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2년 FIFA 월드컵 선수 명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82년 FIFA 월드컵 선수 명단은 1982년 스페인에서 개최된 FIFA 월드컵에 참가한 각 국가별 선수들의 정보를 담고 있다. 이탈리아가 우승을 차지했으며, 파올로 로시는 득점왕에 올랐다. 서독은 준우승, 폴란드는 3위를 기록했다. 아르헨티나, 브라질 등 강호들이 조별 리그 또는 2차 조별 리그에서 탈락하는 이변이 있었으며, 뉴질랜드, 쿠웨이트 등은 자국 축구 역사상 최초로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982년 FIFA 월드컵 선수 명단 | |
---|---|
1982년 FIFA 월드컵 선수 명단 | |
대회 정보 | |
개최국 | 스페인 |
기간 | 1982년 6월 13일 ~ 1982년 7월 11일 |
참가국 수 | 24개국 |
선수 명단 | |
아프리카 | 알제리 카메룬 |
아시아 | 쿠웨이트 |
유럽 | 오스트리아 벨기에 체코슬로바키아 잉글랜드 프랑스 서독 헝가리 이탈리아 북아일랜드 폴란드 스코틀랜드 소비에트 연방 스페인 유고슬라비아 |
북중미 | 온두라스 엘살바도르 |
남아메리카 | 아르헨티나 브라질 칠레 페루 뉴질랜드 |
2. 대회 개요
3. 참가국
3. 1. 1조
3. 1. 1. 이탈리아
베아르초트 감독이 이끄는 이탈리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1982년 FIFA 월드컵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주장 초프를 비롯하여, 바레시, 베르고미, 카브리니, 콜로바티, 젠틸레, 시레아, 비에르코보드, 안토뇨니, 도세나, 마리니, 보르돈, 오리알리, 타르델리, 카우시오, 콘티, 마사로, 알토벨리, 그라치아니, 로시, 셀바지, 갈리 등이 선수 명단에 포함되었다.
특히, 로시는 이 대회에서 6골을 기록하며 득점왕에 올랐고, 이탈리아의 우승을 이끈 주역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골키퍼 초프는 뛰어난 선방 능력으로 팀의 골문을 든든하게 지켰다.
3. 1. 2. 폴란드
피에흐니체크 감독이 이끄는 폴란드는 1982년 FIFA 월드컵에서 3위를 달성하는 쾌거를 이룩했다. 폴란드의 핵심 선수로는 보니에크와 라토 등이 있었다.
번호 |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나이) | 출전 경기 | 득점 | 소속팀 |
---|---|---|---|---|---|---|
1 | GK | 므위나르치크 | 1953년 9월 20일/Józef Młynarczykpl(28세) | 10 | 0 | 비드제우 우치 |
2 | DF | 지우바 | 1955년 12월 19일/Marek Dziubapl(26세) | 44 | 0 | 우치 ŁKS |
3 | MF | 쿠프체비치 | 1955년 12월 9일/Janusz Kupcewiczpl(26세) | 10 | 1 | 아르카 그디니아 |
4 | DF | 돌니 | 1958년 5월 7일/Tadeusz Dolnypl(24세) | 4 | 0 | 구르니크 자브제 |
5 | DF | 야나스 | 1953년 3월 4일/Paweł Janaspl(29세) | 40 | 1 | 레기아 바르샤바 |
6 | DF | 스크로보프스키 | 1961년 10월 16일/Piotr Skrobowskipl(20세) | 14 | 0 | 비스와 크라쿠프 |
7 | DF | 야워하 | 1957년 7월 18일/Jan Jałochapl(24세) | 8 | 0 | 비스와 크라쿠프 |
8 | MF | 마티시크 | 1961년 9월 27일/Waldemar Matysikpl(20세) | 10 | 0 | 구르니크 자브제 |
9 | DF | 주무다 (주장) | 1954년 6월 6일/Władysław Żmudapl(28세) | 72 | 2 | 비드제우 우치 |
10 | DF | 마예프스키 | 1956년 1월 31일/Stefan Majewskipl(26세) | 17 | 4 | 레기아 바르샤바 |
11 | FW | 스몰라레크 | 1957년 7월 16일/Włodzimierz Smolarekpl(24세) | 12 | 1 | 비드제우 우치 |
12 | DF | 부이치츠키 | 1958년 1월 8일/Roman Wójcickipl(24세) | 12 | 0 | 실롱스크 브로츠와프 |
13 | MF | 분촐 | 1959년 9월 21일/Andrzej Buncolpl(22세) | 9 | 0 | 레기아 바르샤바 |
14 | MF | 파와시 | 1960년 7월 22일/Andrzej Pałaszpl(21세) | 14 | 3 | 구르니크 자브제 |
15 | FW | 치오웨크 | 1956년 3월 24일/Włodzimierz Ciołekpl(26세) | 12 | 4 | 스타르 미엘레츠 |
16 | FW | 라토 | 1950년 4월 8일/Grzegorz Latopl(32세) | 92 | 42 | 로케렌 |
17 | FW | 샤르마흐 | 1950년 10월 3일/Andrzej Szarmachpl(31세) | 59 | 32 | 옥세르 |
18 | FW | 쿠스토 | 1954년 4월 29일/Marek Kustopl(28세) | 15 | 3 | 레기아 바르샤바 |
19 | FW | 이반 | 1959년 11월 10일/Andrzej Iwanpl(22세) | 19 | 11 | 비스와 크라쿠프 |
20 | FW | 보니에크 | 1956년 3월 3일/Zbigniew Boniekpl(26세) | 50 | 16 | 비드제우 우치 |
21 | GK | 카지미에르스키 | 1959년 8월 17일/Jacek Kazimierskipl(22세) | 4 | 0 | 레기아 바르샤바 |
22 | GK | 모블리크 | 1951년 4월 21일/Piotr Mowlikpl(31세) | 21 | 0 | 레흐 포즈난 |
3. 1. 3. 카메룬
카메룬은 1982년 FIFA 월드컵에 처음으로 본선에 진출하여 3무로 탈락하며 무패 탈락이라는 기록을 남겼다.
3. 1. 4. 페루
팀 감독이 이끌었던 페루는 1970년대 남미 축구의 강호였다. 특히 테오필로 쿠비야스와 훌리오 세사르 우리베는 페루 축구를 대표하는 스타 선수들이었다. 그러나 1982년 FIFA 월드컵에서는 조별 리그에서 단 1승도 거두지 못하고 탈락하는 부진을 겪었다.다음은 1982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한 페루 선수 명단이다.
- '''GK:''' 아카수소
- '''GK:''' 곤살레스
- '''GK:''' 키로가
- '''DF:''' 두아르테
- '''DF:''' 살게로
- '''DF:''' 가스툴로
- '''DF:''' 디아스 (주장)
- '''DF:''' 올라에체아
- '''MF:''' 레기아
- '''MF:''' 벨라스케스
- '''MF:''' 쿠에토
- '''MF:''' 우리베
- '''MF:''' 쿠비야스
- '''MF:''' 아리사가
- '''MF:''' 구티에레스
- '''MF:''' 말라스케스
- '''MF:''' 레이나
- '''FW:''' 바르바디요
- '''FW:''' 오블리타스
- '''FW:''' 나바로
- '''FW:''' 라 로사
- '''FW:''' 로하스
3. 2. 2조
3. 2. 1. 서독
데어발 감독이 이끄는 서독 대표팀은 1982년 FIFA 월드컵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다. 주장 루메니게와 브라이트너 등이 주요 선수로 활약했다.[1]다음은 당시 서독 대표팀 선수 명단이다.
- '''골키퍼(GK):''' 슈마허, 프랑케, 이멜
- '''수비수(DF):''' 브리겔, 브라이트너, K. 푀르슈터, B. 푀르슈터, 하네스, 슈틸리케, 히로니무스, 칼츠
- '''미드필더(MF):''' 드렘러, 리트바르스키, 뮐러, 마가트, 엥겔스, 마테우스
- '''공격수(FW):''' 피셔, 흐루베슈, 루메니게 (주장), 라인더스, T. 알로프스
이들은 조별 리그에서 오스트리아와의 경기에서 히혼의 수치로 불리는 조작 의혹을 받기도 했다.[1]
3. 2. 2. 알제리
마히에딘 칼레프와 라시드 메클로우피가 공동 감독을 맡았다. 알제리는 1982년 FIFA 월드컵에서 처음으로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였다.다음은 알제리 대표팀 선수 명단이다.
- '''GK:''' 세르바흐
- '''GK:''' 아마라
- '''GK:''' 벤탈라
- '''DF:''' 겐두즈
- '''DF:''' 코우이치
- '''DF:''' 코우리치
- '''DF:''' 메르제칸
- '''DF:''' 만수리
- '''DF:''' 호르
- '''MF:''' 벤체이크
- '''MF:''' 페르가니 (주장)
- '''MF:''' 벨로우미
- '''MF:''' 라베스
- '''MF:''' 야히
- '''MF:''' 데흐렙
- '''MF:''' 마로크
- '''MF:''' 트렘차니
- '''FW:''' 아사드
- '''FW:''' 벤사오울라
- '''FW:''' 마제르
- '''FW:''' 지단
- '''FW:''' 보우렙보우
알제리는 조별 리그 첫 경기에서 서독을 2-1로 꺾는 이변을 일으켰다. 라바 마제르와 라다르 벨로우미가 골을 기록하며 알제리의 역사적인 승리를 이끌었다.
3. 2. 3. 오스트리아
펠릭스 라츠케(Felix Latzke)와 게오르크 슈미트가 공동 감독을 맡았다. 주전 선수로는 프로하스카, 크랑클 등이 있었다.- '''GK:''' 프리드리히 콘칠리아(Friedrich Koncilia)
- '''GK:''' 허베르트 포이어(Herbert Feurer)
- '''GK:''' 클라우스 린덴베르거(Klaus Lindenberger)
- '''DF:''' 베른트 크라우스(Bernd Krauss)
- '''DF:''' 에리히 오버마이어(Erich Obermayer) (주장)
- '''DF:''' 요제프 데게오르기(Josef Degeorgi)
- '''DF:''' 브루노 페제이(Bruno Pezzey)
- '''DF:''' 안톤 피흘러
- '''DF:''' 게랄트 메슬렌더(Gerald Messlender)
- '''DF:''' 요한 프레게스바우어(Johann Pregesbauer)
- '''DF:''' 헤리베르트 베버(Heribert Weber)
- '''MF:''' 롤란트 하텐베르거(Roland Hattenberger)
- '''MF:''' 헤르베르트 프로하스카(Herbert Prohaska)
- '''MF:''' 라인홀트 힌터마이어(Reinhold Hintermaier)
- '''MF:''' 쿠르트 야라(Kurt Jara)
- '''MF:''' 에른스트 바우마이스터(Ernst Baumeister)
- '''MF:''' 요한 디하니히(Johann Dihanich)
- '''FW:''' 발터 샤흐너(Walter Schachner)
- '''FW:''' 한스 크랑클(Hans Krankl)
- '''FW:''' 막스 하그마이어(Max Hagmayr)
- '''FW:''' 게르노트 유르틴(Gernot Jurtin)
- '''FW:''' 쿠르트 벨즐(Kurt Welzl)
이 대회에서 오스트리아는 서독과의 조별 리그 최종전에서 담합 의혹을 받았다.
3. 2. 4. 칠레
루이스 산티베녜스 감독이 이끄는 칠레 축구 국가대표팀은 1970년대 남미 축구 강호로 평가받았지만, 1982년 FIFA 월드컵에서는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주장 엘리아스 피게로아를 비롯해 위르트, 가리도, 발렌수엘라, 비고라, 두보, 본바예트, 리바스, 레텔리에르, 소토, 모스코스, 코르네스, 카스젤리, 오르메뇨, 야네스, M. 로하스, O. 로하스, 갈린도, 에스코바르, 네이라, 감보아, 오스벤 등이 선수 명단에 포함되었다.3. 3. 3조
3. 3. 1. 아르헨티나
세사르 루이스 메노티 감독이 이끄는 아르헨티나는 1978년 FIFA 월드컵 우승팀으로서 큰 기대를 받았으나, 1982년 FIFA 월드컵에서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성적을 거두었다.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 '''GK:''' 엑토르 발레이
- '''GK:''' 우발도 피욜
- '''GK:''' 네리 품피도
- '''DF:''' 루이스 갈반
- '''DF:''' 호르헤 올긴
- '''DF:''' 다니엘 파사레야 (주장)
- '''DF:''' 알베르토 타란티니
- '''DF:''' 엔소 트로세로
- '''DF:''' 호세 반 투이네
- '''MF:''' 오스발도 아르딜레스
- '''MF:''' 후안 바르바스
- '''MF:''' 아메리코 가예고
- '''MF:''' 디에고 마라도나
- '''MF:''' 파트리시오 에르난데스
- '''MF:''' 훌리오 올라르티코에체아
- '''MF:''' 호세 다니엘 발렌시아
- '''FW:''' 다니엘 베르토니
- '''FW:''' 가브리엘 칼데론
- '''FW:''' 라몬 디아스
- '''FW:''' 마리오 켐페스
- '''FW:''' 산티아고 산타마리아
- '''FW:''' 호르헤 발다노
디에고 마라도나는 10번을, 파트리시오 에르난데스는 그와 번호를 맞바꾸었다.
3. 3. 2. 벨기에
1982년 FIFA 월드컵 벨기에 대표팀의 감독은 기 티였다. 벨기에는 1980년대 유럽 축구의 신흥 강호로 떠오르고 있었으며, 파프, 헤러츠(주장), 쾰레만스 등이 주요 선수로 활약했다.- GK: 파프 (Jean-Marie Pfaffnl, 베베런)
- GK: 퀴스터르스 (Theo Custersnl, 에스파뇰)
- GK: 뮈나롱 (Jacky Munaronnl, 안더레흐트)
- DF: 헤러츠 (Eric Geretsnl, 스탕다르 리에주) (주장)
- DF: L. 미유캉 (Luc Millecampsnl, KSV 바레험)
- DF: 메이위브스 (Walter Meeuwsnl, 스탕다르 리에주)
- DF: 랑캥 (Michel Renquinnl, 안더레흐트)
- DF: 베커 (Marc Baeckenl, 베베런)
- DF: 더 스흐레이버르 (Maurits De Schrijvernl, 로케런)
- DF: 플레서르스 (Gerard Plessersnl, 스탕다르 리에주)
- MF: 베르코테랑 (Franky Vercauterennl, 안더레흐트)
- MF: 다르던 (Jos Daerdennl, 스탕다르 리에주)
- MF: 판 무르 (Wilfried Van Moernl, 베베런)
- MF: 쿠크 (Ludo Coecknl, 안더레흐트)
- MF: 쾰레만스 (Jan Ceulemansnl, 클럽 브뤼헤)
- MF: 페르헤이언 (René Verheyennl, 로케런)
- MF: M. 미유캉 (Marc Millecampsnl, KSV 바레험)
- MF: 반데르미상 (Guy Vandersmissennl, 스탕다르 리에주)
- FW: 판던베르흐 (Erwin Vandenberghnl, 리에르세)
- FW: 판 데르 엘스트 (François Van Der Elstnl,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 FW: 모먼스 (Raymond Mommensnl, 로케런)
- FW: 체르니아틴스키 (Alexandre Czerniatynskinl, 안트베르펜)
요제프 다르던(Jos Daerdennl)은 반데레이켄의 부상으로 인해 마지막 순간에 대체 선수로 합류했다.
3. 3. 3. 헝가리
칼만 메쇠이 감독이 이끄는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은 1982년 FIFA 월드컵에 참가했다. 헝가리는 이 대회에서 닐러시, 키시 L. 등 스타 선수들을 앞세워 엘살바도르를 상대로 10-1 대승을 거두는 기록을 세웠다. 이는 월드컵 역사상 한 경기 최다 점수 차 승리이자 유일한 두 자릿수 득점 경기이다.
- '''감독:''' 메쇠이
- '''선수 명단:'''
등번호 |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
---|---|---|---|
1 | GK | 메사로시 | 1950년 4월 11일 |
2 | DF | 머르토시 | 1949년 12월 15일 |
3 | DF | 발린트 | 1948년 2월 1일 |
4 | DF | 토트 | 1951년 12월 2일 |
5 | MF | 뮐레르 | 1948년 9월 21일 |
6 | DF | 거러버 | 1958년 7월 29일 |
7 | FW | 퍼제커시 | 1947년 10월 15일 |
8 | FW | 닐러시 (주장) | 1955년 1월 18일 |
9 | FW | 퇴뢰치크 | 1955년 5월 1일 |
10 | FW | 키시 L. | 1956년 3월 12일 |
11 | FW | 푈뢰슈케이 | 1960년 10월 11일 |
12 | FW | 라자르 | 1955년 12월 12일 |
13 | DF | 라브 | 1955년 10월 2일 |
14 | DF | 셜러이 | 1960년 3월 26일 |
15 | FW | 보도니 | 1956년 9월 14일 |
16 | MF | 촌그라디 | 1956년 3월 29일 |
17 | MF | 차포 | 1952년 2월 23일 |
18 | DF | 케레케시 | 1954년 4월 4일 |
19 | DF | 버르거 | 1954년 10월 9일 |
20 | DF | 추하이 | 1957년 7월 12일 |
21 | GK | 카트지르즈 | 1953년 7월 27일 |
22 | GK | 키시 I. | 1957년 8월 10일 |
3. 3. 4. 엘살바도르
마우리시오 로드리게스 감독이 이끄는 엘살바도르 축구 국가대표팀은 1982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하여 1차 조별 리그에서 헝가리에게 1-10으로 대패하는 등 부진한 성적을 거두었다. 이 경기에서 엘살바도르는 루이스 라미레스 사파타가 유일한 골을 기록하였다.당시 엘살바도르 대표팀의 주요 선수로는 호르헤 곤살레스가 있었다.
선수 | 포지션 | 생년월일 |
---|---|---|
게바라 | 골키퍼 | 1961년 9월 2일 |
카스티요 | 수비수 | 1951년 10월 30일 |
호벨 | 수비수 | 1951년 5월 26일 |
레시노스 | 수비수 | 1950년 6월 30일 |
파고아가 | 수비수 | 1952년 1월 12일 |
벤투라 | 미드필더 | 1956년 10월 27일 |
아키노 | 미드필더 | 1949년 6월 30일 |
루가마스 | 미드필더 | 1953년 6월 5일 |
에베르 에르난데스 | 공격수 | 1958년 12월 11일 |
우에소 (주장) | 미드필더 | 1956년 6월 6일 |
호르헤 곤살레스 | 공격수 | 1958년 3월 13일 |
오소르토 | 수비수 | 1957년 3월 20일 |
리바스 | 공격수 | 1958년 5월 12일 |
라미레스 | 공격수 | 1954년 1월 6일 |
J. 로드리게스 | 수비수 | 1959년 1월 17일 |
알파로 | 미드필더 | 1956년 2월 13일 |
라가소네 | 공격수 | 1956년 1월 5일 |
디아스 | 수비수 | 1957년 1월 27일 |
에두아르도 에르난데스 | 골키퍼 | 1958년 1월 31일 |
문기아 | 골키퍼 | 1959년 10월 28일 |
3. 4. 4조
3. 4. 1. 잉글랜드
론 그린우드 감독이 이끄는 잉글랜드 대표팀은 1982년 FIFA 월드컵에서 1966년 우승 이후 다시 한번 우승에 도전했다. 주장 케빈 키건과 브라이언 롭슨 등 스타 선수들이 포함된 잉글랜드 대표팀 명단은 다음과 같다.- '''골키퍼:''' 레이 클레멘스, 조 코리건, 피터 실턴
- '''수비수:''' 바이브 앤더슨, 테리 버처, 스티브 포스터, 믹 밀스, 필 닐, 케니 샌섬, 필 톰슨
- '''미드필더:''' 트레버 브루킹, 스티브 코펠, 글렌 호들, 테리 맥더모트, 그래엄 릭스, 브라이언 롭슨, 레이 윌킨스
- '''공격수:''' 케빈 키건, 트레버 프랜시스, 폴 매리너, 피터 위스, 토니 우드콕
이 명단은 성의 알파벳 순서로 번호가 매겨졌지만, 골키퍼에게는 전통적인 잉글랜드 골키퍼 번호인 1, 13, 22번이 부여되었고, 케빈 키건에게는 그가 선호하는 7번이 부여되었다.
3. 4. 2. 프랑스
미셸 이달고 감독이 이끄는 프랑스 축구 국가대표팀은 1982년 FIFA 월드컵에서 4위를 기록했다. 주장이었던 미셸 플라티니를 비롯해 알랭 지레스, 장 티가나, 베르나르 장기니로 구성된 미드필더진은 '카레 매직(Carré Magique)'으로 불리며 강력한 공격 축구를 선보였다.번호 |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 출전 경기 | 득점 | 소속 클럽 |
---|---|---|---|---|---|---|
1 | GK | 도미니크 바라텔리 | 1947년 12월 26일 | 21 | 파리 생제르맹 | |
2 | DF | 마뉘엘 아모로스 | 1962년 2월 1일 | 4 | 모나코 | |
3 | DF | 파트리크 바티스통 | 1957년 3월 12일 | 19 | 생테티엔 | |
4 | DF | 막심 보시 | 1955년 6월 26일 | 37 | 낭트 | |
5 | DF | 제라르 장비옹 | 1953년 8월 21일 | 32 | 생테티엔 | |
6 | DF | 크리스티앙 로페 | 1953년 3월 15일 | 35 | 생테티엔 | |
7 | DF | 필리프 마위 | 1956년 3월 4일 | 4 | 메츠 | |
8 | DF | 마리위스 트레소르 | 1950년 1월 15일 | 53 | 보르도 | |
9 | MF | 베르나르 장기니 | 1958년 1월 18일 | 8 | 소쇼 | |
10 | MF | 미셸 플라티니 (주장) | 1955년 6월 21일 | 35 | 생테티엔 | |
11 | MF | 르네 지라르 | 1954년 4월 4일 | 2 | 보르도 | |
12 | MF | 알랭 지레스 | 1952년 8월 2일 | 14 | 보르도 | |
13 | MF | 장프랑수아 라리오 | 1956년 8월 27일 | 15 | 생테티엔 | |
14 | MF | 장 티가나 | 1955년 6월 23일 | 13 | 보르도 | |
15 | FW | 브뤼노 베욘 | 1962년 3월 14일 | 6 | 모나코 | |
16 | FW | 알랭 쿠리올 | 1958년 10월 24일 | 7 | 모나코 | |
17 | FW | 베르나르 라콩브 | 1952년 8월 15일 | 29 | 보르도 | |
18 | FW | 도미니크 로슈토 | 1955년 1월 14일 | 24 | 파리 생제르맹 | |
19 | FW | 디디에 시스 | 1954년 8월 21일 | 36 | VfB 슈투트가르트/VfB 슈투트가르트de | |
20 | FW | 제라르 솔레르 | 1954년 3월 29일 | 7 | 보르도 | |
21 | GK | 장 카스타네다 | 1957년 3월 20일 | 7 | 생테티엔 | |
22 | GK | 장뤼크 에토리 | 1955년 7월 29일 | 2 | 모나코 |
3. 4. 3. 체코슬로바키아
벤글로시 감독이 이끄는 체코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1982년 FIFA 월드컵에 참가했다. 주장 네호다를 비롯해 파넨카, 얀 코자크 등 유명 선수들이 포함되었다. 체코슬로바키아는 1976년 유러피언 챔피언십 우승팀이었지만, 이번 월드컵에서는 조별 리그에서 탈락하며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선수 명단: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 출장 경기 수 | 소속팀 |
---|---|---|---|---|
GK | 세만 | 1952년 8월 8일 | 14 | 로코모티바 코시체/로코모티바 코시체cs |
DF | 야쿠베츠 | 1956년 4월 12일 | 11 | 보헤미안스 프라하/보헤미안스 1905cs |
DF | 피알라 | 1956년 5월 19일 | 22 | 두클라 프라하/두클라 프라하cs |
DF | 유르케미크 | 1953년 7월 20일 | 48 | 인터 브라티슬라바/FK 인터 브라티슬라바cs |
DF | 바르모시 | 1954년 8월 28일 | 49 | 인터 브라티슬라바/FK 인터 브라티슬라바cs |
DF | 보야체크 | 1949년 2월 23일 | 38 | 바니크 오스트라바/FC 바니크 오스트라바cs |
MF | 코자크 | 1954년 4월 17일 | 54 | 두클라 프라하/두클라 프라하cs |
MF | 파넨카 | 1948년 12월 2일 | 57 | 라피트 빈/SK 라피트 빈de |
FW | 이제크 | 1955년 1월 22일 | 34 | 두클라 프라하/두클라 프라하cs |
FW | 크르지시 | 1959년 3월 17일 | 5 | 두클라 프라하/두클라 프라하cs |
FW | 네호다 (주장) | 1952년 5월 9일 | 86 | 두클라 프라하/두클라 프라하cs |
MF | 비초브스키 | 1950년 8월 18일 | 39 | 보헤미안스 프라하/보헤미안스 1905cs |
MF | 베르게르 | 1955년 11월 27일 | 13 | 스파르타 프라하/AC 스파르타 프라하cs |
DF | 라디메츠 | 1950년 5월 22일 | 15 | 바니크 오스트라바/FC 바니크 오스트라바cs |
DF | 쿠쿠츠카 | 1957년 3월 13일 | 4 | 플라스티카 니트라/FC 니트라cs |
MF | 할로우프카 | 1959년 5월 4일 | 1 | 보헤미안스 프라하/보헤미안스 1905cs |
MF | 슈탐바흐르 | 1953년 2월 13일 | 24 | 두클라 프라하/두클라 프라하cs |
FW | 야네츠카 | 1957년 11월 25일 | 15 | 즈브로요브카 브르노/FC 즈브로요브카 브르노cs |
FW | 마스니 | 1950년 8월 13일 | 73 | 슬로반 브라티슬라바/ŠK 슬로반 브라티슬라바cs |
FW | 페트르젤라 | 1953년 7월 20일 | 0 | 슬라비아 프라하/SK 슬라비아 프라하cs |
GK | 흐루슈카 | 1954년 7월 25일 | 15 | 보헤미안스 프라하/보헤미안스 1905cs |
GK | 스트롬시크 | 1958년 4월 12일 | 2 | 두클라 프라하/두클라 프라하cs |
3. 4. 4. 쿠웨이트
카를루스 아우베르투 파헤이라/카를루스 아우베르투 파헤이라pt 감독이 이끄는 쿠웨이트는 1982년 FIFA 월드컵에서 아시아 국가 최초로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뤘다. 비록 조별리그에서 탈락했지만, 쿠웨이트 축구 역사에 한 획을 그은 사건이었다.다음은 당시 쿠웨이트 대표팀 선수 명단이다.
- '''골키퍼:''' 알타라불시, 마르잠, 바흐만
- '''수비수:''' 사드, 주마아, 알카벤디, 알자셈, 마르주그, 마유프, 알하사시, 알세마릴
- '''미드필더:''' 알후티 (주장), 알가님, 알수와예드, 카람
- '''공격수:''' 카멜, 압둘라 알불루시, 야콥, 알안베릴, 알다킬, 알하다드, 압둘라지즈 알불루시
3. 5. 5조
3. 5. 1. 스페인
감독이 이끄는 스페인 축구 국가대표팀은 1982년 FIFA 월드컵에 개최국 자격으로 참가했다. 그러나 스페인은 홈 팬들의 열광적인 응원에도 불구하고 2차 조별 리그에서 탈락하며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성적을 거두었다.주장 루이스 아르코나다를 비롯하여 호세 안토니오 카마초, 라파엘 고르디요, 페리코 알론소, 미겔 텐디요, 호세 라몬 알렉상코, 후아니토, 호아킨, 헤수스 마리아 사트루스테기, 헤수스 마리아 사모라, 로베르토 로페스 우파르테, 산티아고 우르키아가, 마누엘 히메네스, 안토니오 마세다, 엔리케 사우라, 텐테 산체스, 리카르도 갈레고, 페드로 우랄데, 산티야나, 키니, 우루티, 미겔 안헬 등이 스페인 대표팀 명단에 포함되었다.
3. 5. 2. 유고슬라비아
밀랴니치 감독이 이끄는 유고슬라비아 대표팀은 페트로비치, 수시치 등 뛰어난 선수들을 보유했음에도 불구하고, 1982년 FIFA 월드컵 조별 리그에서 기대 이하의 성적을 거두며 탈락했다. 동유럽의 강호로 평가받던 유고슬라비아는 당시 스페인 월드컵에서 실망스러운 결과를 얻었다.선수 명단
- '''골키퍼:''' 판텔리치 (보르도), 푸다르 (하이두크 스플리트), 스빌라르 (앤트워프)
- '''수비수:''' 예롤리모브 (리예카), 자예츠 (디나모 자그레브), 스토이코비치 (파르티잔), 크름포티치 (레드 스타 베오그라드), Zo. 부요비치 (하이두크 스플리트), 요바노비치 (부두치노스트 포드고리차), 흐르스티치 (리예카)
- '''미드필더:''' 구델 (하이두크 스플리트), 페트로비치 (레드 스타 베오그라드), 실리보 (니스), 예르코비치 (취리히), 슈랴크 (주장, 파리 생제르맹), 파시치 (사라예보)
- '''공격수:''' 지브코비치 (파르티잔), Zl. 부요비치 (하이두크 스플리트), 수시치 (사라예보), 셰스티치 (레드 스타 베오그라드), 데베리치 (디나모 자그레브), 할릴호지치 (낭트)
3. 5. 3. 북아일랜드
빌리 빙엄 감독이 이끌었던 북아일랜드 대표팀은 1982년 FIFA 월드컵에서 24년 만에 본선에 진출하여 2차 조별 리그까지 진출하는 돌풍을 일으켰다.주요 선수로는 골키퍼 팻 제닝스, 수비수 지미 니컬, 말 도나기, 크리스 니컬, 존 오닐, 미드필더 데이비드 맥크리리, 마틴 오닐 (주장), 토미 카시디, 공격수 제리 암스트롱, 새미 맥일로이, 빌리 해밀턴, 노먼 화이트사이드 등이 있었다.
3. 5. 4. 온두라스
호세 데 라 파스 에레라 감독이 이끄는 온두라스 축구 국가대표팀은 1982년 FIFA 월드컵에서 북중미 국가 최초로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는 쾌거를 달성했다. 이는 온두라스 축구 역사에 한 획을 긋는 기념비적인 사건이었다. 온두라스 대표팀의 주요 선수로는 엑토르 셀라야, 질베르토 이어우드 등이 있었다. 특히, 엑토르 셀라야는 온두라스 축구 역사상 최고의 선수 중 한 명으로 꼽히며, 팀의 주축 선수로 활약했다.1982년 FIFA 월드컵 온두라스 선수 명단
- '''골키퍼:''' 살로몬 나자르, 훌리오 세자르 아르주, 지미 스튜어드
- '''수비수:''' 에프레인 구티에레스, 하이메 비예가스, 페르난도 불네스, 앤서니 코스트리, 도밍고 드루몬드, 호세 루이스 크루즈
- '''미드필더:''' 라몬 마라디아가 (주장), 프란시스코 하비에르 톨레도, 데이비드 부에조, 프루덴시오 노랄레스, 후안 크루스 무리요, 엑토르 셀라야, 카를로스 오를란도 카바예로, 질베르토 이어우드
- '''공격수:''' 안토니오 레잉, 포르피리오 아르만도 베탕쿠르, 호세 로베르토 피게로아, 로베르토 베일리, 셀소 구이티
3. 6. 6조
3. 6. 1. 브라질
1982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한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은 텔레 산타나 감독이 이끌었다. 브라질은 지쿠, 소크라치스, 파우캉, 세레주로 이어지는 '황금 4중주'를 앞세워 강력한 우승 후보로 꼽혔다. 그러나 브라질은 이탈리아와의 2차 조별 리그 경기에서 2-3으로 패하며 탈락했다.포지션 | 등번호 | 이름 | 생년월일 | 출전 경기 | 득점 | 소속팀 |
---|---|---|---|---|---|---|
GK | 1 | 바우지르 페레스 | 1951년 2월 2일 | 23 | 상파울루 | |
DF | 2 | 레안드루 | 1959년 3월 17일 | 6 | 플라멩구 | |
DF | 3 | 오스카르 | 1954년 6월 20일 | 36 | 상파울루 | |
DF | 4 | 루이지뉴 | 1958년 10월 22일 | 24 | 아틀레치쿠 미네이루 | |
MF | 5 | 토니뉴 세레주 | 1955년 4월 21일 | 49 | 아틀레치쿠 미네이루 | |
DF | 6 | 주니오르 | 1954년 6월 29일 | 35 | 플라멩구 | |
MF | 7 | 파울루 이시도루 | 1953년 8월 3일 | 28 | 그레미우 | |
MF | 8 | 소크라치스 (주장) | 1954년 2월 19일 | 33 | 코린치앙스 | |
FW | 9 | 세르지뉴 | 1953년 12월 23일 | 15 | 상파울루 | |
MF | 10 | 지쿠 | 1953년 3월 3일 | 56 | 플라멩구 | |
FW | 11 | 에데르 | 1957년 5월 25일 | 24 | 아틀레치쿠 미네이루 | |
GK | 12 | 파울루 세르지우 | 1954년 7월 24일 | 3 | 보타포구 | |
DF | 13 | 에지바우두 | 1958년 1월 28일 | 17 | 인테르나시오날 | |
DF | 14 | 주니뉴 | 1958년 8월 29일 | 4 | 폰치 프레타 | |
MF | 15 | 파우캉 | 1953년 10월 16일 | 17 | AS 로마 | |
DF | 16 | 에지뉴 | 1955년 6월 5일 | 34 | 플루미넨시 | |
DF | 17 | 페드리뉴 | 1957년 10월 22일 | 8 | 바스쿠 다 가마 | |
MF | 18 | 바치스타 | 1955년 3월 8일 | 32 | 그레미우 | |
MF | 19 | 헤나투 | 1957년 2월 21일 | 13 | 상파울루 | |
FW | 20 | 호베르투 지나미치 | 1954년 4월 13일 | 32 | 바스쿠 다 가마 | |
MF | 21 | 지르세우 | 1952년 6월 15일 | 23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
GK | 22 | 카를루스 | 1956년 3월 4일 | 6 | 폰치 프레타 |
3. 6. 2. 소련
콘스탄틴 베스코프 감독이 이끄는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은 1982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하여 2차 조별 리그까지 진출했다. 당시 소련 대표팀에는 리나트 다사예프, 올레흐 블로힌 등 뛰어난 선수들이 포진해 있었다.다음은 1982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한 소련 선수 명단이다.
번호 |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 출전 경기 수 | 소속팀 | |
---|---|---|---|---|---|---|
1 | GK | 리나트 다사예프 | 리나트 파이즈라흐마노비치 다사예프/Ринат Файзрахманович Дасаевru | 1957년 6월 13일 | 21 |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
2 | DF | 텐기즈 술라크벨리제 | 텐기즈 술라크벨리제/თენგიზ სულაქველიძეka | 1956년 7월 23일 | 16 | 디나모 트빌리시 |
3 | DF | 알렉산드르 치바제 (주장) | 알렉산드레 치바제/ალექსანდრე ჩივაძეka | 1955년 4월 8일 | 15 | 디나모 트빌리시 |
4 | DF | 바기스 히디야툴린 | 바기스 나지로비치 히디야툴린/Вагиз Назирович Хидиятуллинru | 1959년 3월 3일 | 26 | CSKA 모스크바 |
5 | DF | 세르히 파블로비치 발타차 | 세르히 파블로비치 발타차/Сергій Павлович Балтачаuk | 1958년 2월 17일 | 11 | 디나모 키예프 |
6 | DF | 아나톨리 데미야넨코 | 아나톨리 바실료비치 데미야넨코/Анатолій Васильович Дем'яненкоuk | 1959년 2월 19일 | 8 | 디나모 키예프 |
7 | FW | 라마즈 셴겔리아 | 라마즈 셴겔리아/რამაზ შენგელიაka | 1957년 1월 1일 | 16 | 디나모 트빌리시 |
8 | MF | 볼로디미르 베즈소노우 | 볼로디미르 바실료비치 베즈소노우/Володимир Васильович Безсоновuk | 1958년 3월 5일 | 32 | 디나모 키예프 |
9 | MF | 유리 가브릴로프 | 유리 바실리예비치 가브릴로프/Юрий Васильевич Гавриловru | 1953년 5월 3일 | 28 |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
10 | MF | 호렌 오가네샨 | 호렌 게오르기의 호브한니샨/Խորեն Գեորգիի Հովհաննիսյանhy | 1955년 1월 10일 | 17 | 아라라트 예레반 |
11 | FW | 올레흐 블로힌 | 올레흐 볼로디미로비치 블로힌/Олег Володимирович Блохінuk | 1952년 11월 5일 | 78 | 디나모 키예프 |
12 | MF | 안드리 발 | 안드리 미하일로비치 발/Андрій Михайлович Бальuk | 1958년 2월 16일 | 4 | 디나모 키예프 |
13 | MF | 비탈리 다라셀리아 | 비탈리 다라셀리아/ვიტალი დარასელიაka | 1957년 10월 9일 | 18 | 디나모 트빌리시 |
14 | DF | 샤르헤이 바로우스키 | 샤르헤이 바실레비치 바로우스키/Сяргей Васільевіч Бароўскіbe | 1956년 1월 29일 | 5 | 디나모 민스크 |
15 | FW | 세르게이 바실리예비치 안드레예프 | 세르게이 바실리예비치 안드레예프/Серге́й Васильевич Андреевru | 1956년 5월 16일 | 18 | SKA 로스토프 |
16 | FW | 세르게이 로디오노프 | 세르게이 유리예비치 로디오노프/Серге́й Юрьевич Родионовru | 1962년 9월 3일 | 2 |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
17 | MF | 레오니드 부랴크 | 레오니드 요시포비치 부랴크/Леонід Йосипович Бурякuk | 1953년 7월 10일 | 43 | 디나모 키예프 |
18 | DF | 유리 수슬로파로우 | 유리 빅토로비치 수슬로파로프/Юрий Викторович Суслопаровru | 1958년 8월 14일 | 6 | 토르페도 모스크바 |
19 | MF | 바딤 예우투셴코 | 바딤 아나톨리요비치 예우투셴코/Вадим Анатолійович Євтушенкоuk | 1958년 1월 1일 | 2 | 디나모 키예프 |
20 | DF | 올레크 로만체프 | 올레크 이바노비치 로만체프/Олег Иванович Романцевru | 1954년 1월 4일 | 9 |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
21 | GK | 빅토르 차노우 | 빅토르 빅토로비치 차노우/Віктор Вікторович Чановuk | 1959년 7월 21일 | 1 | 디나모 키예프 |
22 | GK | 뱌체슬라프 차노프 | 뱌체슬라프 빅토로비치 차노프/Вячеслав Викторович Чановru | 1951년 10월 23일 | 0 | 토르페도 모스크바 |
소련은 2차 조별 리그에서 벨기에를 1-0으로 이겼으나, 폴란드와 0-0으로 비기면서 폴란드에 밀려 준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3. 6. 3. 스코틀랜드
스테인 감독이 이끌었던 스코틀랜드 대표팀은 1982년 FIFA 월드컵에 참가했다.[2] 댈글리시, 수네스 등 스타 선수들이 포함된 스코틀랜드는 전통적인 영국 축구를 바탕으로 조별 리그에서 경쟁했으나, 소련에 밀려 아쉽게 탈락했다.다음은 당시 스코틀랜드 대표팀 선수 명단이다.
포지션 | 이름 | 소속팀 |
---|---|---|
GK | 러프 | 파틱 씨슬 |
DF | 맥그레인 (주장) | 셀틱 |
DF | 그레이 | 리즈 유나이티드 |
MF | 수네스 | 리버풀 |
DF | 핸슨 | 리버풀 |
DF | 밀러 | 애버딘 |
MF | 스트라컨 | 애버딘 |
FW | 댈글리시 | 리버풀 |
FW | 브러질 | 입스위치 타운 |
MF | 워크 | 입스위치 타운 |
FW | 로버츤 | 노팅엄 포레스트 |
GK | 우드 | 아스널 |
DF | 매클리시 | 애버딘 |
DF | 너레이 | 던디 유나이티드 |
FW | 조던 | AC 밀란 |
MF | 하트포드 | 맨체스터 시티 |
DF | 에번스 | 애스턴 빌라 |
FW | 아치볼드 | 토트넘 홋스퍼 |
FW | 스투록 | 던디 유나이티드 |
FW | 프로번 | 셀틱 |
DF | 벌리 | 입스위치 타운 |
GK | 레이턴 | 애버딘 |
3. 6. 4. 뉴질랜드
애드셰드 감독이 이끄는 뉴질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은 1982년 FIFA 월드컵에서 오세아니아 국가 최초로 월드컵 본선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비록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지만, 뉴질랜드 축구 역사에 한 획을 그은 사건이었다.선수 명단
등번호 | 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 출전 경기 수 | 소속 클럽 |
---|---|---|---|---|---|
1 | GK | 리처드 윌슨 | 1956년 5월 8일 | ? | 프레스턴 마케도니아 (오스트레일리아) |
2 | DF | 글렌 도즈 | 1957년 7월 7일 | 0 | 애들레이드 시티 (오스트레일리아) |
3 | DF | 리키 허버트 | 1961년 4월 10일 | 0 | 마운트 웰링턴 (뉴질랜드) |
4 | MF | 브라이언 터너 | 1949년 7월 31일 | 4 | 기즈번 시티 (뉴질랜드) |
5 | DF | 데이브 브라이트 | 1949년 11월 29일 | ? | 마누레와 (뉴질랜드) |
6 | DF | 보비 알문드 | 1951년 4월 16일 | 0 | 인버카길 시슬 (뉴질랜드) |
7 | FW | 윈턴 루퍼 | 1962년 12월 29일 | 9 | 미라마르 레인저스 (뉴질랜드) |
8 | MF | 덩컨 콜 | 1958년 7월 12일 | 0 | 하니멕스 유나이티드 (뉴질랜드) |
9 | FW | 스티브 우딘 | 1955년 1월 16일 | 0 | 사우스 멜버른 (오스트레일리아) |
10 | MF | 스티브 섬너 (주장) | 1955년 4월 2일 | 38 | 웨스트 애들레이드 헬라스 (오스트레일리아) |
11 | DF | 샘 맬컴슨 | 1948년 4월 2일 | 0 | 이스트 코스트 베이스 (뉴질랜드) |
12 | MF | 키스 맥카이 | 1956년 12월 8일 | 0 | 기즈번 시티 (뉴질랜드) |
13 | MF | 케니 크레스웰 | 1958년 6월 4일 | 0 | 기즈번 시티 (뉴질랜드) |
14 | DF | 에이드리언 엘릭 | 1949년 9월 29일 | 0 | 하니멕스 유나이티드 (뉴질랜드) |
15 | DF | 존 힐 | 1950년 1월 7일 | 0 | 기즈번 시티 (뉴질랜드) |
16 | DF | 글렌 애덤 | 1959년 5월 22일 | ? | 마운트 웰링턴 (뉴질랜드) |
17 | MF | 앨런 보스 | 1958년 2월 14일 | 0 | 웨스트 애들레이드 헬라스 (오스트레일리아) |
18 | MF | 피터 시먼슨 | 1959년 4월 17일 | ? | 마누레와 (뉴질랜드) |
19 | MF | 빌리 매클러 | 1958년 1월 4일 | ? | 마운트 웰링턴 (뉴질랜드) |
20 | MF | 그랜트 터너 | 1958년 10월 7일 | ? | 기즈번 시티 (뉴질랜드) |
21 | GK | 배리 피커링 | 1956년 12월 12일 | ? | 미라마르 레인저스 (뉴질랜드) |
22 | GK | 프랭크 밴해텀 | 1958년 11월 17일 | 0 | 마누레와 (뉴질랜드) |
특히, 윈턴 루퍼와 스티브 섬너는 뉴질랜드를 대표하는 공격수로, 1982년 월드컵 예선에서 맹활약하며 팀을 본선으로 이끌었다.
4. 조별 리그
5. 2차 조별 리그
6. 결선 토너먼트
6. 1. 준결승전
6. 2. 3-4위전
6. 3. 결승전
7. 최종 순위
8. 수상
9. 기록
10. 의의 및 영향
참조
[1]
웹사이트
Edición del Sunday 6 June 1982, Página 8 – Hemeroteca – MundoDeportivo.com
http://hemeroteca.mu[...]
Hemeroteca.mundodeportivo.com
1982-06-06
[2]
웹사이트
Scotland – International Matches 1981-1985
https://www.rsssf.or[...]
2021-05-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