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9년 석유 파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79년 석유 파동은 이란 혁명과 이란-이라크 전쟁으로 인한 석유 공급 감소로 발생한 세계적인 에너지 위기이다. 1970년대 말 이란 혁명으로 석유 생산이 감소하고 유가가 급등했으며, 1980년 이란-이라크 전쟁으로 석유 생산이 추가로 감소하며 유가 상승을 부추겼다. 이에 따라 유가가 급등하고, 주유소의 연료 부족 현상이 발생했다.
1970년대 말, 세계 석유 시장은 불안정한 상황에 놓여 있었다. 이란 혁명의 여파로 전 세계 석유 공급이 약 4% 감소했지만, 석유 시장의 반응으로 원유 가격은 이후 12개월 동안 배럴당 39.5달러로 두 배 이상 상승했다. 가격의 급격한 상승은 1973년 석유 위기와 유사하게 주유소의 연료 부족과 긴 줄을 야기했다.
이란 혁명의 여파로 전 세계 석유 공급이 약 4% 감소했지만, 석유 시장의 반응으로 원유 가격은 크게 상승했다. 이로 인해 1973년 석유 위기와 비슷한 주유소 연료 부족과 긴 줄 현상이 나타났다.[1]
이러한 상황은 OPEC 국가들의 생산량 증대 노력에도 불구하고, 1980년대 중반까지 지속되었다. 미국은 유가 급등으로 인해 산유 지역은 경제 호황을 누렸지만, 석유 소비 지역은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으며, 에너지 절약 정책을 시행했다. 또한, 대한민국은 석유 의존도가 높은 중화학 공업 육성으로 인해 2차 석유 파동으로 더욱 큰 타격을 받아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
2. 배경
1980년 이후 유가는 이후 20년 동안 지속적으로 하락하기 시작했는데, 걸프 전쟁 기간 동안 잠시 상승한 것을 제외하고는 1990년대에 60% 하락했다. 이 기간 멕시코, 나이지리아, 베네수엘라의 주요 석유 수출국들은 생산량을 늘렸다. 소련은 세계에서 가장 큰 산유국이 되었고 북해와 알래스카에서 온 석유가 세계 원유시장에 넘쳐나 1980년대 석유 공급과잉으로 이어졌다.
2. 1. 이란 혁명과 석유 공급 감소
1978년 11월, 이란 국영 정유 공장 노동자 3만 7천명의 파업으로 석유 생산량이 하루 600만 배럴(95만 m³)에서 약 150만 배럴(24만 m³)로 감소했다.[1] 외국인 노동자들은 이란을 떠났다.[1] 그러나 정부는 해군 인력을 원유 생산 작업에 투입하여 단기적인 생산 차질을 해결했고, 11월 말에는 생산량이 거의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1979년 1월 16일, 이란 국왕 모하마드 레자 팔레비와 그의 부인 파라 팔레비는 샤푸르 바흐티아르 총리의 명령에 따라 이란을 떠났다.[1] 샤가 떠난 후, 아야톨라 호메이니가 이란의 새로운 지도자가 되었고, 곧이어 석유 산업 국유화를 선언했다.[1]
2. 2. 이란-이라크 전쟁의 발발
1980년, 이란-이라크 전쟁이 발발하면서 이란과 이라크 양국의 석유 생산량이 급격히 감소했고, 이는 전 세계적인 경기 침체를 야기했다.[1] 유가는 1980년대 중반이 되어서야 위기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었다.[1]
3. 전개
1980년 이란-이라크 전쟁이 발발하면서 이란과 이라크의 석유 생산량이 크게 감소하여 전 세계적인 경기 침체를 유발했다. 유가는 1980년대 중반이 되어서야 위기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었다.[2]
1980년 이후 유가는 20년 동안 지속적으로 하락했으며, 걸프전 기간 동안 일시적인 상승을 제외하면 1990년대에는 60%까지 하락했다. 이 기간 동안 멕시코, 나이지리아, 베네수엘라 등 주요 석유 수출국들의 생산량이 증가했다. 소련은 세계 최대 산유국이 되었고, 북해와 알래스카에서 생산된 석유가 시장에 공급되면서 1980년대 석유 공급과잉 현상이 나타났다.[3]
3. 1. 유가 변동 추이
이란 혁명 여파로 전 세계 석유 공급이 약 4% 감소하는 데 그쳤지만, 석유 시장의 반응으로 원유 가격은 이후 12개월 동안 배럴당 39.5달러로 두 배 이상 상승했다.[1] 가격의 급격한 상승은 1973년 석유 위기와 유사하게 주유소의 연료 부족과 긴 줄 현상을 야기했다.[1]
1980년 이란-이라크 전쟁 발발 후, 이란의 석유 생산은 급격하게 감소했다.[2] 이라크의 산유량도 크게 감소해 전 세계적으로 경기 침체가 촉발됐다.[2] 유가는 1980년대 중반이 되어서야 위기 이전 수준으로 돌아갔다.[2]
1980년 이후 유가는 이후 20년 동안 지속적으로 하락하기 시작했는데, 걸프전 기간 동안 잠시 상승한 것을 제외하고는 1990년대에 60% 하락에 도달했다.[3] 이 기간 멕시코, 나이지리아, 베네수엘라의 주요 석유 수출국들은 생산량을 늘렸다.[3] 소련은 세계에서 가장 큰 산유국이 되었고, 북해와 알래스카에서 온 석유가 세계 원유시장에 넘쳐나면서 1980년대 석유 공급과잉으로 이어졌다.[3]
3. 2. 공급 차질
이란 혁명 여파로 전 세계 석유 공급이 약 4% 감소하는 데 그쳤지만, 석유 시장의 반응으로 원유 가격은 이후 12개월 동안 배럴당 39.5달러로 두 배 이상 상승했다. 가격의 급격한 상승은 1973년 석유 위기와 유사하게 주유소의 연료 부족과 긴 줄 현상을 야기했다.
4. 영향
1979년 석유 파동은 전 세계에 걸쳐 다양한 영향을 미쳤다. 이란 혁명으로 석유 생산량이 감소하면서 유가가 급등했고, 이는 산유국과 소비국 모두에게 경제적 영향을 초래했다.
OPEC 회원국들은 초기에는 생산량 감소를 겪었지만, 사우디아라비아 등 주요 산유국들이 생산량을 늘리면서 감소분을 상쇄했다. 그러나 1980년 이란-이라크 전쟁 발발로 석유 생산량이 추가로 감소하고, 회원국 간 분열이 발생하면서 OPEC의 시장 점유율은 하락했다.[1]
미국에서는 텍사스주, 알래스카주와 같은 산유 지역은 경제 호황을 누렸지만, 석유 소비 지역은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 지미 카터 행정부는 유가 규제 완화를 추진하고 에너지 효율 개선을 위한 정책을 발표했지만, 스리마일섬 원자력 발전소 사고 등으로 에너지 정책에 대한 불안감이 커졌다.[1] 미국인들은 석유 부족에 대한 공황 구매를 하기도 했다.
다른 석유 소비국들은 OPEC 석유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노력했다. 전력 회사들은 석유 대신 석탄, 천연가스, 원자력 등으로 에너지원을 전환했고, 각국 정부는 석유 대체 에너지 개발에 투자했다. 이러한 노력으로 비OPEC 국가들의 석유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OPEC의 시장 점유율은 더욱 감소했다.[1]
대한민국은 중화학 공업 육성 정책으로 석유 의존도가 높아진 상황에서 석유 파동을 맞아 큰 타격을 입었다. 물가 상승, 성장률 둔화, 경상수지 적자[3] 심화, 외채 증가[4] 등 복합적인 경제 위기를 겪었다.
4. 1. OPEC 회원국
이란의 새 정부 하에서 석유 수출이 재개되었지만, 생산은 일관성이 없었고 더 적은 양으로 이루어져 가격이 더 상승했다. 마나 알 오타이바(Mana Al Otaiba) 대통령 하에 사우디아라비아와 기타 OPEC 국가들은 생산량을 늘려 대부분의 감소분을 상쇄했고, 1979년 초까지 전 세계 생산량의 총 손실은 약 4%였다.[1]1980년 이란-이라크 전쟁으로 전 세계 생산량이 7% 더 감소했고, OPEC 회원국들이 서로 분열되면서 미국과 같은 다른 수출국들에 의해 OPEC 생산량이 추월당했다. '스윙 생산국'인 사우디아라비아는 1985년 이후 시장 점유율을 회복하려다 생산량을 늘리고 가격 하락 압력을 일으켜 고비용 석유 생산 시설의 수익성이 떨어지게 만들었다.[1]
4. 2. 미국
미국은 1979년 석유 파동으로 엇갈린 영향을 받았다. 텍사스주, 알래스카주 등 산유 지역은 경제 호황을 누린 반면, 석유 소비 지역은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 지미 카터 행정부는 단계적인 유가 규제 완화를 시작했고, 이란 혁명으로 인해 유가가 급등하면서 미국의 원유 생산은 증가했지만, 원유 수입은 감소했다.[1]1979년 3월 28일 발생한 스리마일섬 원자력 발전소 사고는 에너지 정책에 대한 불안감을 높였다. 1973년 석유 부족을 경험했던 미국인들은 공황 구매를 시작했고, 주유소에는 긴 줄이 다시 나타났다. 당시 미국인들은 주유소 대기 줄에서 엔진을 공회전하며 하루 최대 150000bbl의 석유를 낭비한 것으로 추정되었다.[1]
1979년 5월 초, AP 통신과 NBC 뉴스의 여론조사에 따르면 미국 성인 중 37%만이 에너지 부족이 진짜라고 생각했고, 54%는 거짓이라고 생각했다.[1]
메릴랜드 주지사 해리 휴즈는 홀짝수 배급제를 제안했고, 캘리포니아, 펜실베니아, 뉴욕 등 여러 주에서 홀짝수 가스 배급제를 시행했다. 그러나 휘발유 배급 쿠폰은 실제로 사용되지 않았다.[1]
1979년 7월 15일, 카터 대통령은 "신뢰의 위기" 연설에서 석유 수입 감소와 에너지 효율 개선 계획을 발표했다. 그는 백악관 옥상에 태양열 집열판을 설치했지만, 로널드 레이건 행정부 시절인 1986년에 제거되었다.[1]
1977년 카터는 석유 위기를 "전쟁의 도덕적 등가물"이라고 주장했고, 1979년 이란 혁명 이후 이란산 석유 수입을 금지했다. 1980년 카터 독트린을 발표하고, 가격 통제 제거를 제안했다. 또한 석유 회사에 횡재 이익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1]
1980년, 미국 정부는 합성 연료 회사 설립을 통해 수입 화석 연료 대체재 생산을 추진했다. 서부 텍사스 중질유 가격이 급등하면서 텍사스 등 산유 지역은 경제 호황과 인구 유입을 경험했다.[1]
한 연구에 따르면 1979년 석유 위기 당시 15~18세였던 사람들은 30대 중반이 되었을 때 자동차 이용 가능성이 현저히 낮았다.[1]
4. 3. 기타 석유 소비국
선진국들은 1970년대의 고유가에 대응하여 석유수출국기구(OPEC) 석유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조치를 취했다. 전 세계의 전력 회사들은 석유에서 석탄, 천연가스 또는 원자력으로 전환했다. 각국 정부는 석유에 대한 대안을 개발하기 위해 수십억 달러의 연구 프로그램을 시작했고, 상업적 탐사는 시베리아, 알래스카, 북해, 멕시코만의 주요 비OPEC 유전을 개발했다. 1986년까지 전 세계 석유 수요는 일일 5백만 배럴 감소했지만, 비OPEC 생산은 훨씬 더 증가했다. 그 결과, OPEC의 시장 점유율은 1979년 50%에서 1985년 29%로 감소했다.1970년대 후반 대한민국 경제는 석유 의존도가 높은 중화학 공업 육성으로 제1차 석유 파동 당시보다 석유 의존도가 훨씬 높아져 더 큰 타격을 입었다. 물가 상승률도 1978년 14%에서 1979년 18%로 상승했으며, 고도 성장을 뒷받침하던 역대 최고의 설비 투자 증가율은 꺾여 파산과 해고가 급속히 늘어 본격적인 불황으로 접어들었다. 1979년에는 8.7% 성장하였지만, 1980년 1분기에 전후 최초의 역성장인 -1.6%, 물가상승률 29%로 급등해 1차 오일 쇼크 때보다 극심한 경제적 시련을 겪었다. 경상수지 적자[3]도 급격히 늘어나 1979년 총외채 203억달러(순외채 140억달러)에서 1985년 총외채 468억달러(순외채 355억달러)로 급증해 세계 5대 채무 국가로 올라서게 되었다.[4]
4. 4. 대한민국
1970년대 후반 대한민국의 경제는 석유 의존도가 높은 중화학 공업을 육성하며 연간 제조업 성장률이 20% 이상을 상회해 제1차 석유 파동 당시보다 석유 의존도가 훨씬 높아진 상태였기 때문에 더욱 타격이 컸다.[2] 1978년 14%였던 물가 상승률은 1979년 18%로 상승하였으며, 고도 성장을 뒷받침하였던 역대 최고의 설비 투자 증가율은 꺾여 파산과 해고가 급속히 늘어 본격적인 불황으로 접어들었다. 1979년에는 8.7% 성장하였지만 1980년 1분기에는 전후 최초로 -1.6% 역성장하였고, 물가상승률은 29%로 급등해 1차 오일 쇼크 때보다 극심한 경제적 시련을 겪었다. 경상수지 적자[3]도 급격히 늘어나, 1979년 총외채 203억달러(순외채 140억달러)에서 1985년 총외채 468억달러(순외채 355억달러)로 급증해 세계 5대 채무국가로 올라서게 되었다.[4]참조
[1]
뉴스
이란,석유 국유화선언 국제석유회사 차관단에 철수령
https://www.mk.co.kr[...]
매일경제
1979-03-02
[2]
뉴스
73년의 시행착오 되풀이 않으려면…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1979-07-11
[3]
뉴스
작년 국제원자재가 올라 경상수지 55억달러 적자
https://www.mk.co.kr[...]
매일경제
1981-01-13
[4]
뉴스
총외채 4백67억불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1986-03-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