경기, 레드 스타 베오그라드)
  • '''DF:''' 토미슬라브 츠른코비치 (1929년 6월 17일생, 17경기, 디나모 자그레브)
  • '''DF:''' 이반 호르바트 (1926년 7월 16일생, 43경기, 디나모 자그레브)
  • '''DF:''' 부야딘 보슈코브 (1931년 5월 16일생, 22경기, 보이보디나 노비사드)
  • '''DF:''' 밀리얀 제코비치 (1925년 11월 15일생, 3경기, 레드 스타 베오그라드)
  • '''DF:''' 시마 밀로바노브 (1923년 4월 10일생, 4경기, 보이보디나 노비사드)
  • '''DF:''' 브루노 벨린 (1929년 1월 16일생, 3경기, 파르티잔 베오그라드)
  • '''MF:''' 즐라트코 차이코브스키 (1923년 11월 24일생, 53경기, 파르티잔 베오그라드)
  • '''MF:''' 스테판 보베크 (주장) (1923년 12월 3일생, 53경기, 파르티잔 베오그라드)
  • '''MF:''' 라브 만툴라 (1928년 12월 8일생, 0경기, 디나모 자그레브)
  • '''MF:''' 류비샤 스파이치 (1926년 3월 7일생, 6경기, 레드 스타 베오그라드)
  • '''MF:''' 즐라트코 파페츠 (1934년 1월 17일생, 2경기, 로코모티바 자그레브)
  • '''FW:''' 티호미르 오그냐노브 (1927년 3월 2일생, 22경기, 스파르타크 수보티차)
  • '''FW:''' 라이코 미티치 (1922년 11월 19일생, 47경기, 레드 스타 베오그라드)
  • '''FW:''' 베르나르드 부카스 (1927년 5월 1일생, 35경기, 하이두크 스플리트)
  • '''FW:''' 브란코 제베츠 (1929년 5월 17일생, 22경기, 파르티잔 베오그라드)
  • '''FW:''' 밀로시 밀루티노비치 (1933년 2월 5일생, 8경기, 파르티잔 베오그라드)
  • '''FW:''' 디오니지예 드보르니치 (1926년 4월 27일생, 3경기, 디나모 자그레브)
  • '''FW:''' 토도르 베셀리노비치 (1930년 10월 22일생, 4경기, 보이보디나 노비사드)
  • '''FW:''' 알렉산다르 페타코비치 (1930년 2월 6일생, 0경기, 라드니치키 베오그라드)

4. 1. 3. {{축구나라|프랑스|1794}}

피바로 감독 체제로, 1954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한 프랑스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4. 1. 4. {{축구나라|멕시코|1934}}

로페스 에란스 감독 (스페인)

  • 카르바할 (주장)
  • 나르시소 로페스
  • 호르헤 로모
  • 사투르니노 마르티네스
  • 라울 카르데나스
  • 라파엘 아발로스
  • 알프레도 토레스
  • 호세 나랑호
  • 호세 루이스 라마드리드
  • 토마스 발카사르
  • 라울 아레야노
  • 살바도르 모타
  • 세르히오 브라보
  • 후안 고메스
  • 카를로스 블랑코
  • 페드로 나헤라
  • 카를로스 세프티엔
  • 카를로스 카루스
  • 모이세스 지니치
  • 호세 안토니오 로카
  • 마리오 오초아
  • 라눌포 코르테스


로카, 오초아, 코르테스는 공식 명단에는 포함되었으나, 멕시코에서 대기했다.

4. 2. 2조

4. 2. 1. {{축구나라|헝가리|1949}}



감독: 구스타브 세베시




선수포지션생년월일출전 경기득점소속팀
줄러 그로시치GK1926년 2월 4일31부다페스티 혼베드 SE
예뇌 부잔스키DF1925년 5월 4일23도로기 바냐스
줄러 로란트DF1923년 2월 6일24부다페스티 혼베드 SE
미하이 런토시DF1928년 9월 29일30부다페스티 뵈뢰스 로보고
요제프 보지크MF1925년 11월 25일48부다페스티 혼베드 SE
요제프 저커리아시MF1924년 3월 25일31부다페스티 뵈뢰스 로보고
요제프 T.FW1929년 5월 16일2체펠리 바사스
샨도르 코치시FW1929년 9월 21일36부다페스티 혼베드 SE
난도르 히데그쿠티FW1922년 3월 3일36부다페스티 뵈뢰스 로보고
페렌츠 푸슈카시 (주장)FW1927년 4월 2일55부다페스티 혼베드 SE
졸탄 치보르FW1929년 8월 8일26부다페스티 혼베드 SE
벨러 카르파티DF1929년 9월 30일1죄리 바사스
팔 바르히디DF1931년 11월 6일0부다페스티 도자
임레 코바치MF1921년 11월 26일8부다페스티 뵈뢰스 로보고
페렌츠 소이커MF1931년 4월 7일0살고타르야니 BTC
라슬로 부더이MF1928년 7월 19일21부다페스티 혼베드 SE
페렌츠 머초시FW1932년 6월 30일0부다페스티 혼베드 SE
러요시 초르다시FW1932년 10월 6일7부다페스티 바사스 SE
페테르 팔로타시FW1929년 6월 27일16부다페스티 뵈뢰스 로보고
미하이 토트FW1926년 9월 24일3부다페스티 도자
샨도르 겔레르GK1925년 7월 12일5부다페스티 뵈뢰스 로보고
게저 구야시GK1931년 6월 5일0부다페스티 키니지





참고:


  • 당시 헝가리 대표팀은 '매직 마자르'로 불리며, 페렌츠 푸슈카시, 샨도르 코치시, 난도르 히데그쿠티 등 뛰어난 선수들을 보유하고 있었다.
  • 1954년 FIFA 월드컵에서 헝가리는 결승전에서 서독에 패배하여 준우승을 차지했다.
  • 헝가리어 발음:머저르/머저르hu는 헝가리인들을 지칭하는 말이다.

4. 2. 2. {{축구나라|서독}}

헤르베르거 감독의 지휘 아래 1954년 FIFA 월드컵에서 서독은 기적적인 우승을 차지했다. 선수단은 다음과 같다:

이들은 헝가리를 꺾고 우승을 차지하며, '베른의 기적'을 이뤄냈다. 특히 프리츠 발터는 주장으로서 팀을 이끌며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4. 2. 3. {{축구나라|튀르키예}}

감독: 산드로 푸포

  • '''GK''': 투르가이 셰렌 (주장) - 1932년 5월 15일생, 11경기, 갈라타사라이 SK 소속.
  • '''DF''': 르드반 볼라틀르 - 1928년 12월 2일생, 2경기, 카라귀쥐 소속.
  • '''DF''': 바스리 디리믈르 - 1929년 6월 7일생, 3경기, 페네르바흐체 SK 소속.
  • '''DF''': 무스타파 에르탄 - 1926년 4월 21일생, 4경기, 카라귀쥐 소속.
  • '''MF''': 체틴 제이베크 - 1932년 9월 12일생, 2경기, 카심파사 SK 소속.
  • '''MF''': 로베르 에리올 - 1930년 12월 21일생, 5경기, 갈라타사라이 SK 소속.
  • '''FW''': 에롤 케스킨 - 1927년 3월 2일생, 1경기, 아다렛 SK 이스탄불 소속.
  • '''FW''': 수아트 마마트 - 1930년 11월 8일생, 2경기, 갈라타사라이 SK 소속.
  • '''FW''': 페리둔 부게케르 - 1933년 4월 5일생, 3경기, 페네르바흐체 SK 소속.
  • '''FW''': 부르한 사르군 - 1929년 2월 11일생, 5경기, 페네르바흐체 SK 소속.
  • '''FW''': 레프테르 퀴취칸도니야디스 - 1925년 12월 22일생, 3경기, 페네르바흐체 SK 소속.
  • '''GK''': 슈크루 에르소이 - 1934년 1월 14일생, 3경기, 카라귀쥐 소속.
  • '''GK''': 구르부즈 불렌트 - 1934년 1월 1일생, 0경기, 베식타스 JK 소속.
  • '''DF''': 알리 베라틀르길 - 1931년 10월 21일생, 2경기, 갈라타사라이 SK 소속.
  • '''MF''': 메흐메트 딘체르 - 1924년 1월 1일생, 0경기, 아다렛 SK 이스탄불 소속.
  • '''DF''': 네딤 귄라르 - 1932년 1월 2일생, 0경기, 페네르바흐체 SK 소속.
  • '''DF''': 나지 에르뎀 - 1931년 1월 28일생, 0경기, 페네르바흐체 SK 소속.
  • '''DF''': 카츠마즈 아크균 - 1935년 2월 19일생, 1경기, 페네르바흐체 SK 소속.
  • '''DF''': 에신두이 외잔 - 1933년 1월 1일생, 0경기, 베식타스 JK 소속.
  • '''FW''': 네즈미 오나르르 - 1925년 11월 2일생, 0경기, 아다렛 SK 이스탄불 소속.
  • '''FW''': 카드리 아이타치 - 1931년 8월 6일생, 0경기, 갈라타사라이 SK 소속.
  • '''FW''': 코슈쿤 타스 - 1934년 4월 23일생, 2경기, 베식타스 JK 소속.


구르부즈, 귄라르, 아이타치는 공식 명단에 등록되었지만 터키에 대기했다.

4. 3. 3조

4. 3. 1. {{축구나라|오스트리아}}

발터 나우슈 감독

  • GK 쿠르트 슈미트 1926년 6월 14일 (28세), 2경기, 퍼스트 비엔나 FC
  • DF 게르하르트 하나피 1929년 2월 16일 (25세), 37경기, 라피트 빈
  • DF 에른스트 하펠 1925년 11월 29일 (28세), 39경기, 라피트 빈
  • DF 레오폴트 바르샨트 1925년 8월 12일 (28세), 2경기, 비너 슈포르트클럽
  • MF 에른스트 오츠비르크 (주장) 1926년 3월 7일 (28세), 45경기, 오스트리아 빈
  • MF 카를 콜러 1929년 2월 9일 (25세), 8경기, 퍼스트 비엔나 FC
  • FW 로베르트 쾨르너 1924년 8월 21일 (29세), 7경기, 라피트 빈
  • FW 발터 슐레거 1929년 9월 19일 (24세), 9경기, 오스트리아 빈
  • FW 테오도르 바그너 1927년 8월 6일 (26세), 28경기, 바커 빈
  • MF 에리히 프로브스트 1927년 12월 5일 (26세), 9경기, 라피트 빈
  • FW 알프레트 쾨르너 1926년 2월 14일 (28세), 24경기, 라피트 빈
  • MF 카를 슈토츠 1927년 3월 27일 (27세), 11경기, 오스트리아 빈
  • MF 발터 콜만 1932년 6월 17일 (21세), 3경기, 바커 빈
  • MF 카를 기서 1928년 10월 29일 (25세), 1경기, 라피트 빈
  • GK 프란츠 펠리칸 1925년 11월 6일 (28세), 6경기, 바커 빈
  • GK 발터 체만 1927년 5월 1일 (27세), 39경기, 라피트 빈
  • MF 알프레트 타이니처 1929년 7월 29일 (24세), 0경기, 린처 ASK
  • MF 요한 리글러 1929년 7월 17일 (24세), 3경기, 라피트 빈
  • FW 로베르트 디엔스트 1928년 3월 1일 (26세), 16경기, 라피트 빈
  • DF 파울 할라 1931년 4월 10일 (23세), 4경기, 라피트 빈
  • FW 에른스트 스토야스팔 1925년 1월 14일 (29세), 28경기, 오스트리아 빈
  • FW 발터 하우머 1928년 11월 22일 (25세), 4경기, 바커 빈

4. 3. 2. {{축구나라|우루과이}}

감독: 후안 로페스

  • 로케 마스폴리
  • 호세 산타마리아
  • 윌리엄 마르티네스
  • 빅토르 로드리게스 안드라데
  • 옵둘리오 바렐라 ((c)
  • 로베르토 레오파르디
  • 훌리오 아바디에
  • 후안 호베르크
  • 오스카 미게스
  • 후안 알베르토 스키아피노
  • 카를로스 보르헤스
  • 훌리오 마세이라스
  • 미르토 다보인
  • 에우세비오 테헤라
  • 우르바노 리베라
  • 네스토르 카르발로
  • 루이스 크루스
  • 라파엘 소토
  • 하비에르 암브로이스
  • 오마르 멘데스
  • 훌리오 페레스
  • 루이스 카스트로

4. 3. 3. {{축구나라|체코슬로바키아}}

보르히 감독은 1954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할 체코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명단을 다음과 같이 구성했다.

  • '''골키퍼:'''
  • 테오도르 레이만 (1921년 2월 10일생, 4경기,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 임리흐 스타호 (1931년 11월 4일생, 6경기, 탄키스타 프라하)
  • 빌리암 스흐로이프 (1931년 8월 2일생, 1경기, 크르지들라 블라스티 올로모우츠)

  • '''공격수:'''
  • 라디슬라프 흘라바체크 (1925년 6월 26일생, 13경기, 우다 프라하)
  • 오토 헤멜레 (1926년 1월 22일생, 8경기, 우다 프라하)
  • 안톤 말라틴스키 (1920년 1월 15일생, 10경기, 바니크 한들로바)
  • 에밀 파지츠키 (1927년 10월 14일생, 14경기,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 이르지 페셰크 (1927년 6월 4일생, 4경기, 스파르타 프라하 소콜로보)
  • 라디슬라프 카차니 (1931년 4월 1일생, 7경기, CH 브라티슬라바)
  • 타데아시 크라우스 (1932년 10월 22일생, 5경기, 크르지들라 블라스티 올로모우츠)
  • 요제프 마이에르 (1925년 6월 8일생, 0경기, 바니크 클라드노)
  • 야로슬라프 코슈나르 (1930년 8월 17일생, 1경기, CH 브라티슬라바)
  • 카지미르 가이도시 (1934년 3월 28일생, 0경기, 타트란 프레쇼프)

4. 3. 4. {{축구나라|스코틀랜드}}

1954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한 스코틀랜드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감독: 앤디 비티(첫 경기 후 사임; 남은 경기는 선정 위원회에서 관리)

알렉스 도델스도 팀 훈련 코치로 임명되었다.[1] 18명의 임시 선발 명단이 월드컵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발표되었지만, 3인 위원회는 나중에 단 13명의 선수만 최종 명단에 포함시켜 스위스로 데려갔다.[2]

등번호포지션이름생년월일 (나이)출장 수소속팀
1골키퍼프레드 마틴1929년 5월 13일(1929-05-13) (25세)2애버딘
2수비수윌리 커닝햄 (주장)1925년 2월 22일(1925-02-22) (29세)3프레스턴 노스 엔드
3수비수조크 에어드1926년 2월 18일(1926-02-18) (28세)2번리
4수비수바비 에반스1927년 7월 16일(1927-07-16) (26세)17셀틱
5수비수토미 도허티1928년 8월 24일(1928-08-24) (25세)5프레스턴 노스 엔드
6미드필더지미 데이비슨1925년 11월 8일(1925-11-08) (28세)2파틱 시슬
7미드필더더그 코위1926년 5월 1일(1926-05-01) (28세)6던디
8공격수존 매켄지1925년 9월 4일(1925-09-04) (28세)4파틱 시슬
9공격수조지 해밀턴1917년 12월 7일(1917-12-07) (36세)5애버딘
10공격수앨런 브라운1926년 10월 12일(1926-10-12) (27세)12블랙풀
11공격수네일 모챈1927년 4월 6일(1927-04-06) (27세)1셀틱
12공격수윌리 퍼니1928년 11월 22일(1928-11-22) (25세)1셀틱
13공격수윌리 오먼드1927년 2월 23일(1927-02-23) (27세)3히버니언
14골키퍼존 앤더슨*1929년 12월 8일(1929-12-08) (24세)1레스터 시티
15공격수바비 존스톤*1929년 9월 7일(1929-09-07) (24세)11히버니언
16공격수재키 헨더슨*1932년 1월 17일(1932-01-17) (22세)4포츠머스
17미드필더데이비드 매더스*1931년 10월 25일(1931-10-25) (22세)1파틱 시슬
18수비수알렉스 윌슨*1933년 10월 29일(1933-10-29) (20세)1포츠머스
19공격수지미 비닝*1927년 7월 25일(1927-07-25) (26세)0퀸 오브 더 사우스
20공격수바비 콤브*1924년 2월 29일(1924-02-29) (30세)3히버니언
21공격수어니 코플랜드*1927년 4월 15일(1927-04-15) (27세)0레이스 로버스
22공격수이안 맥밀란*1931년 3월 18일(1931-03-18) (23세)3에어드리 아네이언스


  • 선수단 중 13명만이 1954년 토너먼트를 위해 스위스로 이동했다. 앤더슨, 헨더슨, 매더스, 윌슨, 비닝, 콤브, 코플랜드, 맥밀란은 여행할 필요가 없어 예비 선수로 집에 머물렀다. 존스톤은 원래 선수단과 함께 여행했지만, 토너먼트가 시작되기 전에 부상으로 집으로 돌아갔고, 해밀턴으로 교체되었다.[3][4]

4. 4. 4조

4. 4. 1. {{축구나라|잉글랜드}}

감독: 월터 윈터보텀

  • 길 메릭
  • 스테니포스
  • 빌리 라이트 (주장)
  • 오언
  • 디킨슨
  • 매슈스
  • 브로디스
  • 로프트하우스
  • 테일러
  • 피니
  • 버진
  • 그린
  • 맥게리
  • 윌쇼
  • 퀵솔
  • 멀렌
  • 클린턴
  • 암스트롱
  • 지자드
  • 헤인스
  • 후퍼


22명의 선수단 중 17명만이 1954년 토너먼트를 위해 스위스로 이동했다. 켄 암스트롱, 앨런비 칠턴, 조니 헤인즈, 해리 후퍼, 베드퍼드 제자드 등 5명의 선수는 예비 선수로 지정되어 필요할 경우를 대비해 집에 남아 있었다. 하지만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

4. 4. 2. {{축구나라|스위스}}

카를 라판 감독은 스위스 대표팀을 이끌고 1954년 FIFA 월드컵에 참가했다.

  • 골키퍼(GK): 아이히, 파를리에, 슈투버
  • 수비수(DF): 플뤼키거, 로제 마티스, 뇌리, 케르넨
  • 미드필더(MF): 보케 (주장), 하인츠 비글러, 카잘리, 에기만, 에슈만, 페셀레, 프로시오
  • 공격수(FW): 안테넨, 발라망, 파통, 휘기, 모롱, 오이겐 마이어, 리바, 폰란텐

4. 4. 3. {{축구나라|이탈리아}}

러요시 체이즐레르 감독 체제 하의 1954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한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 '''골키퍼'''
  • 조르조 게치: 1930년 7월 10일생, 인테르나치오날레 소속.
  • 조반니 비올라: 1926년 6월 26일생, 유벤투스 소속.
  • 레오나르도 코스타글리올라: 1921년 10월 27일생, 피오렌티나 소속.
  • '''수비수'''
  • 귀도 빈첸치: 1932년 7월 14일생, 인테르나치오날레 소속.
  • 조반니 자코마치: 1928년 1월 18일생, 인테르나치오날레 소속.
  • 아르디코 마니니: 1928년 10월 21일생, 피오렌티나 소속.
  • 세르지오 체르바토: 1929년 3월 22일생, 피오렌티나 소속.
  • '''미드필더'''
  • 마이노 네리: 1924년 6월 30일생, 인테르나치오날레 소속.
  • 오메로 토그논: 1924년 3월 3일생, 밀란 소속.
  • 풀비오 네스티: 1925년 6월 8일생, 인테르나치오날레 소속.
  • 자코모 마리: 1924년 10월 17일생, 삼프도리아 소속.
  • 리노 페라리오: 1926년 12월 7일생, 유벤투스 소속.
  • 귀도 그라톤: 1932년 9월 23일생, 피오렌티나 소속.
  • '''공격수'''
  • 에르메스 무치넬리: 1927년 7월 28일생, 유벤투스 소속.
  • 에지스토 판돌피니: 1926년 2월 19일생, 로마 소속.
  • 카를로 갈리: 1931년 3월 6일생, 로마 소속.
  • 지노 카펠로: 1920년 6월 2일생, 볼로냐 소속.
  • 베니토 로렌치: 1925년 12월 20일생, 인테르나치오날레 소속.
  • 아르만도 세가토: 1930년 5월 3일생, 피오렌티나 소속.
  • 지노 피바텔리: 1933년 3월 27일생, 볼로냐 소속.
  • 잠피에로 보니페르티 (주장): 1928년 7월 4일생, 유벤투스 소속.
  • 암레토 프리냐니: 1932년 3월 5일생, 밀란 소속.

4. 4. 4. {{축구나라|벨기에}}

감독: 더그 리빙스턴

  • 리오폴드 헤르나이
  • 마르셀 드리스
  • 알폰스 판 브란트
  • 콘스탄트 후이스만스
  • 루이 까르
  • 빅토르 미즈
  • 요제프 플리어스
  • 드니 우프
  • 헨리 코픈스
  • 레오폴드 아눌
  • 요제프 멀먼스 (주장)
  • 카를르스 기츠
  • 헨리 디릭스
  • 호베르트 판 케르코픈
  • 히폴리트 판 덴 보스
  • 피터 판 덴 보스
  • 레이몽 오슬루스
  • 제프 판 덴 린덴
  • 조 바케트
  • 봅 마르텐스
  • 잔 판 스틴
  • 루크 반 호이웨헨


17번부터 22번까지의 선수들은 스위스로 가지 않았다.

5. 결선 토너먼트

5. 1. 8강전

5. 2. 준결승전

5. 3. 3-4위전

5. 4. 결승전

6. 우승국

6. 1. 서독

7. 개인 기록

7. 1. 득점 순위

7. 2. 최다 실점

7. 3. 베른의 기적

7. 4. 1954년 FIFA 월드컵과 한국

참조

[1] 웹사이트 MANAGER ANDREW BEATTIE https://www.britishn[...] 1954-02-02
[2] 웹사이트 Big three will choose our World Cup men https://www.britishn[...] 1954-01-29
[3] 문서 Rafferty p96
[4] 뉴스 Unlucky 13 for Scots http://www.eveningte[...] 2004-12-23
[5] 웹사이트 1954 Squad at englandfootballonline.com http://www.englandf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