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경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경제는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6.25 전쟁 등을 겪으며 어려움을 겪었으나, 1960년대부터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을 추진하며 급속한 성장을 이루었다. 1970년대에는 중화학 공업을 육성하고 수출 주도형 산업화를 통해 고도 성장을 달성했지만, 오일 쇼크와 산업 불균형 등의 문제점도 나타났다. 1980년대에는 3저 호황을 바탕으로 경제가 안정되었고, 1990년대에는 IMF 외환 위기를 겪었지만, IT 산업 발전을 통해 회복했다. 2000년대 이후에는 IT 산업 발전과 양극화 심화,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를 겪었으며,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다시 위기를 맞았다. 현재 대한민국은 반도체, 자동차, 조선, 전자 산업 등을 중심으로 무역 규모가 크며, 중국, 미국, 베트남 등이 주요 무역 상대국이다. 양극화, 청년 실업, 가계 부채, 저출산·고령화 등의 경제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정부는 경제 민주화, 소득 주도 성장, 혁신 성장 등의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제 협력 개발 기구 회원국의 경제 - 일본의 경제
일본 경제는 메이지 유신 이후 근대화를 거쳐 2차 세계대전 후 고도성장을 이루며 세계 2위 경제 대국으로 성장했으나, 1990년대 이후 장기 불황과 저출산·고령화, 재정 악화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천연자원 부족, 독특한 산업 구조, 간접 금융 중심 금융 시스템, 종신 고용과 연공서열 중심 기업 문화 등의 특징을 지닌 무역 및 기술 강국이다. - 경제 협력 개발 기구 회원국의 경제 - 스웨덴의 경제
스웨덴의 경제는 산업화와 복지 국가 모델을 거쳐 발전했으며, 수출 중심의 혼합 경제 체제를 갖추고 엔지니어링, 통신, 자동차 산업 등이 발달했다. - 대한민국의 경제 - 코스닥
코스닥은 대한민국의 중소·벤처기업 주식 시장으로, 기술 중심 기업의 자금 조달과 투자 기회 제공을 목표로 1996년 설립되어 성장과 침체를 거듭하며 제약, 바이오, IT 등 성장 산업군을 중심으로 대한민국 경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경제 - 부산항만공사
부산항만공사는 2004년 1월 16일 설립된 해양수산부 산하 시장형 공기업으로, 항만 시설 관리 운영 및 부산항 개발 사업을 수행하며 컨테이너 부두 등을 관리한다.
대한민국의 경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국가 | 대한민국 |
통화 | 대한민국 원 (KRW, ₩) |
회계 연도 | 역년 |
무역 기구 | APEC WTO RCEP OECD G-20 |
경제 수준 | 선진 경제국 고소득 경제국 |
인구 | 51,628,117명 (2022년) |
경제 지표 | |
GDP (명목) | 1조 8,700억 달러 (2024년) |
GDP (구매력 평가) | 3조 2,600억 달러 (2024년) |
GDP 순위 (명목) | 12위 (2024년) |
GDP 순위 (구매력 평가) | 14위 (2024년) |
GDP 성장률 | 1.4% (2023년) 2.3% (2024년) 2.3% (2025년) |
1인당 GDP (명목) | 36,132달러 (2024년) |
1인당 GDP (구매력 평가) | 62,960달러 (2024년) |
1인당 GDP 순위 (명목) | 30위 (2024년) |
1인당 GDP 순위 (구매력 평가) | 26위 (2024년) |
산업별 GDP | 1차 산업: 1.6% 2차 산업: 31.6% 3차 산업: 58.4% (2023년 추정) |
인플레이션 | 2.5% (2024년) |
빈곤율 | 14.4% (2016년 추정) |
지니 계수 | 35.5 (2017년) |
인간 개발 지수 | 0.929 (2022년, 19위) 0.841 (2022년, 불평등 조정 인간 개발 지수 20위) |
부패 인식 지수 | 63점 (2023년, 32위) |
노동 | |
노동 인구 | 28,466,640명 (2020년, ILO) |
고용률 | 65.8% (2020년) |
산업별 고용 | 1차 산업: 4.8% 2차 산업: 24.6% 3차 산업: 70.6% (2017년 추정) |
실업률 | 3.7% (2020년 9월) 청년 실업률: 11.5% (15~24세, 2020년 9월) |
평균 총 급여 | 3,796,000 ₩ / 2,707 달러 (월별, 2024년 8월) |
평균 순 급여 | 3,137,217 ₩ / 2,237 달러 (월별, 2024년 8월) |
산업 | |
주요 산업 | 전자 제품 원거리 통신 자동차 생산 화학 조선업 철강 |
대외 무역 | |
수출 | 6,324억 달러 (2023년) |
수출 품목 | 집적 회로: 15.35% 기계: 12.81%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11.34% 화석 연료: 7.01% 플라스틱: 5.86% 철 및 강철: 4.23% 과학 기기: 4.16% 유기 화합물: 3.85% 기타: 35.39% (2019년) |
주요 수출 대상국 | 24.6% 23.9%}} 7.6% 11.4% 11.3% 7.4% 5.3% (2024년 6월) |
수입 | 6,426억 달러 (2023년) |
수입 품목 | 화석 연료: 25.01% 기계: 9.17% 집적 회로: 7.08% 과학 기기: 4.88%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3.23% 광석, 광재, 재: 3.13% 철 및 강철: 3.02% 유기 화합물: 2.62% 기타: 41.86% (2019년) |
주요 수입 대상국 | 30.1% 15.5% 15.1% 9.7% 6.6% 6.5% 6.1% 6.0% (2024년 6월) |
경상수지 | 680억 달러 (2020년) |
해외 직접 투자 | 유입: 2,306억 달러 (2017년 12월 31일 추정) 유출: 3,447억 달러 (2017년 12월 31일 추정) |
총 외채 | 5,424억 달러 (2020년) |
재정 | |
국가 부채 | GDP의 39.8% (2020년) |
정부 수입 | 4,287억 달러 (2020년) |
정부 지출 | 4,565억 달러 (2020년) |
재정 수지 | GDP의 -3.5% (2020년) |
공적 개발 원조 | 24억 달러 (공여국, 2018년), 대북 지원 제외 |
신용 등급 | |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 | 국내: AA- 해외: AA- T&C 평가: AA 전망: 안정적 |
무디스 | Aa2 전망: 안정적 |
피치 그룹 | AA- 전망: 안정적 |
기타 | |
외환 보유고 | 4,587억 달러 (2021년 7월 추정) |
연간 평균 임금 | 36,653 달러 (구매력 평가, 2014년) |
2. 역사
대한민국 경제는 1950년대 원조 경제 체제에서 출발하여, 1960년대 이후 수출 주도형 산업화 정책을 통해 급속한 성장을 이루었다. 1970년대에는 중화학 공업 육성을 통해 고도 성장을 지속했지만, 오일 쇼크와 같은 외부 충격과 과잉 투자, 인플레이션 등의 문제에 직면하기도 했다.
1980년대 전두환 정권은 경제 안정화 정책과 금융 시장 개방을 추진했고, 3저 호황에 힘입어 경제가 안정되었다. 1990년대에는 자본 및 금융 시장 개방, 세계 무역 기구(WTO) 가입 등 개방 정책을 추진했지만, 1997년 IMF 구제금융사건으로 큰 위기를 겪었다. 김대중 정부는 신자유주의 경제 정책을 추진하여 위기를 극복하고 IMF 체제를 조기 졸업했다.
2000년대에는 IT 산업 발전과 벤처 붐이 일었지만, 신용카드 대란, 산업 공동화 우려, 노동 생산성 문제 등 새로운 과제에 직면했다. 2008년 세계 금융 위기에도 불구하고 대한민국은 비교적 빠른 회복세를 보였고, 2010년에는 높은 경제성장률을 기록했다.
2010년대 이후에는 반도체와 인터넷 관련 사업의 성장으로 무역 흑자 기조를 이어갔지만, 헬조선, 스푼 계급론, 삼포 세대 등의 신조어가 등장할 정도로 입시 경쟁 심화, 격차 확대, 정치 부패, 높은 자살률 등 사회 문제가 심각해졌다. 특히 문재인 정부 이후 합계출산율이 급감하여 인구 감소와 고령화 문제가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정부는 한국판 뉴딜 정책을 통해 경제 회복과 디지털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2023년에는 새로운 성장 전략 4.0을 발표하며 미래 산업 육성에 대한 의지를 보였다.
한국 경제는 재벌 중심의 경제 구조, 높은 삼성 의존도, 긴 노동 시간과 낮은 노동 생산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2. 1. 해방 직후와 한국 전쟁 (1945~1953)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6·25 전쟁을 겪으면서 한국 경제는 큰 어려움을 겪었다. 이승만 정권은 기술 관료를 양성하고 국토 재건 사업을 추진했지만, 1950년대 한국 경제는 미국의 원조 경제 체제에 의존했다. 미국으로부터 잉여 농산물, 소비재 등을 무상 지원받아 식량 문제를 해결했고, 이 시기 삼백산업이 발달했다.
그러나 생산재 산업이 부진하여 공업 부분의 불균형이 나타났고, 한국 내 농산물 가격 하락과 밀, 면화 생산 타격으로 농업 기반이 파괴되었다. 1958년 미국의 경제 불황으로 원조가 감소하고 유상 차관으로 전환되면서, 폐농과 이농이 증가하고 한국 경제는 불황을 겪었다.
2. 2. 경제 개발의 시작 (1960년대)
4.19 혁명으로 세워진 장면 정권은 기존에 양성된 기술관료를 중심으로 경제 개발 계획을 준비했다.[188] 그러나 5·16 군사정변의 발발로 인해 이 계획은 실행되지 못했다.[188]쿠데타 이후, 박정희는 보호무역주의 경제 정책을 시작하여 부르주아 계급이 내수 시장을 재활성화하도록 촉진했다.[43] 원자재를 제외한 모든 종류의 외국 제품 수입을 막는 수출 주도형 산업화 정책이 적용되었다.[43] 박정희는 경제에 대한 개입을 5개년 계획을 통해 수행하는 강력한 국가 권력을 강화하기 위해 금융 시스템을 국유화했다.[43]


군사정권이던 대한민국 제3공화국은 국가 중심의 경제 체제를 강화하여 경공업 중심의 1, 2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등을 추진하여 경제를 발전시켰고, 수출 산업을 육성하였으며 사회 간접 자본을 확충했다.[188] 현대, 삼성, LG그룹과 같은 가족 기업인 재벌들은 세금 감면, 착취 시스템의 합법화, 저렴하거나 무료의 자금 조달과 같은 국가 지원을 받았다.[43] 국가 은행은 5개년 계획에 따라 품목별로 집중적인 대출을 계획하고, 이를 주도하도록 선정된 경제 그룹을 통해 지원했다.[43]
베트남 전쟁 특수 등에 힘입어 한국 경제는 계속 발전했다.[188] 대한민국의 실질 GDP는 연평균 8% 이상 성장하여[54] 1962년 27억달러[45]에서 1989년 2300억달러[46]로 증가했으며, 2000년대 초에는 1조 달러를 돌파했다. 1인당 명목 GDP는 1962년 103.88달러[47]에서 1989년 5,438.24달러[48]로 성장하여 2006년에는 2만 달러에 도달했다. 제조업 부문은 1962년 GNP의 14.3%에서 1987년 30.3%로 성장했다. 상품 무역량은 1962년 4.8억달러에서 1990년 1279억달러로 증가했다. 국내 저축 대 GNP 비율은 1962년 3.3%에서 1989년 35.8%로 증가했다.[54]
급속한 산업화의 가장 중요한 요인은 1960년대 초의 외향형 전략 채택이었다.[50][54] 이 전략은 당시 대한민국의 낮은 저축률과 작은 국내 시장 때문에 특히 적합했다. 이 전략은 대한민국이 경쟁 우위를 개발할 수 있는 노동 집약적 제조 수출을 통해 경제 성장을 촉진했다. 정부의 주도적인 역할이 이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54] 수출 주도형 산업화 모델을 통해 대한민국 정부는 기업들이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생산 효율성을 향상시켜 세계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도록 장려했다.[51]
2. 3. 중화학 공업 육성과 고도 성장 (1970년대)
1960년대 경공업 중심의 경제 개발을 추진했던 제3공화국은 1970년대에 들어 철강, 조선, 전자 등 수출 주도형 중공업을 육성하여 경제 발전을 이끌었다. 그러나 이러한 중화학 공업 육성 정책은 과잉 투자와 1973년 1차 오일 쇼크, 1978년 2차 오일 쇼크로 인한 국제 수지 악화, 높은 인플레이션이라는 문제점을 낳았다.[188] 이로 인해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로 돌아서기도 했다.대한민국 정부는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고자 수출과 건설업의 중동 진출을 장려하였다.[188] 이를 통해 고도 성장과 수출 증대를 이루어 국민 생활 수준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해외 자본 의존도 심화, 농촌 피폐화, 산업 불균형 심화, 국가 중심적 경제 체제 심화 등 '빛과 그림자'가 뚜렷하게 나타났다.[188]
대한민국 건국을 주도한 미국은 대한민국이 북한, 중국, 러시아의 군사적 위협에 스스로 대처하고, NATO 선진국에 뒤처지지 않는 경제를 갖추도록 군수 산업과 중화학공업을 중심으로 적극 지원했다.[140][141][142][143][144][145][146] 이는 한국 경제 성장의 원동력이 되었으며, 다른 선진국과 비교했을 때 한국은 편중되지 않고 균형 잡힌 생산 체인이 국내에 집중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박정희 대통령은 1961년 미국 방문 당시 존 F. 케네디 대통령에게 베트남 파병을 제안하여 정권의 정당성을 확보하고 미국의 지지를 얻고자 했다.[150] 남베트남에 파병된 한국군은 최대 5만 명에 이르렀고,[150] 이들과 민간인들의 본국 송금액은 연간 1.2억달러로, 1969년 한국 외화 수입의 20%를 차지했다.[150] 1965년부터 1972년까지 "베트남 특수" 총액은 10.22억달러에 달한다.[151][150]
대한민국은 남베트남에 군인 파병뿐 아니라 많은 군수품을 제공했고, 전쟁 후 군수공장은 민수품 생산으로 전환되어 대한민국 제조업 발전을 이끌었다.[152] 전투기 프로펠러 제조 기술은 선풍기 날개나 선박 엔진에, 전차 타이어 제조 기술은 자동차나 트랙터에 응용되었다.[153]
2. 4. 안정화와 민주화 (1980년대)
1980년대 전두환 정권은 1970년대 중화학 공업에 대한 과잉 투자 정책을 조정하고 부실기업을 정리하려 했으며, 자본 자유화 정책에 따라 금융 시장 개방을 추진하였다.[189] 그러나 이러한 구조조정 후, 기업과 재벌이 국민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확대되었고, 이 시기에 3저 호황(원유 · 달러 · 금리)을 바탕으로 경제는 안정될 수 있었다.[189]2. 5. IMF 외환 위기와 극복 (1990년대)
1990년대 김영삼 정부는 자본 및 금융 시장 개방, 1993년 쌀 개방을 추진하였다. 1995년에는 세계 무역 기구(WTO)에 가입하면서 농업 등 1차 산업이 큰 타격을 받았다. 1996년에는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에 가입하였으나, 1997년 IMF 구제금융사건으로 인해 각 기업들이 줄줄이 파산하여 경제난을 겪게 된다.[190]1997년 아시아 외환 위기로 한국 경제는 대량 파산과 실업, 재벌 해체라는 큰 위기에 직면했다. 한국은 국제통화기금(IMF)의 관리 하에 경제 지원을 받았고, 1998년 출범한 김대중 정부는 '한국 전쟁 이후 최대의 국난'을 맞아 현대그룹 분할, 대우그룹 해체 등 신자유주의 경제 정책(4대 부문 개혁)을 추진했다. 이 위기 당시 차입금은 IMF에는 2001년 8월, 아시아개발은행에는 2005년까지 전액 상환되었다.[162] 국민들은 금 모으기 운동을 전개하며 경제난 극복에 동참했고, 2001년 8월 23일 스탠리 피셔 IMF 수석 부총재는 대한민국이 IMF 체제를 졸업했음을 공식 선언했다.[190]
2. 6. IT 산업 발전과 양극화 심화 (2000년대)
2000년대 대한민국 경제는 IT 산업 발전과 벤처 붐으로 특징지어진다. 김대중 정부는 신용카드 사용을 장려하여 내수를 확대하고자 했으나, 이는 2003년 카드 대란으로 이어져 금융 시장에 큰 혼란을 야기했다. 이 시기 파산이 급증하면서 국내 신용 불안이 높아졌고, 내수 부진으로 이어졌다.2005년~2006년에는 국내 소비 부진, 유가 상승, 원화 강세 등의 문제가 발생했다. 2000년경부터는 많은 한국 기업들이 인건비가 저렴하고 소비 시장이 확대되는 중국 등으로 생산 거점을 이동하면서 산업 공동화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었다. 특히, 저렴한 중국의 인건비와 고도화된 일본의 기술 사이에서 한국 경제가 어려움을 겪는 상황을 빗댄 "일중 샌드위치론"이라는 용어가 이건희 삼성그룹 총수에 의해 언급되기도 했다.
이 시기 대한민국은 노동 시간은 길지만, 노동 생산성(Labour productivity)이 낮은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163] 경제협력개발기구 조사에 따르면, 2014년 한국의 연간 노동 시간은 2057시간으로, 멕시코(2327시간), 칠레(2064시간)에 이어 세 번째로 길었다.[164]
노무현 정부는 부동산 가격 급등과 양극화 심화 문제에 직면했다. 노무현 정부에 대한 평가는 경제 정책의 성과와 한계를 둘러싸고 다양하게 나타난다.
2. 7. 글로벌 금융 위기와 이후 (2010년대~현재)
2008년 미국발 세계금융위기로 인해 2009년 국민소득이 1만 7000달러대로 감소했지만, 2010년에는 6.2%의 높은 경제성장률을 달성하며 명목 국민소득이 2만 달러를 재돌파하고, 실질구매력 기준 소득이 3만 달러에 근접했다.[190]정치권에서는 대한민국 제19대 총선 이후 ''재벌해체론''이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지만, 반기업 정서가 반영되기 시작했다.[191]
코로나19의 확산으로 민간 소비가 감소하고 공급 부문의 병목 현상이 발생했다. 한국은행은 코로나19 확산 이후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약 3% 상승했다고 밝혔다. 다른 국가들에 비해 대한민국의 금리가 낮았다는 점을 감안할 때, 주택 가격 상승과 가계 부채는 대한민국 경제의 문제점 중 하나가 되었다.[72] 정부는 물가 상승을 안정시키기 위해 1440억달러를 투자하는 "한국판 뉴딜" 정책을 시행했다.[73] 이러한 확장적 재정 정책은 민간 소비를 촉진하고 일자리 창출을 증가시켰다. 이 확장적 재정 부양책은 기존 기후 및 환경 위험으로부터 코로나19의 경제적, 사회적 영향을 회복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한국판 뉴딜 정책은 보건 의료 및 녹색 산업으로 명확히 구분된다.
대한민국 기획재정부는 2023년 8월 새로운 성장 전략 4.0을 발표했다. 새로운 성장 전략은 대한민국의 장기 산업 성장을 위한 프로젝트를 제시한다.[74] 대한민국 정부는 이러한 정책을 미래에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정책 및 투자의 초점을 신흥 산업으로 설정하는 새로운 성장 4.0 프로젝트로 옹호한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주요 지침을 제시한다.
주요 지침 |
---|
AI 반도체 산업 육성 및 기업 간 협력 생태계 구축 |
도심항공교통(UAM) 산업 글로벌 시장 주도 |
수전해를 통한 청정 수소 생산 기술 확보 |
자율 주행 기술 발전 |
배터리 재제조 및 재사용 시장 확대 |
민간 주도 마이데이터 기반 서비스 확장 |
연구 장비 또는 시설 주문 절차 간소화를 통한 행정 부담 완화 |
대한민국의 무역은 수출 주도형 경제 성장 정책에 따라 발전해왔다. 자원이 부족하고 국내 시장이 작은 한국에게 무역은 필수적인 선택이었다.
이 외에도 대한민국은 우수한 의료 시스템, 생명 공학 기술, AI 기술을 보유한 국가 중 하나이다. 대한민국의 의료 산업 가치는 약 67억달러로 예상되는 반면, 의료 기술 시장은 115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75][76] 의료 산업의 연간 예상 성장률은 6%가 넘는 것으로 나타나, 이 산업의 밝은 미래를 보여준다. 많은 경제학자들은 AI 기술을 도입함으로써 대한민국이 바이오 의료 산업 선도 국가가 될 것이라고 제시한다. 대한민국의 미래 데이터 중심 의료 산업에 관한 기사에서는 AI 기술이 의료 산업이 환자에게 맞춤형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되며, 이점과 비용을 활용할 수 있다고 제시한다.[77]
3. 무역
1960년대부터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을 추진하면서 수출은 급격히 증가했다. 1964년 11월 30일에는 수출 1억 달러를 돌파하여 이날을 '수출의 날'로 지정했다. 1970년대에는 두 차례의 오일 쇼크를 겪었지만, 수출 증가세는 유지되어 1971년 수출 10억 달러, 1977년 100억 달러를 돌파했다.
1980년대에는 세계적인 경기 침체와 보호 무역주의 강화로 어려움을 겪었지만, 1980년대 중반 '3저 호황' (원유 · 달러 · 금리)으로 다시 수출이 활기를 띠었다. 1986년 사상 최초로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했고, 1989년 채무국에서 채권국으로 전환되었다.
1990년대에도 수출은 꾸준히 증가하여 1995년 수출 1,000억 달러를 돌파했다. 2011년 수출액이 5,000억 달러를 넘어섰고, 총 무역액은 1조 달러를 돌파하여 세계 9번째 무역 규모 1조 달러 국가가 되었다.
1990년대 자본 및 금융 시장 개방, 1993년 쌀 개방, 1995년 세계 무역 기구(WTO) 가입, 1996년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 가입 등 대외 개방 정책이 추진되었다. 그러나 1997년 IMF 구제금융사건으로 경제난을 겪었고, 금 모으기 운동과 김대중 정부의 신자유주의 경제 정책을 통해 2001년 IMF 체제를 졸업했다.[190] 이후 2007년까지 연평균 4%대 경제 성장과 100억 달러 이상 경상수지 흑자를 기록하며 국민소득 2만 달러를 돌파했다. 2009년 미국발 세계금융위기로 국민소득이 일시적으로 감소했지만, 2010년 높은 경제성장률을 회복하며 국민소득 2만 달러를 재돌파했다.
3. 1. 무역 구조의 변화
대한민국의 무역업은 수출 주도형 경제 성장 정책에 따라 발전해왔다. 자원이 부족하고 국내 시장이 작은 한국에게 무역은 필수적인 선택이었다.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기간별 수출입 추이는 다음과 같다.
1985년 이후 달러 약세, 원유 가격 하락, 금리 하락(3저 현상)으로 대외 여건이 호전되면서 수출이 활기를 되찾았다. 1986년 대한민국은 최초로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했고, 1989년에는 채무국에서 채권국으로 전환되었다.
1990년대 초 경기 침체로 수출이 부진했지만, 1993년 말부터 회복되어 1995년까지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1996년에는 주력 수출 품목의 국제 가격 하락으로 수출 증가세가 둔화되었다.[192] 2011년에는 수출액이 5,000억 달러를 돌파하고, 무역 규모가 1조 달러를 넘어섰다.
'''1975년, 1985년, 1995년, 2005년 10대 수출 상품'''[192]
구분 | 1975년 | 1985년 | 1995년 | 2005년 | ||||
---|---|---|---|---|---|---|---|---|
순위 | 품목 | 구성비(%) | 품목 | 구성비(%) | 품목 | 구성비(%) | 품목 | 구성비(%) |
1 | 섬유류 | 36.2 | 섬유류 | 23.1 | 반도체 | 17.7 | 반도체 | 10.5 |
2 | 전자제품 | 8.9 | 선박 | 16.6 | 자동차 | 6.7 | 자동차 | 10.4 |
3 | 철강제품 | 4.6 | 전자제품 | 14.1 | 석유화학제품 | 4.6 | 무선통신기기 | 9.7 |
4 | 합판 | 4.1 | 철강제품 | 8.5 | 선박 | 4.4 | 선박 | 6.2 |
5 | 신발류 | 3.8 | 신발류 | 5.2 | 인조장섬유직물 | 4.3 | 석유제품 | 5.4 |
6 | 원양어류 | 3.6 | 유류 | 3.0 | 의류 | 3.8 | 컴퓨터 | 5.0 |
7 | 선박 | 2.7 | 자동차·부품 | 2.5 | 컴퓨터 | 3.5 | 인조장섬유직물 | 3.6 |
8 | 금속제품 | 2.4 | 합성수지 | 2.4 | 철강판 | 3.0 | 철강판 | 3.6 |
9 | 석유제품 | 1.9 | 전기기기 | 2.0 | 영상기기 | 2.7 | 자동차부품 | 3.0 |
10 | 합성수지제품 | 1.7 | 금속제품 | 1.8 | 건설기계 등 기타기계 | 2.0 | 영상기기 | 2.6 |
소계 | 69.9 | 79.4 | 52.7 | 60 | ||||
전체 품목 대비 | 100.0 | 100.0 | 100.0 | 100.0 |
2021년 주요 수출품은 집적회로(17.7%), 자동차(6.85%), 정제유(5.57%) 등이었다.[94] 주요 수입품은 원유(10.5%), 집적회로(8.21%), 석유가스(4.25%) 등이었다.[94]
2018년 주요 수출국은 중국(26.8%), 미국(12.0%), 베트남(8.0%) 등이었고,[95] 주요 수입국은 중국(19.9%), 미국(11.0%), 일본(10.2%) 등이었다.[95]
2018년 무역수지 흑자 국가는 중국, 홍콩, 베트남 등이었고,[95] 적자 국가는 일본,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등이었다.[95]
3. 2. 주요 무역 상대국
대한민국의 경제는 수출 주도형 경제 성장 정책으로 발전해왔다. 자원이 부족하고 내수 시장이 작은 대한민국은 무역을 통해 경제 성장을 이룰 수밖에 없었다.1960년대부터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을 추진하면서 수출은 급격히 증가했다. 1964년에는 수출 1억 달러를 돌파했고, 이를 기념하여 11월 30일을 '수출의 날'로 지정했다. 1970년대에는 두 차례의 석유 파동을 겪었지만, 수출 증가세는 유지되어 1971년에는 수출 10억 달러, 1977년에는 100억 달러를 돌파했다.
1980년대에는 세계적인 경기 침체와 보호 무역주의 강화로 어려움을 겪었지만, 1980년대 중반 '3저 현상'(저유가, 저금리, 달러 약세)으로 다시 수출이 활기를 띠었다. 1986년에는 사상 최초로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했고, 1989년에는 채무국에서 채권국으로 전환되었다.
1990년대에도 수출은 꾸준히 증가하여 1995년에는 수출 1,000억 달러를 돌파했다. 2011년에는 수출액이 5,000억 달러를 넘어섰고, 총 무역액은 1조 달러를 돌파하여 세계 9번째 무역 규모 1조 달러 국가가 되었다.
다음은 대한민국의 주요 수출 품목 변화를 나타낸 표이다.
구분 | 1975년 | 1985년 | 1995년 | 2005년 |
---|---|---|---|---|
1위 | 섬유류 (36.2%) | 섬유류 (23.1%) | 반도체 (17.7%) | 반도체 (10.5%) |
2위 | 전자제품 (8.9%) | 선박 (16.6%) | 자동차 (6.7%) | 자동차 (10.4%) |
3위 | 철강제품 (4.6%) | 전자제품 (14.1%) | 석유화학제품 (4.6%) | 무선통신기기 (9.7%) |
4위 | 합판 (4.1%) | 철강제품 (8.5%) | 선박 (4.4%) | 선박 (6.2%) |
5위 | 신발류 (3.8%) | 신발류 (5.2%) | 인조장섬유직물 (4.3%) | 석유제품 (5.4%) |
3. 3. 자유무역협정(FTA)
대한민국은 싱가포르, 칠레, 유럽 자유 무역 연합(EFTA)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여 발효시키고 있다.[192] 2007년 4월 2일에는 미국과의 자유무역협정(한미 FTA)이 타결되었으며, 2012년 3월 15일에 발효되었다.[192] 이를 통해 대한민국은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과 유럽 연합(EU) 다음으로 거대한 자유무역 시장을 확보하게 되었다.4. 산업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6·25 전쟁을 겪으면서 한국 경제는 이승만 정권의 기술관료 양성을 통해 발전하기 시작했다. 1950년대에는 미국의 원조 경제 체제하에 삼백산업이 발달했지만, 생산재 산업 부진과 농업 기반 파괴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1958년 미국 경제 불황으로 원조가 감소하면서 한국 경제는 불황을 겪었다.
1960년대 장면 정권은 경제 개발 계획을 준비했으나 5·16 군사정변으로 실행되지 못했다. 제3공화국은 국가 중심 경제 체제를 강화하여 경공업 중심의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을 추진하고, 수출 산업을 육성하며 사회 간접 자본을 확충했다. 베트남 전쟁 특수에 힘입어 경제는 계속 발전했다.
1970년대에는 철강, 조선, 전자 등 중공업을 육성했지만, 과잉 투자와 오일 쇼크로 국제 수지가 악화되고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여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수출과 건설업의 중동 진출을 장려했다.[188] 고도 성장과 수출 증대로 국민 생활 수준은 향상되었으나, 해외 자본 의존도 심화, 농촌 피폐화, 산업 불균형 심화, 국가 중심 경제 체제 등의 문제점이 나타났다.
1980년대 전두환 정권은 중화학 공업 과잉 투자 정책을 조정하고 부실기업을 정리했으며, 자본 자유화 정책에 따라 금융 시장 개방을 추진했다. 3저 호황을 바탕으로 경제는 안정되었으나, 기업과 재벌의 경제 비중은 확대되었다.[189]
1990년대에는 자본, 금융 시장을 개방하고 쌀 개방을 추진했으며, 세계 무역 기구(WTO)와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에 가입했다. 그러나 1997년 IMF 구제금융사건으로 경제난을 겪게 된다. 금 모으기 운동과 김대중 정부의 신자유주의 경제 정책(4대 부분 개혁)을 통해 2001년 IMF 체제를 졸업했다.[190] 이후 경상수지 흑자와 경제 성장을 이루었으나, 2009년 미국발 세계금융위기로 국민소득이 감소했다. 2010년에는 높은 경제성장률을 달성하며 국민소득을 회복했다.
한국 전쟁 이후 대한민국은 산업 부문의 성장을 통해 경제 발전을 이루었다. 1986년 제조업은 국내총생산(GDP)의 약 30%, 노동력의 25%를 차지했다. 정부 지원과 외국 원조를 바탕으로 산업체들은 현대 기술을 도입하고 생산량을 늘려 산업 확장에 재투자했다. 1989년 대한민국 경제 침체는 산업 부문에 우려를 불러일으켰으며, 주요 원인으로는 원화 강세, 임금 및 노동 비용 증가, 잦은 파업, 높은 금리 등이 지적되었다.
대한민국의 주요 산업은 다음과 같다:
- '''제조업:''' 철강 산업, 자동차 산업, 조선 산업, 전자 산업 등. (각 산업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조)
- '''서비스업:''' 금융 산업, 통신 산업, 관광 산업 등.
- '''건설업:''' 1960년대 초부터 중요한 수출 산업이었으며, 1980년대 후반 국내 시장에 집중하다가 1989년 해외 건설 시장 회복 조짐을 보였다.
- '''방위 산업:''' 1970년대 초 자체 무기 생산을 시작했으며, 1980년대 이후 군사 장비 및 기술 수출을 시작했다.
1991년부터 2018년까지 한국의 인수합병(M&A)은 꾸준히 증가했으며, 2016년에는 거래액(1조 8,180억 달러)과 거래 건수(823건)가 가장 많았다.[96]
한국 경제는 전쟁과 밀접한 관계를 맺어왔으며, 미국의 지원으로 군수 산업과 중화학공업을 중심으로 발전했다. 아시아 외환 위기 이후 시장 과점화와 외국 자본 유입이 진행되었고, 기업들은 국내에서 높은 가격으로 판매하여 이익을 얻고 있다. 대기업 수출 기업은 외국인 주주가 절반을 차지하며, 인건비 절감과 세제 혜택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사회보장 지출은 GDP 대비 7.7%로 OECD 회원국 중 최저 수준이다.
아시아 외환 위기 이후 반도체와 인터넷 관련 사업 성장으로 무역 흑자를 기록했으나, 빈부 격차가 확대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신용카드 사용 증가로 내수가 확대되었지만, 2003년경 파산 급증으로 금융 공황 상태가 되어 내수 부진이 발생했다. 2000년경부터 한국 기업들은 중국 등으로 생산 거점을 이동하고 있으며, 산업 공동화가 우려되고 있다.
한국은 노동 시간이 길고,[163] 노동 생산성이 낮다. 경제협력개발기구 조사에 따르면, 2014년 한국의 연간 노동 시간은 2057시간으로 멕시코, 칠레에 이어 세 번째로 길다.[164]
2010년대 이후 "헬조선", "스푼 계급론", "삼포 세대" 등 한국 사회의 어려움을 나타내는 속어가 등장하고 있으며, 이는 인구 구조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합계출산율 감소가 현저하여 2020년에는 0.84를 기록, 고령화와 인구 감소가 급속히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165]
2021년 한국 유니콘 기업에 대한 해외 투자는 약 6600억엔에 달했으며, 전년 대비 8배 증가했다. 쿠팡(Coupang)의 뉴욕 증권거래소 상장은 해외 기업의 신규 상장으로는 알리바바 이후 최대 규모였다. 한국 정부는 중소벤처기업부를 신설하여 스타트업 기업 등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으며, 2021년 투자액은 9조원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170]
4. 1. 농업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6·25 전쟁 등을 겪으면서 한국의 경제 발전은 이승만 정권의 기술관료 양성에서 시작되어 국토 재건 사업 등으로 이어졌다. 1950년대 한국 경제는 원조 경제 체제로, 미국으로부터 잉여 농산물, 소비재 등의 무상 지원을 받으면서 식량 문제를 해결하였다. 이 시기에는 삼백산업이 발달했다. 그러나 생산재 산업 부진으로 공업 부분의 불균형 현상이 드러났고, 한국 내 농산물 가격 하락과 밀, 면화 생산 타격으로 농업 기반이 파괴되었다. 1958년 미국 경제 불황으로 원조가 감소하고 유상 차관으로 전환되면서 폐농과 이농이 증가하여 한국 경기는 불황을 겪었다.1990년대에는 자본, 금융 시장을 개방하고, 1993년 쌀 개방을 추진하였다. 1995년 세계 무역 기구(WTO)에 가입하면서 농업 등 1차 산업이 큰 타격을 받았다.

1960년대까지 대한민국의 주요 산업은 농업이었다. 정부의 공업화, 산업화 정책 추진으로 농업인구는 격감하여 1970년 1,442만 명(전체 인구의 44.7%)에서 2000년 12월 1일 403만 1천 명(전체 인구의 8.6%)으로 감소, 10% 아래로 떨어졌다.[196] 일제강점기 농업 노동만 가능했던 한국인들은 산업 기술을 습득하고, 상인과 자산가의 상업 활동이 활성화되었다.
4. 2. 제조업
한국 공업의 역사는 고대부터 제철, 제련 공업이 발달한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19세기 말에는 자본 유입에 맞서 국채 보상 운동이 일어났고, 1920년대에는 김성수가 경성방직 등을 통해 민족자본을 형성했다. 1923년부터는 물산 장려 운동이 일어나 국산 공업품 사용을 장려했다.1945년 이후 한국의 공업 수준은 낮았으나, 1960년대 제3공화국 정권은 공업화 정책을 추진했다. 1960년대에는 수공업, 수입 대체 산업이 발달했고, 1970년대에는 중화학 공업, 제조업, 수출 위주의 공업 정책이 시행되었다. 1980년대에는 전자 제품, 건설, 중화학 공업이 발달했으며, 현재는 IT, 자동차, 광학, 조선, 철강 등 첨단 기술 산업이 세계 선두를 달리고 있다.


현재 대한민국의 공업 생산은 국민 총생산의 3분의 1가량을 차지한다.[198]
한국 전쟁 이후 대한민국은 산업 부문의 성장을 통해 경제 발전을 이루었다. 1986년 제조업은 국내총생산(GDP)의 약 30%, 노동력의 25%를 차지했다.[43] 정부의 지원과 외국 원조를 바탕으로 산업체들은 현대 기술을 도입하고 생산량을 늘려 산업 확장에 재투자했다.
1989년 대한민국 경제 침체는 산업 부문에 우려를 불러일으켰다. 산업통상자원부 분석가들은 수출 실적 감소가 원화 강세, 임금 및 노동 비용 증가, 잦은 파업, 높은 금리 등 구조적 문제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 결과, 여러 전자, 자동차, 섬유 제조업체에서 재고 증가와 생산 감축이 발생했다. 노동 의존도를 줄이고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공장 자동화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1990년, 한국 제조업체들은 미래 생산 계획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전환할 계획을 세웠다. 정부 관계자, 학자 및 기업 지도자들은 신소재, 메카트로닉스(산업용 로봇 포함), 생명공학,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정밀화학 및 항공우주와 같은 상품 생산에 대한 계획 회의를 개최했다.
한국은 전자 제품, 섬유, 선박, 자동차 및 철강과 같은 완제품을 수출하여 경제 성장을 촉진하고 있다. 주요 제조업 분야로는 철강, 자동차, 조선, 전자 산업 등이 있으며, 각 분야별 현황과 경쟁력은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다.
4. 2. 1. 철강 산업
대한민국의 철강 산업은 제대로 계획되지 않은 상태로 시작되었다.[199] 1945년 해방 이후에는 대부분의 시설이 북한에 있었고, 남아있는 시설도 낡거나 한국 전쟁으로 파괴되어 1960년대 이전에는 철강재 생산 시설이 거의 없었다.[199] 이 때문에 국내 철강재 수요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거나, 낡은 시설을 고치거나 새로 만들어 중소기업에서 소규모로 생산하는 방식으로 충당되었다.[199]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중심으로 한 정부의 공업화 계획에 따라 인천중공업(인천제철이 흡수 합병), 삼화제철(동국제강이 흡수 합병), 동국제강 등의 공장 시설이 보수 및 확장되고, 한국철강, 연합철강, 일신제강(일신산업이 일신제강을 흡수 합병하여 상호변경) 등의 철강 공장이 새로 건설되면서 철강업 발전의 기반이 마련되었다.[199] 제2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에 따라 인천제철 등이 새로 건설되면서 금속 및 기계공업이 정부의 핵심 개발 산업으로 선정되었다.[199] 기존 시설의 확장과 보수가 활발히 진행되고 공장이 정상 가동되면서 철강재 생산 능력이 크게 늘어났다.[199]
1960년대 대한민국의 철강 공업은 생산 면에서 급속한 성장을 이루었다.[199] 1962년 14만 톤이던 철강재 생산량은 1974년 329만 톤, 1976년에는 411만 톤으로 1962년의 29배 수준으로 증가했으며, 특히 1973년 포항제철 가동 이후 생산량 증가가 두드러졌다.[199] 1976년 철강재 수입은 주로 반제품, 특수강 제품, 대형 형강 등 약 74만 톤이었다.[199] 그러나 제품 부문에만 치우쳐 소재 부문과의 구조적 불균형이 발생했고, 제2차 경제개발계획 기간(1967년~1971년) 중 철강 공업의 다각적인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장기적인 철강 공업 육성 계획이 수립되었다.[199] 1973년 6월, 연간 103.2만 톤 규모의 포항제철이 준공되었다.[199]
포항제철의 비약적인 생산 능력 증가로 한국 철강 공업은 선진국과 달리 생산 설비를 지속적으로 확대하여 1993년 조강 생산 능력이 연간 3,300만 톤에 달했다.[199] 이는 세계 6위 수준으로, 설비 규모 면에서 한국은 중진 철강국에서 선진 철강국으로 성장했다고 볼 수 있다.[199] 포항제철 외에도 기타 전기로 업체들이 노후 설비 교체 등 설비 합리화를 통해 생산 능력을 늘렸으며,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이다.[199] 한국 철강업은 규모 면에서 크게 성장했지만, 철강 시장의 고급화, 고기능화 추세에 맞춰 신기술 및 신강종 개발에 힘쓰고 있다.[199]
4. 2. 2. 자동차 산업
대한민국의 자동차 산업은 2015년 현재 세계 자동차 생산량 5위를 기록할 정도로 성장했다.[201] 초기에는 외국 부품을 조립하는 수준이었으나, 1980년대 후반에는 생산 능력이 크게 확대되어 1988년에 연간 생산량 100만 대를 넘어섰다.[80] 1990년대에는 디자인, 성능, 기술 면에서 경쟁력을 갖춘 모델들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1980년대 후반, 자동차 및 부품 제조에 대한 투자는 30억 달러를 넘었으며, 1988년 총 생산량은 110만 대(버스, 트럭 포함)에 달했다.[80] 1989년에는 약 130만 대가 생산되었으며, 이 중 대부분은 승용차였다. 승용차 생산량은 1985년 약 26만 3천 대에서 1989년 약 84만 6천 대로 크게 증가했다.[80] 1988년 자동차 수출량은 57만 6,134대였으며, 이 중 83.3%인 48만 119대가 미국으로 수출되었다.[80]
1980년대 후반 대한민국 자동차 산업의 성장은 수출 증가에 힘입은 바가 컸으나, 1989년에는 미국의 자동차 판매 부진과 국내 노동 분쟁으로 인해 수출이 감소하기도 했다.[80]
한국 전쟁 이후 대한민국은 산업 부문의 성장을 통해 경제 발전을 이루었다. 1986년 제조업은 국내총생산(GDP)의 약 30%, 노동력의 25%를 차지했다.[43] 정부의 지원과 외국 원조를 바탕으로 산업체들은 현대 기술을 도입하고 생산량을 늘려 산업 확장에 재투자했다.
5·16 군사정변 이후 박정희 정부는 보호무역주의 경제 정책과 수출 주도형 산업화 정책을 추진했다. 재벌들은 세금 감면, 저렴한 자금 조달 등 국가 지원을 받으며 성장했고, 국내 경제를 지배하며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추게 되었다.[44] 1980년대까지 대한민국은 저소득 국가에서 중소득 국가로 발전했다.[44]
현대자동차그룹은 매출, 생산량, 세계적 입지 면에서 대한민국 최대 자동차 제조업체이다.
4. 2. 3. 조선 산업
1970년대와 1980년대에 한국은 유조선과 유전 시추 시설을 포함한 선박의 주요 생산국으로 부상했다. 현대는 1970년대 중반 울산에 100만 톤급 건식 도크를 건설했으며, 대우는 1980년 조선업계에 진출하여 1981년 중반 거제도 옥포에 120만 톤급 시설을 완공했다.[79]1980년대 중반, 석유 과잉 생산과 전 세계적인 불황으로 조선업계는 침체기를 겪었다. 1988년 신규 수주는 총 300만 총톤으로 19억달러에 달했는데, 이는 전년 대비 각각 17.8%, 4.4% 감소한 수치였다. 이러한 감소는 노동 불안, 서울의 재정 지원 기피, 일본 조선업체 지원을 위한 도쿄의 새로운 저금리 수출 금융 때문이었다.[79]
그러나 세계 선대의 노후 선박 교체 필요성으로 인해 한국 조선업계는 1990년대 초 확장될 것으로 예상되었다.[79] 한국은 결국 세계 조선업계를 장악하여 2008년 기준으로 세계 조선 시장의 50.6%를 점유했다. 대표적인 한국 조선업체로는 HD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한화오션이 있으며, STX조선해양은 현재 파산했다.

4. 2. 4. 전자 산업
전자산업은 대한민국의 주요 산업 중 하나이다. 198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삼성, LG, SK그룹과 같은 한국 기업들이 한국의 경제 성장을 이끌었다. 2017년 기준, 대한민국 수출의 17.1%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생산한 반도체였다. 삼성과 LG는 또한 텔레비전,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컴퓨터와 같은 전자 기기의 주요 생산업체이기도 하다.
1973년부터 대한민국 정부는 한국수출입은행과 국가 투자 기금을 사용하여 박정희 정부가 6대 전략 산업(철강, 비철금속, 조선, 산업 기계, 전자, 석유화학)으로 간주하는 분야에 많은 자금을 투자했다.[52] 이러한 개발 방식은 당시 세계은행을 포함한 한국 외부에서 자주 비판을 받았다.[52] 그러나 이 전략은 성공적이었고, 결국 삼성과 포스코와 같은 기업의 발전을 돕고 하류 산업의 생산 투입 비용을 절감하는 데에도 기여했다.[52]
1990년, 한국 제조업체들은 미래 생산 계획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전환할 계획을 세웠다. 1989년 6월, 정부 관계자, 학자 및 기업 지도자들로 구성된 패널은 신소재, 메카트로닉스(산업용 로봇 포함), 생명공학,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정밀화학 및 항공우주와 같은 상품 생산에 대한 계획 회의를 개최했다.
오늘날 한국은 성숙한 모바일 시장의 발판으로 알려져 있으며, 개발자들은 기술적 제약이 거의 없는 시장에서 번창하고 있다. 한국의 4G 및 5G 인터넷 인프라를 사용하여 새로운 유형의 미디어나 앱을 발명하는 추세가 증가하고 있다. 한국은 오늘날 인구 밀도와 문화를 충족할 수 있는 인프라를 갖추고 있으며, 이는 강력한 지역적 특수성을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70]
4. 3. 서비스업
대한민국에서 서비스업은 국민 총생산의 절반 가량을 차지한다.[198] 한국 경제의 급속한 성장과 외국과의 무역 거래 확대는 서비스업의 발달을 촉진했으며, 금융업도 함께 발달했다.4. 3. 1. 금융 산업
한국 경제의 급속한 성장과 외국과의 무역 거래 확대는 서비스업과 금융업의 발달을 촉진했다. 이에 따라 다국적 기업들이 대한민국에 본사 및 지사를 설립하고 있으며, 외국인들의 투자도 비교적 자유로운 편이다.[198]4. 3. 2. 통신 산업
국제전기통신연맹(ITU)에 1952년 1월 가입하고, 1966년 8월 별정우편제도를 창설, 1970년 금산 위성통신지구국 개통, 1971년 3월 서울∼부산간 장거리자동전화(DDD) 개통 등을 거치며 한국의 통신사업은 1970년대 초 현대화의 기반을 구축하게 되었다.[202] 1979년에는 서울과 미국, 홍콩, 일본 간 국제속달 우편제도가 설치되어 무역 분야에 큰 영향을 주었다.[202]1980년대에는 전화 적체 현상 해소와 시설 확장을 위한 재원 확보를 위해 '통신시설확장에 관한 임시조치법'이 제정·공포되었고, 이에 따라 전신·전화공채가 발행되어 전화 신규 가입자 등은 의무적으로 인수하게 되었다.[202] 1982년 1월 1일 한국전기통신공사가 발족되어 체신부로부터 전기통신사업 경영 등을 이관받았으며, 체신부는 전기 통신 행정업무만을 관장하게 되었다.[202] 같은 해 4월에는 한국데이터통신 주식회사가 설립되어 데이터 통신 시대의 개막을 알렸다.[202]
오늘날 한국은 성숙한 모바일 시장의 발판으로 알려져 있으며, 4G 및 5G 인터넷 인프라를 기반으로 새로운 유형의 미디어나 앱을 발명하는 추세가 증가하고 있다.[70]
4. 3. 3. 관광 산업
2012년에는 1110만 명의 외국인 관광객이 대한민국을 방문하여 세계에서 가장 많이 방문하는 국가 중 하나가 되었으며,[92] 2010년 850만 명에서 증가했다.[93] 한류의 부상으로 아시아 전역에서 많은 관광객들이 한국을 방문한다.서울은 주요 관광지이며, 서울 외곽의 인기 관광지는 설악산 국립공원, 역사 도시 경주, 아열대성 제주도가 있다.
4. 4. 건설업
1960년대 초부터 건설업은 한국의 중요한 수출 산업이자 외화 획득의 주요 원천이었다. 1981년까지 해외 건설 프로젝트는 대부분 중동 지역에서 이루어졌으며, 한국 건설업체가 수행한 작업의 60%를 차지했다. 그 해 계약 금액은 137억달러였다. 그러나 1988년 해외 건설 계약 총액은 26억달러(중동 지역 수주액은 12억달러)에 불과했는데, 이는 전년 대비 1% 증가에 그쳤다. 반면 국내 건설 프로젝트 신규 수주액은 138억달러로 1987년 대비 8.8% 증가했다.[84]1980년대 후반, 한국 건설업체들은 급성장하는 국내 시장에 집중했다. 1989년에는 해외 건설 시장이 회복될 조짐을 보였는데, 동아건설은 리비아의 대인공강 프로젝트 2단계(및 그 이후 단계) 건설 계약을 53억달러에 체결했다. 한국 건설업체들은 1989년 70억달러가 넘는 해외 계약을 체결했다.[84]

1970년대 중동 건설시장을 누비던 한국의 해외 건설 사업은 1982년을 기점으로 급격하게 하향곡선을 그렸다. 2차 석유파동의 여파로 중동 산유국의 건설 투자가 줄어들면서, 중동에 진출해 있던 100여 개의 한국 건설사들은 해외 건설 무대에서 밀려났다. 1982년 133억달러를 기록한 해외 건설 수주고는 1983년 들어 101억달러로 감소했다.[203]
KDI에서 발간한 2019년 하반기 경제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 11월 현재 주택부문을 중심으로 한 건설투자 감소세가 큰 폭으로 지속되고 있다. 2020년 국내 건설투자는 토목부문이 건축부문의 감소세를 상쇄하면서 부진이 완화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다만 토목부문 건설수주는 2019년 대규모 민자 철도 사업 수주에도 불구하고 도로, 교량, 발전, 송전 수주 부진으로 인해 2018년 3/4분기 대비 14.4% 감소하였다. 보고서는 2019년 SOC 예산이 2018년 대비 4.0% 증가하였고, 2020년 SOC 예산이 예산안 기준으로 2019년 대비 12.9% 증가될 예정이므로 토목부문의 기여도가 크게 확대될 것이라 하였다.
대한건설협회가 발표한 2020년 5월 월간건설경제동향을 보면, 국내건설수주액은 2019년 5월 대비 37.4% 증가했다. 민간분야 건축공사 중 재개발이 281.6%, 재건축이 108.1%로 큰 증가폭을 보였다. 그러나 2019년 5월 수주액이 상대적으로 낮아 기저효과를 고려해야 한다. 국내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세가 줄어들면서 소비 등 비제조 분야 중심으로 경기회복세를 보여 건설관련 선행지표는 개선되었으나, 6.17 부동산 대책, 전세계 코로나 바이러스 유행으로 인해 여전히 경기불확실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국내건설수주액은 총 15조원 (2019년 5월 대비 37.4% 증가) 중 공공부문에서 2조원 (2019년 5월 대비 11.9% 증가), 민간부문에서 12조원 (2019년 5월 대비 44.8% 증가)을 기록했다. 건설고용인구는 197만 9천명으로 2020년 4월 대비 3% 감소하였다. 경상 기준 국내건설 기성액은 2019년 5월 대비 4.9% 증가하였다. 공공부문이 5% 증가, 민간부문은 7% 감소했으며, 공종별로는 토목이 3.7% 증가, 건축이 7.8% 감소했다.
한국 최대 건설업체로는 삼성물산이 있으며, 삼성물산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건물 중 일부이자 가장 주목할 만한 마천루(페트로나스 트윈 타워, 타이페이 101, 부르즈 할리파 등 연속 3개의 세계 최고층 건물 포함)를 건설했다.[85][86]
4. 5. 방위 산업
1960년대 대한민국은 무장 세력에 대한 지원을 미국에 의존했지만, 1970년대 초 리처드 닉슨 대통령의 베트남화 정책 수립 이후, 자체 무기 생산을 시작했다.[87]1980년대 이후, 대한민국은 국제 무역 증진을 위해 군사 장비 및 기술 수출을 시작했다. 주요 군사 수출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다.
품목 | 수입국 |
---|---|
T-155 피르티나 자주포 | 터키 육군 |
K11 공중 폭발 소총 | 아랍에미리트 연합군 |
방반두급 유도 미사일 호위함 | 방글라데시 해군 |
시리우스급 함대 유조선 | 호주 왕립 해군, 뉴질랜드 왕립 해군, 베네수엘라 볼리바르 해군 |
마카사르급 상륙함 | 인도네시아 해군 |
KT-1 훈련기 | 터키 공군, 인도네시아 공군, 페루 공군 |
대한민국은 또한 다른 국가의 첨단 군사 장비의 다양한 핵심 부품을 수출한다. 싱가포르가 사용할 F-15K 전투기와 AH-64 공격 헬리콥터의 동체는 한국항공우주산업에서 제작한다.[88] 삼성그룹은 러시아의 S-300 방공 시스템을 공동 생산했으며, STX 조선에서 생산될 미스트랄급 상륙함을 러시아에 판매하는 것을 촉진했다.[89] 이 계약은 2014년 우크라이나 사태에서 러시아의 행동으로 인해 취소되었고, 함선은 이집트에 판매되었다.[90] 대한민국의 방위 수출은 2008년 10.3억달러, 2009년 11.7억달러였다.[91]
5. 경제 지표
다음은 1980년부터 2018년까지 대한민국의 주요 경제 지표를 나타낸 표이다.[195]
연도 | GDP (단위: bn. US$ PPP) | 1인당 GDP (단위: US$ PPP) | GDP 성장률 (실질) | 인플레이션 비율 (백분율) | 실업률 (백분율) | 정부 부채 (GDP 중 %) |
---|---|---|---|---|---|---|
1980 | 854억달러 | 2240USD | 5.2% | n/a | ||
1981 | 1002억달러 | 2587USD | 21.4% | n/a | ||
1982 | 1152억달러 | 2929USD | 8.3% | 7.2% | 4.1% | n/a |
1983 | 1356억달러 | 3396USD | 13.2% | 3.4% | n/a | |
1984 | 1551억달러 | 3839USD | 10.4% | 2.3% | 3.9% | n/a |
1985 | 1724억달러 | 4225USD | 7.8% | 2.5% | 4.0% | n/a |
1986 | 1956억달러 | 4747USD | 11.2% | 2.8% | 3.8% | n/a |
1987 | 2254억달러 | 5417USD | 12.5% | 3.0% | 3.1% | n/a |
1988 | 2612억달러 | 6214USD | 11.9% | 7.1% | 2.5% | n/a |
1989 | 2905억달러 | 6844USD | 7.0% | 5.7% | 2.6% | n/a |
1990 | 3310억달러 | 7720USD | 9.8% | 8.6% | 2.5% | 12.9% |
1991 | 3775억달러 | 8721USD | 10.3% | 9.3% | 2.5% | 12.1% |
1992 | 4100억달러 | 9373USD | 6.2% | 6.2% | 2.5% | 11.8% |
1993 | 4485억달러 | 10148USD | 6.8% | 4.8% | 2.9% | 11.0% |
1994 | 5002억달러 | 11206USD | 9.2% | 6.3% | 2.5% | 9.8% |
1995 | 5596억달러 | 12410USD | 9.6% | 4.5% | 2.1% | 8.7% |
1996 | 6131억달러 | 13468USD | 7.6% | 4.9% | 2.1% | 8.0% |
1997 | 6607억달러 | 14376USD | 5.9% | 4.4% | 2.6% | 9.9% |
1998 | 6315억달러 | 13644USD | -5.5% | 7.5% | 7.0% | 14.2% |
1999 | 7131억달러 | 15297USD | 11.3% | 0.8% | 6.6% | 16.2% |
2000 | 7900억달러 | 16805USD | 8.4% | 2.3% | 4.4% | 16.6% |
2001 | 8465억달러 | 17870USD | 4.9% | 4.1% | 4.0% | 17.2% |
2002 | 9263억달러 | 19442USD | 7.4% | 2.8% | 3.3% | 17.0% |
2003 | 9732억달러 | 20321USD | 3.1% | 3.5% | 3.6% | 19.8% |
2004 | 1.0514000000000001조달러 | 21866USD | 5.2% | 3.6% | 3.7% | 22.4% |
2005 | 1.1308조달러 | 23469USD | 4.3% | 2.8% | 3.8% | 25.9% |
2006 | 1.2264000000000002조달러 | 25318USD | 5.3% | 2.3% | 3.5% | 28.1% |
2007 | 1.3323조달러 | 27368USD | 5.8% | 2.5% | 3.3% | 27.4% |
2008 | 1.3992조달러 | 28523USD | 3.0% | 4.7% | 3.2% | 26.9% |
2009 | 1.421조달러 | 28820USD | 0.8% | 2.8% | 3.6% | 30.0% |
2010 | 1.5354조달러 | 30985USD | 6.8% | 2.9% | 3.7% | 29.5% |
2011 | 1.6253조달러 | 32547USD | 3.7% | 4.0% | 3.4% | 30.2% |
2012 | 1.6962000000000002조달러 | 33790USD | 2.4% | 2.2% | 3.2% | 30.8% |
2013 | 1.7806조달러 | 35310USD | 3.2% | 1.3% | 3.1% | 33.7% |
2014 | 1.8716조달러 | 36882USD | 3.2% | 1.3% | 3.5% | 35.5% |
2015 | 1.9443조달러 | 38112USD | 2.8% | 0.7% | 3.6% | 37.3% |
2016 | 2.0222조달러 | 39484USD | 2.9% | 1.0% | 3.7% | 37.6% |
2017 | 2.1255조달러 | 41331USD | 3.2% | 1.9% | 3.7% | 37.7% |
2018 | 2.2353조달러 | 43290USD | 2.7% | 1.5% | 3.8% | 37.9% |
다음은 대한민국의 경제 성장률(%) 추이를 나타낸 것이다.
- 2004년: 4.9%
- 2005년: 3.9%
- 2006년: 5.2%
- 2007년: 5.5%
- 2008년: 2.8%
- 2009년: 0.7%
- 2010년: 6.5%
- 2011년: 3.7%
- 2012년: 2.3%
- 2013년: 2.9%
- 2014년: 3.3%
- 2015년: 2.8%
- 2016년: 2.9%
- 2017년: 3.1%
- 2018년: 2.7%
- 2019년: 2.0%
- 2020년: -1.0%
통계청 경제성장률(기준년도 가격 GDP) (OECD)[166]
다음은 대한민국의 인플레이션 비율(%) 추이를 나타낸 것이다.
- 2003년: 3.5%
- 2004년: 3.6%
- 2005년: 2.8%
- 2006년: 2.2%
- 2007년: 2.5%
- 2008년: 4.7%
- 2009년: 2.8%
- 2010년: 3.0%
- 2011년: 4.0%
한국통계청 데이터베이스 참조.[167]
다음은 대한민국의 실업률(%) 추이를 나타낸 것이다.
:2003년: 3.6% (15-19세 13.0%, 20-29세 7.7%)
:2004년: 3.7% (15-19세 14.1%, 20-29세 7.9%)
:2005년: 3.7% (15-19세 12.5%, 20-29세 7.7%)
:2006년: 3.5% (15-19세 10.4%, 20-29세 7.7%)
:2007년: 3.2% (15-19세 9.3%, 20-29세 7.1%)
:2008년: 3.2% (15-19세 10.2%, 20-29세 7.0%)
:2009년: 3.6% (15-19세 12.2%, 20-29세 7.9%)
:2010년: 3.7% (15-19세 11.9%, 20-29세 7.8%)
:2011년: 3.4% (15-19세 10.8%, 20-29세 7.4%)
괄호 안은 15세-19세, 20세-29세 청년실업률이며, 구직 단념자와 무직자는 통계에 포함하지 않는다. 한국통계청 데이터베이스 참조.[168]
한국에서는 실업자의 정의가 매우 좁아, 일하지 않는 많은 사람들이 실업자로 분류되지 않는다.[169] 2011년 10월 27일 동아일보 기사에 따르면, 국제노동기구(ILO) 표준 설문 방식으로 조사하면 잠재실업률은 21.2%에 달한다. 한국의 실업률은 OECD 34개 회원국 중 최저 수준이지만, 고용률은 하위권에 속한다.
6. 재벌
대한민국 경제에서 재벌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왔다. 삼성, 현대, SK, LG 등 주요 재벌 그룹은 한국 경제의 성장을 이끌었으며, 국가 경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160] 특히 삼성그룹은 2019년 한국 GDP의 19.4%를 차지할 정도로 높은 의존도를 보이고 있다.[161]
1961년 박정희 대통령은 재벌의 자금을 몰수하여 국민에게 환원하는 정책을 통해 국민적 지지를 얻었다.[147] 이후 재벌은 정부의 지원을 받으며 성장했다. 베트남 전쟁 파병은 재벌 성장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150] 한국군 병사와 민간인들의 송금액은 연간 1억 2천만 달러에 달했고, 1969년 한국 외화 수입의 20%를 차지했다.[150] 정부는 공훈을 세운 재벌들에게 세제 혜택, 자금 지원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했다.[152]
그러나 재벌 중심의 경제 구조는 여러 문제점을 낳았다. 1997년 아시아 외환 위기 당시, 현대와 대우그룹이 해체되는 등 재벌 체제의 취약성이 드러났다.[162] 외환 위기 이후 재벌 기업들은 시장 과점화를 통해 이익을 얻고, 외국인 주주의 비중이 높아졌다.
최근에는 재벌 중심 경제 구조의 문제점에 대한 비판과 함께 재벌 개혁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191]
7. 경제 문제
대한민국은 2023년 경제적 전환기를 맞이했다. 중국 제조업의 성장과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제조업 부문은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S&P Global에 따르면, 대한민국의 최대 교역국 중 하나인 중국으로의 제조품 수출은 2022년 4분기에 4.4% 감소했고, 2023년 1월에는 31% 감소했다.[71] 주력 산업인 전자 제조업도 침체를 겪고 있다. 정보통신기술(ICT)이 2022년 대한민국 전체 수출의 34%를 차지했지만, 연말에는 24%로 감소했다.[71]
많은 제조업의 침체로 대한민국은 경기 침체를 겪고 있다. 많은 경제학자들은 이러한 산업 둔화의 원인을 악화되는 세계 경제 상황으로 지적한다. 대한민국의 물가 상승률은 꾸준히 상승하고 있으며, 가계 부채, 인구 문제, 생산성 문제 등 국내 경제 문제는 대한민국 경제 성장을 저해하는 주요 재정 및 통화 정책 요인이다.
코로나19의 확산으로 민간 소비가 감소하고 공급 부문의 병목 현상이 발생했다. 한국은행은 코로나19 확산 이후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약 3% 상승했다고 밝혔다. 다른 국가들에 비해 대한민국의 금리가 낮았다는 점을 감안할 때, 주택 가격 상승과 가계 부채는 대한민국 경제의 문제점 중 하나가 되었다.[72] 정부는 물가 상승을 안정시키기 위해 1440억달러를 투자하는 "한국판 뉴딜" 정책을 시행했다.[73]
대한민국 기획재정부는 2023년 8월 새로운 성장 전략 4.0을 발표했다. 새로운 성장 전략은 대한민국의 장기 산업 성장을 위한 프로젝트를 제시한다.[74] 대한민국 정부는 미래에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 정책 및 투자의 초점을 신흥 산업으로 설정하는 새로운 성장 4.0 프로젝트를 추진하며, 주요 지침으로 다음을 제시한다.
# AI 반도체 산업 육성 및 기업 간 협력 생태계 구축
# 도심항공교통(UAM) 산업 글로벌 시장 주도
# 수전해를 통한 청정 수소 생산 기술 확보
# 자율 주행 기술 발전
# 배터리 재제조 및 재사용 시장 확대
# 민간 주도 마이데이터 기반 서비스 확장
# 연구 장비 또는 시설 주문 절차 간소화를 통한 행정 부담 완화
대한민국은 우수한 의료 시스템, 생명 공학 기술, AI 기술을 보유한 국가 중 하나이다. 대한민국의 의료 산업 가치는 약 67억달러로 예상되는 반면, 의료 기술 시장은 115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75][76] 의료 산업의 연간 예상 성장률은 6%가 넘는 것으로 나타나, 이 산업의 밝은 미래를 보여준다. 많은 경제학자들은 AI 기술을 도입함으로써 대한민국이 바이오 의료 산업 선도 국가가 될 것이라고 제시한다.
7. 1. 양극화
아시아 외환 위기 이후 대한민국 경제는 시장의 과점화와 외국 자본 유입으로 인해 대기업 중심의 경제 구조가 심화되었다. 대기업 수출 기업들은 외국인 주주 비중이 높아지고, 인건비 절감과 세제 혜택을 통해 이익을 극대화하는 반면, 사회보장 지출은 OECD 회원국 중 최저 수준에 머물러 소득 불평등이 심화되었다.김대중 정부의 신용카드 진흥책은 내수 확대를 가져왔지만, 2003년경 파산 급증으로 인한 금융 공황과 내수 부진을 초래했다. 2000년대 이후 한국 기업들은 저렴한 인건비를 찾아 중국 등으로 생산 거점을 이동하면서 산업 공동화 우려가 커졌다. 또한, 한국은 노동 시간이 길고,[163] 노동 생산성이 낮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2010년대 이후 "헬조선", "스푼 계급론", "삼포 세대" 등의 속어는 치열한 입시 경쟁, 심화된 격차, 높은 자살률 등 한국 사회의 어려움을 반영한다. 특히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합계출산율이 급격히 감소하여 2020년에는 0.84를 기록, 사상 처음으로 인구가 자연 감소하는 등 극심한 저출산 현상을 겪고 있다. 이는 고령화와 인구 감소를 가속화시켜 미래 사회에 큰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165]
7. 2. 청년 실업
2010년대 이후 "헬조선", "스푼 계급론", "삼포세대" 등, 입시 경쟁의 치열함과 격차 심화, 부패한 정치, 높은 자살률 등 한국 사회의 어려움을 한국 국민 스스로 한탄하는 속어가 잇따라 등장하고 있다.[165]한국의 실업률은 OECD 34개 회원국 중 최저 수준이지만, 고용률은 하위권에 속한다. 한국에서는 실업자의 정의가 매우 좁아, 일하지 않는 많은 사람들이 실업자로 분류되지 않는다.[169] 2011년 10월 27일 동아일보 기사에 따르면, 국제노동기구(ILO) 표준 설문 방식으로 조사하면 잠재실업률은 21.2%에 달한다고 한다.
다음은 2003년부터 2011년까지의 연도별 실업률 통계이다. (괄호 안은 15세-19세, 20세-29세 청년실업률이며, 구직 단념자와 무직자는 통계에 포함하지 않음[168])
연도 | 전체 실업률 | 15-19세 실업률 | 20-29세 실업률 |
---|---|---|---|
2003년 | 3.6% | 13.0% | 7.7% |
2004년 | 3.7% | 14.1% | 7.9% |
2005년 | 3.7% | 12.5% | 7.7% |
2006년 | 3.5% | 10.4% | 7.7% |
2007년 | 3.2% | 9.3% | 7.1% |
2008년 | 3.2% | 10.2% | 7.0% |
2009년 | 3.6% | 12.2% | 7.9% |
2010년 | 3.7% | 11.9% | 7.8% |
2011년 | 3.4% | 10.8% | 7.4% |
7. 3. 가계 부채
대한민국의 총부채(정부 부채+기업 부채+가계 부채)는 2012년 6월 말 기준 국내총생산(GDP)의 234%에 달했다. 이는 한 해 생산량보다 2.34배 많은 빚을 정부, 기업, 가계가 나눠서 진 것이다.[1]GDP 대비 총부채 비율은 2000년 152%, 2004년 162%였지만, 2007년 202%, 2010년 215%로 급등했다.[1]
7. 4. 저출산·고령화
한국은 2010년대 이후 "헬조선(지옥 같은 조선반도라는 의미)", "스푼 계급론", "삼포 세대" 등 입시 경쟁의 치열함과 격차 심화, 부패한 정치, 높은 자살률 등 한국 사회의 어려움을 국민 스스로 한탄하는 속어가 잇따라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인구 구조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165]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인 2017년부터 합계출산율 감소가 두드러져, 2018년에는 0.98(선진국 인구 대체 수준은 2.08 정도)을 기록, OECD 회원국 중 두 번째로 낮은 스페인의 1.23보다 크게 낮아 최저 수준이다. 2020년에는 0.84로 더 낮아졌으며, 이 해 한국 인구는 사상 처음으로 자연 감소했다. 세계적으로 드문 극심한 저출산으로 고령화, 인구 감소가 빠르게 진행되어, 2065년 고령화율은 47%로 일본(38%)을 크게 상회하여 세계 최고 수준이 되고, 반대로 생산 연령 인구 비율은 45%로 세계 최저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165]8. 경제 정책
대한민국 수립 이후, 6.25 전쟁을 겪으면서 한국 경제 발전은 이승만 정권의 기술 관료 양성에서 시작되어 국토 재건 사업으로 이어졌다. 1950년대 한국 경제는 미국의 원조 경제 체제였다.[188] 1960년대에는 4.19 혁명으로 장면 정권이 들어섰으나, 5·16 군사정변으로 경제 개발 계획은 실행되지 못했다.
군사정권인 제3공화국은 국가 중심 경제 체제를 강화하여 경공업 중심의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을 추진했다.[188] 1970년대에는 철강, 조선, 전자 등 중공업을 육성했으나, 오일 쇼크로 국제 수지가 악화되고 인플레이션이 발생했다. 이를 극복하고자 중동 건설 경기를 이용했다.[188]
1980년대 전두환 정권은 중화학 공업 과잉 투자 정책을 조정하고 부실기업을 정리했으며, 3저 호황으로 경제가 안정되었다.[189] 1990년대에는 자본시장과 금융시장을 개방하고, 1993년 쌀 개방을 추진했으며, 1995년 세계 무역 기구(WTO), 1996년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에 가입했다.[190] 1997년 IMF 구제금융사건 이후 김대중 정부는 신자유주의 경제 정책을 추진했다.[190]
2009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국민소득이 감소했지만, 2010년 높은 경제성장률을 달성하며 회복했다. 정치권에서는 대한민국 제19대 총선 이후 ''재벌해체론''은 사라졌지만, 반기업 정서가 반영되기 시작하였다.[191]
박정희는 소련식 사회주의를 모방하여 5개년 계획을 통해 경제 재건을 시도했다.[148] 또한, 베트남 파병을 통해 경제적 이득("베트남 특수")을 얻었다.[150][151]
냉전 시대, 한국은 미국과 일본의 지원으로 국제 경쟁력을 갖춘 국가로 성장했다.[154][155][156][157] 1986년 이후에는 경제 정책을 전환하여 유럽 연합, 중국 등으로 수출을 다변화했다.[159]
2018년에는 근로기준법이 개정되어 주당 최대 근로시간 단축, 18세 미만 근로자 근로시간 단축, 법정 유급휴가 의무화 등이 이루어졌다.
대한민국 기획재정부는 2023년 8월 새로운 성장 전략 4.0을 발표했다.[74]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분야 | 내용 |
---|---|
AI 반도체 산업 | 육성 및 기업 간 협력 생태계 구축 |
도심항공교통(UAM) 산업 | 도심항공교통(UAM) 산업 글로벌 시장 주도 |
수소 | 수전해를 통한 청정 수소 생산 기술 확보 |
자율주행 | 자율주행 기술 발전 |
배터리 | 배터리 재제조 및 재사용 시장 확대 |
마이데이터 | 민간 주도 마이데이터 기반 서비스 확장 |
연구 | 연구 장비 또는 시설 주문 절차 간소화를 통한 행정 부담 완화 |
9. 교통
대한민국은 우측 통행을 하며, 자동차 운전석은 왼쪽에 있다. 4,000km에 달하는 31개의 고속도로 및 국도, 지방도 등의 도로가 있어 국내 교통을 담당하고 있다. 현재 경부고속도로는 노선의 일부[204]이며 국도 제7호선은 노선의 일부이다. 1990년대 이후 민간 자본을 투자한 민자 고속도로와 민자 역사 시설 운영도 진행되고 있는 한편, 공기업 형태의 도로교통공단이 기타 도로·철도 시설의 안전을 관리하고 있다.[205]
대한민국의 도시철도는 수도권지역과 부산,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광주광역시 등에서 운행되고 있다. 1974년 8월 15일 처음으로 개통된 수도권지역은 1~9호선과 분당선, 중앙선, 경의선, 경춘선, 인천지하철까지 총 14개 노선이 운행되고 있으며 504개 역, 길이 755km로 전국에서 가장 규모가 크다. 기본요금은 교통카드 이용 시 최초 10km까지 1,250원, 1회용 교통카드 이용 시 1,350원이며, 5km 초과 시마다 100원씩 추가된다. 1~8호선과 분당선, 중앙선, 경의선은 서울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 등이 노선에 따라서 운영하고 있으며 서울9호선운영이 운영하는 9호선은 유일한 민영 지하철로써 요금은 같고 타 노선이나 버스 간의 기본 환승 요금도 무료이다. 서울 도시철도의 하루 평균 이용객은 약 800만 명으로 버스보다 많아 서울시 대중교통의 핵심으로 꼽힌다. 1985년 개통된 두 번째로 큰 부산 도시철도는 4개 노선이 운행되고 있으며, 이외에도 대구, 대전, 광주 등 일부 광역시들을 중심으로 도시철도가 계속 건설 중이다. 요금은 각 지자체에서 따로 규정하여 조금씩 다르다. 복지 정책으로 65세 이상의 노인과 장애인, 국가유공자는 무임으로 승차할 수 있다.
대한민국의 도시철도는 대체로 운행 시간이 정확하고 위생환경과 전반적인 이용이 쾌적하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으나 실내 먼지 오염 농도가 높고, 출퇴근 시간에 사용자가 많은 일부 역에서 극심한 혼란이 빚어지는 등 개선점도 지적되고 있다. 또한, 과거에는 의자 등의 내부 자재들을 합성수지로 된 쿠션을 많이 사용하였으나 2003년 대구 지하철 화재사고 이후로 모든 자재들을 불연성 재질로만 사용하도록 규정이 변경되어 현재 모든 지하철과 전철에 적용되어 있고 방독면이나 소화기 등도 잘 비치되어 있다.
이 외에 선로 추락 사고나 자살 등을 예방하기 위한 대책으로 승강장에 스크린도어를 설치하는 작업이 진행 중이며 현재 131개 역에 설치가 완료되었고, 2009년 안에 모든 역에 스크린도어를 설치할 계획에 있다.[206]
서울의 버스는 중·장거리 지역을 운행하는 '간선버스(파란색)'와 지하철역과 버스정류장을 연결하는 노선을 운행하는'지선버스(초록색)', 서울과 수도권을 직행으로 운행하는 '광역버스(붉은색)', 그리고 마을버스와 순환버스 등으로 나뉜다. 2004년 7월부터 도입된 이 시스템은 환승 제도와 함께 시행되었으며 서울과 경기도, 인천까지 환승 할인을 받을 수 있다.[207] 버스와 버스 혹은 지하철과 버스 간의 환승 시에 추가로 요금이 지불되지는 않으며 하차 시 버스카드 리더기에 인식시키면 거리에 따라 요금이 정산되어 최초 10km까지는 기본요금, 5km 초과 시마다 100원씩 추가 요금이 지불된다. 광역버스의 기본요금은 1,800원에 버스카드 이용 시 1,700원이며, 환승 시 최초 30km까지 기본요금을 적용하고 이후 5km마다 100원씩 추가된다. 간선버스의 노선은 108개, 지선버스 292개, 광역버스 43개, 순환버스 5개 노선 등 총 420개 노선, 7,967대 버스가 모두 민영으로 운영되고 있다. 서울의 버스 하루 평균 이용객은 약 500만 명으로 대중교통 중에 지하철 다음으로 많으며,[208] 전국적으로 버스의 하루 평균 이용객 수는 1,462만 명이다.
개선점으로는 일반 버스들의 출입문이 높고 폭이 좁아 장애인이나 노약자가 이용하기 불편하다는 지적이 있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2003년부터 저상버스를 도입, 현재 751대가 운행 중이며, 2012년까지 전체 시내버스 중 절반을 저상버스로 바꿀 계획에 있다.[209] 이 외에도 버스 도착 시간이 불규칙하다는 지적에 따라 서울시는 2011년까지 모든 버스정류장에 '안내단말기'를 설치하고,[210] 대기오염을 예방하기 위하여 2010년까지 천연가스버스로 모두 바꾸겠다고 밝혔다.[211]
대한민국의 철도 및 광역전철의 총 연장 길이는 3,000km에 달한다. 이러한 대한민국의 철도 시설은 1963년 9월 1일 교통부 산하에 철도청을 신설하여 이때부터 국가가 체계적으로 관리하였으나 2005년에는 기업체로 전환하여, 공기업 형태인 한국철도공사와 한국철도시설공단에서 국유 철도를 관리하고 있다.
특히 경의선 철도는 평부선·평의선과 시베리아 횡단철도와의 연결을 추진하고 있다.[212]
대한민국에는 8개의 국제공항과 7개의 국내공항이 국내외 항공 교통을 담당하고 있다. 항공교통은 1948년 대한민국항공사(KNA)가 설립되어 국내선을, 1954년 이후 국제선을 운항하였다. KNA는 1962년에 대한항공공사로 개칭하고 국영으로 운영되다가, 1969년 한진상사가 인수하여 대한항공으로 개명하고 민영으로 운항되면서 급속한 성장을 보였다. 1988년 제2민간항공사업이 허가됨으로써, 금호그룹의 아시아나항공과 함께 경쟁 체제로 바뀌었다. 대한항공은 2007년 기준으로 약 100억 톤의 화물을 처리하였다.[213]
현재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외에도 제주항공, 이스타항공, 진에어, 에어부산 등 많은 저가 항공사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214]
참조
[1]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April 2024
https://www.imf.org/[...]
2024-05-16
[2]
웹사이트
World Bank Country and Lending Groups
https://datahelpdesk[...]
World Bank
2019-09-29
[3]
웹사이트
Report for Selected Countries and Subjects: October 2024
https://www.imf.org/[...]
International Monetary Fund
[4]
웹사이트
EAST ASIA/SOUTHEAST ASIA :: KOREA, SOUTH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24-10-21
[5]
웹사이트
Income inequality
https://data.oecd.or[...]
OECD
2019-12-23
[6]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Report 2023/2024
https://hdr.undp.org[...]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24-04-21
[7]
웹사이트
Labor force, total – Korea, Rep.
https://data.worldba[...]
World Bank & ILO
2020-09-30
[8]
웹사이트
2021 Economic Policies
https://english.moef[...]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South Korea)
2021-03-04
[9]
웹사이트
Unemployment rate
https://data.oecd.or[...]
OECD
2020-10-26
[10]
웹사이트
Unemployment rate by age group
https://data.oecd.or[...]
OECD
2020-10-26
[11]
웹사이트
Average monthly wage of wage earners (total)
https://kosis.kr/sea[...]
[12]
웹사이트
Income tax calculator South Korea
https://kr.talent.co[...]
[13]
웹사이트
South Korea Exports and Imports OEC - The Observatory of Economic Complexity
https://oec.world/en[...]
The Observatory of Economic Complexity
2021-03-03
[14]
웹사이트
Trade Statistics
https://unipass.cust[...]
Korea Customs Service
2021-03-03
[15]
웹사이트
2020 External Debt
https://english.moef[...]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South Korea)
2021-03-03
[16]
웹사이트
2021 Budget Proposal
https://english.moef[...]
Ministry of Economy and Finance (South Korea)
2021-03-03
[17]
웹사이트
Sovereigns rating list
http://www.standarda[...]
Standard & Poor's
2011-05-26
[18]
뉴스
How Fitch, Moody's and S&P rate each country's credit rating
https://www.theguard[...]
2011-05-28
[19]
웹사이트
OECD Statistics
http://stats.oecd.or[...]
2016-06-11
[20]
웹사이트
South Korea: Introduction >> globalEDGE: Your source for Global Business Knowledge
http://globaledge.ms[...]
2016-08-02
[21]
웹사이트
South Korea Market overview
https://web.archive.[...]
2016-08-02
[22]
서적
A Dictionary of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01-01
[23]
서적
Korea, A Century of Change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24]
서적
Chapter Thirteen - Beyond the BRICs: a Look at The 'Next 11'
https://web.archive.[...]
Goldman Sachs
2021-05-06
[25]
논문
Do Social-Welfare Policies Reduce Poverty? A Cross-National Assessment
http://www.lisdatace[...]
[26]
논문
Determinants of Relative Poverty in Advanced Capitalist Democracies
[27]
웹사이트
Social Expenditure – Aggregated data
http://stats.oecd.or[...]
[28]
웹사이트
Research & development spending as a share of GDP
https://ourworldinda[...]
2024-01-10
[29]
웹사이트
Gross domestic spending on R&D
https://data.oecd.or[...]
2024-01-10
[30]
웹사이트
High performance, high pressure in South Korea's education system
http://monitor.icef.[...]
ICEF
2014-01-23
[31]
웹사이트
Economic Statistics System
http://ecos.bok.or.k[...]
2012-09-22
[32]
웹사이트
KDI Korea Development Institute > Publications
https://web.archive.[...]
2012-09-22
[33]
뉴스
S Korea stands among world's highest-level fiscal reserve holders: IMF
https://web.archive.[...]
Xinhua
2010-09-07
[34]
뉴스
Six Emerging Economies Will Account For Over Half Of Economic Growth By 2025, World Bank Says
http://www.huffingto[...]
2011-05-18
[35]
잡지
South Korea Survived Recession With CEO Tactics
https://www.newsweek[...]
2010-05-10
[36]
웹사이트
Economy ended 2013 on a high
http://koreajoongang[...]
2014-01-30
[37]
뉴스
Moody's Raises Korea's Credit Range
http://english.chosu[...]
2010-08-02
[38]
웹사이트
Financial markets unstable in S.Korea following Cheonan sinking
http://www.hani.co.k[...]
Hankyeoreh
2010-05-26
[39]
웹사이트
BTI 2016 South Korea Country Report
https://www.bti-proj[...]
[40]
웹사이트
Development of Competition Laws in Korea
http://www.eria.org/[...]
[41]
웹사이트
Korea's Competition Law and Policies in Perspective Symposium on Competition Law and Policy in Developing Countries
http://scholarlycomm[...]
[42]
서적
The Cold War in East Asia
Routledge
2018
[43]
웹사이트
Corea del Sur no es un milagro | Un Estado muy fuerte, industrialización, extrema flexibilización laboral y conglomerados familiares. El papel de EE.UU.
https://www.pagina12[...]
2018-03-30
[4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documents.wor[...]
[45]
웹사이트
Countries Compared by Economy > GDP. International Statistics at NationMaster.com
http://www.nationmas[...]
1962
[46]
웹사이트
Countries Compared by Economy > GDP. International Statistics at NationMaster.com
http://www.nationmas[...]
1989
[47]
웹사이트
Countries Compared by Economy > GDP > Per capita. International Statistics at NationMaster.com
http://www.nationmas[...]
1962
[48]
웹사이트
Countries Compared by Economy > GDP > Per capita. International Statistics at NationMaster.com
http://www.nationmas[...]
1989
[49]
보고서
North Korean Intentions and Capabilities With Respect to South Korea
http://www.foia.cia.[...]
CIA
1967-09-21
[50]
서적
Green Infrastructure Financing: Institutional Investors, PPPs and Bankable Projects
Palgrave Macmillan
2018
[51]
서적
The End of the Developmental State?
Routledge
[52]
서적
How China Works: An Introduction to China's State-led Economic Development
Palgrave Macmillan
[53]
학술지
The Steel and Shipbuilding Industries of South Korea: Rising East Asia and Globalization
http://jwsr.pitt.edu[...]
2009-08-26
[54]
국가연구
http://countrystudie[...]
[55]
학술지
Recovery from a financial crisis: the case of South Korea
http://findarticles.[...]
[56]
웹사이트
Total Economy Database
http://www.conferenc[...]
[57]
뉴스
South Korea's GDP up 5.8% for year
http://edition.cnn.c[...]
[58]
학술지
The Contours of Korea's Economic Slowdown and Outlook for 2009
[59]
학술지
Global Financial Crisis Overview
[60]
웹사이트
Korea's Choice: Currency Or Economy?
https://www.forbes.c[...]
2009-03-12
[61]
웹사이트
Background Note: South Korea
https://2009-2017.st[...]
US Department of State
[62]
웹사이트
(News Focus) Rate hike heralds start of Korea's stimulus exit
http://english.yonha[...]
[63]
웹사이트
The Future of Growth In Asia
http://www.adb.org/s[...]
[64]
웹사이트
Report for Selected Countries and Subjects
http://www.imf.org/e[...]
[65]
웹사이트
Korea-Australia Free Trade Agreement (KAFTA) – Key outcomes
http://dfat.gov.au/f[...]
Australian Government
2013-12-05
[66]
뉴스
Lessons from South Korea's Chaebol economy
http://theconversati[...]
2013-12-06
[67]
웹사이트
주5일근무제
http://100.naver.com[...]
100.naver.com
[68]
웹사이트
[시사이슈 찬반토론] 대체휴일제 부활 옳을까요
http://www.hankyung.[...]
The Korea Economic Daily
[69]
뉴스
South Korea economy unexpectedly contracts in first-quarter, worst since global financial crisis
https://www.euronews[...]
Euronews
2019-04-25
[70]
웹사이트
Can South Korean Startups (and the government) Save its Flailing Giant Tech Conglomerates? – Innovation is Everywhere
http://www.innovatio[...]
2016-06-22
[71]
웹사이트
South Korea's economy faces rising headwinds in 2023
https://www.spglobal[...]
2023-10-08
[72]
웹사이트
South Korea's strong economic performance faces post-pandemic challenges
https://www.eastasia[...]
2023-11-26
[73]
웹사이트
South Korea's Green New Deal in the year of transition
https://www.undp.org[...]
2023-11-26
[74]
웹사이트
New Growth Strategy 4.0: Measures to address challenges in carrying out primary projects
https://english.moef[...]
2023-10-08
[75]
웹사이트
Topic: Medical technology in South Korea
https://www.statista[...]
2023-10-08
[76]
웹사이트
Medical Technology - South Korea Statista Market Forecast
https://www.statista[...]
2023-10-08
[77]
논문
Future Scenarios of the Data-Driven Healthcare Economy in South Korea
2022-04-21
[78]
웹사이트
Report for Selected Countries and Subjects
https://www.imf.org/[...]
[79]
웹사이트
South Korea: Shipbuilding
http://www.country-d[...]
Library of Congress
2010-08-14
[80]
웹사이트
South Korea: Automobiles and Automotive Parts
http://www.country-d[...]
Library of Congress
2010-08-14
[81]
웹사이트
USGS Bismuth Production Statistics
https://pubs.usgs.go[...]
[82]
웹사이트
USGS Rhenium Production Statistics
https://pubs.usgs.go[...]
[83]
웹사이트
USGS Sulfur Production Statistics
https://pubs.usgs.go[...]
[84]
웹사이트
South Korea: Construction
http://www.country-d[...]
Library of Congress
2010-08-14
[85]
서적
Civil Engineer's Handbook of Professional Practice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1-03-31
[86]
웹사이트
Building -- Samsung C&T
http://www.secc.co.k[...]
[87]
웹사이트
South Korea: Armaments
http://www.country-d[...]
Library of Congress
2010-08-14
[88]
웹사이트
KAI Major Programs: Airframe
http://www.koreaaero[...]
Korea Aerospace Industries
2010-08-14
[89]
뉴스
France to sell two Mistral-class warships to Russia
https://www.bbc.co.u[...]
BBC
2010-07-23
[90]
뉴스
Los Angeles Times
https://www.latimes.[...]
2015-08-06
[91]
뉴스
Korea emerges as arms development powerhouse
https://www.koreatim[...]
[92]
웹사이트
UNTWO World Tourism Barometer, Vol.5 No.2
http://www.tourismro[...]
2008-06-01
[93]
뉴스
South Korea Sets Its Sights on Foreign Tourists
https://www.nytimes.[...]
2010-11-11
[94]
웹사이트
South Korea (KOR) Exports, Imports, and Trade Partners The Observatory of Economic Complexity
https://oec.world/en[...]
2023-11-26
[95]
웹사이트
Trade Statistics > By Country
https://unipass.cust[...]
Korea Customs Service
[96]
웹사이트
M&A Statistics by Countries – Institute for Mergers, Acquisitions and Alliances (IMAA)
https://imaa-institu[...]
[97]
웹사이트
CIA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010-02-13
[98]
웹사이트
Economy
https://www.cia.gov/[...]
CIA
2021-09-19
[99]
웹사이트
People and Society
https://www.cia.gov/[...]
CIA
2021-09-19
[100]
웹사이트
South Korea: Introduction >> globalEDGE: Your source for Global Business Knowledge
http://globaledge.ms[...]
[101]
웹사이트
South Korea Market overview
http://www.tiq.qld.g[...]
[102]
서적
A Dictionary of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5-01-01
[103]
웹사이트
South Korea: Armaments
http://www.country-d[...]
Library of Congress
2010-08-14
[104]
웹사이트
KAI Major Programs: Airframe
http://www.koreaaero[...]
Korea Aerospace Industries
2010-08-14
[105]
뉴스
France to sell two Mistral-class warships to Russia
https://www.bbc.co.u[...]
BBC
2010-07-23
[106]
뉴스
France cancels sale of warships to Russia
https://www.latimes.[...]
Los Angeles Times
2015-08-06
[107]
뉴스
Korea emerges as arms development powerhouse
https://www.koreatim[...]
The Korea Times
2015-11-12
[108]
웹사이트
South Korea: Automobiles and Automotive Parts
http://www.country-d[...]
Library of Congress
2010-08-14
[109]
웹사이트
South Korea: Shipbuilding
http://www.country-d[...]
Library of Congress
2010-08-14
[110]
웹사이트
USGS Sulfur Production Statistics (Domestic Production and Use)
https://pubs.usgs.go[...]
U.S. Geological Survey, Mineral Commodity Summaries
2021-01-01
[111]
웹사이트
USGS Rhenium Production Statistics (Salient Statistics—United States)
https://pubs.usgs.go[...]
U.S. Geological Survey, Mineral Commodity Summaries
2021-01-01
[112]
서적
Civil Engineer's Handbook of Professional Practice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1-03-31
[113]
웹사이트
Building -- Samsung C&T
http://www.secc.co.k[...]
Samsung C&T
2016-06-11
[114]
웹사이트
South Korea: Construction
http://www.country-d[...]
Library of Congress
2010-08-14
[115]
웹사이트
M&A Statistics by Countries – Institute for Mergers, Acquisitions and Alliances (IMAA)
https://imaa-institu[...]
Institute for Mergers, Acquisitions and Alliances (IMAA)
2018-02-27
[116]
간행물
UNTWO World Tourism Barometer, Vol.5 No.2
http://www.tourismro[...]
UNTWO
2008-10-15
[117]
뉴스
South Korea Sets Its Sights on Foreign Tourist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0-11-11
[118]
웹사이트
Trade Statistics > By Country
https://unipass.cust[...]
Korea Customs Service
2024-01-01
[119]
웹사이트
韓国サムスン、半導体売上高で3年ぶり首位 インテル抜く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2-05-12
[120]
웹사이트
2021年の世界スマートフォン出荷台数、韓国サムスン首位
https://japan.cnet.c[...]
cnet
2022-05-12
[121]
웹사이트
世界テレビ市場で韓国サムスン・韓国LGエレクトロニクスがシェアの半分を占める
https://japanese.joi[...]
日本経済新聞
2022-05-12
[122]
웹사이트
家電業界の市場シェア、韓国企業が1位と2位を独占。韓国勢約25パーセントのシェア。
https://deallab.info[...]
deallab
2022-05-12
[123]
웹사이트
韓国勢LGディスプレイ、再びシェア世界一
https://www.donga.co[...]
東亜日報
2021-03-08
[124]
웹사이트
韓国造船業界が世界1位、688隻で6年ぶりの高水準
https://www.donga.co[...]
東亜日報
2022-05-27
[125]
웹사이트
https://www.imf.org/external/datamapper/NGDPD@WEO/OEMDC/ADVEC/WEOWORLD
https://www.imf.org/[...]
IMF
2022-09-01
[126]
웹사이트
Global Firepower発表の2022年軍事力ランキング、上位10ヶ国に変動は無し
https://grandfleet.i[...]
grandfleet.info
2022-01-16
[127]
웹사이트
パリクラブ英語版ホームページ
https://clubdeparis.[...]
Paris Club
2022-05-15
[128]
웹사이트
製造業の競争力 韓国は世界3位 ドイツ・中国に次ぐ
https://world.kbs.co[...]
IMF
2021-03-08
[129]
보고서
North Korean Intentions and Capabilities With Respect to South Korea
http://www.foiaー.cia[...]
CIA
1967-09-21
[130]
웹사이트
OECD Average annual wages, current prices
https://stats.oecd.o[...]
IMF
2021-03-08
[131]
학술지
The Steel and Shipbuilding Industries of South Korea: Rising East Asia and Globalization
http://jwsr.pitt.edu[...]
2009-08-26
[132]
웹사이트
Economic Statistics System
http://ecos.bok.or.k[...]
Bank of Korea
2012-09-22
[133]
웹사이트
KDI Korea Development Institute > Publications
http://www.kdi.re.kr[...]
Korea Development Institute
2012-09-22
[134]
웹사이트
Corea del Sur no es un milagro | Un Estado muy fuerte, industrialización, extrema flexibilización laboral y conglomerados familiares. El papel de EE.UU.
https://www.pagina12[...]
Pagina12
2018-03-30
[135]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documents.wor[...]
2019-07-30
[136]
웹사이트
Countries Compared by Economy > GDP. International Statistics at NationMaster.com
http://www.nationmas[...]
nationmaster.com
2021-03-04
[137]
웹사이트
Countries Compared by Economy > GDP. International Statistics at NationMaster.com
http://www.nationmas[...]
nationmaster.com
2021-03-04
[138]
웹사이트
Countries Compared by Economy > GDP > Per capita. International Statistics at NationMaster.com
http://www.nationmas[...]
nationmaster.com
2021-03-04
[139]
웹사이트
Countries Compared by Economy > GDP > Per capita. International Statistics at NationMaster.com
http://www.nationmas[...]
nationmaster.com
2021-03-04
[140]
웹사이트
Corea del Sur no es un milagro | Un Estado muy fuerte, industrialización, extrema flexibilización laboral y conglomerados familiares. El papel de EE.UU.
https://www.pagina12[...]
Pagina12
2019-03-05
[141]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documents.wor[...]
2019-07-30
[142]
웹사이트
Countries Compared by Economy > GDP. International Statistics at NationMaster.com
http://www.nationmas[...]
2021-03-04
[143]
웹사이트
Countries Compared by Economy > GDP. International Statistics at NationMaster.com
http://www.nationmas[...]
2021-03-04
[144]
웹사이트
Countries Compared by Economy > GDP > Per capita. International Statistics at NationMaster.com
http://www.nationmas[...]
2021-03-04
[145]
웹사이트
Countries Compared by Economy > GDP > Per capita. International Statistics at NationMaster.com
http://www.nationmas[...]
2021-03-04
[146]
보고서
North Korean Intentions and Capabilities With Respect to South Korea
https://web.archive.[...]
CIA
2017-03-13
[147]
웹사이트
Corea del Sur no es un milagro | Un Estado muy fuerte, industrialización, extrema flexibilización laboral y conglomerados familiares. El papel de EE.UU.
https://www.pagina12[...]
2019-03-05
[148]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documents.wor[...]
2019-07-30
[149]
웹사이트
Countries Compared by Economy > GDP. International Statistics at NationMaster.com
http://www.nationmas[...]
2021-03-04
[150]
서적
ベトナム戦争 誤算と誤解の戦場
中央公論新社
2001-07-25
[151]
뉴스
韓国 軍も企業もベトナム参戦
https://www.asahi.co[...]
[152]
웹사이트
Countries Compared by Economy > GDP. International Statistics at NationMaster.com
http://www.nationmas[...]
2021-03-04
[153]
웹사이트
Countries Compared by Economy > GDP > Per capita. International Statistics at NationMaster.com
http://www.nationmas[...]
2021-03-04
[154]
웹사이트
Countries Compared by Economy > GDP > Per capita. International Statistics at NationMaster.com
http://www.nationmas[...]
2021-03-04
[155]
보고서
North Korean Intentions and Capabilities With Respect to South Korea
https://web.archive.[...]
CIA
2017-03-13
[156]
서적
Green Infrastructure Financing: Institutional Investors, PPPs and Bankable Projects
Palgrave Macmillan
2018
[157]
서적
The End of the Developmental State?
Routledge
[158]
학술지
The Steel and Shipbuilding Industries of South Korea: Rising East Asia and Globalization
http://jwsr.pitt.edu[...]
2009-08-26
[159]
국가연구
http://countrystudie[...]
[160]
웹사이트
焦点:韓国版ラストベルト、凋落の企業城下町を襲う失業と自殺
https://jp.reuters.c[...]
ロイター
2021-09-19
[161]
웹사이트
韓国の大企業64グループの売り上げはGDPの84%だが…雇用影響力はわずか10%
http://japan.hani.co[...]
ハンギョレ
2021-09-19
[162]
웹사이트
CMIについて財務省とADBへ質問と返答
http://toanews.info/[...]
[163]
보고서
Hours worked (indicator)
OECD
2021
[164]
뉴스
わずか5、6年…韓国勤労者の平均勤続期間OECD最短
https://japanese.joi[...]
2015-12-23
[165]
웹사이트
「日本を上回るスピードで悪化中」韓国の少子高齢化の知られざる実態
https://president.jp[...]
PRESIDENT Online
2021-04-13
[166]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4-10-28
[167]
웹사이트
한국통계청 데이터베이스
http://kosis.kr/nsie[...]
[168]
웹사이트
한국통계청 데이터베이스
http://kosis.kr/nsie[...]
[169]
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억제 성공의 한국 합법적으로 낮은 실업률을 내는 방법은?(2/2)
https://www.koreawor[...]
코리아월드타임즈
2020-05-24
[170]
웹사이트
가속하는 한국의 스타트업 지원
https://www.jetro.go[...]
[171]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8-01-12
[172]
웹사이트
http://kosis.kr/stat[...]
[173]
웹사이트
http://stat.kita.net[...]
[174]
웹사이트
http://www.index.go.[...]
[175]
웹사이트
http://www.index.go.[...]
[176]
웹사이트
http://www.index.go.[...]
[177]
웹사이트
http://globaledge.ms[...]
[178]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6-08-02
[179]
웹사이트
https://books.google[...]
[180]
저널
World Economic Situation Prospects
https://www.un.org/d[...]
United Nations
2021-06-24
[181]
웹사이트
https://www.investop[...]
Investopedia
2021-06-24
[182]
웹사이트
https://www.chosun.c[...]
[183]
웹인용
조선일보 최우석, 2008-11-01
https://web.archive.[...]
2010-08-02
[184]
문서
관세청 2022년 무역 통계이다.
[185]
웹사이트
Global 500 2008: Countries - South Korea
http://money.cnn.com[...]
[186]
웹인용
South Korea dominates shipbuilding industry Stock Market News & Stocks to Watch from StraightStocks
https://web.archive.[...]
2010-08-02
[187]
뉴스
빈곤층 300만가구 넘었다
https://v.daum.net/v[...]
2010-03-07
[188]
서적
한국현대사산책: 1970년대편
[189]
뉴스
3저호황과 내수팽창 그리고 민간대자본의 성장
http://www.tongilnew[...]
2009-05-14
[190]
뉴스
경제주권 3년 8개월만에 완전회복
https://news.kbs.co.[...]
2001-08-23
[191]
뉴스
총선 결과에 재계 촉각 '기업 옥죄기' 우려
http://www.dailian.c[...]
데일리안
2011-04-11
[192]
백과사전
한국의 무역경영
[193]
문서
중국 시장에 대한 수출/수입 편중도가 높아졌다.
[194]
웹사이트
http://kosis.kr/stat[...]
[195]
웹사이트
Report for Selected Countries and Subjects
https://www.imf.org/[...]
2019-12-25
[196]
웹인용
한국경제 2001. 12. 21. 천자칼럼
https://web.archive.[...]
2010-08-02
[197]
웹인용
DRAM업계 구조조정 섬성·하이닉스 위협
https://www.etoday.c[...]
2022-05-03
[198]
서적
Lands&Peoples
교원사
[199]
백과사전
한국의 철강업
[200]
백과사전
철강재 수급상황
[201]
웹사이트
OICA 2015 statistic
http://www.oica.net/[...]
[202]
백과사전
한국의 통신사업
[203]
서적
대한민국 건설
지성사
[204]
뉴스
경부고속도에 '아시안하이웨이' 표지판
http://www.mt.co.kr/[...]
2006-06-20
[205]
웹인용
도로교통공단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https://web.archive.[...]
2010-08-02
[206]
뉴스
서울시 “올해 안에 모든 지하철역 스크린도어 설치”
https://news.naver.c[...]
2009-07-08
[207]
뉴스
수도권 대중교통할인 인천까지 확대
https://news.naver.c[...]
조선일보
2009-10-12
[208]
뉴스
서울이 늙어간다…10년새 노인 78% 증가
https://news.naver.c[...]
한국경제
2009-08-03
[209]
뉴스
서울 저상버스 비중 50%로 늘린다
https://web.archive.[...]
아시아경제
2009-02-25
[210]
뉴스
서울시내 전 버스중앙정류소에 '안내단말기'
https://news.naver.c[...]
2009-08-24
[211]
뉴스
서울 시내버스 모두 천연가스車로
https://news.naver.c[...]
2009-07-16
[212]
뉴스
'철의 실크로드' 앞서 '말(言)의 실크로드'부터
http://www.pressian.[...]
2008-10-01
[213]
웹인용
WATS sample - Scheduled Freight Tonne - Kilometres
http://www.iata.org/[...]
2011-03-05
[214]
웹사이트
국내 저가항공시장 ‘2기’돌입
http://www.heraldbiz[...]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임금 근로자 일자리 증가 '역대 최소'…건설업, 감소폭 최대
계엄·내수 부진에 1분기 도·소매업 일자리 첫 감소···전체 증가폭 ‘역대 최소’
조선 끌고 석유 밀고…3분기 실적전망 '맑음'
[자막뉴스] "술맛 안 나네" 술도 안 마신다…매출 10% 감소
덜 마시고 덜 놀고…소비 위축에 술집 매출 10% 감소
소비 위축에 술도 덜 마셨다…2분기 술집 매출 약 10% 줄어
"노란봉투법 우려 크다" … 고용부 장관 만난 암참
42만 명의 20대 ‘쉬었음’…역대 최고의 '청년 고용 한파'
한국CEO 평균 나이, 60대 벽 무너졌다…가장 어린 ‘대표님’은 누구?
나신평 "올해 주요 기업의 매출 성장성, 전년 대비 둔화 전망"
자영업자 갈수록 줄어…"창업 구조조정 필요"
소비쿠폰으로 '담배 사재기' 사례도…"품목 제한 필요" 논란
‘대기업 신입사원’ 보기 힘드네…20대 비중 2년 만에 4%P 감소
대기업 20대 직원 '뚝'…"신입공채 줄고 경력직 선호"
[속보] 6월 취업자수 18만3000명 증가···건설·제조 부진 지속
6월 고용보험 가입자 1.2% 증가…제조업·건설업은 감소세
코로나 뒤 개인파산 줄었다, 20대와 60대 이상만 빼고
자영업자 “상반기 순이익 15% 감소”…10명 중 4명 ‘3년 내 폐업 고려’
100만 폐업 시대…중소기업 사장 55% 여름휴가 안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