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3년 일본 시리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73년 일본 시리즈는 요미우리 자이언츠와 난카이 호크스의 대결로, 요미우리가 4승 1패로 승리하여 9년 연속 15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호리우치 쓰네오가 MVP와 최우수 투수상을, 노무라 가쓰야가 감투상을, 스에쓰구 다미오가 타격상을, 오 사다하루가 기능상, 다카다 시게루가 우수 선수상을 각각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3년 야구 - 1973년 일본 프로 야구 재편 문제
1973년 일본 프로 야구 재편 문제는 퍼시픽 리그 침체 속 닛타쿠홈 플라이어스의 합병 및 단일리그 전환 계획 발표로 촉발된 논란으로, 합병 결렬 및 닛폰햄으로의 구단 양도 끝에 일단락되었으며 퍼시픽 리그의 어려움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 1973년 야구 - 1973년 월드 시리즈
1973년 월드 시리즈는 오클랜드 애슬레틱스가 뉴욕 메츠를 4승 3패로 꺾고 우승했으며, 낮은 승률의 메츠의 이변과 오클랜드의 강력한 전력, 그리고 구단주의 해고 시도 등 다양한 사건들이 벌어진 가운데 오클랜드가 월드 챔피언을 연패했다. - 1973년 10월 - 토요일 밤의 학살
토요일 밤의 학살은 1973년 10월 20일, 워터게이트 사건 수사 중 닉슨 대통령이 콕스 특별검사 해임을 명령하며 발생한 일련의 사건으로, 법무장관과 차관의 사임과 법무총장의 해임으로 이어져 닉슨 대통령 탄핵 절차의 기폭제가 되었고, 결국 닉슨 대통령은 사임했으며, 정부 윤리법 제정으로 이어졌다. - 1973년 10월 - 욤키푸르 전쟁
욤키푸르 전쟁은 1973년 이집트와 시리아가 이스라엘을 기습 공격하며 시작된 제4차 중동 전쟁으로, 이스라엘은 초반 고전했으나 미국의 지원으로 반격에 성공하여 수에즈 운하 서쪽과 골란 고원을 확보했으며, 이집트-이스라엘 평화 협상으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 1973년 11월 - 1973년 일본 프로 야구 재편 문제
1973년 일본 프로 야구 재편 문제는 퍼시픽 리그 침체 속 닛타쿠홈 플라이어스의 합병 및 단일리그 전환 계획 발표로 촉발된 논란으로, 합병 결렬 및 닛폰햄으로의 구단 양도 끝에 일단락되었으며 퍼시픽 리그의 어려움을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 1973년 11월 - 매리너 10호
매리너 10호는 1973년 발사된 미국의 무인 우주 탐사선으로, 금성의 중력 보조를 활용해 수성을 탐사하며 최초로 중력 보조를 이용한 행성 탐사 임무를 수행했고, 금성의 구름 패턴 관측과 수성의 표면 및 자기장 특성을 밝혀냈다.
1973년 일본 시리즈 | |
---|---|
일본 시리즈 정보 | |
국가 | 일본 |
연도 | 1973 |
우승 팀 | 요미우리 자이언츠 (4) |
우승 팀 감독 | 가와카미 데쓰하루 |
우승 팀 시즌 성적 | 66승 60패 4무 |
준우승 팀 | 난카이 호크스 (1) |
준우승 팀 감독 | 노무라 가쓰야 |
준우승 팀 시즌 성적 | 68승 58패 4무 |
경기 날짜 | 10월 27일 – 11월 1일 |
MVP | 호리우치 쓰네오 (요미우리) |
파이팅 스피릿 상 (FSA) | 노무라 가쓰야 (난카이) |
2. 감독
2. 1. 센트럴 리그
2. 2. 퍼시픽 리그
1973년 퍼시픽 리그 플레이오프에서 한큐를 꺾고 퍼시픽 리그 우승팀으로 일본 시리즈에 출전했지만, 연간 토탈 순위에서는 한큐, 롯데에 이어 3위였다. 연간 순위 3위 팀 및 승률 2위 이하 팀이 일본 시리즈에 출전하는 것은 이 해의 난카이가 처음이었다. 퍼시픽 리그 전후기제 하에서 연간 순위 3위 팀의 출전은 이 해의 난카이가 유일했다[2]。3. 경기 일정
경기 | 점수 | 날짜 | 장소 | 관중 |
---|---|---|---|---|
1차전 | 다이헤이요 클럽 라이온스 – 4, 자이언츠 – 3 | 10월 27일 | 오사카 구장 | 27,027명[1] |
2차전 | 다이헤이요 클럽 라이온스 – 2, 자이언츠 – 3 | 10월 28일 | 오사카 구장 | 28,135명[1] |
3차전 | 자이언츠 – 8, 다이헤이요 클럽 라이온스 – 2 | 10월 30일 | 고라쿠엔 구장 | 34,713명[1] |
4차전 | 자이언츠 – 6, 드래건스 – 2 | 10월 31일 | 고라쿠엔 구장 | 38,270명[1] |
5차전 | 자이언츠 – 5, 다이헤이요 클럽 라이온스 – 1 | 11월 1일 | 고라쿠엔 구장 | 37,761명[1] |
4. 경기 결과
일시 | 경기 | 원정팀(선공) | 스코어 | 홈팀(후공) | 개최 구장 | 경기 시간 | 관중수 |
---|---|---|---|---|---|---|---|
10월 27일(토) | 1차전 | 요미우리 | 3 - 4 | 난카이 | 오사카 구장 | 2시간 49분 | 27,027명 |
10월 28일(일) | 2차전 | 요미우리 | 3 - 2 | 난카이 | 오사카 구장 | 3시간 28분 | 28,135명 |
10월 29일(월) | 이동일 | ||||||
10월 30일(화) | 3차전 | 난카이 | 2 - 8 | 요미우리 | 고라쿠엔 구장 | 2시간 34분 | 34,713명 |
10월 31일(수) | 4차전 | 난카이 | 2 - 6 | 요미우리 | 고라쿠엔 구장 | 2시간 51분 | 38,270명 |
11월 1일(목) | 5차전 | 난카이 | 1 - 5 | 요미우리 | 고라쿠엔 구장 | 2시간 47분 | 37,671명 |
우승: 요미우리 (9년 연속 15번째) |
4. 1. 경기 상세
1973년 일본 시리즈의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경기 | 승리 팀 | 점수 | 패전 팀 | 날짜 | 장소 | 관중 |
---|---|---|---|---|---|---|
1 | 난카이 | 4 - 3 | 요미우리 | 10월 27일 | 오사카 구장 | 27,027명 |
2 | 요미우리 | 3 - 2 | 난카이 | 10월 28일 | 오사카 구장 | 28,135명 |
3 | 요미우리 | 8 - 2 | 난카이 | 10월 30일 | 고라쿠엔 구장 | 34,713명 |
4 | 요미우리 | 6 - 2 | 난카이 | 10월 31일 | 고라쿠엔 구장 | 38,270명 |
5 | 요미우리 | 5 - 1 | 난카이 | 11월 1일 | 고라쿠엔 구장 | 37,761명 |
- 1차전: 난카이가 요미우리를 4-3으로 꺾었다. 에모토 다케노리가 완투승을 거두었고[1], 요미우리의 도이 쇼조는 2회 2점, 모리 마사히코는 8회 1점 홈런을 기록했다.
- 2차전: 요미우리가 연장 11회 접전 끝에 난카이를 3-2로 꺾었다. 호리우치 쓰네오가 결승 적시타를 쳤고[1], 우에다 다케시는 6회 1점 홈런을 기록했다.
- 3차전: 요미우리가 난카이를 8-2로 꺾었다. 호리우치 쓰네오는 투타에서 대활약하며 일본 시리즈 통산 11승 타이기록을 세웠다[1].
- 4차전: 요미우리가 난카이를 6-2로 꺾었다. 오 사다하루는 5회 1점 홈런을 기록했다[1]. 난카이는 실책으로 6실점 중 자책점은 1점에 불과했다.
- 5차전: 요미우리가 난카이를 5-1로 꺾고 시리즈 우승을 차지했다. 오 사다하루는 1회 2점 홈런을 기록했다[1].
4. 1. 1. 1차전
1973年日本シリーズ일본어 1차전은 1973년 10월 27일 오사카 구장에서 열렸다.요미우리는 도이 쇼조의 2점 홈런으로 선취점을 얻었고, 8회 모리 마사히코의 홈런으로 3-1까지 앞서나갔다. 하지만 난카이는 8회말 사쿠라이 테루히데의 밀어내기 볼넷과 후지와라 미츠루의 2타점 적시타로 역전에 성공했다. 에모토 다케노리는 9회에도 2안타를 맞으며 위기를 맞았지만, 후속 타자를 막아내며 완투승을 거두었다.[1]
투수 | 기록 |
---|---|
에모토 다케노리 | 승리 투수 (1승) |
다카하시 가즈미 | 패전 투수 (1패) |
선수 | 내용 |
---|---|
도이 쇼조 | 2회 2점 홈런 |
모리 마사히코 | 8회 1점 홈런 |
- 경기 시간: 2시간 49분
- 관중: 27,027명
4. 1. 2. 2차전
10月28日일본어 - 오사카 구장(연장 11회)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R | H | E | |
---|---|---|---|---|---|---|---|---|---|---|---|---|---|---|
요미우리 | 0 | 0 | 0 | 1 | 0 | 1 | 0 | 0 | 0 | 0 | 1 | 3 | 9 | 0 |
난카이 | 0 | 1 | 0 | 0 | 0 | 0 | 1 | 0 | 0 | 0 | 0 | 2 | 5 | 1 |
- 승리 투수: 호리우치 쓰네오(1-0)
- 패전 투수: 사토 미치오(0-1)
- 홈런: 요미우리 - 우에다 다케시(6회 1점)
2차전은 연장 11회까지 가는 접전이었다. 난카이가 사쿠라이 테루히데의 적시타로 선취점을 올렸지만, 요미우리는 4회에 투수 쿠라타 마코토의 동점 적시타와 6회 우에다 다케시의 홈런으로 역전했다. 난카이는 7회에 2개의 안타와 볼넷으로 무사 만루 기회를 만들어 쿠라타 마코토를 강판시켰다. 요미우리는 호리우치 쓰네오를 구원 등판시켰고, 윌리 스미스에게 희생 플라이를 허용했지만, 사쿠라이 테루히데를 투수 땅볼 병살타로 처리하며 1실점으로 막았다. 연장 11회, 요미우리는 호리우치 쓰네오가 결승 적시타를 쳐내며 3-2로 승리, 시리즈 전적 1승 1패를 만들었다.[1]
4. 1. 3. 3차전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선발 호리우치 츠네오는 투수임에도 불구하고 타석에서 3회에 마쓰바라 아키오에게서 솔로 홈런, 6회에 나카야마 코이치에게서 2점 홈런을 치는 등 대활약을 펼쳤다. 투구에서도 7회에 몬다 히로미츠에게 1점, 9회에 1점을 내주었지만 2실점으로 막아내며 완투승을 거두었다. 이 승리로 이나오 가즈히사와 함께 일본 시리즈 통산 11승 타이기록을 세웠다.[1]4. 1. 4. 4차전
1973年일본어 10월 31일 고라쿠엔 구장에서 열린 4차전은 요미우리가 난카이를 6대 2로 꺾었다.1회말, 요미우리는 다카다 시게루의 볼넷, 클라렌스 존스의 실책으로 만들어진 기회에서 스에쓰구 타미오, 야나기타 토시로의 적시타로 2점을 냈다. 1사 후, 토미타 마사루의 내야 땅볼로 3루 주자를 홈으로 불러들여 3점째를 기록했다.
2회에도 요미우리는 존스의 적시타 실책으로 4점째를 얻었고, 난카이 선발 에모토 타케노리는 4실점(자책점 0)으로 강판되었다. 8회 6점째도 실책과 관련되었으며, 난카이의 6실점 중 자책점이 기록된 것은 5회 오 사다하루의 솔로 홈런(1점)뿐이었다.[1]
이 경기에서 요미우리의 선발 투수 다카하시 가즈미는 9이닝 동안 7피안타 2실점(4자책)으로 완투승을 거두며 1승 1패를 기록했다. 반면, 난카이의 선발 투수 에모토 다케노리는 2이닝 7피안타 6실점(0자책)으로 패전 투수가 되면서 1승 1패를 기록했다.
투수 | 이닝 | 결과 | 비고 |
---|---|---|---|
다카하시 가즈미 | 9 | 승리 투수 (1승 1패) | 완투승 |
투수 | 이닝 | 결과 | 비고 |
---|---|---|---|
에모토 타케노리 | 2 | 패전 투수 (1승 1패) | |
사토 미치로 | 3 | | | |
나카야마 코이치 | 2 | | | |
니시오카 산시로 | 1 | | |
4. 1. 5. 5차전
11月1日일본어 - 고라쿠엔 구장
1회 초 몬다 히로미츠의 희생 플라이로 난카이가 선취점을 얻었지만, 요미우리는 그 이닝 말에 오 사다하루의 역전 2점 홈런으로 응수했다. 3회에는 구로에 토시오의 적시타, 7회에는 스에쓰구의 적시타와 오 사다하루의 희생 플라이로 2점을 추가하며 5-1로 시리즈 우승을 확정지었다.
구라타 마코토는 승리 투수(1승), 니시오카 산시로는 패전 투수(1패)가 되었다. 오 사다하루는 1회에 2점 홈런(시리즈 2호)을 기록했다.[1]
5. 수상 선수
최우수 투수상
타율 .429(7타수 3안타) 4타점
2차전 결승 적시타
3차전 2실점 완투승, 2홈런 3타점
5차전 헹가래 투수
4차전 2안타 2타점
선수 겸임 감독으로 분전
4, 5차전 2경기 연속 타점
4, 5차전 2경기 연속 홈런
4차전 3안타 1타점
5차전 위닝볼 획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