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60년 아가디르 지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60년 아가디르 지진은 1960년 2월 29일, 모로코의 아가디르를 강타한 지진이다. 지진은 라마단 기간에 발생했으며, 많은 호텔, 아파트, 시장, 사무실 건물 등이 붕괴되었다. 지진으로 인해 도시의 70%가 폐허가 되었고, 프랑스와 미국 군대가 구조 작업을 지원했다. 지진 발생 후, 모로코 정부는 국제 사회의 지원을 받아 구조 및 복구 작업을 진행했으며, 질병 확산을 막기 위한 조치가 취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0년 지진 - 1960년 콘셉시온 지진
    1960년 콘셉시온 지진은 1960년 5월 21일부터 22일까지 칠레 콘셉시온 지역에서 발생한 일련의 지진들을 의미하며, 규모 8.1, 7.1, 7.8의 지진이 연이어 발생하여 지진 해일을 일으켰다.
  • 1960년 지진 - 1960년 발디비아 지진
    1960년 발디비아 지진은 칠레에서 발생한 계기 관측 사상 세계 최대 규모의 지진으로, 칠레 전역에 막대한 피해를 야기했으며 쓰나미를 동반하여 전 세계적으로 사회, 경제, 환경적으로 광범위한 영향을 미쳤다.
  • 모로코의 지진 - 1755년 메크네스 지진
    1755년 메크네스 지진은 1755년 11월 27일 모로코 메크네스와 페스 지역에서 발생하여 메크네스 도시를 초토화시키고 볼루빌리스 유적에도 피해를 입혔으며, 규모는 M6.5-7.0으로 추정된다.
  • 모로코의 지진 - 2023년 마라케시사피 지진
    2023년 9월 8일 모로코 마라케시-사피 지역에서 발생한 규모 6.8의 강력한 지진은 아틀라스 산맥의 단층 운동으로 인해 발생하여 막대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야기했으며, 정부의 구조 및 구호 활동에도 불구하고 산악 지형과 도로 파괴로 어려움을 겪으며 국제 사회의 지원과 재건 계획 발표 후 논란이 일었다.
1960년 아가디르 지진
지도
기본 정보
아가디르의 건물 피해
아가디르의 건물 피해
발생 시각1960년 2월 29일 23시 40분 18초 (UTC±00:00)
지속 시간15초 미만
위치30.35
영향 국가모로코
지진 정보
규모5.8 M
깊이15 km
최대 진도X
여진
주요 여진3월 22일 VI, 4월 17일 VI
전진2월 23일 III, 2월 29일 VI
피해
사망자약 12,000–15,000명
부상자약 12,000명

2. 지질학적 배경

아틀라스 산맥은 모로코에서 튀니지까지 이어지는 대륙 내 산맥으로, 신생대의 대륙 충돌로 형성되었다.[12] 모로코의 지진 활동은 주로 북부와 알보란 해 지역에 집중되어 있지만, 중아틀라스 산맥, 고아틀라스 산맥, 안티아틀라스 산맥 등 아틀라스 산맥 전반에 걸쳐 분포한다.[14] 아틀라스 산맥에서 발생하는 지진은 주로 주향 이동, 역단층 또는 이 둘이 조합된 사교 이동의 진원 메커니즘을 보인다.[14]

2. 1. 아틀라스 산맥의 형성

아틀라스 산맥은 모로코에서 튀니지까지 2000km에 걸쳐 뻗어 있는 대륙 내 산맥이다. 이 산맥은 신생대 동안 발생한 대륙 충돌로 형성되었으며, 서쪽 모로코 지역에서 가장 높은 고도를 보인다.[12] 특히 고아틀라스 산맥은 트라이아스기에 존재했던 고대 열곡이 다시 활동하면서 형성되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북쪽의 충돌 특성으로 인해 확장력보다는 압축력이 더 강하게 작용하여 열곡 구조가 압축되는 형태로 재활성화가 이루어졌다.[13]

2. 2. 모로코의 지진 활동

아틀라스 산맥은 모로코에서 튀니지까지 2000km에 걸쳐 뻗어 있는 대륙 내 산맥이다.[12] 이 산맥은 신생대 동안 대륙 충돌로 형성되었으며, 서쪽 모로코에서 가장 높은 고도에 도달한다.[12] 고아틀라스 산맥은 트라이아스기의 고대 열곡이 재활성화되어 형성되었으나, 북쪽의 충돌 특성으로 인해 확장력보다는 압축력의 영향을 받았다.[13]

모로코의 지진 활동은 주로 북부와 알보란 해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14] 리프 산맥 남쪽에서는 지진 활동이 드물지만, 중아틀라스 산맥, 고아틀라스 산맥, 안티아틀라스 산맥에 걸쳐 분포한다.[14] 사하라 아틀라스 산맥의 지진 활동은 제한적이며, 이 산맥 남쪽의 사하라 지역에서는 지진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14] 알제리와 튀니지 동부에서도 지진 활동이 덜 활발하다.[14] 아틀라스 산맥에서 발생하는 지진의 진원 메커니즘은 주향 이동, 역단층, 또는 이 두 가지가 조합된 사교 이동 형태를 보인다.[14]

2023년 알하우즈 지진은 아가디르 북동부를 강타한 아틀라스 산맥에서 발생한 가장 큰 규모의 지진이었다.[15] 모멘트 규모 6.9의 이 지진은 맹단층 파열로 인해 발생했다.[15] 지진 발생 지역의 인구 밀도가 낮아 사망자 수는 3,000명 미만이었다.[15]

3. 1960년 아가디르 지진

라마단 기간 중 발생한 이 지진으로 많은 호텔, 아파트, 시장, 사무실 건물이 즉시 붕괴되었으며, 수 세기 동안 자리를 지켜온 아가디르 우플라 카스바 역시 언덕과 함께 무너져 내렸다. 화재가 발생했지만 소방 시설의 파괴와 인력 부족으로 진압이 어려웠고, 도시의 거의 70%가 폐허가 되었다. 다음 날 아침, 프랑스군과 미국 제6함대 소속 해군이 해안에 도착하여 구조 활동을 준비했다.

영국의 작가 개빈 맥스웰은 재난 당시 모로코에 머물고 있었으며, 그의 저서 The Rocks Remaineng은 당시의 생생한 경험과 목격담을 담고 있다.

3. 1. 전진

본진 발생 전 여러 차례 약한 전진이 있었다. 첫 번째 전진은 2월 23일에 진도 III 또는 IV(''약'' ~ ''경미'')로 발생했다. 지진 당일 점심시간 무렵에는 진도 VI(''강'')의 더 강한 전진이 발생하여 불안감을 조성했다.[16]

3. 2. 본진

본진에 앞서 여러 차례의 전진 활동이 관측되었다. 첫 번째 전진은 2월 23일에 최대진도 III 혹은 IV로 발생했으며, 본진 당일 점심시간 무렵에는 최대진도 VI의 더 강한 전진이 발생했다.[33][16] 진앙은 카스바에서 북북서쪽으로 8km 떨어진 지점, 혹은 야체치 북쪽 1km 지점으로 추정된다.[33][16]

본진은 무슬림라마단 기간 셋째 날에 발생했으며, 이 지진으로 수많은 호텔, 아파트, 시장, 사무실 건물이 붕괴되었다. 지하 수도관이 파열되고 하수도 시설이 무너졌다. 수 세기 동안 자리를 지켜온 아가디르 우플라 카스바 역시 언덕과 함께 무너져 내렸다. 수도관 파괴로 수압이 사라지고 대부분의 소방서 건물도 붕괴되어 소방관들이 사망하면서, 휴양 도시 아가디르에서는 화재가 발생해도 이를 진압할 인력과 자원이 부족한 상황이었다. 도시의 거의 70%가 폐허가 되어 아가디르 내부에서는 구조 작업을 시작하거나 준비할 수 없었다. 다음 날 아침, 프랑스군미국 제6함대 소속 수병들이 아가디르 해안에 접근하여 정박하고 구조 작업을 준비했다.

3. 3. 진앙 및 진도

전 세계 지진 관측소에서 지진의 흔들림이 기록되었으나, 진앙을 정확히 특정할 만큼 가까운 관측소는 거의 없었다.[33][16] 사용 가능한 정보를 바탕으로 추정한 기기 관측상 진앙은 카스바에서 북북서쪽으로 약 8km 떨어진 지점이다.[16] 최대진도 관측 기법(가장 높은 진도가 관측된 지점을 찾는 방법)에 따르면 진앙은 야체치에서 북쪽으로 약 1km 떨어진 곳으로 추정되었다.[33][16] 본진에 앞서 여러 차례의 전진 활동이 있었다. 첫 번째 전진은 2월 23일에 발생했으며 최대진도 III(약) 또는 IV(경미)로 관측되었다. 본진 당일 점심 무렵에는 최대진도 VI(강)의 더 강한 전진이 발생하여 불안감을 조성했다.[33][16]

4. 피해

지진으로 아가디르 시는 막대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입었다. 특히 도시의 많은 건물이 붕괴되었는데, 건축 방식과 규정 준수 여부에 따라 피해 양상에 큰 차이를 보였다. 특히 판축 건물은 내진 설계가 전혀 되어 있지 않아 완전히 파괴되어 큰 인명 피해를 낳았다.[18] 지진 직후 해안가에 쓰나미가 발생했다는 초기 보도가 있었으나, 이후 전문가들의 조사 결과 쓰나미의 직접적인 증거는 부족하며 항구 등의 피해는 지반 침하가 주된 원인이라는 분석이 제기되어 논란이 있다.[34][19][35][20][36][21]

4. 1. 건물 피해

지진 이후 폐허가 된 아가디르의 모습.


아가디르는 1945년부터 1955년 사이에 급격하게 도시가 발전했는데, 이 과정에서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여 지진 피해가 더욱 커졌다. 훈련받지 않은 노동자들이 까다로운 설계를 맡는 경우가 있었고, 감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공사를 서둘러 끝내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1960년 이전에는 큰 지진이 발생한 적이 없었기 때문에, 도시의 건물들은 지진 활동을 고려하지 않고 지어졌다.[18]

건물 종류별 피해 양상은 달랐다. 1층 이상의 조적조 건물은 대부분 비슷하게 붕괴되었다. 반면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은 피해 정도가 다양했는데, 일부 고층 건물은 완전히 무너졌지만 상당수는 충격을 잘 견뎌냈고 일부는 피해가 거의 없었다. 완전히 붕괴된 건물의 경우, 건축가가 건축 규정을 제대로 지키지 않았고 관련 조례 집행도 부적절했던 것이 주요 원인으로 지적된다.[18]

도시의 많은 구역은 흙을 다져 만든 판축 건물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러한 건물들은 내진 설계가 전혀 되어 있지 않아 지진이 발생하자 완전히 붕괴되어 먼지가 되었다. 판축 건물 지역에서는 구조 작업 자체가 불가능했고 생존율도 매우 낮았다. 예를 들어, 탈보리지트 지역에서는 주민 5,000명 중 생존자가 10명도 채 되지 않았다.

4. 2. 화재

(내용 없음)

4. 3. 쓰나미 발생 논란

1960년 3월 2일자 신문 보도에서는 쓰나미가 해안으로 밀려왔다고 전하며, "해일이 백사장을 가로질러 300m 정도 안 마을로 들어왔다. 도시 부두는 두동강이 났다"고 묘사했다.[34][19]

그러나 이러한 쓰나미 발생 주장은 이후 반박되었다. 1960년 3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의 레이 W. 클로프를 포함한 지진 공학자 팀이 아가디르 지역의 피해를 조사한 후 미국 철강 협회에서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항구 시설에 큰 피해가 있었던 것은 사실이나 이는 쓰나미 때문이 아니라 지반 침하 때문이었다. 이 침하로 인해 대형 크레인 5대가 넘어지는 등의 피해가 발생했다. 보고서는 큰 파도가 있었다는 물리적 증거나 신뢰할 만한 목격자 증언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결론지었다. 다만, 지진 당시 항구에 있던 네덜란드 화물선의 선원이 큰 파도(너울)로 인해 홋줄(닻줄)이 끊어졌다고 증언한 기록은 있다.[35][20]

1964년에 발간된 《미국 지진학회 회보》 역시 인근 조위계 기록에 쓰나미를 뒷받침할 만한 증거가 부족하다는 점을 들어, 파괴적인 쓰나미가 발생했을 가능성은 낮다고 평가했다.[35][36][21]

5. 대응

지진 발생 직후, 모로코무함마드 5세 국왕은 라디오 방송을 통해 전국적인 지원을 요청하고 피해 지역을 직접 방문하여 상황을 파악했다. 모로코 정부는 군대를 동원하여 긴급 지원에 나섰으며,[37] 질병 확산을 막기 위해 아가디르 시에 대피령을 내리는 등 신속하게 대응했다. 국제 사회 역시 지원 요청에 응답하여 프랑스미국 등이 군용기와 함정을 파견해 구조 및 구호 활동을 지원했다. 그러나 극심한 피해와 40°C에 달하는 폭염, 라마단 기간 등의 어려움 속에서 구조 및 복구 작업은 난항을 겪었다.

5. 1. 모로코 정부의 대응

당시 모로코의 국왕이었던 무함마드 5세는 모로코 전역의 도시에 원조를 준비하고 보내달라는 방송을 내보냈다. 무함마드 5세와 그의 아들 물레이 하산 왕세자는 여러 내각장관과 함께 피해 지역을 방문하여 지진의 영향을 직접 확인했다. 국왕은 이맘으로서 구조대원들에게 라마단 기간 낮 동안 음식과 음료 섭취 금지에 대한 특별 사면령을 내렸으나, 대부분의 구조대원들은 금식을 계속 지켰다. 모로코군도 긴급 지원을 제공했으며, 진원에서 약 249km 떨어진 벤게리르 공군기지에서 헬리콥터를 지원했다.[37]

아가디르 시는 지진 발생 이틀 후 질병 확산을 막기 위해 대피령이 내려졌다. 구조 작업은 극심한 피해와 40°C에 달하는 폭염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빠르게 부패하는 시신으로 인한 위생 문제와 질병 확산을 막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 여러 조치가 취해졌다. 트럭과 헬리콥터를 동원해 폐허 위에 DDT를 살포하고, 쥐를 잡기 위해 쥐약을 뿌렸으며, 시신을 먹는 들개나 들고양이 등은 사살되었다. 또한, 파괴 현장에 몰려든 약탈자들은 적발될 경우 즉결 처형되었고 희생자들과 함께 집단 매장되었다. 이러한 조치는 외부로부터 냉혹하고 잔인하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으나, 대규모 재난 상황에서 전염병 확산을 막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였다는 평가도 존재한다.

5. 2. 국제사회의 지원

무함마드 5세 국왕은 지진 발생 직후 라디오 방송을 통해 모로코 전역과 국제 사회에 긴급 지원을 요청했다. 이에 프랑스미국의 군용기가 구호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아가디르로 파견되었다. 모로코군 또한 긴급 지원에 나서, 진앙에서 약 249km 떨어진 벤게리르 공군기지에서 헬리콥터를 급파했다.[37]

현장에 도착한 프랭크 픽 애커스 제독(동대서양 및 지중해 미 함대 항공사령관)은 아가디르 병원이 완전히 파괴되었다고 보고하는 등 피해 상황의 심각성을 알렸다. 지진 다음 날 아침에는 프랑스군과 미국 제6함대 소속 해군 함정이 해안에 도착하여 본격적인 구조 작업을 준비했다.

5. 3. 구조 및 복구 작업

프랑스미국의 군용기가 구호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아가디르로 이동했고, 모로코군도 벤게리르 공군기지에서 헬리콥터를 동원하는 등(약 249km 거리)[37] 긴급 지원에 나섰다.

현장에 도착한 프랭크 픽 애커스 해군 제독(동대서양 및 지중해 미 함대 항공사령관)은 피해 현장을 둘러보고 아가디르 병원이 폐허가 되었다고 보고했다. 지진 부상자 중에는 작가이자 변호사인 로빈 머햄도 있었다. 그는 사다(Saada) 리조트 붕괴 시 무너진 대들보 아래에 몇 시간 동안 갇혀 있다가 구조되었으며, 경미한 부상을 입고 카사블랑카의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다. 아가디르 시는 지진 발생 이틀 후, 질병 확산을 막기 위해 대피령이 내려졌다.

구조 작업은 심각한 피해와 악천후로 인해 난항을 겪었다. 당시 최고 기온이 40°C에 달하는 이례적인 폭염이 이어졌고, 수천 구의 시신이 빠르게 부패하면서 악취와 위생 문제가 심각했다. 라마단 기간이었기에 금식을 지키던 구조대원들은 더욱 지쳤으며, 일부 피해자들은 치료가 금식을 깨는 행위라고 믿고 치료를 거부하기도 했다. 무함마드 5세 국왕은 이맘으로서 구조대원들에게 라마단 금식의 예외를 허용했으나, 많은 구조대원들은 금식을 계속했다.

구조대원들은 방독면을 착용해야 했으며, 구조가 어렵다고 판단된 지역에는 부패하는 시신을 처리하기 위해 생석회를 뿌렸다. 이 과정에서 매몰된 생존자가 사망할 위험도 있었지만 감수해야 했다. 질병 확산을 막고 파리떼를 박멸하기 위해 트럭과 헬리콥터로 폐허 위에 DDT를 살포했다. 또한 파괴된 하수도에서 나온 쥐를 없애기 위해 쥐약을 사용했으며, 시신을 먹는 들개와 들고양이 등은 사살되었다.

파괴 현장에는 약탈자들도 몰려들었는데, 이들은 발각 시 즉결 처형되었고 시신은 희생자들과 함께 집단 매장되었다. 이러한 조치는 외부에서 냉혹하고 잔인하다는 비판도 있었으나, 피해 규모와 전염병 확산 가능성을 고려할 때 불가피했다는 평가도 있다.

6. 사회적 영향

(내용 없음)

참조

[1] 서적
[2] 서적
[3] 서적
[4] 서적
[5] 서적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논문 Lithospheric structure in NW of Africa: Case of the Moroccan Atlas Mountains 2015
[13] 뉴스 Large earthquake in Morocco https://www.gfz-pots[...] GEOFON Program GFZ Potsdam 2023-09-16
[14] 논문 Active tectonics in the Moroccan High Atlas https://comptes-rend[...] 2023-09-09
[15] 논문 Rapid Source Characterization of the 2023 Mw 6.8 Al Haouz, Morocco, Earthquake 2023
[16] 서적
[17] 뉴스 2 Morocco Quakes Kill Hundreds 1960-03-01
[18] 간행물 The Agadir earthquake of February 29th 1960: behaviour of modern buildings during the earthquake {{!}} Association for Science Documents Information, Proceedings of the second World Conference on Earthquake Engineering : Tokyo and Kyoto, Japan, July 11–18, 1960 https://nisee.berkel[...] 2019-02-17
[19] 웹사이트 Tidal wave hits https://news.google.[...] 2016-02-29
[20] 서적
[21] 논문 Tsunamis and seismic seiches reported from the Eastern Atlantic south of the Bay of Biscay http://bssa.geoscien[...]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웹인용 Tidal wave hits https://news.google.[...] 2016-02-29
[35] 서적
[36] 저널 Tsunamis and seismic seiches reported from the Eastern Atlantic south of the Bay of Biscay http://bssa.geoscien[...]
[37] 뉴스 2 Morocco Quakes Kill Hundreds 1960-03-01
[38] 인용 The Agadir earthquake of February 29th 1960: behaviour of modern buildings during the earthquake {{!}} Association for Science Documents Information, Proceedings of the second World Conference on Earthquake Engineering : Tokyo and Kyoto, Japan, July 11–18, 1960 https://nisee.berkel[...] 2019-02-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