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8년 프랑스 총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68년 프랑스 총선은 1968년 5월 프랑스 혁명의 여파로 인해 샤를 드골 대통령이 국민의회를 해산하고 조기 실시한 선거이다. 선거 결과, 드골주의 우파 정당인 공화국민주연합이 조르주 퐁피두 총리의 지도 하에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으며, 공화국민주연합은 독립공화당과 연합하여 다수의 의석을 확보했다. 반면, 프랑스 공산당을 포함한 좌파 정당들은 의석 확보에 실패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8년 선거 - 제8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1968년에 실시된 제8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는 참의원 의석의 절반을 선출하는 선거로, 지역구와 전국구에서 자유민주당이 다수 의석을 획득했으나 야당도 상당수 의석을 확보했다. - 1968년 선거 - 1968년 미국 대통령 선거
1968년 미국 대통령 선거는 혼란스러운 시대 속에서 공화당의 리처드 닉슨이 민주당의 휴버트 험프리를 누르고 당선되었으며, 미국 독립당의 조지 월리스도 상당한 득표를 기록한 선거로, 닉슨의 승리는 미국 정치 지형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 1968년 프랑스 - 1968년 동계 올림픽
1968년 프랑스 그르노블에서 개최된 동계 올림픽은 37개국 1,158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6개 종목 35개의 세부 종목에서 경쟁을 펼쳤고, 최초의 컬러 TV 중계와 공식적인 도핑 검사가 실시되었으며, 개최지 선정에는 정치·경제적 목표도 고려되었고, 여러 사건과 쟁점을 남긴 대회이다. - 1968년 프랑스 - 1968년 칸 영화제
1968년 칸 영화제는 앙리 랑글루아 해임 사건과 프랑스 사회 격변 속에서 영화 상영이 중단되는 사태를 겪었으나, 이후 영화계 관료주의에 반대하는 감독 협회 설립과 ‘감독 주간’ 개최의 계기가 되었으며, 40주년을 기념하여 2008년 칸 영화제에서 일부 상영되지 못했던 작품이 복원 상영되었다. - 나라별 선거 - 2012년 프랑스 총선
2012년 프랑스 총선은 프랑수아 올랑드 대통령 당선 후 치러진 국민의회 의원 선거로, 사회당을 비롯한 좌파 정당들이 과반 의석을 확보하며 승리했고, 여성 의원 수가 역대 최다를 기록했으나 투표율은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 나라별 선거 - 2017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
2017년 프랑스 대통령 선거는 1차 투표에서 에마뉘엘 마크롱과 마린 르펜이 결선에 진출, 마크롱이 당선되었으며, '피용 사건' 등 논란과 TV 토론이 선거에 영향을 미쳤다.
1968년 프랑스 총선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선거 이름 | 1968년 프랑스 총선 |
국가 | 프랑스 |
선거 유형 | 의회 |
선거일 | 1968년 6월 23일 및 30일 |
이전 선거 | 1967년 프랑스 총선 |
이전 선거 연도 | 1967년 |
차기 선거 | 1973년 프랑스 총선 |
차기 선거 연도 | 1973년 |
선출 의석 | 487석 (전체 프랑스 국민의회) |
과반 의석 | 244석 |
1차 투표율 | 80.0% ( 0.9 pp) |
2차 투표율 | 77.8% ( 2.2 pp) |
주요 정당 | |
정당 1 | 공화국민주연합 |
리더 1 | 조르주 퐁피두 |
리더 선거구 1 | 캉탈-2번째 |
이전 선거 의석 1 | 243석 |
의석 1 | 354석* |
의석 변동 1 | 111 |
1차 득표수 1 | 9,667,532 |
2차 득표수 1 | 6,762,170 |
1차 득표율 1 | 43.65% |
2차 득표율 1 | 46.39% |
정당 2 | 민주사회좌파연합 |
리더 2 | 프랑수아 미테랑 |
리더 선거구 2 | 니에브르-3번째 |
이전 선거 의석 2 | 117석 |
의석 2 | 57석 |
의석 변동 2 | 60 |
1차 득표수 2 | 3,660,250 |
2차 득표수 2 | 3,097,338 |
1차 득표율 2 | 16.53% |
2차 득표율 2 | 21.25% |
정당 3 | 프랑스 공산당 |
리더 3 | 발데크 로셰 |
리더 선거구 3 | 센생드니 |
이전 선거 의석 3 | 73석 |
의석 3 | 34석 |
의석 변동 3 | 39 |
1차 득표수 3 | 4,434,832 |
2차 득표수 3 | 2,935,775 |
1차 득표율 3 | 20.02% |
2차 득표율 3 | 20.14% |
정당 4 | 진보와 현대 민주주의 |
리더 4 | 카미유 로렌스 (NCIP), 장 르카뉘에 (CD) |
리더 선거구 4 | 센마리팀 (르카뉘에, 상원의원으로) |
이전 선거 의석 4 | 41석 (CD) |
의석 4 | 33석 |
의석 변동 4 | 11 |
1차 득표수 4 | 2,289,849 |
2차 득표수 4 | 1,141,305 |
1차 득표율 4 | 10.34% |
2차 득표율 4 | 7.83% |
정부 | |
총리 (선거 전) | 조르주 퐁피두 |
총리 (선거 전) 소속 정당 | 공화국민주연합 |
총리 (선거 후) | 모리스 쿠브 드 뮈르빌르 |
총리 (선거 후) 소속 정당 | 공화국민주연합 |
기타 |
2. 배경
2. 1. 68혁명
2. 2. 드골의 대응과 국회 해산
3. 선거 과정
3. 1. 우파의 결집
3. 2. 좌파의 분열
1968년 5월 총파업의 여파로 샤를 드골 대통령은 국민의회를 해산하고 조기 총선을 실시했다.[1] 민주사회주의 연합(FGDS) 지도자 프랑수아 미테랑의 차기 대선 출마 선언 및 피에르 멘데스프랑스가 이끄는 임시 정부 구성에 대해 공산당은 비난했다.[1] 극좌와 통일사회당은 좌파 정당들의 소극적인 태도에 항의했다.[1]4. 선거 결과
1968년 6월 23일과 30일에 치러진 프랑스 국민의회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당 | 1차 투표 | 결선 투표 | 의석 | ||||
---|---|---|---|---|---|---|---|
득표 | % | 득표 | % | ||||
style="background-color:#0000C8"| | 공화국민주연합 - 독립공화당 | UDR-RI | 9,667,532 | 43.65 | 6,762,170 | 46.39 | 354 |
style="background-color:#00CCCC"| | 진보와 현대 민주주의 | CD | 2,289,849 | 10.34 | 1,141,305 | 7.83 | 31 |
style="background-color:#4C4CB0"| | 기타우파 | DVD | 917,758 | 4.14 | 496,463 | 3.41 | 9 |
우파연합 | 12,875,139 | 58.13 | 8,399,938 | 57.62 | 396 | ||
style="background-color:#FF0000"| | 프랑스 공산당 | PCF | 4,434,832 | 20.02 | 2,935,775 | 20.14 | 34 |
style="background-color:#E75480"| | 민주사회좌파연합 | FGDS | 3,660,250 | 16.53 | 3,097,338 | 21.25 | 57 |
style="background-color:#DE3163"| | 통합사회당 | PSU | 1,037,063 | 4.68 | 144,361 | 0.99 | 0 |
좌파연합 | 9,132,145 | 41.23 | 6,177,474 | 42.38 | 91 | ||
style="background-color:#704214"| | 진보와 자유를 위한 공화연합 | ARPL | 28,736 | 0.13 | - | - | 0 |
style="background-color:#DDDDDD"| | 기타 | 111,195 | 0.50 | - | - | 0 | |
합계 | 22,147,215 | 100 | 14,577,412 | 100 | 487 |
1968년 총선에서 드골주의 우파 정당인 공화국민주연합은 조르주 퐁피두 총리의 지도 하에 68혁명의 여파에도 불구하고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공화국민주연합은 독립공화당과 연합하여 전체 의석의 대다수를 차지하며 안정적인 국정 운영의 기반을 마련했다. 반면, 프랑스 공산당을 비롯한 좌파 정당들은 의석 확보에 실패하며 정치적 영향력이 약화되었다.
4. 1. 정당별 득표율 및 의석수
1968년 6월 23일과 30일에 치러진 프랑스 국민의회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정당 | 1차 투표 | 결선 투표 | 의석 | ||||
---|---|---|---|---|---|---|---|
득표 | % | 득표 | % | ||||
style="background-color:#0000C8"| | 공화국민주연합 - 독립공화당 | UDR-RI | 9,667,532 | 43.65 | 6,762,170 | 46.39 | 354 |
style="background-color:#00CCCC"| | 진보와 현대 민주주의 | CD | 2,289,849 | 10.34 | 1,141,305 | 7.83 | 31 |
style="background-color:#4C4CB0"| | 기타우파 | DVD | 917,758 | 4.14 | 496,463 | 3.41 | 9 |
우파연합 | 12,875,139 | 58.13 | 8,399,938 | 57.62 | 396 | ||
style="background-color:#FF0000"| | 프랑스 공산당 | PCF | 4,434,832 | 20.02 | 2,935,775 | 20.14 | 34 |
style="background-color:#E75480"| | 민주사회좌파연합 | FGDS | 3,660,250 | 16.53 | 3,097,338 | 21.25 | 57 |
style="background-color:#DE3163"| | 통합사회당 | PSU | 1,037,063 | 4.68 | 144,361 | 0.99 | 0 |
좌파연합 | 9,132,145 | 41.23 | 6,177,474 | 42.38 | 91 | ||
style="background-color:#704214"| | 진보와 자유를 위한 공화연합 | ARPL | 28,736 | 0.13 | - | - | 0 |
style="background-color:#DDDDDD"| | 기타 | 111,195 | 0.50 | - | - | 0 | |
합계 | 22,147,215 | 100 | 14,577,412 | 100 | 487 |
4. 2. 의회 구성
1968년 6월 23일과 30일에 치러진 프랑스 국민의회 선거 결과, 공화국민주연합과 독립공화당을 포함한 우파연합이 총 354석을 확보하여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세부적으로 공화국민주연합은 293석, 독립공화당은 61석을 획득했다. 진보와 현대 민주주의는 31석, 기타 우파는 9석을 얻었다.좌파연합에서는 프랑스 공산당이 34석, 민주사회좌파연합이 57석을 얻었으며, 통합사회당은 의석을 확보하지 못했다.
5. 선거 이후
5. 1. 퐁피두 총리 사임과 새 내각 구성
5. 2. 정치 지형 변화
6. 평가 및 영향
6. 1. 한국 정치에 주는 시사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